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철종시대 연행록(燕行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6625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大學校,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國文學專攻 2016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816.5 판사항(6)

      • DDC

        895.78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295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金明昊
        참고문헌: p. 285-292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행록(燕行錄)은 조선후기에 청조 중국의 북경을 다녀온 사행(使行) 기록이다. 이러한 연행록은 청조사(淸朝史), 한중 관계사, 한중 문화 교류 등의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서 가치를 인...

      연행록(燕行錄)은 조선후기에 청조 중국의 북경을 다녀온 사행(使行) 기록이다. 이러한 연행록은 청조사(淸朝史), 한중 관계사, 한중 문화 교류 등의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고는 철종시대, 즉 1850년(철종1년, 淸 道光30년)부터 1863년(철종14년, 淸 同治2년)까지 창작된 한문 산문 연행록을 대상으로, 해외 기행문학으로서의 문예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기에 그치지 않고, 연행록에 담긴 중국 견문의 내용과 당시 이루어진 한중 문화 교류에 관한 역사적ㆍ문화사적 고찰도 병행하였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18세기의 연행록에 비해, 19세기의 연행록에 대해서는 학문적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시기의 연행록이 18세기 연행록의 성과를 면면히 계승하는 가운데 그 나름으로 변화를 추구한 과정을 세심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철종시대의 연행록은 내우외환에 처한 중국의 일대 격동기에 연행을 다녀온 기록들인 만큼, 시대 인식이나 표현 방식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었으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다음 네 가지 방면에서 철종시대의 연행록을 분석하였다. 첫째, 철종시대 연행록을 통해 조선 문인의 대청(對淸) 인식과 대서양(對西洋) 인식, 아울러 중국인의 대조선(對朝鮮) 인식에 일어난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둘째, 양국 문인의 교유를 중심에 두고 시문 창화와 서화(書畵) 및 서적 증정 등을 포함한 다방면의 문화 교류 양상을 구명하는 것이다. 셋째, 글쓰기 방식을 본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철종시대 연행록의 문예적 성취를 부각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열하일기󰡕와 관련하여 철종시대 연행록이 전대 연행록의 전통을 계승한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본고는 철종시대의 연행록 전반(全般)을 최초로 연구하는 만큼, 사행시기 순서에 따른 통사적(通史的)인 구성과 개별 연행록에 대한 연구 성과를 축조(築造)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제2장부터 제8장까지는 현재까지 알려진 철종시대 연행록 총 13종 중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7종의 연행록을 선별하여 사행시기 순서대로 차례로 고찰하였다. 즉 권시형(權時亨)의 《석단연기(石湍燕記)》, 강시영(姜時永)의 《유헌삼록(輶軒三錄)》, 서경순(徐慶淳)의 《몽경당일사(夢經堂日史)》, 김직연(金直淵)의 《연사일록(燕槎日錄)》, 박제인(朴齊寅)의 《연사록(燕槎錄)》, 신석우(申錫愚)의 《입연기(入燕記)》, 이항억(李恒億)의 《연행일기(燕行日記)》에 대해 내용과 형식상의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주요 연행록들에 대한 각론(各論)을 바탕으로, 제9장에서는 철종시대 연행록의 전반적인 특징을 총괄하면서, 전대의 연행록들과 비교하여 그 문학사적 성과를 논하였다.
      철종시대의 연행록에 나타난 중국 현실의 인식과 관련해서는 ‘내우(內憂)’, ‘외환(外患)’, ‘은우(隱憂)’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내우’는 태평천국의 난을 비롯해 수많은 반란에 직면한 중국의 사회적 혼란상이다. ‘외환’은 제2차아편전쟁 시기부터 시작된 중국의 대외 관계의 변화 양상이다. ‘은우’는 북중국까지 퍼진 태평천국군의 북벌과 영불연합군의 군사 활동이 조선에 끼칠 잠재적인 위협에 대한 주목이다. 이와 같이 조선에 대한 ‘은우’를 기초로 한, 중국의 ‘내우’와 ‘외환’에 대한 예리한 관찰은 철종시대 연행록에서 볼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철종시대의 한중 문화 교류와 관련해서는 ‘계승’과 ‘전환’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계승’은 주로 문학 교류에 해당한다. 양국 문인의 시문 창화 모임, 이른바 아회(雅會)는 19세기 전기에 이어 철종시대에도 유지되었다. 한편 ‘전환’은 주로 학술 교류에 해당한다. 19세기 전기에 금석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한중 교류는 고증학풍의 쇠퇴와 더불어 시대적 격변에 따라 정세 관찰 중심으로 전환하였다.
      연행록의 체제는 각각 일기나, 시가, 잡록, 기사 등으로만 일관한 ‘단일체’와, 일기+시가, 시가+잡록, 일기+기사, 시가+일기+기사 등으로 구성된 ‘복합체’의 양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김직연의 《연사일록》과 박제인의 《연사록》은 19세기 전기 연행록의 복합체를 답습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연행록은 일기체에다 복합체의 잡다한 내용을 통합하는, 일기체의 ‘변주(變奏)’를 보여주었다. 한편 신석우의 《입연기》는 ‘기(記)’를 연행록의 골간으로 삼고 왕복 서신도 함께 수록함으로써 연행록의 새로운 체제를 창출하였다.
      글쓰기 방식에 있어서 철종시대의 연행록은 장면 중심 묘사, 대화의 빈번한 구사, 복선에 의한 유기적 구성 등 소설적 수법을 즐겨 구사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고문체(古文體)와 백화체(白話體), 조선식 한문체 등 다양한 문체를 구사하고, 풍경과 문물과 인물에 대한 사실적 묘사와 풍부한 해학성(諧謔性)을 추구함으로써 수준 높은 문예적 성취를 보여주었다. 그 점에서 철종시대의 연행록은 전대의 연행록 중 특히 《열하일기》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박제인의 《연사록》과 신석우의 《입연기》는 중국의 선진 문물에 대한 관심과 북학사상을 계승했으며, 권시형의 《석단연기》, 서경순의 《몽경당일사》, 박제인의 《연사록》은 《열하일기》의 소설적 수법을 적극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 문제 제기와 연구 방법 1
      • 2. 철종시대 연행록 개관 13
      • 제2장 權時亨의 《石湍燕記》 22
      • 제1장 서론 1
      • 1. 문제 제기와 연구 방법 1
      • 2. 철종시대 연행록 개관 13
      • 제2장 權時亨의 《石湍燕記》 22
      • 1. 권시형과 1850년 進賀謝恩 兼 歲幣 사행 22
      • 2. 중국의 아편 문제에 대한 탐문 27
      • 3. 黃爵滋ㆍ錢江ㆍ倪印垣과의 교유 31
      • 4. 白話體 구사와 사실적 묘사 39
      • 제3장 姜時永의 《輏軒三錄》 54
      • 1. 강시영과 1853년 진하 겸 사은 사행 54
      • 2. 태평천국군 북벌 초기의 중국 정세 인식 61
      • 3. 溫忠彦 형제 및 邊鍾鄂과의 교유 66
      • 4. 소설적 수법 활용 76
      • 제4장 徐慶淳의 《夢經堂日史》 82
      • 1. 서경순과 1855년 陳慰進香 겸 사은 사행 82
      • 2. 중국 정부의 화폐 개혁 실패에 대한 보고 85
      • 3. 方朔ㆍ李士ㆍ花沙納과의 교유 89
      • 4. 다양한 문체 구사 97
      • 5. 사실적 묘사와 해학성 추구 108
      • 제5장 金直淵의 《燕槎日錄》 120
      • 1. 김직연과 1858년 사은 겸 冬至 사행 120
      • 2. 내우외환에 처한 중국의 혼란상 보고 122
      • 3. 葉名ㆍ姚涵과의 교유 129
      • 4. 論辨的 글쓰기와 사실적 묘사 135
      • 제6장 朴齊寅의 《燕槎錄》 153
      • 1. 박제인과 1860년 聖節進賀 겸 사은 사행 153
      • 2. 北京事變 직전의 중국 정세 인식 158
      • 3. 중국의 선진 문물에 대한 관심 161
      • 4. 소설적 수법과 사실적 묘사 176
      • 제7장 申錫愚의 《入燕記》 184
      • 1. 신석우와 1860년 동지 겸 사은 사행 184
      • 2. 北京事變 중의 중국 정세 인식 188
      • 3. 李鈞의 유족 및 程恭壽와의 만남 192
      • 4. 북학사상과 古文體 記文 창작 201
      • 제8장 李恒億의 《燕行日記》 214
      • 1. 이항억과 1862년 진하사은 겸 세폐 사행 214
      • 2. 徐通ㆍ黃雲鵠과의 교유 221
      • 3. 서양 문물에 대한 사실적 묘사 226
      • 제9장 철종시대 연행록의 특징과 성과 238
      • 1. 咸豊 연간의 중국 정세와 대비책 강구 241
      • 2. 학술 교류에서 정세 관찰로의 전환 251
      • 3. 일기체의 變奏와 다양한 글쓰기 방식 255
      • 4. 《열하일기》의 영향과 북학사상의 계승 267
      • 제10장 결론 280
      • 참 고 문 헌 285
      • 中 文 摘 要 29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花沙納, "東使紀程", 北京: 中華書局, 2007

      2 金毓黻, "遼海叢書", 大連: 右文閣, 1934~1936; 瀋陽: 遼瀋書社, 1985, 영인., 1934

      3 김경선, "연원직지", 민족문화추진회 편, 𰡔국역 연행록선집𰡕 9~12, 경인문화사, 1976

      4 박지원, "열하일기", 돌베개, 돌베개, 2009

      5 김직연, 신익철, "국역 연사일록", 의왕사토사료관, 2011

      6 이동환, 이항억, "국역 연행일기", 국립중앙도서관, 2009

      7 金慶門, 金指南, "국역 통문관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8 조규익, "연행록연구총서", 학고방, 학고방, 2006

      9 趙洙翼, "몽경당일사 解題", 𰡔국역 연행록선집𰡕(XI권), 민족문화추진회, 1977

      10 김명호, "박지원 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1

      1 花沙納, "東使紀程", 北京: 中華書局, 2007

      2 金毓黻, "遼海叢書", 大連: 右文閣, 1934~1936; 瀋陽: 遼瀋書社, 1985, 영인., 1934

      3 김경선, "연원직지", 민족문화추진회 편, 𰡔국역 연행록선집𰡕 9~12, 경인문화사, 1976

      4 박지원, "열하일기", 돌베개, 돌베개, 2009

      5 김직연, 신익철, "국역 연사일록", 의왕사토사료관, 2011

      6 이동환, 이항억, "국역 연행일기", 국립중앙도서관, 2009

      7 金慶門, 金指南, "국역 통문관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8 조규익, "연행록연구총서", 학고방, 학고방, 2006

      9 趙洙翼, "몽경당일사 解題", 𰡔국역 연행록선집𰡕(XI권), 민족문화추진회, 1977

      10 김명호, "박지원 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1

      11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 창비, 창비, 2008

      12 임기중, "𰡔연행록연구𰡕", 일지사, 2002

      13 김만원, "정본완역 두보전집",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14 姜長斌, "中俄國界東段的演變", 북경: 中央文獻出版社, 2007

      15 김명호, "𰡔열하일기 연구𰡕", 창작과비평사, 1990

      16 漆永祥, "𰡔燕行錄全集𰡕考誤", 𰡔中國學論叢𰡕24, 고려대 중국학연구소, 2008

      17 박지원, 김명호, "지금 조선의 시를 쓰라", 돌베개, 2007

      18 任昌淳, "(古書解題)輶軒續錄ㆍ三錄", 𰡔國會圖書館報𰡕, 국회도서관, 1967

      19 이춘희, "𰡔19세기 한중 문학교류𰡕", 새문사, 2009

      20 허정식, "𰡔태평천국와 조선왕조𰡕", 지식산업사, 2008

      21 이종묵, "관암 홍경모와 19세기 학술사", 경인문화사, 경인문화사, 2011

      22 전수경, "「韓弼敎의『隨槎錄』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3 홍성구, "「중국 학계의 연행록 연구」", 대동한문학회, 𰡔대동한문학𰡕 34, 2011

      24 김명호, "𰡔초기 한미관계의 재조명𰡕", 역사비평사, 2005

      25 김용태, "𰡔19세기 조선 한시사의 탐색𰡕", 돌베개, 2008

      26 김태준, "𰡔연행의 사회사𰡕(실학총서 3)", 경기문화재단, 2005

      27 손성욱, "「19세기 朝ㆍ淸 문인 교류의 전개 양상-북경 내 학풍과 교류 네트워크의 변화를 중심으로-」, 𰡔역사학보𰡕216, 역사학회, 신익철, 「𰡔연사일록𰡕의 서술 방식과 청국의 혼란상 및 풍속에 대한 인식」, 𰡔한국문 학연구𰡕43",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2012

      28 劉婷婷, "淸代科擧家族濟寧孫氏的轉型硏究", 遼寧大學 석사논문, 2014

      29 박희영, "𰡔추사 김정희의 또 다른 얼굴𰡕", 아카데미하우스, 1994

      30 김현미, "𰡔18세기 연행록의 전개와 특성𰡕", 혜안, 2007

      31 김문식, "𰡔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𰡕", 새문사, 2009

      32 임준철, "「대청사행의 종결과 마지막 연행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𰡔민족문화연구𰡕 49, 2008

      33 전일우, "「𰡔燕轅直指𰡕의 사행문학적 성격」",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34 許 放, "晩淸 北京詩社 龍喜社와 한중 문학 교류", 𰡔국문학연구𰡕28, 국문학회, 2013

      35 김미경, "「동화 이해응의 𰡔계산기정𰡕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6 이지영, "「𰡔연사일록𰡕 한글본에 대한 고찰」", 𰡔국어사연구𰡕15, 2012

      37 임영길, "「心田 朴思浩의 燕行과 韓中文學交流」",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8 박상환, "「소정 김영작의 한시와 시사 활동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9 전일우, "「𰡔燕轅直指𰡕 硏究」, 𰡔숭실어문𰡕19", 숭실어문학회, 2003

      40 김현미, "「연행록 문학 방면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대동한문학회, 𰡔대동한문학𰡕34, 2011

      41 이춘희, "「藕船 李尙迪과 晩淸 文人의 文學交流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42 채송화, "𰡔을병연행록𰡕 연구―여성 독자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3 박동욱, "「박래겸의『심사일기』연구」, 𰡔온지논총𰡕36", 온지학회, 2013

      44 李學堂, "연행록의 연구 현황과 전망-중국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𰡔동방한문학𰡕 50, 2012

      45 박지선, "「金景善의 𰡔燕轅直指𰡕 考察」, 𰡔한국문학논총𰡕16", 한국문학회, 1995

      46 김명호, "「金永爵의 燕行과 𰡔燕臺瓊瓜錄𰡕」, 𰡔한문학보𰡕19", 우리한문학회, 2008

      47 김윤조, "「홍한주의 일기와 𰡔지수염필𰡕 저작」, 𰡔한문학보𰡕19", 우리한문학회, 2008

      48 이해응, "𰡔계산기정𰡕, 민족문화추진회 편, 𰡔국역 연행록선집𰡕 8", 경인문화사, 1976

      49 이재흡, "𰡔부연일기𰡕, 민족문화추진회 편, 𰡔국역 연행록선집𰡕 9", 경인문화사, 1976

      50 김창업, "𰡔연행일기𰡕, 민족문화추진회 편, 𰡔국역 연행록선집𰡕 4", 경인문화사, 1976

      51 전일우, "「𰡔연원직지𰡕 연구-‘記’를 중심으로」, 𰡔숭실어문𰡕22", 숭실어문학회, 2006

      52 서경순, "𰡔몽경당일사𰡕, 민족문화추진회 편, 𰡔국역 연행록선집𰡕 11", 경인문화사, 1976

      53 정은주, "「燕行使節의 西洋畵 인식과 寫眞術 유입」, 𰡔명청사연구𰡕 30", 명청사학회, 2008

      54 임형택, "「17~19세기 동아시아 상황과 燕行, 燕行錄」, 𰡔한국실학연구𰡕20", 한국실학 학회, 2010

      55 김현철, "「19세기 전반기 연행사절의 중국관」, 𰡔한국정치외교사논총𰡕36", 한국정치외 교사학회, 2014

      56 임영길, "「心田 朴思浩의 𰡔燕薊紀程𰡕에 대한 일고찰」, 𰡔한문학보𰡕21", 우리한문학회, 2009

      57 김명호, "「해장 신석우의 𰡔입연기𰡕에 대한 고찰」, 𰡔고전문학연구𰡕32", 한국고전문학 회, 2007

      58 노대환, "「19세기 중반 김직연의 연행과 청 정세 인식」, 𰡔대동문화연구𰡕79", 성균관 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59 김유경, "「19세기 연행문학에 나타난 중국 체험의 의미」, 𰡔열상고전연구𰡕21", 열상고 전연구회, 2005

      60 김명호, "「동문환의 𰡔한객시존𰡕과 한중 문학교류」, 𰡔한국한문학연구𰡕26", 한국한문학 회, 2000

      61 박주석, "「사진과의 첫 만남-1863년 연행사 이의익 일행의 사진 발굴-」, 𰡔AURA𰡕 18", 한국사진학회, 2008

      62 왕림동, "「19세기 조선과 청조 지식인의 교류-金景善의 𰡔燕轅直指𰡕를 중심으로」", 성 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63 최강현, "「이항억 𰡔연행일기𰡕 해제」, 이항억 저, 이동환 역, 𰡔국역 연행일기𰡕", 국립중 앙도서관, 2008

      64 정혜중, "「19세기 초 조선사행 김경선의 북경체험과 외국정보 이해」, 𰡔중국사연구𰡕 37", 중국사학회, 2005

      65 후마, "스스무 지음, 하정식ㆍ정태섭ㆍ심경호ㆍ홍성구ㆍ권인용 옮김, 𰡔연행사와 통신 사𰡕", 신서원, 2008

      66 김창화, 허경진, "「𰡔유헌속록𰡕을 통해 본 강시영과 청조 문사들의 문화교류」, 𰡔열상 고전연구𰡕33", 열상고전연구회, 2011

      67 조양원, "「김직연의 연행기록 𰡔연사일록𰡕과 𰡔연행녹𰡕 비교연구」, 𰡔정신문화연구𰡕 35-1", 한중학중앙연구원, 2012

      68 이현주, "「연행사절 下隷에 대하여-朴齊寅의 𰡔燕行日記附錄𰡕을 중심으로-」, 𰡔漢文學 報𰡕30", 우리한문학회, 2014

      69 유지원, "「淸代 皇室祭祀의 샤머니즘적 性格-堂子와 坤寧宮 제사를 중심으로」, 𰡔명 청사연구𰡕23", 명청사학회, 2005

      70 김윤조, "「실학파문학의 계승양상에 관한 연구-특히 북학파의 경우를 중심으로」, 𰡔 대동한문학𰡕8", 대동한문학회, 1996

      71 안대회, "「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 -燕行使를 보내는 送序를 중심으로 」, 𰡔한국실학연구𰡕19", 한국실학학회, 2010

      72 한영규, "「19세기 한중 문인 교류의 새로운 양상-𰡔부연일기𰡕ㆍ「서행록」을 중심으로 -」, 𰡔인문과학𰡕45",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73 민두기, "「19세기후반 조선왕조의 대외위기의식-제1차, 제2차 중영전쟁과 이양선 출몰에의 대응-」, 𰡔동방학지𰡕5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6

      74 이홍식, "「조청 지식인의 우연한 만남과 사적 교류-이해응의 𰡔계산기정𰡕을 중심으로 -」, 𰡔동아시아 문화연구𰡕 47권",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75 후지츠카, "치카시 지음, 후지츠카 아키나오 엮음, 윤철규ㆍ이충구ㆍ김규선 옮김, 𰡔秋 史 金正喜 硏究-淸朝 文化 東傳의 硏究𰡕", 과천문화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