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편복포의 구성요소별 형태변화 연구 : 15~18세기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Shapes per Element of Pyeonbokpo(Men’s Coat) Design in Joseon Period:Focused on the Clothing Excavated in the Tombs between the 15th to the 18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031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편복포의 구성요소별 형태변화 연구 -15〜18세기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남자 편복 포제는 선조들로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복식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연구 ...

      조선시대 편복포의 구성요소별 형태변화 연구
      -15〜18세기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남자 편복 포제는 선조들로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복식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연구 과제이며, 시대의 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발전을 통해 복식사적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는 포제의 형태변화를 이루는 요소로써 포의 기본구성요소를 대상으로 형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상호관련성과 이로 인해 나타나는 시기별 형태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생몰연대를 토대로 15~18세기 출토유물을 범위로 한정하고, 분석 단위를 추출하기 위해 여건상 많은 유물 중에 편복포를 중심으로 y자형 곧은 깃 형태의 직령과, 철릭, 도포, 창의, 주의 등 다섯 종류를 대표로 하여 54점의 선정유물을 제시하였다.
      먼저 문헌적 고찰로 각 포류의 명칭과 착용대상, 착용용도에 대해 고찰하였고, 포제의 시대별 특징과 구성요소들의 단위를 도출하기 위해 포의 종류와 형태를 이루는 대표적 기본구성요소인 깃, 섶, 무, 소매, 길에 대해 유형을 분류하였다. 깃은 4유형으로, 섶은 3유형으로, 무는 4유형으로, 소매는 5유형으로, 길은 3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증적인 선정유물을 분석대상으로 세분화하여 구성요소의 유형별 출현시기와 출현율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시대별 유형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유물의 생몰연대를 중심으로 구성요소의 시대별 형태변화와 유형별 출현빈도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시기구분을 하였고, 대표유형을 추출하여 시기별로 선정유물의 각 유형별 형태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도출하였다.
      제1기의 대표유형은 이중칼깃과 이중섶, 제2유형의 무와 통수형소매, 길은 전단후장형으로 구분되었다. 구성요소의 형태변화 요인은 무를 비롯한 것으로 판단되며 무의 부피가 상당히 큰 포를 여미기 위해서 힘받이로 겨드랑 옆선까지 깊게 여미게 된다. 이로써 길 중심에 부착되는 섶의 넓이는 증대되어 이중섶과 동시에 넓은 깃이 달리게 되므로 이로 인해 이중깃의 유형이 발생된 것으로 보아 구성요소들의 상호관계에 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제2기의 대표유형은 칼깃과 쪽이음 이중섶, 제3유형의 무, 두리소매, 길은 전후동장형으로 구분되었다. 형태변화 요인은 임란을 전후하여 사대부들의 활동으로 위의(威儀)를 강조하는 신분복식의 시대적인 요인과 이로 인한 다양한 포제의 출현으로 형태변천 과정의 과도기적 현상에 의한 요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3기의 대표유형은 동그래 깃과, 단섶, 제4유형의 무, 광수형 두리소매, 길은 전후동장형으로 구분되었다. 형태변화 요인은 전(前)시기로부터 공존하면서 점차 변화된 유형들이 형태면에서는 정착기라 할 수 있다. 사회적인 면에서는 외부적인 요인이 크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사대부들의 활동복 또는 의례복으로써 신분을 나타내는 권위의 상징으로 사회적 기능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포의 형태가 이러한 특징을 포함하여 정착하게 되었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제의 형태를 구성하는 깃, 섶, 무, 소매, 길 등의 구성요소별 형태변화는 시대적 흐름에 있어 포의 형태를 이루는 구성요소 간에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균형을 이루기 위한 보완적 기능으로 사회적 기능을 포함하여 전체 형태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이로써 시기별 형태변화의 특징이 나타나게 된 것으로 확인된다.


      주제어 : 조선시대, 출토복식, 편복 포, 구성요소, 형태변화, 시기구분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표 목 차 iii
      • 그림목차 v
      • 목 차
      • 표 목 차 iii
      • 그림목차 v
      • 국문초록 viii
      • I. 서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 2. 연구 범위 5
      • 3. 연구의 방법 및 내용 7
      • II. 포의 종류와 구성요소 고찰 10
      • 1. 문헌을 통해본 포의 종류 10
      • 2. 포의 기본구성요소 고찰 40
      • 1) 깃의 형태와 유형 분류 40
      • 2) 섶의 형태와 유형 분류 46
      • 3) 무의 형태와 유형 분류 48
      • 4) 소매의 형태와 유형 분류 53
      • 5) 포의 길 57
      • 3. 포의 세부구성요소 고찰 59
      • 1) 고름 유형 59
      • 2) 바대 유형 61
      • 3) 당 유형 67
      • 4) 트임 유형 68
      • III. 출토복식을 통해본 포의 구성요소별 형태변화 71
      • 1. 기본구성요소의 형태변화 81
      • 1) 깃의 시대별 형태변화 81
      • 2) 섶의 시대별 형태변화 93
      • 3) 무의 시대별 형태변화 106
      • 4) 소매의 시대별 형태변화 121
      • 5) 길이의 시대별 형태변화 131
      • 2. 세부구성 요소의 변화 138
      • 1) 고름의 변화 138
      • 2) 바대의 변화 140
      • 3) 당의 변화 143
      • 4) 트임의 변화 144
      • IV. 시기별 형태변화 및 상호관련성 147
      • 1. 형태변화 및 시기구분 147
      • 2. 시기별 형태변화 요인 및 상호관련성 156
      • 1) 제 1기 156
      • 2) 제 2기 158
      • 3) 제 3기 160
      • V. 결론 165
      • 참고문헌 169
      • ABSTRACT 17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유송옥, "『韓國服飾史』", 서울 : 수학사, 1998

      2 박경자, "『韓國의 服飾』", “禮服”. 韓國文化財保護協會(編). 서울 : 삼화인쇄, 1982

      3 윤양노, "「襠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5(4), 2002

      4 김미자, "『한국복식 2천년』", “우리나라 포의 종류와 변천”. 국립민속박물관, 1997

      5 김문자, 유희경, "『韓國服飾文化史』", 서울 : 敎文社, 1998

      6 심연옥, "『한국직물오천년』", 고려대학교 출판부, 서울 : 고대직물연구소, 2002

      7 이동아, "『方領에 관한 硏究』",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8 조근희, "『道袍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6

      9 이봉숙, "『답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10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서울 : 미술문화, 1998

      1 유송옥, "『韓國服飾史』", 서울 : 수학사, 1998

      2 박경자, "『韓國의 服飾』", “禮服”. 韓國文化財保護協會(編). 서울 : 삼화인쇄, 1982

      3 윤양노, "「襠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5(4), 2002

      4 김미자, "『한국복식 2천년』", “우리나라 포의 종류와 변천”. 국립민속박물관, 1997

      5 김문자, 유희경, "『韓國服飾文化史』", 서울 : 敎文社, 1998

      6 심연옥, "『한국직물오천년』", 고려대학교 출판부, 서울 : 고대직물연구소, 2002

      7 이동아, "『方領에 관한 硏究』",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8 조근희, "『道袍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6

      9 이봉숙, "『답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10 김영숙,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서울 : 미술문화, 1998

      11 이주영, "『조선시대 直領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2 윤미화, "『창의류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13 송미경, "「조선시대 답호 연구」", 『복식』. 59(10), 2009

      14 변지연, "『더그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5 김영숙, 손경자, "『韓國服飾史資料選集』", (朝鮮編III). 서울 : 교문사, 1982

      16 이은주, "철릭의 명칭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12(3), 1988

      17 조효순, "『한국복식 풍속사 연구』", 서울 : 일지사, 1988

      18 박성실, "『朝鮮前期出土服飾硏究』",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19 최남선, "『朝鮮常識風俗編衣服類』", 서울 : 동명사, 1948

      20 고부자, "『濟州服飾의 民俗學的硏究』",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71

      21 유희경, "9명. 『歷史人物肖像畵大事典』", 서울 : 현암사, 2003

      22 구남옥, "「조선시대 바대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11(2), 2008

      23 김소현, "『唐時代의 胡服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24 최은수, "『조선시대 백관의 단령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5 정희정, "『朝鮮後期便服袍에 관한 硏究』", 동아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1

      26 이해영, "『韓國直領交衽袍에 관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27 김완진, "『노걸대언해에 대한 비교연구』", 서울 : 한국연구원, 1976

      28 김미자, "「개화기의 문관복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복식』. 창간(1), 1977

      29 김동욱, 이은주, "『淸州出土順天金氏衣服및 簡札』", 충북대학교 박물관, 1979

      30 박성실, "『정사공신 신경유公墓출토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8

      31 고부자, "『海南尹氏橘亭公派廣州出土遺物』",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32 이경희, "『조선시대 액주름 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3 법모종찰 해인사, "광해군 내외 및 상궁옷보수정비 보고서", 해인사, 법보종찰 해인사 합천군, 2008

      34 금종숙, "조선시대 철릭의 형태 및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35 백금현, "「옷깃과 옷섶의 형태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복식』. 제6호, 1982

      36 김정애(Jeong-Ae Kim), 이상은(Sang-Eun Lee), "배천조(1532) 묘 출토복식 도포의 구성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의상디자인 학회지』. 18(2), 2016

      37 금종숙, "「朝鮮時代中赤莫의 着用禮와 形態연구」", 『복식』, 22(5), 2014

      38 김미정, "『17c 方領의 구성법과 재현품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39 이은주, "「1743 영조 오순 어연례 참여자의 복식고증」", 『한복문화』. 11(2), 2008

      40 임영자, "『韓國宗敎服飾: 佛敎와 道敎服飾을 중심으로』", 서울: 亞細亞文化史, 1990

      41 유정순, "『근세 한일 남자 포의 조형적 특성 비교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2 이은주, "『道袍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기능론적 분석』", 서울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43 안전혜, "『조선시대 출토된 도포의 형태 및 바느질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4 이은주, "「17세기 동래정씨 흥곡공파 일가의 묘 출토복식」", 『복식』. 35(4), 2003

      45 문공화, "『조선시대 團領의 着用規例와 實例에 관한연구』", 세종대학 교박사학위논문, 2004

      46 이동아, "『이응해 출토복식의 直領袍와 氅衣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 교석사학위논문, 2005

      47 김인숙, "「朝鮮王朝王의 小斂, 大斂, 宲梓宮衣襨에 관한 연구」", 『복식』. 제5호, 1981

      48 이주영, "여산송씨 일가 묘 출토 직령교임식 남자 포의 조형 특성", 한국복식학회, 『복식』58(9), 2008

      49 김신애, "『조선시대 남자 포에 나타난 무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4

      50 송미경, "김확[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복식』. 57(7),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