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김대성 가야금작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7527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학부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70 판사항(6)

      • DDC

        78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vii, 326 p. : 삽화(일부천연색), 악보, 초상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곽은아
        권말부록: 작곡가 김대성의 작품목록 등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on composer Kim Dae-sung(김대성; 金大成 1967~)’s works for gayageum and his composing style for the instrument. An active composer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 total of 31 works for the gayageum written by Kim were look...

      This research is on composer Kim Dae-sung(김대성; 金大成 1967~)’s works for gayageum and his composing style for the instrument.
      An active composer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 total of 31 works for the gayageum written by Kim were looked into, and grouped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works, 7 pieces(<Ddul-nhuk gah-nun Khum(2010)> for 12-stringed gayageum·<Maheum Maheul(2016)> for 25-stringed gayageum and percussion·<Yeowul(2004)> written for 12-stringed gayageum quartet·<Sahm-mae(2018)> written for gayageum quartet and percussion·<Ha-na eui Kum(2013)> for 18-stringed gayageum and orchestra·<Hoho good(2017)> for four 25-stringed gayageums)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showing that various subject matters were utilized in the gayageum repertoire in focus.
      Based on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musical style of Kim Dae-sung’s Gayageum compositions through how it has been utilized via compositional and performance technique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utilization of subject matters brought a strong traditional musical melody but such program music elements and motives changed depending on its use as a way to express aesthetic consciousness of traditional musical style or as a musical theme intended by the composer. The 5 program music elements — traditional music, aesthetic, reflection of period, nature, and religion — were mostly used as the theme melody in Kim’s compositions.
      Second, the utilization of mode brought traditional modes such as menaritori, sooshimgatori, yookjabaegitori, pyeongjoseonbeop, gehmyeonjoseonbeop together with Western modes such as atonal mode and church mode. The 12-string gayageum’s progression of melody was utilized with musical scale — especially with atonal mode emphasized; Kim’s such work with mode covers both traditional tone and Western musical elements.
      Third, the utilization of rhythm altered shamanic music of the Korean east coast — chungbo, baegijang, sajaphuli — and applied them to the rhythm of the gayageum. One of the main rhythmic characteristics of Kim Dae-sung’s works for the Gayageum is the use of polyrhythm. The use of polyrhythm by the gayageum and percussion or between two gayageums created a whole different sound — even creating the gamelan acoustic effect.
      Fourth, the utilization of performance technique extended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s from 15 to 24, and non-traditional techniques from 5 to 14. The mixed techniques increased from 5 to 14. The usage of traditional techniques in Kim’s entire Gayageum repertoire — for traditional and updated gayageums — was the highest. The hard-pressing technique, which is used for reverberation, was widely used and especially when it was ascending or descending to and from the model tone. Als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reverberation went two, three, four, and five tones both ways. The wide use of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s led to creating musical effects with ornaments when similar melody progressed. Non-traditional techniques included one-handed techniques like harmonics, arpeggio, tremolo, and glissando; two-handed techniques included harmonics and tremolo. Such techniques like beating the instrument were used in chamber or concerto settings — creating an ambiguous tone while another melody was being performed — which then resulted in one natural acoustic effect. The mixed technique combines the two techniques above, which demonstrates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al elements; of the elements, a string-pressing technique with bow scratching the strings, extends the performance techniques of the gayageum with special tool in-use. Furthermore, the string-pressing technique articulated tones that were out of the standard range of tones for the gayageum; this technique allowed for overcoming the fixed-range of the gayageum through use of harmonics and arpeggios.
      To summariz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composer Kim Dae-sung’s works for the gayageum and his current composing style for the instrument are studied in this research. Kim is a tireless advocate for researching the gayageum repertoire. Through his intensive on-site research to really understand various traditional melodies such as folk, shamanic, and pansori, Kim Dae-sung altered the music to make it his own style; this style was then applied to his compositional writing for the gayageum. Som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Kim’s writing for the gayageum are: one-movement structure, variety of subject matter, tonal variability of mode, and polyrhythm.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 is frequently found in Kim’s music for the gayageum — diversifying how reverberation is expressed in playing. Through Kim Dae-sung’s musical vision and his world as a composer, his research on the gayageum repertoire would be believed to be an important study on the value of the gayageum music. Not to mention it offers a chance to learn about gayageum music at the status quo.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 on other composers would come after this study on Kim Dae-sung’s music, and that Kim’s active composing would continue 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작곡가 김대성(金大成 1967~)의 가야금작품 연구를 통해 김대성 가야금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여 그의 작품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총 31곡의 김대성 가야금작품을 ...

      본고는 작곡가 김대성(金大成 1967~)의 가야금작품 연구를 통해 김대성 가야금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여 그의 작품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총 31곡의 김대성 가야금작품을 독주곡·중주곡·협주곡 별로 분류하고 작곡자의 작품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작품 선정을 위해 작품 성격을 나타내는 요소의 빈도수·앞서 선정되지 않은 작품·악곡에 편성된 가야금의 종류를 고려하여 총 7곡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작품은 12현가야금 독주곡 <들녘 가는 꿈(2010)>·25현가야금과 장구를 위한 <마음마을(2016)>·25현가야금과 타악을 위한 <구름 낀 달밤의 바다(2018)>·12현가야금 4중주곡 <여울(2004)>·가야금 4중주와 타악을 위한 <삼매(2018)>·18현가야금과 서양관현악을 위한 <하나의 꿈(2013)>·25현 4대를 위한 가야금 협주곡 <호호굿(2017)>이며 작품에 활용된 소재와 표현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의 활용 양상으로는 모든 작품들에서 전통음악적 소재가 강하게 출현하나 표제적 요소 및 동기는 전통음악적 미(美)의식을 표현하는 하나의 음악적 재료로 사용되는지 작곡자가 지향하는 음악의 주제로 표현 되는지에 따라 작품의 주된 성격은 달라졌다. 작품에 반영된 전통음악·심미·자연·종교·시대반영의 소재는 악곡의 표현방식으로 활용되었다. 김대성 가야금작품에서 소재 활용 양상의 특징은 복합적 소재의 활용으로, 작품마다 하나의 소재가 아닌 여러 소재가 혼합되어 나타났다는 점이다.
      둘째, 선법의 활용 양상으로는 전통음악의 선법인 메나리토리·수심가토리·육자배기토리·평조선법·계면조선법과 서양음악의 선법인 무조선법·교회선법(Lydian mode·Aeolian mode·Dorian mode)이 악곡별로 활용되었다. 특히 무조음악의 특징을 살려 12음계를 활용한 12현가야금의 선율진행은 전통적인 음색과 서양음악적 요소가 함께 나타났다. 김대성 가야금작품에서 선법 활용 양상의 특징은 선법의 가변음 활용으로, 선법의 구성음에서 반음을 추가하여 가변음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셋째, 리듬의 활용 양상으로는 동해안 무악장단인 청보장단·배기장장단·사자풀이장단을 변형하여 가야금 리듬에 접목시켰고, 풍물장단인 호호굿장단·영산다드래기장단을 가야금 리듬에 접목시켰다. 김대성 가야금작품에서 리듬 활용 양상의 특징은 폴리리듬의 활용으로, 가야금과 타악기의 폴리리듬 또는 중주가야금의 폴리리듬을 제시하여 하나의 새로운 선율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가믈란 음향 효과로 이어지기도 했다.
      넷째, 연주법의 활용 양상으로 전통주법(전통가야금으로 전통악곡을 연주시 사용되는 주법)·비전통주법(작곡가의 창작된 악보에 표기되어 있는 주법)·혼합주법(전통주법과 비전통주법이 함께 사용된 주법)이 활용되었다. 전통주법은 최소 15가지에서 최대 24가지가 활용되었으며 비전통주법은 최소 5가지에서 최대 14가지가 활용되었고 혼합주법은 최소 2가지에서 최대 9가지가 활용되었다. 전통가야금과 개량가야금 편성의 모든 작품에서 전통주법의 활용도가 가장 높았고, 특히 여음을 표현하기 위한 누르기주법의 활용도가 다양했다. 여음 표현의 주법은 제시음으로 여음 상행 및 하행하기·제시음에서 여음 상행 및 하행하기·두음 상행 및 하행 연결하기·세음 연결하기·네음 연결하기·다섯음 연결하기 등이 활용되었다. 이러한 전통주법의 다양한 활용은 유사선율 진행시 시김새 변화를 통한 음악적 효과로 이어졌다. 작품에 활용된 비전통주법 중 두드리기나 안족 밖의 음 뜯기와 같이 주법은 중주곡이나 협주곡에 활용되어 다른 선율 진행시 모호한 음정의 선율로 어우러져 하나의 자연적 음향 효과로 나타났다. 작품에 활용된 혼합주법 중 활로 현을 긁으며 누르는주법을 함께 활용하는 주법은 특수도구를 사용함으로써 가야금 주법의 확대 효과로 나타났고, 가야금의 기본 음역대를 벗어난 음정을 누르는주법으로 표현하며 화음 또는 아르페지오를 활용하는 주법은 고정된 음역대를 극복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상으로 김대성 가야금작품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 현재 그의 가야금작품경향을 파악하였다. 작곡자 김대성은 가야금작품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작곡가이며 특히 직접적인 현장연구를 토대로 자신이 채보한 토속민요·무속음악·판소리 선율을 변형하여 자신만의 양식으로 가야금작품에 접목시켜 작품활동을 해오고 있다. 김대성 가야금작품의 음악적 특징은 단악장 구조·작품 소재의 복합성·선법의 가변음 활용·폴리리듬의 활용이 있으며 작품에 활용된 연주법 중 전통주법의 높은 활용도로 여음 표현의 다양화를 작품에 반영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김대성의 가야금작품 연구는 작곡가의 음악관과 작품세계를 통한 가야금 음악의 가치를 조명해 보는 중요한 작업이 되었으리라 생각되며 또한 과거 중심이 아닌 가야금 음악의 현 상황을 직시해보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향후 김대성 작품 및 가야금 창작음악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앞으로 김대성의 꾸준한 작품활동과 이에 따른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 B. 선행연구의 검토 4
      • C. 연구 범위 및 방법 7
      • Ⅱ. 작곡자 김대성의 작품 배경 12
      • Ⅰ. 서론 1
      •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 B. 선행연구의 검토 4
      • C. 연구 범위 및 방법 7
      • Ⅱ. 작곡자 김대성의 작품 배경 12
      • A. 생애 및 음악관 12
      • B. 가야금 작품세계 개관 26
      • Ⅲ. 김대성 가야금작품 분석 34
      • A. 독주곡 34
      • 1. 12현가야금 독주곡 들녘 가는 꿈 34
      • 2. 25현가야금과 장구를 위한 마음마을 56
      • 3. 25현가야금과 타악을 위한 구름 낀 달밤의 바다 76
      • 4. 소결 102
      • B. 중주곡 103
      • 1. 12현가야금 4중주곡 여울 103
      • 2. 가야금 4중주와 타악을 위한 삼매 126
      • 3. 소결 148
      • C. 협주곡 149
      • 1. 18현가야금과 서양관현악을 위한 하나의 꿈 149
      • 2. 25현 4대를 위한 가야금 협주곡 호호굿 181
      • 3. 소결 210
      • Ⅳ. 김대성 가야금작품의 음악적 특징 211
      • A. 작곡기법적 요소 활용 양상 211
      • 1. 소재의 활용 211
      • 2. 선법의 활용 235
      • 3. 리듬의 활용 249
      • B. 연주법 활용 양상 264
      • 1. 전통주법의 활용 264
      • 2. 비전통주법의 활용 268
      • 3. 혼합주법의 활용 272
      • Ⅴ. 결론 275
      • 참고문헌 280
      • 부록 287
      • ABSTRACT 32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장사훈, 한만영, "『國樂槪論』", 서울: 韓國國樂學會, 1975

      2 서한범, "『國樂通論』", 서울: 태림출판사, 2009

      3 김성원, 정연경, 박창원, "『논문작성법』",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4 김동화, "『불교학개론』", 서울: 보련각, 1954

      5 이혜구, "“新羅의 梵唄”",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 제2집, , 359-401, 2000

      6 한양대학교 전통음악연구회, "『韓國音樂散考』", 서울: 민속원, -1997, 1989

      7 전인평, "『국악관현악법』", 서울: 아시아음악학회, 2014

      8 백병동, "『대학음악이론』", 서울 : 현대음악출판사, 2007

      9 불교성전편찬회, "『불교용어사전』", 서울: 문예마당, 2007

      10 김해숙, 최태현, 백대웅, "『전통음악개론』", 서울: 도서출판 어울림, 1997

      1 장사훈, 한만영, "『國樂槪論』", 서울: 韓國國樂學會, 1975

      2 서한범, "『國樂通論』", 서울: 태림출판사, 2009

      3 김성원, 정연경, 박창원, "『논문작성법』",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4 김동화, "『불교학개론』", 서울: 보련각, 1954

      5 이혜구, "“新羅의 梵唄”",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 제2집, , 359-401, 2000

      6 한양대학교 전통음악연구회, "『韓國音樂散考』", 서울: 민속원, -1997, 1989

      7 전인평, "『국악관현악법』", 서울: 아시아음악학회, 2014

      8 백병동, "『대학음악이론』", 서울 : 현대음악출판사, 2007

      9 불교성전편찬회, "『불교용어사전』", 서울: 문예마당, 2007

      10 김해숙, 최태현, 백대웅, "『전통음악개론』", 서울: 도서출판 어울림, 1997

      11 백병동, "『(개정판)화성학』", 서울: 수문당, 1984

      12 문재숙, "『가야금의 첫걸음』",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1992

      13 김대성, "“땅밟기 여섯 장면”", 『민족음악의 이해』 제6호, , 237-276, 1997

      14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한국 작곡가 사전』", 서울: 시공사, 1999

      15 송방송, "『한겨레음악대사전』", 서울: 보고사, 2012

      16 한만영, "『한국불교음악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17 김대성, "“해방공간 작품 분석”", 『민족음악의 이해』 제4호, , 187-222, 1995

      18 권오성, "『韓國音樂散考 第8輯』", 서울: 민속원, 1997

      19 이성천, "『음악통론과 그 실습』", 서울: 음악예술사, 1971

      20 김대성, "“전북 익산 민요 연구”", 『민족음악의 이해』 제4호, , 355-421, 1995

      21 방승환, "『동해안 별신 굿 여정』", 서울: 지성인, 2013

      22 전북일보, "전북일보. http://www.jjan.kr.", null

      23 곽은아,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서울: 은하출판사, 2018

      24 김운석, "“강릉단오굿 장단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17

      25 김대성, 김대성, "김대성 작품집 「다랑쉬」", 서울: 서울음반, 2006

      26 R. 앤더슨 서튼, 홍주희, 현경채, 전인평, 이지선, 이 재숙, 윤혜진, 서인화, 박은옥, 박소현, "『아시아음악의 아름다움』", 서울 : 아시아음악학회, 2008

      27 세광음악 편집부, "『파퓰러음악용어대사전 』",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7

      28 조정아, "“백대웅 가야금작품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9 윤동환, "“동해안 굿의 전승과 변화”",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0 김성주, 정현경, 윤중강, "공저. 『종이에 스민 가야금』", 서울: 민속원, 2008

      31 김대성, "“박홍남류 설장구 가락연구”", 『민족음악의 이해』 제3호, , 345-382, 1994

      32 강선하,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세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3 전통예술원, "『한국민요의 음악학적 연구』", 서울: 민속원, 2003

      34 윤소희, "『범패의 역사와 지역별 특징』", 서울: 민속원, 2016

      3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편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권9", 경기: 한국정신 문화연구원, 1991

      36 이보형, "“한국전통음악의 장단 연구사”", 『韓國音樂史學報』 제32집, -244, 2004

      37 심상욱, "“김희조 합주곡의 음악적 특징”",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8 이보형, "“농악 장단의 종류와 분류체계”", 『한국전통음악학』 제4호, , 321-330, 2003

      39 최미선, "“25현가야금 연주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0 김대성, "“부여 「산유화가」를 생각하며”", 『민족음악의 이해』 제5호, , 255-288, 1996

      41 황병기,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산조』",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42 오용철, "“작곡가 임주섭의 작품 분석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43 박범훈, "『작곡 편곡을 위한 국악기의 이해』",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2

      44 김성경, "“韓國傳統音樂 樂式의 美學思想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5 이종찬, "“황병기 가야금 음악의 양식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6 민의식, "“가야금 음악의 역사적 전개와 확장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7 노은아, "“해금과 25현가야금을 위한 <다랑쉬>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8 김대성, "김대성 작품집 「태풍(청산 봄 신실크로드)」", 서울: 서울음반, 2003

      49 정효성, "“시기구분에 의한 백병동 가야금작품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0 삼호뮤직 편집부, "『파퓰러음악용어사전&클래식음악용어사전』", 경기: 삼호뮤직, 2002

      51 권혜진, "“이해식 가야금 독주곡의 음악적 특징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52 이진경, "“김대성 작곡 25현금 독주곡 <마음마을>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53 성하주, "“김대성 작곡 가야금 4중주 <松香>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5

      54 이지영, "『(연주가와 작곡가를 위한) 현대가야금기보법』", 서울: 서울대학교 출 판문화원, 2011

      55 한서연, "“거문고 창작음악의 역사적 전개와 미학적 특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56 송다솔, "“김대성 작곡 거문고 독주곡 <강남곡> 분석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6

      57 곽재영, "“김대성 작곡 4대의 가야금을 위한 <호호굿>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4

      58 백승충, "“「加羅國과 于勒十二曲」: 가라국과 우륵십이곡”", 『釜大史學』 제19집, 1995

      59 김바니, "“김대성 작곡 12현가야금 독주곡 <빛춤>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0 김일중, "“김대성의 관현악곡 <여림을 넘어서>의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1

      61 이혜구, "“韓國과 日本의 古代音樂 - 佛敎音樂을 中心으로 -”", 『동양음악』 제10집, , 1-18, 1988

      62 김방울, "“김대성 작곡 가야금과 첼로를 위한 <반서름>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7

      63 김잔디, "“김대성 작곡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풀>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64 박민경, "“김대성 작곡 <불노하(不老河)-마르지 않는 강> 연구”", 서울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6

      65 최인영, "“가야금협주곡 연구 : 가야금 산조협주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66 이소영, "“김대성 작곡 25현가야금 4중주곡 <봄의 향연> 분석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67 김기범, "“김대성 작곡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풀> 지휘법 분석 연구”", 한국예 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17

      68 최지순, "“한국 창작음악에 나타난 전통음악요소의 활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69 곽동철, "“학술논문에서 표절의 유형과 올바른 인용 방식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 정보학회지』 제41집 제3호, , 103-126, 2007

      70 김형태, "“1970년대 작곡가 강석희 작품에 나타난 한국 전통음악의 영향”", 경희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1 이석종, "“국악 관현악 曲에서의 무속장단 분석 : 김대성 曲을 중심으로”", 용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72 이보형, "“「한국음악의 시김새 연구방법」 시론 : 민속음악을 중심으로”", 『音 樂論壇』 제13집, , 5-9, 1999

      73 최윤숙, "“김대성 작곡 대금협주곡 <풀꽃> 분석 연구 : 관현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74 김태정, "“국악 창작곡 분석 연구 : 김대성의 국악관현악곡 <청산>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07

      75 김명옥, "“김대성 작곡 국악관현악 <열반>의 분석 연구 : 악곡구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76 주민경, "“김대성의 대금협주곡 <풀꽃> 분석 연구 : 독주대금 선율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77 유경화, "“동해안 오귀굿의 드렁갱이장단 연구 : 청보장단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01

      78 원 일, "“동해안 진오귀굿 중 장수굿의 짜임새와 장단구조-청보장단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79 조희춘, "“송동숙의 무악장단 연구 : 푸너리, 드렁갱이, 청보, 삼오장, 거무를 중 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80 송정민, "“20세기 전반기 가야금음악의 전개 양상 : 경성방송국 라디오 방송과 유성기 음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81 김창환, "“21세기 창작국악관현악 기법 연구 : 김대성의 <청산>, 임준희의 <혼불 Ⅲ>, 강준일의 <내 나라, 금수강산>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 술전문사학위논문,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