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궁궐 별전의 영건과 변천과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772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궁궐은 엄격한 의례 공간을 형성하여 왕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며 이는 삼전(三殿) 제도로 대표된다. 그러나 왕의 궁궐 운영에 있어서는 의례 공간 이외 비의례 공간이 필요...

      궁궐은 엄격한 의례 공간을 형성하여 왕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며 이는 삼전(三殿) 제도로 대표된다. 그러나 왕의 궁궐 운영에 있어서는 의례 공간 이외 비의례 공간이 필요했고, 이에 별도의 용도, 사사로운 용도로 이용할 전각을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이것을 본 논문에서는 별전의 영건으로 보았다. 별전은 왕이 사용하기에 편한 전각이자, 별도의 용도를 가지는 전각을 뜻하며, 궁궐에서 의례화되지 않으면서도 필요에 의해 존재했던 전각들을 말한다.
      별전의 영건은 궁궐 내 사사로운 공간의 출현 과정이다. 왕의 사적인 공간이 궁궐 운영 상 다른 용도로 편입되어도 또 다른 사적인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욕구가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내내 지속된 별전의 영건 및 변천과정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조선 전기의 별전 영건은 외전 영역으로 편입되어 편전과 시사전으로 변용된다. 임진왜란 후 궁궐의 중심구역 체계가 성립되는데, 의례공간으로 법전, 편전, 침전이 있고, 비의례 공간으로 시사전과 별전이 있다. 조선 후기 별전의 영건은 후원으로 이어지며, 후원 별전은 중심 구역의 별전 영건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중심 구역의 별전이 단일 전각에 단일 용도를 부각시키는 형식이었다면, 후원 별전은 여러 전각이 하나의 영역을 이루는 배치를 보이며 여러 용도를 복합적으로 수용하는 형식으로 출현한다. 후원 별전의 특징은 배치의 영역성, 일상생활 공간 수용, 경관에 대한 배려, 용도의 집중 및 복합화, 다양한 건축 형식 등이다. 그리고 구한 말 양관의 수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별전의 특징은 다양한 용도를 단일 전각으로 집중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별전은 왕의 전각이며, 사사로운 공간의 출현이자, 최신의 건축 기법, 최고의 건축 구조, 최상의 건축 재료, 외래 문물의 적극적인 수용 등의 특징을 가진다. 별전의 영건 및 변천과정은 왕의 사사로운 공간에 대한 욕구의 결과이며, 이로 인해 공과 사의 경계에 위치하여 그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별전이라는 공간은 궁궐 내 실제 전각 상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측면이 있다. 이는 특정 역할의 부각 및 복합화 과정, 그리고 용도 변용 및 정착 과정 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별전의 영건이라는 행위는 궁궐의 위상과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많은 용도를 내포하는 별전을 다양화시키는 과정은 궁궐 운영의 관점에서 보면 지속적인 전각들의 출현으로 인해 궁궐 내의 공간이 풍부해지는 과정으로 귀결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선행 연구 분석
      • 제2장 조선시대 궁궐 별전의 등장
      • 제1장 서 론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선행 연구 분석
      • 제2장 조선시대 궁궐 별전의 등장
      • 1. 조선 초 편전의 이용
      • 2. 별전의 정의와 위계
      • 3. 소결
      • 제3장 별전의 영건과 궁궐 중심구역의 변화
      • 1. 편전의 외전 영역 편입
      • 2. 궁궐 내 별전의 재조성
      • 3. 임진왜란 후 궁궐의 중심구역 형성
      • 4. 소결
      • 제4장 조선 후기 별전의 영건에 따른 후원의 운영
      • 1. 정조의 후원 별전 영건
      • 2. 효명세자와 헌종의 후원 별전 영역 확장
      • 3. 고종의 궁궐 후원 활용
      • 4. 소결
      • 제5장 구한말 양관 형식을 갖춘 별전의 조성
      • 1. 개항 이후 궁궐 내 양관의 건립
      • 2. 경운궁의 위상 격상과 별전의 영건
      • 3. 소결
      • 제6장 종합 고찰
      • 1. 별전의 다양한 성격
      • 2. 시대별 별전의 영건 특징
      • 3. 별전의 영건에 따른 궁궐 내 공간 구성
      • 제7장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동궐도형, "null", (東闕圖形), null

      2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3 김용숙, "조선조 궁중 풍속 연구", 일지사, 일지사, 1987

      4 조재모, "궁궐, 조선을 말하다", 아트북스, 2012

      5 김동욱, "(개정)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7

      6 황태일, "경복궁 집옥재의 건축적 특성",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15

      7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2001

      8 최병선, "경운궁의 복원계획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9 안경호, "조선후기 빈전건축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 김종수, "규장각 소장 연향 관련 의궤고찰", 일지사, 한국학보 제29권 제4호, 2003

      1 동궐도형, "null", (東闕圖形), null

      2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3 김용숙, "조선조 궁중 풍속 연구", 일지사, 일지사, 1987

      4 조재모, "궁궐, 조선을 말하다", 아트북스, 2012

      5 김동욱, "(개정)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7

      6 황태일, "경복궁 집옥재의 건축적 특성",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15

      7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2001

      8 최병선, "경운궁의 복원계획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9 안경호, "조선후기 빈전건축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 김종수, "규장각 소장 연향 관련 의궤고찰", 일지사, 한국학보 제29권 제4호, 2003

      11 경희궁, 최종규, "복원을 위한 전각배치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2 노진하, "樂善齋一廓의 造營背景과 建築特性",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3 윤미방, "「궁궐정원으로 본 중층적 미의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4 윤정현, "朝鮮時代宮闕中心空間의 構造와 變化",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5 정우진, "朝鮮時代宮闕後苑의 體制와 運用樣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6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7 김정동, "고종황제가 사랑한 정동과 덕수궁", 발언, 2004

      18 국은비, "조선 순조대 경희궁 침전영역 복원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9 장영기, "朝鮮時代宮闕正殿․便殿의 機能과 變化",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0 이강민, 전봉희, "3칸 3칸: 한국 건축의 유형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21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게, 2002

      22 나호주, "창덕궁 궁궐 내 조경수목 식재 변화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3 경세진, "閤門을 통해 본 朝鮮時代宮闕의 內外槪念",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4 이민아, "孝明世子憲宗代宮闕營建의 정치사적 意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5 홍순민, "朝鮮王朝宮闕經營과 ‘兩闕體制’의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26 이효석, "朝鮮時代世子의 宮闕空間使用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7 정기철, "17세기 사림의 ‘묘침제’ 인식과 서원 영건", 한국건축역사학회,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28 조재모, "조선왕실의 정침 개념과 변동 ,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0권 제6호, 2004

      29 김왕직, "조선후기 관영건축공사의 건축경제사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30 조재모, "창덕궁의 성장 과정과 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31 주남철, "孝明世子營建紀錄에 關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1권 제10호, 2005

      32 손성기, "東闕圖에 描寫된 可變施設과 宮闕의 空間運營",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3 김지현, "일제강점기 창덕궁 희정당의 변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4 근대기, 창덕궁, 이강근, "건축의 변천에 관한 연구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강좌미술사 42호, 2014

      35 육수화, "정치와 교육이 공존하는 궁궐 ,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Vol.17, 2010

      36 김동욱, "演慶堂再建時期에 대한 再論,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13권 제4호, 2004

      37 동궐도에, 진상철, "보이는 궁궐정원의 조영수법 ,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 학회지 제33권 제4호, 2015

      38 손신영, 연경당, "건축년도 연구: 사료를 중심으로 ,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 No.242-243, 2004

      39 김성준, "17세기 이후 궁궐 실내 바닥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0 김동욱, "고종 2년의 演慶堂修理에 대해서 ,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 13권 제1호, 2004

      41 인경궁, 홍석주, "침전의 건축 형태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8호, 2003

      42 노대환, "광해군대의 궁궐 경영과 풍수지리설 , 조선시대사학회", 조선시대사학보 Vol.63, 2012

      43 김해경, 오규성, "덕수궁 석조전 정원의 조성과 변천 ,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3권 제3호, 2015

      44 김동욱,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 구성 ,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7권 제2호, 1998

      45 경세진, 조재모, "閤門을 통해 본 朝鮮時代宮闕의 內外槪念, 대한건축학회",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5권 제12호, 2009

      46 권재형, "개국 504년 사업보고서, 이 같이 파악한 일 뉘라서 말할까", 문학사상, 1975

      47 장영기, "조선시대 궁궐 편전의 성격과 체제변화 , 조선시대사학회", 조선시대사학보 Vol.48, 2009

      48 조재모, "춘관통고(春官通考)를 통해 살펴본 경희궁의 의례공간",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5호, 2008

      49 이규철, "통감부 시기 황실시설의 조사와 국유화 ,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22권 제4호, 2013

      50 강성원, 김진균, "덕수궁 석조전의 원형 추정과 기술사적 의의 ,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4호, 2008

      51 장필구, "“20세기 전반기 조선왕실의 변화와 창덕궁 건축활동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52 조정식, 창덕궁, 조진동, "후원부의 공간경계요소(담장)에 관한 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24권 제1호, 2015

      53 노진하, 이상해, "樂善齋一廓建築의 造營에 관한 復元的考察,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7호, 1995

      54 조옥연, "조선 궁궐의 동조건축에 관한 연구: 17~18세기 동궐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55 곽순조, "궁궐운영을 통하여 본 조선전기 경복궁의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56 김동욱, "朝鮮時代昌德宮熙政堂의 便殿轉用에 대하여 ,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 역사연구 제3권 제1호, 1994

      57 김지현, "조선시대 궁궐 내 학문소 조성에 따른 별전의 영건 , 대한건축학회",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2권 제8호, 2016

      58 이혜민, "서울 정동의 도시조직변화연구: 덕수궁 영역의 필지변화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9 김윤희, "대한제국기 덕수궁 석조전 건립과 서양가구 유입 ,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 제47권 제3호, 2014

      60 홍석주, "조선조 광해군대의 궁궐건축에 관한 연구: 인경궁과 경덕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61 이혜원, "景福宮중건 이후 殿閣構成의 변화: 경복궁배치도 와 北闕圖形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62 김상희, "동궐도에 나타난 조선시대 궁궐 금화시설의 유형과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3 김지현, "조선시대 궁궐 별전의 영건과 침전 일곽 구성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1권 제10호, 2015

      64 조재모, "좌식공간관습의 건축사적 함의: 신발의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21권 제1호, 2012

      65 김수연, "궁궐 및 조선왕릉 문화재 보수 관리 발전방안 연구: 관리운영조직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6 홍석주, "영건의궤를 통해 본 궁궐 전각 형태의 유형적 구성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3권 제12호, 2007

      67 이강근, "조선왕조의 궁궐건축과 정치: 세자궁의 변천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미술사학 Vol.22, 2008

      68 전미경, 정기호, "전통조경의 조형론적 고찰: 전통 조형물의 형태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제22권 제1호, 1994

      69 박재산, "조선시대 궁궐문의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 동궐도 와 북궐도형 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70 이혜원, 최경란, "조선후기 궁궐 내(內) 주택형 건축의 의장(意匠) 특징에 관한 연구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제3호, 2010

      71 경세진, 조재모, "순조․헌종조 궁중연향의 공간운용과 경계조절: 궁중연향의궤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4호, 2013

      72 장영기, "조선후기 輪對정례화와 宮闕殿閣運營: 숙종~정조대를 중심으로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논총 Vol.34, 2010

      73 김왕직, "朝鮮後期宮闕建築의 營造에 關한 硏究: 十九世紀初西闕․昌慶宮․昌德宮營建都監儀軌分析을 中心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74 김지현, 창덕궁, 이상해, 윤인석, "침전일곽의 건축 형식 변천에 관한 연구: 임진왜란 후 재건 때부터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0권 제12호, 2014

      75 정은경, "朝鮮後期宮闕正寢에 關한 硏究: 昌慶宮營建都監儀軌, 昌德宮營建都監儀軌, 慶運宮重建都監儀軌를 中心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6 이강근, "조선 후반기 제2 3기 건축의 형식과 의미: 조선 후반기의 동궐 조영과 정조(正祖)의 동궐 운영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강좌미술사 40호, 2013

      77 경세진, 조재모, "조선후기 궁중연향 시 숙설소와 중배설청의 배치와 운영에 관한 연구: 궁중연향의궤를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24권 제6호, 2015

      78 김정신, "․발레리 알렉산드로비치 사보스텐코․김재명, 구한말 서울 정동의 러시아공사관에 대한 복원적 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19권 제 6호,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