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연구 : 공간의 폭력성을 중심으로 = 崔洋一の映画作品におけるマイノリティー研究 : 空間の暴力性を中心に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09287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2016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832.66 판사항(6)

      • DDC

        895.62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x, 198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용의
        참고문헌: p. 185-19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재일코리안 최양일의 영화에 나타난 일본사회 속 다양한 마이너리티를 사회문화적 의미, 특히 재현된 공간의 폭력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양일의 영화에 나타...

      본고는 재일코리안 최양일의 영화에 나타난 일본사회 속 다양한 마이너리티를 사회문화적 의미, 특히 재현된 공간의 폭력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양일의 영화에 나타난 마이너리티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일본이라는 공간에서 각기 다른 마이너리티의 존재에 대한 이해가 필요했다. 일반적인 마이너리티에 대한 개념은 이와마 아키코(岩間暁子)ㆍ유효종의『 마이너리티란 무엇인가』라는 연구를 기초로 하여 살펴보았다.
      위의 연구에 따르면 마이너리티는 나라나 지역에 따라 개념과 인식이 다르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전통적/한정형’인 개념으로 민족적ㆍ인종적ㆍ종교적ㆍ언어적인 면에서 다수파와는 구별되는 상대적인 소수파를 이야기한다. 그런데 일본을 비롯한 몇몇 국가에서는 상대적인 수적 열세가 중시 되지 않고 차별을 받은 경험과 ‘피해자성’이 보다 중시되었다고 논의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약자’로서의 확대된 마이너리티의 개념을 포함하여 최양일의 영화에 나타난 마이너리티를 구분지어 본다면, 마이너리티로서의 일본인‘약자’, 마이너리티로서의 ‘오키나와인’, 마이너리티로서의 ‘재일코리안’으로 세 가지로 나누어서 범주별로 살펴 볼 수 있었다.
      본고의 영화작품들에서 나타난 공간의 폭력성에 대한 연구는 공간과 폭력의 이론을 배경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공간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푸코의 공간 이론인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헤테로토피아는 한 사회의 구성 조건을 형성하는 일종의 반공간(反空間)으로서의 공간이다. 이는 기존의 사회공간과 다른 기능을 하는 특이한 공간이며, 공간의 존재가 이중적 기능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최양일의 영화를 통해 일반적인 공간에 대하여 어떻게 헤테로토피아를 생성시켰으며 그 상징적 의미가 무엇인가를 고찰하였다.
      또한 최양일의 영화에서 나타나는 폭력성은 슬라예보 지젝의 폭력 이론으로 고찰하였다. 최양일의 영화에서는 등장인물들이 대부분 육체적, 권력적 폭력을 행사한다. 지젝은 이러한 폭력 중 육체적 폭력은 명확하게 식별이 가능한 행위자가 존재하고 언론이나 국가가 쉽게 포착하고 처벌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폭력을 주관적 폭력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에 반해 제도적 모순에 의한 객관적인 폭력을 언급한다. 지젝은 객관적인 폭력을 상징적 폭력과 구조적 폭력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며, 그 중 자본주의가 낳은 구조적 폭력을 가장 중시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폭력은 주관적 폭력을 낳는 원인이라고 하였다. 위와 같은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각 마이너리티의 범주별로 공간의 폭력성을 고찰하였다.
      본고에서 위와 같이 푸코의 공간 이론과 지젝의 폭력 이론을 논의하는 것은 메이저리티에서 소비될 수 있는 영화를 제작하기 위한 최양일의 노력과 연관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양일의 영화작품들은 메이저리티의 사회를 향해 직접적이지 않는 상징적 방법으로 표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상징적인 표현을 이해하고 고찰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또 다른 의미와 폭력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했다. 따라서 최양일의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푸코의 공간 이론과 지젝의 폭력 이론이 같이 논의되어야 했다.
      제2장에서는 최양일의 삶과 감독 데뷔 이전의 영화 활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최양일의 성장과정을 통해 어떠한 가치관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가치관이 어떻게 영화에 투영되었는지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최양일이 영화감독 데뷔 이전에 조감독과 TV드라마 감독을 하면서 어떠한 작품들을 제작하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면서 감독 데뷔 후 그의 작품들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마이너리티로서의 일본인‘약자’라는 범주에서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경찰서, 가상의 공간, 형무소라는 각각의 공간에 나타난 폭력성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논의하였다. 최양일의 데뷔작 <10층의 모기>는 경찰서라는 상징적 공간이 역설적으로 경찰이 소외감과 분열증으로 자기 파괴에 이르게 되는 타락의 공간으로 된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작품 <꽃의 아스카 조직>은 마약과 폭력이 되어버린 가상의 시공간에서 10대 소녀가 그 곳을 장악한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공간은 마이너리티로부터 탈출하여 메이저리티로 가는 미래의 공간의 의미를 가지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작품 <형무소 안에서>는 마이너리티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탐색하게 만든다. 이 작품에서는 형무소가 규범과 규율이라는 폭력으로 구속되어진 수형자들에게 그곳을 오히려 안식처와 같은 행복한 공간으로 구축하였다.
      최양일은 다양한 마이너리티의 삶이 재현된 공간에서 실행되는 폭력을 주관적 폭력으로 나타냈지만, 결국은 재현된 공간 속의 주관적 폭력은 구조적 폭력에 의한 것임을 암시했다. 이 장에서는 마이너리티가 서로 각기 다른 양상이지만, 최양일은 재현한 공간의 폭력성을 헤테로토피아라는 다른 기능의 공간을 구축하여 폭력성을 넘어 마이너리티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제4장에서는 마이너리티로서의 ‘오키나와인’이라는 범주에서 살펴보았다. 최양일은 일본사회에서 또 하나의 마이너리티 오키나와인에 주목하여 영화를 제작하였다. 첫 번째 작품 <친구여, 조용히 잠들라>는 오키나와가 일본으로 편입되면서 관광개발이 성행하기 시작한 무렵의 이야기로, 오키나와의 관광개발에 맞서서 오키나와를 보존하려는 지역민의 투쟁을 그린 영화이다. 두 번째 작품 <A사인 데이즈>는 오키나와 기지촌에서 ‘A’사인 허가를 받은 클럽의 록밴드들이 미군을 상대로 공연하는 나날들 속에서 오키나와인의 삶을 이야기한다. 이 두 작품들은 일본 또는 미국이라는 구조적 폭력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 작품 <돼지의 보은>은 오키나와의 정신세계를 다루었다. 이 작품은 돼지의 침입을 시작으로 보여주지만, 우타키라는 오키나와의 성역인 죽음의 공간을 통해 마이너리티인 오키나와인이 어떻게 주체적으로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탐색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오키나와 영화에서 최양일은 재개발의 자본공간, 미군을 위한 환락가, 그리고 전통적인 성역이라는 공간을 오키나와를 지키려는 헤테로토피아로 생성시켰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제5장에서는 마이너리티로서의 ‘재일코리안’이라는 범주에서 살펴보았다. 최양일은 재일코리안의 영화 또한 시대적 배경과 문화현상 등을 의식하며 제작하였다. 그의 재일코리안 영화로서 첫 작품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는 재일코리안의 모습을 2세대 중심으로 다문화사회 속에서 재일코리안의 본질에 대해서 보여주었다. 그리고 두 번째 작품 <개, 달리다>도 다문화 사회 속 공간에서 살아가는 재일코리안을 다루었다. 이 작품에서는 일본 사회의 폭력의 피해자인 재일코리안이 다른 외국인에게 가해자로서의 폭력을 고발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작품 <피와 뼈>는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재일코리안 1세대가 그 당시의 일본에서 조선부락을 형성하며 힘겹게 살아가는 생존 방식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양일은 재일코리안을 일본사회의 차별과 소외 속에서 살아가는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로서 재현하였다. 최양일은 이러한 공간의 폭력성을 식민지 체험을 통한 재일코리안이 일본제국의 폭력을 답습한 폭력 이행으로 인식하였다. 최양일은 재일코리안의 폭력이 이행되는 공간을 헤테로토피아로 생성시켰다. 최양일은 재일코리안의 폭력을 통하여 마이너리티가 미래의 삶에서는 메이저리티와의 공존을 위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불러일으켰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제6장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맺을 수 있다. 최양일의 일본 공간에서 마이너리티의 반복적인 폭력성 재현은 마이너리티의 역사를 환기시키면서 메이저리티와 마이너리티 상호간의 성찰을 유도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최양일의 영화적 재현은 마이너리티는 마이너리티의 상황을 벗어나 보편적 삶을 지향하는 주체로서 메이저리티와 공존하는 것에 대한 표현이고 인식이었다고 보여진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1.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1
      • 2. 선행 연구 및 연구 범위 8
      • 제2장 최양일의 삶과 영화 21
      • 1. 최양일의 성장과 가치관 21
      • 제1장 서 론 1
      • 1.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1
      • 2. 선행 연구 및 연구 범위 8
      • 제2장 최양일의 삶과 영화 21
      • 1. 최양일의 성장과 가치관 21
      • 1.1 아버지와 소년 최양일 21
      • 1.2 단카이 세대로서의 가치관 25
      • 2. 최양일의 영화제작 관련 활동 29
      • 2.1 감독 데뷔 이전의 작품 활동 29
      • 2.2 감독 데뷔 이후 영화의 유형 및 특색 34
      • 제3장 마이너리티로서의 일본인약자 49
      • 1. 영화에 나타난 일본인약자의 양상 49
      • 2. 메이저리티의 추락 - <10층의 모기> 51
      • 2.1 경찰서의 공간적 의미 52
      • 2.2 일본 주류사회로부터의 이탈 54
      • 2.3 소외와 폭력 57
      • 3. 마이너리티의 탈출 - <꽃의 아스카 조직> 60
      • 3.1 영화 속의 가상적 시공간 61
      • 3.2 마이너리티의 굴절 65
      • 3.3 탈출을 위한 폭력 68
      • 4. 마이너리티의 공존 - <형무소 안에서> 70
      • 4.1 격리된 형무소의 공간 71
      • 4.2 규율과 노동의 역할 74
      • 4.3 폭력으로의 순응과 적응 79
      • 5. 일본인약자의 마이너리티 공간 84
      • 제4장 마이너리티로서의 오키나와인 87
      • 1. 영화에 나타난 오키나와인의 양상 87
      • 2. 일본 속의 마이너리티 - <친구여, 조용히 잠들라> 91
      • 2.1 관광개발의 자본 공간 91
      • 2.2 분열해 가는 오키나와 94
      • 2.3 폭력을 제압하는 폭력 97
      • 3. 미군기지 속의 마이너리티 - <A사인 데이즈> 101
      • 3.1 미군기지로 창출된 A사인 클럽의 공간 103
      • 3.2 혼종된 새로운 문화 107
      • 3.3 카타르시스로서 재현된 폭력 115
      • 4. 마이너리티의 주체적 의지 - <돼지의 보은> 118
      • 4.1 전통적인 섬의 공간 121
      • 4.2 장치로서의 돼지 125
      • 4.3 오키나와의 여성성 127
      • 4.4 폭력의 극복 131
      • 5. 오키나와인의 마이너리티 공간 133
      • 제5장 마이너리티로서의 재일코리안 137
      • 1. 영화에 나타난 재일코리안 양상 137
      • 2. 다민족다문화 사회 속에서 재일코리안 2세 -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 <개, 달리다> 140
      • 2.1 일본 다민족다문화 사회의 공간 141
      • 2.2 재일코리안 2세와 일본사회 146
      • 2.3 정체성과 폭력 149
      • 2.4 폭력의 이동 155
      • 3. 재일코리안과 제국 - <피와 뼈> 159
      • 3.1 제국의 공간 159
      • 3.2 재일코리안의 1세와 조국 163
      • 3.3 괴물의 제국 166
      • 3.4 폭력의 증후 169
      • 4. 재일코리안의 마이너리티 공간 173
      • 제6장 결 론 177
      • (참고문헌) 185
      • (日文抄錄) 19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미셀, "저ㆍ이상길 역", 헤테로토피아 문학과 지성사, 2015

      2 이진경, "역사의 공간", 휴머니스트, 2010

      3 이홍균, "소외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2004

      4 오영미, "문학과 만난 영화", 월인, 2007

      5 한인섭, "형벌과 사회 통제", 박영사, 2006

      6 김영심, "일본영화 일본문화", 보고사, 2006

      7 구견서, "일본영화와 시대성", 제이앤씨, 2006

      8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9 고에이, 사키마, 김용의, "역, 오키나와 구전설화", 전남대학교출판부, 2015

      10 윤건차, 하종문, 이애숙, "역, 일본;그 국가민족국민", 일월서각, 1997

      1 미셀, "저ㆍ이상길 역", 헤테로토피아 문학과 지성사, 2015

      2 이진경, "역사의 공간", 휴머니스트, 2010

      3 이홍균, "소외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2004

      4 오영미, "문학과 만난 영화", 월인, 2007

      5 한인섭, "형벌과 사회 통제", 박영사, 2006

      6 김영심, "일본영화 일본문화", 보고사, 2006

      7 구견서, "일본영화와 시대성", 제이앤씨, 2006

      8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9 고에이, 사키마, 김용의, "역, 오키나와 구전설화", 전남대학교출판부, 2015

      10 윤건차, 하종문, 이애숙, "역, 일본;그 국가민족국민", 일월서각, 1997

      11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개정증보판", 도서출판 소도, 2004

      12 배장수, "‘그는 괴물이었다’ <경향신문>", 2005. 2. 24, 2005

      13 강태웅, 이누히코, 요모타, "역, 일본영화의 래디컬한 의지", 소명출판, 2011

      14 신명직, "재일코리안 3색의 경계를 넘어", 고즈원, 2007

      15 미셀, "푸코 저ㆍ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나남, 2003

      16 김경자, 아리시키, 모리테루, "역, 또 하나의 일본 오끼나와 이야기", 역사비평사, 1998

      17 김인덕, 신유원, 마사루, 도노무라, "역, 재일 조선인 사회의 역사적 연구", 논형, 2010

      18 정수완, "「일본 영화 속에 나타난 한국인상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9 현무암, "‘중국잔류 일본인’을 둘러싼 포섭과 저항", 일본비평 8집, JIS서울대학 교 일본연구소, 2013

      20 야마카타, "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 홈페이지 : http://yidff", jp/, null

      21 양인실, "「포스트의 불/가능성」 영화 5권 1호",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2

      22 김혜신, 서경식, "역, 디아스포라 기행-추방당한 자의 시선", 돌베게, 2006

      23 신기영, "「마이너리티 이론의 탐색」 일본비평 8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24 조경화, "「문학과 영상에 나타난 피와 뼈의 변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일어 교육 전공 석사논문, 2006

      25 김부찬, "재일한국인의 법적지위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재일한국인 연구의 동향과 과 제 제주대학교 재일제주인센터, 2014

      26 양인실, "日本 미디어가 表象(representation)하는 「在日」 像", 韓日民族問題硏究 한일민족문제학회, 2003

      27 外村大, "日本人は「在日朝鮮人問題」をどう考えてきたか", 일본학 제38집,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일본학연구소, 2014

      28 강상중, 요시미, "슌야 저ㆍ임성모 김경원 역, 세계화의 원근법", 이산, 2004

      29 백승찬, "‘삶의 변두리를 껴안는 남자 최양일’ <경향신문>", 2004. 2. 11, 2004

      30 마르쿠스, "슈뢰르 저ㆍ정인모 배정희 역, 공간, 장소, 경계", 에코리브르, 2010

      31 이은영, "「이름과 언어를 통해 본 재일한국인의 아이덴티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5

      32 나카자토 이사오, "오키나와 영화의 ‘로컬리티’와 일본화, 미국화 문제", 오키나 와 영화, 오키나와 아이덴티티, 한국영상자료원, 2009

      33 김인덕, "「일본우익과 재일코리안의 역사」 일본학 제36집",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일본연구소, 2013

      34 정승욱, "‘재일한국인 삶을 통해 화해 평화를 모색’ <세계일보>", 2008. 5. 9, 2008

      35 양인실, "「일본 TV영상물의 재일제주인 표상」 일본비평 8집", JIS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36 권향숙, "「조선족의 일본 이주에 관한 시론」 일본비평, 8집", JIS서울대학교 일본 연구소, 2013

      37 주은우, "「섬의 이미지와 국민국가 응시」 사회와 역사 제78집", 한국사회사학회, 2008

      38 김정환, "「폭력과 저항 : 발리바르와 지젝」 사회와 철학 제21집", 사회와 철학 연구회 논문집, 2011

      39 박규태, "「1Q84의 세계에 떠 오른 두 개의 달 」 일본비평, 8집", JIS서울대학 교 일본연구소, 2013

      40 최정기, "「감옥 : 규율권력의 길들이기와 욕망의 탈주」 진보평론", 진보평론, 2000

      41 남정우, 피터, 비케, "역, 록음악, 예솔 허버트 마르쿠제(1993), 일차원적 인간", 육문사, 2010

      42 김승구, "「오시마 나기사 영화와 한국의 관련 양상」 인문연구 69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43 최인택, "「오키나와의 민속공간과 女性原理」 日本文化硏究 제24집", 동아시아일 본학회, 2007

      44 Steve Neale, "Frank krutnik 저ㆍ강헌두 역, 영화 속의 코미디, TV 속의 코 미디", 한국방송개발원, 1996

      45 김은형, "‘재일한국인 1세 담은 ‘피와 뼈’ 들고 온 최양일’ 씨네21", 2005. 2. 18, 2005

      46 최인택, "「일본의 오키나와 그리고 오키나와의 일본」 민족연구 49호", 한국민족연구소, 2012

      47 조수미, "「오키나와의 문츄화(門中化) 현상」 비교문화연구 제7집 2호", 서울대학 교 비교문화연구소, 2001

      48 허경,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초기 공간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도시인문학 연구소 제3권 2호, 도시인문학연구소, 2011

      49 남승석, "「느와르 장르에서 반영웅 캐릭터의 변화 양상」 씨네포럼 제12호", 동국 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1

      50 유양근, "「영화 , <뼈와피>, <박치기>의 변주와 수렴」 일본학연구 제36집",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51 김창민, "「오키나와의 문화적 정체성과 세골장」 동아시아문화연구 제60집",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52 유양근, "「일본영화에 나타난 재일코리안의 이중적 로컬리티」 영화 6권 1호",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3

      53 손미경, "「한・일간문화컨텐츠영화교류와재일코리언」 재외한인연구제 20호", 재외 한인, 2009

      54 양인실, "「해방 후 일본의 재일조선인 영화에 대한 고찰」 사회와 역사 vol. 66", 한국사회사학회, 2005

      55 손지연, "「유동하는 현대 오키나와 사회와 여성의 ‘내면’」 비교문학 제61집", 한국 비교문학회, 2013

      56 주은우, "「다민족 다문화 일본이 타자와 섬에 대한 상상력」 사회와 역사 제84집", 한국사회사학회, 2009

      57 강익모, "「최양일의 <피와 뼈>로 본 물신의 기표, ‘폭력’」 문학과영상 Vol.8 No.3", 문학과영상학회, 2007

      58 정아영, "「일본의 1968년 학생운동에 대한 사회적 기억과 평가」 경제와 사회 제76호", 한국산업사회연구회, 2007

      59 주혜정, "「최양일의 <돼지의 보은>에 나타난 마이너리티 표상」 일본어문학 제68 집", 한국일본어문학회, 2016

      60 김민철, 허문경, "「영화에 나타난 섬 관광의 이미지에 관한 고찰」 관광학연구 제33권 제 1호", 한국관광학회, 2009

      61 김동심, "「‘오키나와의 마음’ 평화로운 아시아, 세상을 만드는 힘」 황해문화 겨울호", 새얼문화재단, 2000

      62 한영혜, "「다민족․다문화 일본과 정체성의 재구축」 다문화 사회 일본과 정체성 정 치",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63 주혜정, "「최양일의 에 나타난 마이너리티의 표상」 일본문화학보 제64집", 한국일본문화학회, 2015

      64 김용의, "「오키나와 다케토미지마(竹富島)지역의 우타키(御嶽)신앙」 일본어문학 제20집", 한국일본어문학회, 2004

      65 전경수, "「오키나와 기지촌의 형성과 미군-주민관계」 기지의 섬, 오키나와 : 현실 과 운동", 논형, 2008

      66 소명선, "마이너리티문학 속의 마이너리티 이미지 –재일제주인문학과 오키나와인 문학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54집, 대한일어일문학회, 2012

      67 신수아, "인물을 통해 살펴 본 한국 슬랩스틱 코미디의 특성 연구 : 코미디언 ‘김 병만’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방송영상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0

      68 강우원용, "일본 마이너리티문학의 양상과 가능성 오키나와문학과 재일한 국인 조선인문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일본연구 제14집,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0

      69 신하경, "「1960년대 오시마 나기사(大島渚)영화 속의 재일조선인 표상」 일본 문화 학보 제45집", 한국일본문화학회, 2010

      70 주혜정,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인간소외와 폭력에 대하여-」 일본문화 학보 제66집", 한국일본문화학회, 2015

      71 송인선, "「반역하는 ‘단카이(団塊)’-전공투(全共鬪)와 일본의 대중사회-」 현대문학 의 연구 50집",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72 조정민, "「로컬리티 기호로서 혼혈아-오키나와 아메라시안(Ameraian)의 경우-」 동북아문화연구 제34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73 남승석, 황인성, 조혜랑,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의 공간재현 방식과 그 상징적 의미에 대한 일 고찰」 언론과 사회", 성곡언론문화재단, 2012

      74 신하경, "「억압적 ‘보편’에 대한 저항 : 1960년대 오시마 나기사(大島渚)영화의 현 재성」 한국학연구 28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75 신소정, "「영화<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月はどっちに出ている)연구 : 뉴커머와 재일조선인 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일어일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76 라경수, "「일본의 다문화주의와 재일코리언 -‘공생(共生)’과 ‘동포(同胞)’의 사이-」 재외한인연구 제22호", 재외한인학회, 2010

      77 이지형, "「일본 마이너리티문학 연구의 현재와 과제-내셔널리즘, 우생사상 그리고 궁극의 문학」 日本學報 100집", 한국일본학회, 2014

      78 최범순, "「일본 영화와 일본인의 전후 인식 - 재일조선인 형상의 정형성과 대면관 계를 통해서-」 일본문화연구 제21집", 동아시아일본학회, 2007

      79 손지연, "「오키나와 공동체 구상과 여성의 섹슈얼리티 : 일본‘복귀’ 전후 오시로 다쓰히로 텍스트를 중심으로」 耽羅文化 49호",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2015

      80 김영심, "「재일 한국인에 대한 접근 혹은 일탈 :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와 <가족 시네마> 를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Vol.1 No.2", 문학과 영상학회, 2000

      81 주혜정, "「최양일 영화에 나타난 재일코리안 표상-<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와 <피 와 뼈>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제91집 2권",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82 정영신, "「오키나와(沖縄)의 기지화 군사화에 관한 연구 –기지 건설 확장과 반환의 역사적 과정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제37집", 한국사회사학회, 2007

      83 신명직, "「재일 코리안과 다국가 시민권 -영화 ‘피와 뼈’, ‘디어 평양’,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를 중심으로」 石堂論叢 56집",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 化硏究院, 2013

      84 박명진, "「한일영화에 나타난 인종과 국가의 이미지 연구 -<이조잔영>, <족보>, , <가족시네마>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22집", 한국극 예술학회, 2004

      85 마사오, 미요시, "「개인에도 국가에도 단수의 아이덴티티는 존재하지 않는다. 영화에서 보이는 오키나와」 오키나와 영화, 오키나와 아이덴티 티", 한국영상자료원, 2009

      86 윤송아, "「재일조선인의 평양 체험 -유미리, 평양의 여름휴가 -내가 본 북조선과 양영희, 가족의 나라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우리어문학회, 2013

      87 장윤정, "「모더니즘의 알레고리와 비전으로서의 필름 느와르 –팜므파탈, 검열, 하드보일드의 중충 결정으로서의 장르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 교 첨단영상대학 박사 학위 논문, 2004

      88 신명직, "「‘68’의 임진강을 넘은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 : 영화 <우리학교> <박치기1・2>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에 대하여」 역사비평 Vol-No81", 역사문제연구소, 2007

      89 이지연, "「다큐 영화 <우리학교>를 통해 본 재일조선인 연구 –재일 조선인의 정체성과 민족의 의미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제14권 제2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90 김태만, "「재일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트라우마 - 영화 <우리에겐 원래 국가가 없 었다>, <박치기>, <우리학교>를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제25집", 동북아시아문화 학회,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