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후기 충청우도 무반가문의 성격과 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73085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90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ban(Military Nobility) Families in Chungcheong-woodo(currently Chungcheong South Provi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형태사항

        v,207p;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이해준
        참고문헌 : 197-201p.

      • UCI식별코드

        I804:44004-000000029863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ban(Military Nobility) Families in Chungcheong-woodo(currently Chungcheong South Provi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KYOUNG-YOON KANG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 ...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ban(Military Nobility) Families in Chungcheong-woodo(currently Chungcheong South Provi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KYOUNG-YOON KANG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AE-JUN LEE)


      Mun․Mu(literary and martial arts) Yangban society grew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they interacted with each other, but the social status decreased. Meanwhile, building up military power became critical after the 17th century in the wake of two wars. In particular, as the significance of national defense centered on Muban(military nobility) was realized after King Injo Restoration, Muban(military nobility) families who inherited military power began to form. This study examines Muban families in Chungcheong-woodo(currently Chungcheong South Province)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Muban families in Chungcheong-woodo show how each of the families interacted, grew, and developed through the advancement to official positions and marriage relationship during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residence in the Chungcheong region. First of all, this study outlined the formation and change of Muban families in the Joseon Dynasty. In Chapter 3, it arranged and analyzed the data of 『Mugwa Bangmok』, 『Jiriji』․『Eupji』, and 『Deungdanrok』 about 36 counties and prefectures in Chungcheong-woodo in order to derive Muban families in Chungcheong-woo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a total of 892 military examination passers were produced in Chungcheong-woodo during the Joseon Dynasty. Among them, 772 people, except 120 who were involved in the Joseon Dynasty,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was analyzed by period, by family name, and by region. Next, this study grasped the status of the figures who served as military service officials through the analysis of geography Eupji 『Yeojidoseo』 and 『Chungcheong-do Eup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divided them into Gongju-mok and Hongju-mok to examine the tendency and trends of Muban famil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figures promoted to a general, a top position of Muban, among Muban families in Chungcheong-woodo, who appear in Seonsaengan of 『Deungdanrok』 that lists the generals after the reign of King Seonjo, and examined the status of Muban families who settled down in Chungcheong-woodo. In Chungcheong-woodo, 37 exam passers were produced from 13 families, which was analyzed by period. Therefore, it seems that 23 surnames among Muban families were distributed and prospered in Chungcheong-woo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Muban-related materials such as 『Mugwa Bangmok』, 『Jiriji』․『Eupji』, and 『Deungdanrok』. Based on these derived families, chapters 4, 5, and 6 looked into not only the formation and faction of Muban families in Chungcheong-woodo, but also the types of military power inheritance and marital relation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the materials about Chungcheong-woodo Muban families by giving specific examples. In this way,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Muban families in Chungcheong-woo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ow the Muban families grew and changed in Chungcheong-woodo, the center of Giho School. In addition, it could find that they enhanced their status and empowered themselves through solidarity and exchanges in the civil society of Joseon Dynasty. Besides, it examined the process of mak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not only the local community but also the central society, as they produced many successful figures and passed on military position after being advanced to a high position of Muban. Furthermore, it tried to understand the socio-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Muban families in Chungcheong-woodo at that time. Through this, the relativ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Chungcheong-woodo Muban families were generally summarized into three as follows. First, the period when they changed to be Muban families was very clearly identified and arranged in the case of Muban families in Chungcheong-do, and it is relatively meaningful, compared to Muban families in other region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Chungcheong-woodo Muban families are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at Gongju-mok and Hongju-mok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same region, Chungcheong-woodo.Thirdly, Chungmugong Yi Sun-sin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growth of Chungcheong-woodo Muban families.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 families of the figures who participated in the battlefield with Yi Sun-sin were formed into the later Muban families. In addition to the above, various aspects of inheritance and marriage network in Muban families were not limited to Chungcheong-woodo. These aspects were found when Muban became a distinguished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lthough they did not intervene in politics directly as in the case of Munban, they established their own power, formed ties, and grew and develop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hungcheong-woodo, this trend also led to the growth of Muban families based on the region and raised the honor of their family by producing many talents. In addition, they strengthened the regional foundation and secured the legitimacy of the family through a marriage network with the influential family of the region. This study also found they rose to a high-ranking position in the central office by producing military examination passers and cultivated national representative figures. In particul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examined not a single family but Muban families in Chungcheong-woodo, known as the region of Yangban and commonly called the Munban fami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동향 분석과 연구자료 3
      • 3. 연구방법과 범위 6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동향 분석과 연구자료 3
      • 3. 연구방법과 범위 6
      • Ⅱ. 조선시대 무반가문의 형성과 발전 10
      • 1. 조선시대 무반에 대한 인식 10
      • 2. 무반가문 형성의 시대적 배경 14
      • 3. 무반가문의 성장과 벌족화 16
      • 4. 무반가문 관련 연구자료 19
      • Ⅲ. 충청우도 무반 기록 분석 22
      • 1. 『무과방목』 분석 23
      • 2. 『지리지』․『읍지』 분석 36
      • 3. 『등단록』 분석 46
      • Ⅳ. 인물배출과 무반가문의 세습 57
      • 1. 무반의 배출과 세습 57
      • 2. 사례 분석(1) 덕수이씨 충무공파 66
      • 3. 사례 분석(2) 전주이씨 변성군파 81
      • Ⅴ. 무반가문의 혼맥 연결 95
      • 1. 혼맥을 통한 결집과 세력강화 95
      • 2. 사례 분석(1) 전의이씨 효익공파 99
      • 3. 사례 분석(2) 진주류씨 정민공파 118
      • Ⅵ. 무반가 자료의 사례분석과 특징 144
      • 1. 무반가문의 자료 현황과 가치 144
      • 2. 사례 분석(1) 의령남씨 충장공파 자료 150
      • 3. 사례 분석(2) 담양전씨 보령공파 자료 162
      • 4. 사례 분석(3) 함평이씨 함은군파 자료 177
      • Ⅶ. 결 론 189
      • [참고문헌] 197
      • [ABSTRACT] 202
      • [부록] 충청우도 성씨별 5명 이하 무과급제자수 20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심승구, "朝鮮初期 武科制度",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5

      2 심승구, "朝鮮前期 武科硏究",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4

      3 이존희, "朝鮮前期의 外官制",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4

      4 김용국, "「田雲祥과 해골선」", 大韓民國學術院, 1981

      5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도』", 한국학술정보, 2004

      6 이성무, "『朝蘚初期兩班硏究』", 한국학술정보, 2003

      7 차장섭, "『조선후기벌열연구』", 일조각, 1997

      8 심승구, "「朝鮮初期 武科制度」", 『북악사론』 1, 북악사학회, 1989

      9 정해은, "「조선후기 무과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93

      10 박홍갑, "「조선후기의 선전관」", 『사학연구』 41, 한국사학회.(1990: 『조선시대 문읍제도연구』, 탐구당, 재수록), 1994

      1 심승구, "朝鮮初期 武科制度",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5

      2 심승구, "朝鮮前期 武科硏究",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4

      3 이존희, "朝鮮前期의 外官制",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4

      4 김용국, "「田雲祥과 해골선」", 大韓民國學術院, 1981

      5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도』", 한국학술정보, 2004

      6 이성무, "『朝蘚初期兩班硏究』", 한국학술정보, 2003

      7 차장섭, "『조선후기벌열연구』", 일조각, 1997

      8 심승구, "「朝鮮初期 武科制度」", 『북악사론』 1, 북악사학회, 1989

      9 정해은, "「조선후기 무과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93

      10 박홍갑, "「조선후기의 선전관」", 『사학연구』 41, 한국사학회.(1990: 『조선시대 문읍제도연구』, 탐구당, 재수록), 1994

      11 성봉현, 전경목, "『호서지방의 고문서』",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2

      12 윤훈표, "朝鮮初期 武科制度硏究", 『학림』 9, 1987

      13 이해준, "『공주의 지리지 읍지』", 공주문화원, 2001

      14 정만조, "『조선의 정치와 사회』", 집문당, 2002

      15 윤훈표, "朝鮮初期 武科制度 硏究",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16 심승구, 조준호, 장피길, 이근호, "『조선후기의 방위체제』", 서울학연구소, 1998

      17 이종욱, "『한국사 상의 정치형태』", 일조각, 1993

      18 정해은, "朝鮮後期 武科及第者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9 김종수, "『朝鮮後期 中央軍制硏究』", 혜안, 2003

      20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21 김창현, "『조선초기 문과급제자연구』", 일조각, 1999

      22 이존희, "『朝鮮時代地方行政制度硏究』", 일지사, 1990

      23 이희권, "朝鮮後期 觀察使와 그 統治機能", 『전북사학』 9, 1985

      24 장필기, "『조선후기 무반벌족가문 연구』", 집문당, 2004

      25 이태진, "『조선후기의 정치 군영제변천』", 한국학연구원, 1985

      26 성봉현, "「공주 진주류씨의 전개와 충열사」", 『무인기상 드높인 충의 가문 진주류씨』, 공주문화원, 2009

      27 신영우, 이용률, "「將臣 申正熙의 仕宦 이력과 활동」", 『역사와 담론』 57, 호서사학회, 2010

      28 이해준, "「함안윤씨 공주 입향과 유적 인물」", 『공주 함안윤씨 인물, 유적』, 공주문화원, 2018

      29 장필기, "「朝鮮後期 『武譜』의 資料的 檢討」", 『朝鮮時代史學報』 7, 조선시대사학회, 1998

      30 이민웅, "「李忠武公全書의 內容과 歷史的價値」", ?『조성도 교수 환갑기념 충무공이순신연구논총』,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1991

      31 김일환, "「이순신의 아산낙향과 무과수련과정」", 『이순신연구논총』30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8

      32 정해은, "「충남 공주의 무반가문 진주류씨연구」", 『무인기상 드높인 충의 가문 진주류씨』, 2009

      33 고순영, "『조선후기 충청우도의 정려건립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4 정성희, "『성남지역에서 천장된 역사 인물 연구』", 「정묘호란 시기 안주성 전투와 남이흥 '장군'」성남문화원, 2005

      35 정해은, "조선시대 무과방목의 현황과 사료적 특성", 『군사』 47, 2002

      36 박진, "「조선 세조의 종친 양성과 군사적 역할」", 『군사』 72호, 2009

      37 김혜나, "「朝鮮 初期 武科及第者 位相에 대한 考察」",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8 성봉현, "「충청지역 소장 고문서 조사 현황과 과제」", 『충청학과 충청문화』 4,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6

      39 남금자, "「將臣 이종건의 武班閥族家系와 경제기반」", 『한국사연구』 176, 한국사연구회, 2017

      40 홍제연, "「대교천을 따라 이어진 진주류씨가의 흔적,」", 『무인기상 드높인 충의 가문 진주류씨』, 공주문화원, 2009

      41 이해준, "백일헌 이삼장군의 생애, 문무겸전의 이삼장군", 백제군사박물관, 2007, 2007

      42 장필기, "「鎭川 논실의 平山申氏 將臣閥族家系와 申鴻周」", 『역사와 담론 』 제 57집, 2011

      43 이병휴, "「賢良科 硏究- 士類의 進退 및 그 背景과 관련하여」", 『계명사학』 1, 계명대학 사학회, 1967

      44 정해은, "조선후기 무과방목에 나타난 급제자와 전력기재 양상", 『고문서연구』 27, 2005

      45 이홍열, "「만과설행의 정책사적 추이 : 조선중기를 중심으로」", 『사학연구』 18, 한국사학회, 1964

      46 김호일, "朝鮮後期의 外官制 ; 觀察使의 法制的 側面을 중심으로", 『국사관논총』 8, 1989

      47 김양수, 김양식, "조선후기 忠淸監司와 淸州守令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 『한국사연구』 125, 2004

      48 임병조, "「조선시대 관료층의 내포지방 정착과정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사학보』17, 한국교원대학교, 2000

      49 성봉현, "『홍성담양전씨가 고문서(충청문화연구소 자료총서 11)』",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5

      50 정해은, ""무보"를 통해서 본 19세기의 무과급제자의 관직 진출 양상", 『조선시대의 사회와 사상』, 1998

      51 이연숙, "「조선후기 내포지역 사마방목 입록 취이와 지역 앨리트」", 『지방사와 지방문화』7-2, 역사문화학회, 2004

      52 이병찬, 임병권, "『의령남씨충장공파 고문서(충청문화연구소 자료총서 14)』",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7

      53 이태진, "근세 조선전기 군사제도의 동요, 『한국군제사-근세조선전기편』", 육군사관학교 한국군사연구실, 1968

      54 장필기, "「조선후기 무벌의 형성과정- 별군직출신의 가계구성을 중심으로-」", 『김현길교수정년기념향토사학논총』, 동간행위원회, 1997

      55 장필기, "「조선시대 화성지역 함평이씨 함성군파 무반가계 구성과 문중경영」", 『한국학논총』 37,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56 강경윤, "인물사 자료의 문화자원 활용방안 연구 -백일헌 이삼 자료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57 박영진, "조선초기 무과출신의 사회적 지위:태종-성종년간의 급제자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39, 2001

      58 심승구, "朝鮮 宣祖代 武科及第者의 身分 : 1583∼1584년의 大量試取 榜目을 중심으로", 『역사학보』 144, 1994

      59 이성임, "「조선후기 경상도 한 武班家의 가족구조 재구성 : 호구단자와 일기의 비교검토」", 『대동문화연구』 83,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60 심승구, "壬辰倭亂중 武科及第者의 身分과 特性 :1594년(宣祖 27)의 別試武科榜目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92, 1996

      61 원창애, "「조선왕실종친가문에서 사대부가로의 변모 -덕천군파 이유간 가계를 중심으로-」", 『남명학연구』 48,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62 정해은, "「충남 공주의 무반가문 진주류씨연구」,『무인기상 드높인 충의 가문 진주류씨』", 공주문화원, 2009

      63 이재옥, "「조선시대 무과 재급제 현황과 재급제자 조사 : 무과방목의 전산화 자료를 중심으로」", 『장서각』 35,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64 정해은, "조선후기 무과입격자의 신분과 사회적 지위 숙종-정조년간의 무과방목분석을 중심으로-", 『청계사학』 11, 1994

      65 윤정, "「肅宗代 『忠武公家乘』편찬의 경위와 정치적 함의-『李忠武公全書』의 원전에 대한 검토」", 『역사와 실학』 55, 역사실학회,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