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아시아 전근대의 사신영접의례와 공연문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35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2
      • 3. 연구대상 및 연구검토 10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2
      • 3. 연구대상 및 연구검토 10
      • Ⅱ. 중국과 일본의 사신영접의례 15
      • 1. 중국의 사신영접의례의 성립과 운용 15
      • 1) 사신영접의례의 성립과정 16
      • 2) 사신영접의례의 절차와 운용 32
      • 2. 일본의 사신영접의례의 성립과 운용 44
      • 1) 사신영접의례의 성립과정 44
      • 2) 사신영접의례의 절차와 운용 51
      • Ⅲ. 한국의 사신영접의례 66
      • 1. 사신영접의례의 성립과정 68
      • 1) 고대 68
      • 2) 고려시대 80
      • 3) 조선시대 86
      • 2. 중국과 일본 사신에 대한 영접의례의 운용 95
      • 1) 고대 95
      • 2) 고려시대 102
      • 3) 조선시대 117
      • Ⅳ. 한국의 사신영접행사와 전통연희 159
      • 1. 고대의 사신영접행사 159
      • 1) 사신영접과 국왕의 사신영접행차 159
      • 2) 사신영접행사 담당기관과 연희자 176
      • 2. 고려시대의 사신영접행사 187
      • 1) 사신행렬과 국왕의 사신영접행차 187
      • 2) 왕궁에서 사신영접행사와 전통연희 197
      • 3) 사신영접행사 담당기관과 연희자 207
      • 3. 조선시대 사신영접행사 221
      • 1) 중국사신 영접행사 221
      • 2) 일본사신 영접행사 247
      • 3) 사신영접행사 담당기관과 연희자 256
      • Ⅴ. 사신영접행사를 통해 본 동아시아 3국의 공연문화의 성격 265
      • 1. 한·중·일의 사신영접행사 265
      • 1) 중국의 사신영접행사에서 연행된 연희 265
      • 2) 일본의 사신영접행사에서 연행된 연희 281
      • 3) 한국의 사신영접행사에서 연행된 연희 298
      • 2. 한·중·일 사신영접행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305
      • 3. 동아시아에서 사행의 의미 312
      • 1) 동아시아 3국의 상호인식변화와 사신의 역할 312
      • 2) 사행과 문화교류 329
      • Ⅵ. 결 론 324
      • 참고문헌 332
      • ABSTRACT 34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山鹿索行, "『중조사실』", null

      2 이현종, "「명사접대고」",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향토서울』12, 1961

      3 최승희, "「집현전연구」", 『역사학보』32.33합집, 1966

      4 최숙경, "「특수직여성」", 『한국여성사』, 평범사, 1972

      5 이원식, "『조선통신사』", 민음사, 민음사, 1991

      6 전기봉, 전등룡, "『중국잡기사』", 상해인민출판사, 2004

      7 이두현, "『한국연극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학연사, 2000

      8 장사익, "『한국음악사』", 정음사, 1976

      9 임기중, "『연행록 연구』", 일지사, 일지사, 2006

      10 양재연, "「화희 부 수희」", 『국문학산고』, 일신사, 1976

      1 山鹿索行, "『중조사실』", null

      2 이현종, "「명사접대고」",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향토서울』12, 1961

      3 최승희, "「집현전연구」", 『역사학보』32.33합집, 1966

      4 최숙경, "「특수직여성」", 『한국여성사』, 평범사, 1972

      5 이원식, "『조선통신사』", 민음사, 민음사, 1991

      6 전기봉, 전등룡, "『중국잡기사』", 상해인민출판사, 2004

      7 이두현, "『한국연극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학연사, 2000

      8 장사익, "『한국음악사』", 정음사, 1976

      9 임기중, "『연행록 연구』", 일지사, 일지사, 2006

      10 양재연, "「화희 부 수희」", 『국문학산고』, 일신사, 1976

      11 양주동, "『국학연구논고』", 을유문화사, 을유문화사, 1962

      12 이혜구, "『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출판부, 1967

      13 장형, "〈서경부(西京賦〉", null

      14 이인철, "「신라의 음성서」", 『역대 국립음악기관 연구-신라 음성서에서 국립국악원 개원 까지-』, 국립국악원, 2001

      15 변태섭, "『고려사의 연구』", 삼영사, 삼영사, 1982

      16 홍대용, "『연행기(燕行記』", null

      17 동월(董越), "〈조선부(朝鮮賦)〉", null

      18 강홍중, 김현문, "『동사록(東槎錄)』", null

      19 김진수, "『벽로집(碧蘆集)』", null

      20 남용익, 이경직, "『부상록(扶桑錄)』", null

      21 원중거, "『승사록(乘槎錄)』", null

      22 박사호, "『심전고(心田稿)』", null

      23 권근, "『양촌집(陽村集)』", (權近), null

      24 吉田松陰, "『유수록(幽囚錄)』", null

      25 남옥, "『일관기(日觀記)』", null

      26 허봉, "『하곡집(荷谷集)』", null

      27 신유한, "『해유록(海游錄)』", null

      28 송방송, "『韓國音樂史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1993

      29 송방송, "『韓國音樂史論叢』", 민속원, 1999

      30 양인리우, 이창숙, "『중국고대음악사』", 솔, 1999

      31 전해종, "『한중관계사연구』", 일조각, 일조각, 1970

      32 임기중, "「연행록의 환희기」", 『한국민속학』31, 한국민속학회, 1999

      33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34 안상복, "『중국의 전통잡기』", 서울대출판부, 2006

      35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학고재, 2004

      36 윤광봉, "『朝鮮 後期의 演戲』", 박이정, 1998

      37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95

      38 이상현, 최치원, "역, 『계원필경집』 1,2", 한국고전번역원, -2010, 2009

      39 유정선, "18 19세기 기행가사 연구", 역락, 역락, 2007

      40 이범직, "『朝鮮時代 禮學硏究』", 국학자료원, 2004

      41 김상기, "「조공의 경제적 의의」", 『고대한중관계사의 연구』, 한국사연구회편, 삼지원, 1987

      42 이해응, "『계산기정(薊山紀程)』", null

      43 임수간, "『동사일기(東槎日記)』", null

      44 이색, "『목은시고(牧隱詩藁)』", null

      45 공용경, "『사조선록(使朝鮮錄)』", null

      46 김경선, "『연원직지(燕轅直指)』", null

      47 김창업, "『연행일기(燕行日記)』", null

      48 박지원, "『열하일기(熱河日記)』", null

      49 김기수, "『일동기유(日東記游)』", null

      50 예겸, "『조선기사(朝鮮紀事)』", null

      51 조엄, "『해사일기(海槎日記)』", null

      52 성현, "『허백당집(虛白堂集)』", null

      53 정사룡, "『호음잡고(湖陰雜稿)』", (鄭士龍), null

      54 宮崎도생, "新井白石の硏究(增訂版)", 吉川弘文館, 1984

      55 김효진, "신묘사행의 饗宴과 舞樂", 열상고전연구회, 『열상고전연구』 제41집, 열상고전연구회, 2014

      56 이재숙,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57 송방송, "『韓國古代音樂史硏究』", 일지사, 1985

      58 윤국일, "옮김, 『신편 경국대전』", 신서원, 2005

      59 주용립, "「한국고대의 순장연구」", 『손보기정년기념한국사학론총』, 1988

      60 신기수, "『朝鮮通信使の 旅日記』", PHP新書, 2002

      61 신형식, "『韓國古代史의 新硏究』", 일조각, 1984

      62 박지선, "「노가재 연행일기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63 임미선, "「조선후기 지방의 연향」", 한국국악학회, 『한국음악연구』46, 한국국악학회, 2009

      64 채미하, "「한국 고대의 궁중의례」", 한국사학회, 『사학연구』112, 한국사학회, 2013

      65 박종숙, "『백제 백제인 백제문화』", 지문사, 지문사, 1988

      66 김학삼, "『신라 숙위외교의 성격』", 발해사연구 학술총서 14권, 발해사 편집실, 월드, 2006

      67 고영진, "『조선 중기 예학사상사』", 한길사, 1995

      68 박례경, "역주, 『의례역주』 5 근례", 세창출판사, 2012

      69 이성훈, 조규익, 정영문, 전일우, "엮음, 『연행록 연구총서』", 학고방, 2006

      70 김리혜, "「新羅鄕樂에 대한 一考察」",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71 최윤영, "「고려 화산희의 공연양상」", 한국민속학회, 『한국민속학』 46, 2007

      72 송방송, "「고려의 대악서와 관현방」", 일지사, 『한국학보』44, 1986

      73 이우준, "『몽유연행록(夢遊燕行錄)』", null

      74 서유문,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 null

      75 김인겸,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null

      76 한문종(韓文鍾), "조선시대 對日使行과 對馬島",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49, 2014

      77 이현종, "「조선초기 왜인접대고(상)」", 한국사학회, 『사학연구』3, 1959

      78 이현종, "「조선초기 왜인접대고(중)」", 한국사학회, 『사학연구』4, 1959

      79 이현종, "「조선초기 왜인접대고(하)」", 한국사학회, 『사학연구』5, 1959

      80 기경복, "「10~11세기 한중 해상교통로」", 『한중문화교류와 남방해로』, 국학자료원, 1997

      81 엄경흠, "「여말 명 사신의 접빈과 시」", 『한국중세사연구』22, 2007

      82 임기중, "「연행록의 연희기와 관희시」", 한글학회, 『문학한글』13, 한글학회, 1999

      83 김문식, "「조선시대 外交儀禮의 특징」", 『동양학』62,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2016

      84 金成奎, "「중국왕조에서 빈례의 연혁」", 중국사학회, 『중국사연구』23, 2003

      85 김호섭, "「중세등볼놀이에 관한 연구」", 『력사과학』 제4호 누계 112호, 과학백과사전출 판사, 1984

      86 김창현(Kim Chang-Hyun), "『고려사』예지의 구조와 성격", 고려사학회, 『한국사학보』44, 2011

      87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연구", 민속원, 2001

      88 김학주, "『한.중 두나라의 가무와 잡희』", 한국중국희곡학회,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89 차주환, "「『고려사』 「악지」 당악고」", 진단학회, 『진단학보』23, 1962

      90 김은영, "「한국의 국왕행차와 전통연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91 이규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null

      92 성대중, "『일본록사상기(日本錄槎上記)』", null

      93 김규호, "「唐朝의 異民族 管理와 問題點」", 『강원사학』7, 1991

      94 박석순, "「일본 고대국가의 왕권과 외교」", 경인문화사, 경인문화사, 2002

      95 권덕영, "『古代韓中外交史 : 遺唐使硏究』", 일조각, 1997

      96 신기수, "仲尾宏, 『圖說 朝鮮通信使の旅』", 明石書店, 2000

      97 안상복, "「燕行錄의 雜技 관련 記事 연구」", 『』中國文學 53, 2007

      98 이문기, "「신라 종묘제의 성립과 그 배경」", 『한국고대사와 고고학(김정학박사미수기념고 고학 고대사논총)』, 2000

      99 윤완, "「통일신라시대 견당유학생연구」", 『교육학연구』42-4, 한국교육학회, 2004

      100 曺圭益, "朝鮮朝 국문 使行錄의 通時的 연구", 韓國語文敎育硏究會, 『어문연구』제31권 제1호, 어문연구회, 2003

      101 한정수(Han, Jung-Soo), "고려 太祖代 대외 교섭과 外交儀禮",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170, 2015

      102 권덕영, "「나당교섭사에서의 조공과 책봉」",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 책봉관 계』, 고구려연구재단, 2006

      103 김경록, "「조선초기 대명외교와 외교절차」",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한국사론』44, 2000

      104 안상복, "『명청시대 지역사회와 공연예술』", 연극과인간, 연극과 인간, 2013

      105 박남수, "「8세기 동아시아외교와 영빈체계」", 『신라사학보』21, 2011

      106 최윤영, "「고려 궁중연희의 공연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59, 2007

      107 이범직, "「고려시대 음악기관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4, 2001

      108 김문식, "「명사 공용경이 경험한 외교의례」", 『조선시대사학보』73, 조선시대사학회, 2015

      109 임미선, "「조선조 전정헌가의 문헌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10 김명준, "「선초 악장의 정립과정과 그 의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고전과 해석』3, 2007

      111 채미하, "「신라의 빈례: 당 사신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43, 고려사학회, 2011

      112 한문종, "「조선전기 일본국왕사의 조선통교」",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사연구』21, 2004

      113 金文植, "「조선후기 통신사행원의 대일인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41, 2002

      114 이화영, "「15世紀 朝鮮과 交隣國의 賓禮 硏究」",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5 金澈雄, "「고려와 송의 해상교역로와 교역항」", 중국사학회, 『중국사연구』28, 2004

      116 손승철, "「조선시대 통신사연구 회고와 전망」", 『한일관계사연구』16, 2002

      117 이종숙, "「조선초기 사신연의 궁중악무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27, 2001

      118 김현미, "『18세기 연행록의 전개와 특성 연구』", 혜안, 2007

      119 송기호, "「대외관계에서 본 발해 정권의 속성」", 『한국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 계』, 고구려연구재단, 2006

      120 한태문, "「통신사 왕래를 통한 한일 연희교류」", 부경역사연구소, 『지역과 역사』23, 부경역사연구소, 2008

      121 안상복, "「韓中 두 나라 山臺와 雜戲 비교연구」", 『中國語文學誌』52, 중국어문학회, 2015

      122 하우봉, "「조선시대의 통신사외교와 의례문제」", 조선시대사학회, 『조선시대사학보』58, 2011

      123 이명성, "「조선후기 궁중공연예술의 공연형태」",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동양문화연구』18, 영산대학교 동양문화 연구원, 2014

      124 김호연, "「한국 고대 연희에 나타난 공간 구조」", 동아시아고대학회, 『동아시아고대학』14, 2006

      125 한형주, "「대명의례를 통해 본 15세기 조명관계」", 한국역사민속학회, 『역사민속학』28, 역사민속학회, 2008

      126 김순희, "「명대 궁정 연향 중 백희에 관한 연구」", 『중국문학연구』44, 2011

      127 김성규, "고려 외교에서 의례(儀禮)와 국왕의 자세", 『역사와 현실』94, 한국역사연구 회, 2014

      128 최희준, "「신라 중대의 당 사신영접절차와 운용」",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153, 한국사연구회, 2011

      129 정은주, "「1634년 명 사신 영접과 〈황강연조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구』제36권 제3호, 2013

      130 김영관, "「在唐新羅人金日用墓誌銘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보』27, 2013

      131 이범직, "『韓國中世禮思想硏究:五禮를 中心으로』", 일조각, 1991

      132 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奉使日本時聞見錄)』", null

      133 원인(圓仁),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null

      134 엄경흠, "「한국 사행시연구-14~17세기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135 이범직, "「『고려사』 예지 「군례 빈례」의 검토」", 『명지사론』Vol.1 No.1, 명지사학 회, 1983

      136 사진실, "「궁정연회의 전통과 정재의 역사적 전개」", 『연희, 신명과 축원의 한마당』, 국사 편찬위원회편, 두산동아, 2006

      137 민태혜, "「고려시대 중국사신영접의례와 전통연희」", 남도민속학회, 『남도민속연구』31, 남도민속학회, 2015

      138 김규록, "「고려중기의 송 사절 영송과 반사의 운용」", 역사교육연구회, 『역사교육』134, 2015

      139 金昌賢, "“고려시대 음악기관에 관한 제도사적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4, 2001

      140 윤용혁, "「고려시대 서해 연안해로의 객관과 안흥정」", 부산경남사학회, 『역사와 경계 74, 2010

      141 사진실, "「나례의 오락적 변모양상과 연극사적 의의」",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한국의 민속과 문화』2, 경희대학 교 민속학연구소, 1999

      142 홍성남, "「연행록에 나타난‘환술’과‘연극’연구」", 동아시아고대학회, 『동아시아고대학』5, 동아시아고대 학회, 2002

      143 이태형, "「고려시대 3대 국가음악기관의 분석적 고찰」",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14, 대구카톨릭대 학교, 2010

      144 김성규, "「송대 동아시아에서 빈례의 성립과 그 성격」", 동양사학회, 『동양사연구』72, 동양사학회, 2000

      145 남상숙, "「『고려사』 「악지」의 用鼓吹樂節度 고찰」", 『한국공연예술연구논문선집 4, 2001

      146 권덕영, 여호규, 송기호, 박한제, 노태돈, "『한국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 책봉관계』", 고구려연구재단, 고구려연구재단, 2006

      147 유바다, "朝鮮 初期 迎詔勅 관련 儀註의 성립과 朝明關係", 『역사민속학』40, 2012

      148 김남기, "「『연원일록』에 나타난 기녀의 생활과 애환」", 『돈암어문학』20, 돈암어문학회, 2008

      149 허경진, "「고려시대 송나라 사행해로 누정의 변천연구」", 『동북아문화연구』12, 동북아시아 문화학회, 2007

      150 이상익, "「주자학과 조선시대 정치사상의 정체성 문제」",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논집』14, 한국철학사 연구회, 2004

      151 채미하, "신라 중대 오례와 왕권-오례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27, 2006

      152 이기동, "「8세기 동아시아 제국의 내정과 국제관계 시론」", ‘8세기 동아시아의 역사상’ 고대 동아시아 학술회의 자료집, 년 4월 15일, 2011

      153 윤승희, "「조선초 대일빈례의 정비와 ‘수인국서폐의’」", 『조선시대사학보』70, 2014

      154 김해영, "「조선초기 예제연구와 『국조오례의』의 편찬」", 『조선시대사학보』55, 2010

      155 정영문, "「통신사가 기록한 국내사행노정에서의 전별연」", 『조선통신사연구』7, 2008

      156 민덕기, "「실정막부시대의 대명 책봉관계의 성립과 변화」", 청주대학사학회, 『청대사림 6, 1994

      157 이규철(Lee, Kyu-Chul), "조선 성종대 외교의례 변경에 대한 논의와 대명의식", 한국역사연구회, 『역사와 현실』98, 한국 역사연구회, 2015

      158 김은자, "「대일사행에 나타난 조선지식인의 일본음악 인식」", 조선통신사학회, 『조선통신사연구』13, 2011

      159 강제훈, "「조선 『세종실록』 「오례」의 편찬경위와 성격」", 한국사학회, 『사학연구』107, 2012

      160 박윤미, "고려 전기 외교의례에서 국왕 ‘서면(西面)’의 의미", 『역사와 현실』98, 한국 역사연구회, 2015

      161 삼택영리, "(三宅英利) 저, 손승철 옮김, 『근세일조관계사연구』", 이론과 실천, 1991

      162 최성애, "「19세기 연행록에 표현된 연행활동-춤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사학』11, 한 국무용사학회, 2010

      163 신형식, "「신라의 대당교섭상에 나타난 숙위에 대한 일고찰」", 역사교육연구회, 『역사교육』9, 역사교육연 구회, 1966

      164 김성규, "「‘선화봉사고려사절단’의 일정과 활동에 대하여」", 『한국중세사연구』40, 한국 중세사학회, 2004

      165 원중거, 이혜순, "감수, 김경숙 역, 『조선후기 지식인, 일본과 만나다』", 소명출판사, 2006

      166 이영춘, "「『通文館志』의 편찬과 조선후기 韓中關係의 성격」", 『역사와 실학』33, 역사실 학회, 2007

      167 김성규, "「『大唐開元禮』 소재 外國使 관련 諸儀禮의 재검토」", 『중국고중세사연구』27, 중국고중세사학회, 2012

      168 김남기, "「『연원일록』에 나타난 가무악과 연희의 연행 양상」", 『국문학연구』7, 서울대 학교국문과, 2001

      169 임미선, "「세종대 신악제정 이전과 이후의 연례악의 변화양상」", 『한국음악연구』53, 2013

      170 신형식, "「숙위학생고:나말선초의 지식인의 동양에 대한 일척」", 『역사교육』11,12, 역사 교육연구회, null

      171 윤아영, "「조선 환궁의식과 중국환궁의식의 변별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연구』54, 2013

      172 방기철, "「조선초기 교린국 사신의 위차-조 일관계를 중심으로-」", 『사학연구』79, null

      173 박석순, "『고대 일본의 다죠칸(太政官)의 외교기능에 대한 고찰』", 한국일본학회, 『일본학보』59, 한국일 본학회, 2004

      174 이유진, "「『高麗史』 「禮志」에 보이는 『周禮』의 受容 樣相」", 『哲學思想』14, 동국대 학교 철학회, 1993

      175 변인석, "「唐宿衛制度에서 본 羅唐關係:당대(외인숙위)의 一硏究」", 『사총』11, 1966

      176 김병두, 박화진, "『에도 공간속의 통신사-1711년 신묘통신사행을 중심으로-』", 한울, 한울아카 데미, 2010

      177 손수호, "「고구려무덤벽화에 그려진 행렬도의 류형과 변천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제 3호(누계 84호), 1992

      178 이창숙, "「연행록에 실린 중국 연희(演戲)와 그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 『한국실학연구』 20, 한국실학학회, 2010

      179 허흥식, "「김지(金祉)의 선수집(選粹集) 주관육익(周官六翼)과 그 가치」", 『규장각』4, 1981

      180 강봉룡, "「신라말~고려시대 서남해지역의 한중 해상교통로와 거점포구」", 고려사학회, 『한국사학보』 23, 2006

      181 이정희, "「제1차 수신사 김기수가 경험한 근대 일본의 외교의례와 연회」", 조선시대사학회, 『조선시대사학 보』59, 2011

      182 성대중, 이혜순, "감수, 홍학희 역, 『부사산 비파호를 날 듯이 건너-일본록사상기』", 소 명출판, 2006

      183 구지현, "「1711년 신묘통신사와 아라이 하루세키의 필담을 통한 상호 소통」", 『열상고전 연구』28, 열상고전연구회, 2008

      184 스즈키 아야(鈴木 文), "「Ⅷ. 명치초기의 조선통시사 인식」, 『한일교류와 상극의 역사』", 경인문화사, 2010

      185 허영일, "조선시대 사신연의 특징과 변화양상-사신연의 궁중정재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대한 무용학회논문집』제71권 2호, 대한무용학회, 2013

      186 정영문, "「국내 ‘통신사 길’에 나타난 지방공연문화의 양상과 의미 고찰」", 열상고전연구회, 『열상고전연구』 30, 2009

      187 김종수, "「조선시대 사신연 의례의 변천-중국사신에게 베푼 연향을 중심으로-」", 『온지논 총』38, 2014

      188 안유경,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유교문 화연구』16, 2010

      189 양의숙, "「여 원숙위고(麗 元宿衛考: 新羅의 對唐 宿衛外交와의 비교 중심으로」", 『동국 사학』27, 1993

      190 박현규, "「절동 연해안에서 신라인의 수로교통-수로 유적지와 지명을 중심으로-」", 『신라 문화』35,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0

      191 박태규, "「조선통신사 접대연향을 통해 본 일본 의전문화 및 전통예능의 특수성」", 『일본 학연구』37, 2012

      192 殷雪征, "「龔用卿出使朝鮮考述-以龔用卿『使朝鮮錄』與朝鮮『丁酉皇華集』爲中心」", 『중국 문학』 59집, 2009

      193 신채식, "「10-13세기 동아시아의 문화교류-해로를 통한 여송의 문물 교역을 중심으로 -」", 『중국과 동아시아세계』, 국학자료원, 1997

      194 한흥섭, "「16세기 조선왕실의 여악과 중국사신의 관계-『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국학연구』23, 2013

      195 오진호, "「조선후기 동래부의 악공, 기생의 공연활동 연구-18~19세기 사료를 중심으로 -」", 『한국음악문화연구』1, 한국음악문화학회, 2010

      196 김은자, "「조선후기 평양교방의 규모와 공연활동-평양지와 평양감사환영도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31, 한국음악사학회, 2003

      197 정은영, "「조선후기 통신사와 조선중화주의-사행기록에 나타난 대일인식전환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46, 2009

      198 최윤영, "「한국 중세 궁중연희의 공간연구-팔관회, 연등회, 나례의 가무백희 공간을 중심으 로」",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27, 한국연극학회, 2005

      199 최종석, "「고려말기 조선 초기 迎詔儀禮에 관한 새로운 이해 모색-『蕃國儀注』의 소개와 복원-」", 『민족문화연구』69, 2015

      200 박태규, 이도남, "「한국 측 기록에 보이는 일본의 궁중악무에 관한 일고찰: 신묘사행의 동 사록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35, 동아시아일본학회, 2010

      201 김영시, "「역대 한국에서 편찬된 오례의에 대하여(1)-고려와 조선초기에 편찬된 오례의를 중심으로-」", 『동양예학』25, 동양예학회, 2011

      202 최성애, "「계미통신사행록을 통해 본 공연양상-일동장유가, 승사록, 일본사상기의 국내여정 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84, 2013

      203 정한기, "「연행가에 나타난 客愁의 특징과 그 의미-국역 연행록선집에 수록된 연행록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고전문학과 교육』16,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204 남종진, 박태규, "「일본 도가쿠의 중국 당악 수용사례연구: 〈교윤라쿠〉, 〈바토〉, 〈간 슈〉의 문화변용을 중심으로」", 『아태연구』제21권 제2호,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