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유형분류와 지속가능한 식생관리기법 = The classification and sustainable vegetation management framework for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83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보호되어온 보전가치가 높은 소나무림 중 현재까지 남아있는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에 대한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통 소나무림 보호...

      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보호되어온 보전가치가 높은 소나무림 중 현재까지 남아있는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에 대한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전통적인 소나무림 보호 개념, 시대적인 흐름에 따른 보호․관리 목적의 변화, 현재 소나무림 보호 기관 및 관리 현황 등의 분석을 통해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을 유형화하였고, 각 유형별 보호․관리․이용 특성에 따른 식생구조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각각의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유형별 소나무림 보전을 위한 차별화된 식생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유형은 전통적인 소나무림 보호정책 및 보호 목적, 현재 소나무림 보호 기관 및 관리방향,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가치 설정을 통해 차별화 하였다. 유형분류 기준에 따라 지속가능한 임업경영형, 휴양 및 유전자원 보전형, 생태계 관리형, 역사․문화․경관 보전형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지속가능한 임업경영형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은 전통적으로 목재생산을 목적으로 보호되었던 소나무림 보호지역(봉산)으로 현재 산림청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까지도 지속적인 목재생산과 임업경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목재생산을 핵심 목적으로 관리되는 유형이다. 목재생산 외 휴양적 이용, 유전자원 보전, 산림 경관 관리 등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였다.
      휴양 및 유전자원 보전형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은 전통적으로 목재생산을 목적으로 보호되었던 소나무림 보호지역(봉산)으로 현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동시에 자연휴양림으로 조성․이용되고 있는 유형으로 휴양적 이용을 핵심 목적으로 한다. 현재에는 목재의 경제적 가치 하락에 따라 소나무림의 전통적인 보호 목적을 상실하면서, 소나무림의 휴양적 이용을 새로운 핵심목표로 하여 유전자원의 보전, 경관 관리, 역사․문화적 가치 보전 등의 관리가 필요한 유형이다.
      생태계 관리형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은 전통적으로 목재생산을 목적으로 보호되었던 소나무림 보호지역(봉산)으로 현재 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자연공원의 관리 특성상 인위적 관리가 배제된 생태적 관리가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소나무림의 쇠퇴와 생태적 천이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유형이었다. 현재 소나무림 관리의 핵심 목표는 생물다양성 보전이나, 경관 관리, 휴양적 이용 등을 고려한 종합적 관리가 필요하였다.
      역사․문화․경관 보전형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은 조선시대 왕릉 주변의 경관 관리를 위해 보호되었던 소나무림으로 현재 문화재청의 조선왕릉 주변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까지도 왕릉 주변의 경관 관리를 핵심 목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유형이며, 휴양적 이용, 문화재용 목재생산 등을 고려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각 유형별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중 현재까지 보호지역으로 유지되고 있는 대상지는 지속가능한 임업경영형 7개소, 휴양 및 유전자원 보전형 2개소, 생태계 관리형 10개소, 역사․문화․경관 보전형 32개소 등 총 51개소이었다. 이중 연구대상지의 정확성, 연구대상지의 대표성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지속가능한 임업경영형), 안면도 소나무림(휴양 및 유전자원 보전형), 치악산 구룡사 금강소나무림(생태계 관리형), 삼척 준경묘 금강소나무림(역사․문화․경관 보전형)을 각 유형별 대표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각 유형별 대표 연구대상지의 식생구조 특성은 현존식생 및 식생분포, 수령, 상대우점치 및 층위구조, 흉고단면적,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 등을 분석하였다. 식생구조 특성 분석을 통해 현재의 식생구조가 각 유형별 관리 목적 및 주요 관리 내용에 부합하는지를 진단하고, 관리의 문제점 및 고려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된 식생구조 특성은 각 유형별 전통 소나무림 보호구역 대표 연구대상지의 식생관리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각 유형별 식생관리 권역의 설정, 식생관리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전통적인 소나무림의 보호 가치와 관리 목적을 계승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 삼척 준경묘 금강소나무림과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새로운 가치와 관리목표를 설정하여 그에 따른 관리 노력을 기울인 안면도 소나무림의 경우 양호한 소나무림이 보전되어 있었다. 반면,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전통적인 가치가 상실된 시점에서 새로운 가치 창출과 차별화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치악산 구룡사 금강소나무림은 그 실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었다.
      또한 현재까지 양호한 소나무림이 보전되고 있는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경우 소나무림 보전을 위한 다양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일반적인 내용으로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유형별 관리 목적, 식재구조 특성,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가치 등을 고려한 차별화된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지속적인 보전을 위해서는 사회적 변화와 산림의 가치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가치 창출과 관리 목표의 정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목재생산, 경관 보전과 같이 단편적인 관리에서 벗어나 소나무림의 휴양적 이용, 경관관리, 생물다양성 보전, 역사․문화의 계승, 관광자원 개발 등과 같이 다차원적이고 차별화된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보전가치가 높은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하여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관리 특성과 식생구조 고찰을 통해 각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식생관리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대표 연구대상지의 식생관리 목표와 식생구조 특성을 고려하여 식생관리 권역을 설정하였으며, 각 권역별 세부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지속가능한 임업경영형)은 경제적 가치가 높은 목재생산을 식생관리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지속적인 조림 및 목재생산 체계 구축, 목재생산량 증진을 위한 효율적 식생관리를 식생관리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식생관리 권역은 지속적인 목재생산권역, 주기적인 목재생산권역 등 5개 권역을 설정하였다. 지속가능한 목재 생산 체계 구축(30년 주기), 주기적인 목재 생산 체계 구축(70년 주기) 등 권역별 식생관리 방향과 세부 식생관리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핵심 권역인 지속적인 목재생산 권역, 주기적인 목재생산 권역의 소나무림 관리 목표 모델을 제시하였다.
      안면도 소나무림(휴양 및 유전자원 보전형)은 휴양적 이용 증진을 식생관리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소나무림 경관 향상을 위한 식생관리를 식생관리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식생관리 권역은 소나무 경관 보전 권역, 소나무 경관 관리 권역 등 4개 권역을 설정하였다. 소나무 경관 보전 및 연출, 소나무림 유지 및 관리 등 권역별 식생관리 방향과 세부 식생관리 방안을 제안하였고, 핵심 관리 권역인 소나무 경관 관리 권역의 소나무림 관리 목표 모델을 제시하였다.
      치악산 구룡사 금강소나무림(생태계 관리형)은 생물다양성 보전을 식생관리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역사적 가치 보전,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생관리를 식생관리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식생관리 권역은 소나무 경관 관리 권역, 생태적 관리 권역 등 4개 권역을 설정하였다. 소나무림 유지 및 관리, 생태적 관리, 소나무림 변화 연구 등 권역별 식생관리 방향과 세부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핵심 관리 권역인 소나무 경관 관리 권역의 소나무림 관리 목표 모델을 제시하였다.
      삼척 준경묘 금강소나무림(역사․문화․경관 보전형)은 역사경관 보전 및 복원을 관리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조선왕릉 역사․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식생관리, 문화재용 목재생산 시스템 구축을 식생관리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식생관리 권역은 소나무 경관 보전 권역, 소나무 경관 관리 권역 등 5개 권역을 설정하였으며, 소나무 경관 보전 및 연출, 소나무림 유지 및 관리 등 권역별 식생관리 방향과 세부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핵심 관리 권역인 소나무 경관 보전 권역의 소나무림 관리 목표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보전가치가 높은 소나무림의 식생관리에서 보호 가치와 목적에 따른 차별화된 식생관리를 위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의 현황을 파악하고 유형화하였다. 각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소나무림 식생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국가적으로 중요한 산림식생의 관리 및 보전사업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봉산, 조선왕릉, 역사경관림, 식생구조, 생태계서비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sustainable management plan for th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that exists to this day among historically protected P.inus densiflora forests with high protection value. The Traditional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sustainable management plan for th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that exists to this day among historically protected P.inus densiflora forests with high protection value. Th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were classified by type after analyzing their concepts of protection, the changing purpos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ion and management over the year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ion institution and management.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protection, management, utilization characteristics by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author proposed a differentiated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the protection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s according to the type of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The types of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were then analyzed by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concept of protection (protection policy and protection purpose),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ion agency and management direc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inheritance of traditional value, establishment of new value), before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namely, sustainable forestry management type, recreation and genetic resource protection type, ecosystem management type, and history-culture-landscape protection typ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yp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ypes refer to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 (like Bongsan)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protected for timber production, and are currently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for Forest Genetic Resources by the Forest Service. With timber production and forestry management still being implemented today, this typ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s preserved for the core purpose of producing wood with economic value. Timber production, which was the core management objective of protection areas in the past, is still being implemented for this type, thereby making it necessary to adopt a comprehensive management approach, including recreational use that is not related to wood production, protection of genetic resources, and forest landscape management.
      Recreation and Genetic Resource Protection Type: Traditionally protected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timber, the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ion area in Bongsan is currently designated as a recreation and genetic resource protection area as well as a recreational forest whose purpose is mainly recreational. However, with the economic value of timber declining, the purpose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ion area has lost its significance. Therefore, this type of Pinus densiflora forest requires management, considering that its comprehensive aspects are based on its core purpose (the recreational use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cluding the protection of genetic resources, landscap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Ecosystem Management Type: A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 (like Bongsan), which was traditionally protected for timber production, becomes an ecosystem-managed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 that is designated as a natural park. Due to the management nature of natural parks, ecological management without artificial management is performed, thereby demonstrating characteristic development, such as the declin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and ecological transition. Currently, the main goal of Pinus densiflora forest management is the pre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thereby making it necessary to adopt comprehensive management that considers landscape management and recreational use.
      History-Culture-Landscape Protection Type: Th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aimed at historical, cultural, and scenic preservation is designated as a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ion area to manage the scenery around the Joseon Dynasty Royal Tomb. To date, it has been managed with the core purpose of landscape management around the royal tombs, thereby making it necessary to adopt comprehensive management tactics by considering recreational use and production of wood for cultural treasures.
      Of the 51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s Protected Areas that have been managed as protection areas, 7 ar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ypes, 2 are recreational and genetic resource protection types, 10 are ecosystem management types, and 32 are history-culture-landscape protection types. Among them, the Uljin Sokwangri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ype), the Anmyeon-do Pinus densiflora Forest (recreation and genetic source protection type), the Chiaksan Guryongsa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ecosystem management) and the Samchecok Junkyungmyo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history-culture-landscape protection type), all of which were evaluated as the most suitable subjects in terms of accuracy and representativeness, were selected as study sites.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urpose of each type of representative study area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in each type of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are influenced by the concept of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ion, the protection policy of the current protected area, and management content.
      In the case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Uljin Sokwangri and the Samchecok Junkyungmyo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which have been managed continuously by adhering to their preservation values and management purpose, and the Anmyeon-do Pinus densiflora Forest, which has been managed by establishing new values and management goals for th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eservation area, Pinus densiflora forests in fine condition were preserv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hiaksan Guryongsa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where no new values was created nor any differentiated management was performed, its very existence is under serious threat.
      Furthermore, th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where good Pinus densiflora forests have been preserved, has been managed in different ways. However, most of the management contents are not that remarkable as no differentiated management that considers the purpose of manage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various values of ecosystem services through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ion have been implemented.
      To achieve a sustainable protection of th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it is necessary to create new values and set management targets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as well as to the changes in the value of forests. Moreover, it was also suggested that a multi-dimensional and differentiated management plan, including the recreational us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landscape management, protection of biological diversity, inheritance of history and culture, and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must be established while abandoning simpl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past, such as timber production and landscape preserv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established the goals and directions of vegetation management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by type for the sustainable protection and wise utilization of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Protected Areas with protection value, and by investigating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and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Protected Areas. The author also set the vegetation management areas by considering the vegetation management objectives and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epresentative study sites.
      The Uljin Sokwangri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ype) is aimed at managing the production of timber with high economic value in its vegetation management, while the direction of its vegetation management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forestation and timber production system and the efficient vegetation management for increased wood production. The vegetation management area has been established with five zones, including continuous wood production area and periodic timber production area. The author proposed the vegetation management direction by area and detailed vegetation management method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timber production system (30-year cycle) and a periodic timber production system (70-year cycle). The author also proposed a Pinus densiflora forest management target model for the core areas, including ​​continuous wood production areas and periodic timber production areas.
      The Anmyeon-do Pinus densiflora Forest (recreational and genetic resource protection type) is aimed at promoting recreational use in its vegetation management to improve the Pinus densiflora forest landscape as part of its vegetation management direction. The vegetation management area is subdivided into 4 areas, including the protected area of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and the Pinus densiflora landscape management area. The direction of vegetation management and the detailed vegetation management plan, including Pinus densiflora landscape preservation and presentation and Pinus densiflora forest maintenance and management, were suggested. Furthermore, a Pinus densiflora forest management target model for the Pinus densiflora landscape management area, which is the core management area, was presented as well.
      The Chiaksan Guryongsa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ecosystem management type), is aimed at preserving biological diversity in its vegetation management through the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value of th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Protected Areas and vegetation management to promote biological diversity as part of its vegetation management direction. The vegetation management area is subdivided into 4 areas, including Pinus densiflora landscape management areas and ecological management areas. The direction of the vegetation management and the detailed vegetation management plan, including Pinus densiflora forest maintenance and management, ecological management, and changes in Pinus densiflora forests, were also suggested. Likewise, a Pinus densiflora forest management target model for the Pinus densiflora landscape management area, which is the core management area, was presented.
      The Samchecok Junkyungmyo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is aimed at preserving and restoring historic scenery with its vegetation management directions identified as vegetation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a wood production system for cultural treasures to preserve history, and the culture and scenery of the Joseon Dynasty royal tombs. The vegetation management area has five areas, including Pinus densiflora landscape preservation area and Pinus densiflora landscape management area, and the author suggested the directions of vegetation management by area and detailed vegetation management plan, including Pinus densiflora landscape maintenance and presentation and Pinus densiflora forest maintenance and management. Likewise, a Pinus densiflora forest management target model of the Pinus densiflora landscape protection area, which is the core management area, was presented.

      Key words: Bongsan, Joseon Dynasty Royal Tomb, Historic and Scenic Forest, Vegetation Structure, Ecosystem Serv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고찰 5
      • 제 1 절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5
      • 제 2 절 소나무림 보호․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9
      • 제 3 절 소나무림 식생구조와 식생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18
      • 제 1 장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고찰 5
      • 제 1 절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5
      • 제 2 절 소나무림 보호․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9
      • 제 3 절 소나무림 식생구조와 식생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18
      • 제 4 절 이론적 고찰 종합 및 연구 분석 체계 설정 24
      • 제 3 장 연구내용 및 방법 27
      • 제 1 절 연구내용 및 수행체계 27
      • 제 2 절 조사․분석 방법 31
      • 1.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유형분류 및 대표 연구대상지 선정 31
      • 2.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보호․관리․이용 특성 32
      • 3.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식생구조 33
      • 제 4 장 결과 및 고찰 39
      • 제 1 절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유형분류 39
      • 1. 조선시대 소나무림 보호지역 유형 및 지정 현황 39
      • 2. 소나무림 관련 보호지역 유형과 지정 현황 47
      • 1) 우리나라 보호지역 관련 연혁 47
      • 2) 소나무림 관련 보호지역 유형과 관리 특성 48
      • 3) 소나무림 관련 보호지역 지정 현황 53
      • 3.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유형분류 57
      • 4.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유형별 대표 연구대상지 선정 61
      • 1) 연구대상지 선정 기준 설정 61
      • 2) 연구대상지 정확성 평가 및 유형분류 적용 63
      • 3) 대표 연구대상지 선정 67
      • 제 2 절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관리 목적에 따른 식생구조 특성 72
      • 1.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유형별 관리 특성과 생태적 가치 변화 72
      • 1)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지속가능한 임업경영형) 72
      • 2) 안면도 소나무림(휴양 및 유전자원 보전형) 82
      • 3) 치악산 구룡사 금강소나무림(생태계 관리형) 93
      • 4) 삼척 준경묘 금강소나무림(역사․문화․경관 보전형) 100
      • 5) 유형별 관리 특성과 생태적 가치 변화 110
      • 2.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식생구조 특성 114
      • 1)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 116
      • 2) 안면도 소나무림 142
      • 3) 치악산 구룡사 금강소나무림 180
      • 4) 삼척 준경묘 금강소나무림 200
      • 5) 식생구조 특성 종합 230
      • 3.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관리 목적에 따른 식생구조 고찰 233
      • 제 3 절 전통 소나무림 보호지역 유형별 식생관리방안 238
      • 1. 식생관리 목표 및 방향 238
      • 2. 식생관리 권역 설정 및 세부 식생관리 방안 239
      • 1)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지속가능한 임업경영형) 240
      • 2) 안면도 소나무림(휴양 및 유전자원 보전형) 246
      • 3) 치악산 구룡사 금강소나무림(생태계 관리형) 250
      • 4) 삼척 준경묘 금강소나무림(역사․문화․경관 보전형) 254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259
      • 인 용 문 헌 263
      • Summary 271
      • 감사의 글 27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林省三, "安眠島", 135쪽, 1933

      2 김규성, "국역만기요람", 민족문화추진회, 민족문화추진회. 898쪽, 1971

      3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향문사, 990쪽, 1980

      4 이일구, "생태학의 창구", 일신사, 일신사, 318쪽, 1976

      5 이선, "왕릉의 소나무", 소나무 문화 pp139-154, 2004

      6 이영로, "한국의 송백류", 梨花女子大學校 出版部,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40쪽, 1986

      7 이천용, "소나무 숲의 토양", 수문출판사, 숲과문화총서 1: 24-26, 1993

      8 숲과 문화 연구회, "소나무와 우리문화", 숲과문화연구회, 수문출판사, 205쪽, 1993

      9 이영주, "조선시대 송정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쪽, 2006

      10 윤국병, "조경배식학. 일조각", 서울, 319쪽, 1977

      1 林省三, "安眠島", 135쪽, 1933

      2 김규성, "국역만기요람", 민족문화추진회, 민족문화추진회. 898쪽, 1971

      3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향문사, 990쪽, 1980

      4 이일구, "생태학의 창구", 일신사, 일신사, 318쪽, 1976

      5 이선, "왕릉의 소나무", 소나무 문화 pp139-154, 2004

      6 이영로, "한국의 송백류", 梨花女子大學校 出版部,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40쪽, 1986

      7 이천용, "소나무 숲의 토양", 수문출판사, 숲과문화총서 1: 24-26, 1993

      8 숲과 문화 연구회, "소나무와 우리문화", 숲과문화연구회, 수문출판사, 205쪽, 1993

      9 이영주, "조선시대 송정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쪽, 2006

      10 윤국병, "조경배식학. 일조각", 서울, 319쪽, 1977

      11 박종채, "조선후기 금송계 연구",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0쪽, 2000

      12 전영우, "조선시대의 소나무 시책",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2(1): 12-22, 1993

      13 임경빈, "신고 조림학 원론. 향문사", 서울, 491쪽, 1985

      14 권순구, "조선후기 봉산정책의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1): 81-104, 2007

      15 이창석, "한국소나무림에서의 교란체제", 한국생태학회, 한국생태학회지 18(1): 179-188, 1995

      16 鄭台鉉, 李愚喆,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0: 329-435, 1965

      17 조운연, "조선왕릉의 능역복원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3 쪽, 2009

      18 배관호, 홍성천, "가야산 소나무 군락의 구조 및 동태", 한국임학회지 85(2): 260-270, 1996

      19 김창호, 이호준, 변두원, "오대산 삼림식생의 패턴과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 한국생태학회 21(3): 283-290, 1998

      20 신현실, 이원호, "조선시대 능참봉직의 조경사적 의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2): 139-148, 2011

      21 이창환, 조운연, "조선시대 왕릉의 현황과 문화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5: 72-78, 2007

      22 김선경, "조선후기 산림천택 사점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4쪽, 1994

      23 강영심, "일제의 한국산림수탈과 한국인의 저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302쪽, 1997

      24 김외정, "건축문화재 국내 목재이용 현황 및 전망", 대한건축학회, 건축 49(12): 33-37, 2005

      25 김보현, "한국보호지역 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314쪽, 2012

      26 이경재, 임경빈, 박인협, "경기도 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50: 56-71, 1980

      27 김장수, 임경빈, "한국산 주요 경제 수종의 경영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217쪽, 1967

      28 김종엽,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 모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9쪽, 1999

      29 장남기, "연령의 생장에 의한 삼림의 현존량 및 생산성", 생농계 24: 96-110, 1975

      30 손지원, "노인복지를 위한 산림생태계서비스 유형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39쪽, 2015

      31 김홍은, 이창석, "소나무림의 천연하종갱신을 위한 생태학적 연구", 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충북대학교 농업 과학연구 7: 100-109, 1989

      32 이호준, 배병호, "식생보전을 위한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 한국생태학회지. 22(1): 21-29, 1999

      33 조재창, "자연공원에서의 소나무림 보전대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9쪽, 1987

      34 임경빈, "이제임학논설집. 소호문화재단ㆍ산림문화연구원", 소호산림과학논설집 1: 256-266, 1998

      35 마상규, "소나무가 사라져 가고 있다 –소나무와 우리문화-", 수문출판사, 205쪽, 1999

      36 植木, "조선산 적송의 식생 및 개량에 관한 조림학적 고찰", 수원고등농림학교 학술 보고 제 3호. 263pp, 1928

      37 배상원, "천연갱신에 의한 소나무 유령임분구조와 무육방법", 한국임학회지 83(1): 50-62, 1994

      38 이창환, "『조선시대 능역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303쪽, 1998

      39 조준수, "인왕산 소나무림 변화와 문화경관림 복원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 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9쪽, 2012

      40 조재창, "조우, 한봉호 주왕산국립공원의 소나무림 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회 8(2): 121-134, 1995

      41 김종엽, "수도권 도시 내 조성녹지의 군락식재 모델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64쪽, 2007

      42 유영한, 이창석, "미래를 위한 생태학으로서 복원생태학의 발전과 전망", 한국생태학회, 한국생태학 회 24(3): 191-202, 2001

      43 김준호, 이창석, "바위산의 토양요인과 소나무의 연륜생장 사이의 관계", 한국생태학 회 10(3): 151-159, 1987

      44 이수동, 최진우, 이경재, "서울시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에 따른 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한 국환경생태학회지 23(3): 258-271, 2009

      45 최유리, "일제 말기(1938년-45년) “내선일체”론과 전시동원체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5쪽, 1995

      46 권전오, "중부지방 자연식생분석을 통한 생태적 배식모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16쪽, 1997

      47 신현실, 전나나, 이원호, "능참봉 관련 기록을 통해 본 조선왕릉의 녹지관리 정책", 한국환경과학회 2010년 정기학술발표회 논문집 19: 449-453, 2010

      48 최장순, "삼척 준경묘와 영경묘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한 기본계획", 한국농촌건축학회, 한국농촌건설학회 논문집 15(1): 95-102, 2013

      49 박인규, "서울시 남산 소나무림의 특성 및 생태적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0쪽, 2005

      50 안인수, "소나무 생태형별 식생구조 분석 및 군락식재 모델 개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6쪽, 2012

      51 이종열, "“산림행정 패러다임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한 평가”",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13(3): 261-279, 2013

      52 노지영, 주효진, 이종열,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산림가치 우선순위에 관한 연 구",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10(3): 301-317, 2010

      53 권기원, 황재우, 이석우, 김진수, "금강소나무-유전적으로 별개의 품종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 한국임학회지 82(2): 166-175, 1993

      54 안보혜, "안면도 소나무림의 군집 및 개체군 구조와 개체목 수형 특성",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1쪽, 2009

      55 이경희, 이은주, "1899년 삼척 준경묘와 영경묘 봉심에 참여한 관직자 복식 고증", 한복문화 17(1): 73-88, 2014

      56 이경재, 최운규, 최진우, 곽정인, "변산반도국립공원 소나무림 식물군집구조 및 관리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5): 447-459, 2009

      57 이경재, 임경빈, 조재창, 류창희,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Ⅰ) - 소나무 림 보존계획 -", 응용생태연구 4(1): 23-32, 1990

      58 송호경, 장규관,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의 흉고직경급 분석과 천이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한국임학회지 86(2): 223-232, 1997

      59 이욱, "조선시대 왕실 원조의 무덤 찾기 -준경묘와 영경묘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60: 1-34, 2010

      60 이경재, 최진우, 기경석,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구 소나무림 식생천이와 식생관 리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208-219, 2009

      61 한봉호, 이학기, 노태환, 이경재, "남한산성 소나무림의 19년간(1993~2011년) 식생 구조 변화와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4): 559-575, 2012

      62 한봉호, 이경재, "부천시 산림지역 아까시나무림 식물군집구조를 고려한 식생 관리모델",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26(2): 28-37, 1998

      63 권전오, "환경친화적 택지개발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 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1쪽, 2003

      64 강현경, "도시 식물군집의 구조적 특성 및 자연성 복원을 위한 식생모델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1쪽, 2000

      65 한봉호,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 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1쪽, 2000

      66 이경재, 임경빈, 조재창, 류창희,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Ⅱ)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방법에 의한 식생분석-", 응용생태연구 4(1): 33-43, 1990

      67 이경재, 임경빈,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에 관한 연구(Ⅷ) - 인제, 정선, 삼척집단 의 차대의 유전변이 -", 한국임학회지 43: 20-30, 1979

      68 박남창, "산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잣나무, 낙엽송, 소나무, 강송 임분의 지위지 수와의 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3쪽, 1993

      69 이경재, 임경빈,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에 관한 연구(Ⅸ) - 광주, 제천, 보은, 무 주, 구례, 광주집단의 침엽 및 재질형질 -", 한국임학회지 44: 1-25,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