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간역사플랫폼을 활용한 역사도시의 공간상(空間像) 추정분석 : 조선 개국기 서울을 대상으로 = Estimation analysis urban forms of the histiorical city using the spacial history platform : focused on Seoul in the early stage of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172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市立大學校,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市立大學校 大學院 都市工學科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39.7 판사항(6)

      • DDC

        711.4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111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金基虎
        참고문헌: p. 64-10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s about the methodology of building a spatial history platform that allows to explore the old aspects of urban space. The methodology is presented and operated experimentally, and the results are used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the method...

      The study is about the methodology of building a spatial history platform that allows to explore the old aspects of urban space. The methodology is presented and operated experimentally, and the results are used to identify the potential of the methodology and its completeness in the future.
      Using the two historical materials, called "Doseongdaejido" and "Silok of the Joseon Dynasty," the collection of spatial information that allows to see the appearance of the urban space during the Joseon Dynasty's founding period, and map them on the map to examine the spatial patterns of the time.
      As a result, this system can provid an opportunity to take a time-serving look at the urban space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now known as Seoul, in two dimensions but also opened the possibility to visually check the historical form of urban sp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도시공간의 옛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공간역사플랫폼을 구축하는 방법론에 대한 것이다.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운용하고 그 결과를 통해 방법론의 가능성과 향후 ...

      이 연구는 도시공간의 옛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공간역사플랫폼을 구축하는 방법론에 대한 것이다.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운용하고 그 결과를 통해 방법론의 가능성과 향후 보완점을 파악하는데 있다.
      도성대지도와 조선왕조실록이라는 두 사료를 기초데이터로 활용하여 조선 개국기의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공간정보들을 추출하고 이를 지도에 맵핑하여 당시의 공간양상을 살펴보는 내용이다.
      결과적으로 기존에 회자되는 조선시대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의 모습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이를 통해 문자형태로만 이해되던 도시공간의 역사적 형태를 2차원이지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 배경 1
      • 제2절 연구 목적 4
      • 제3절 연구 범위 5
      • 제2장 선행연구 및 용어정의
      •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 배경 1
      • 제2절 연구 목적 4
      • 제3절 연구 범위 5
      • 제2장 선행연구 및 용어정의
      • 제1절 선행연구 9
      • 제2절 용어정의 16
      • 제3장 연구방법 고찰
      • 제1절 연구흐름 19
      • 제2절 단계별 연구방법 21
      • 1.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21
      • 2.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43
      • 제4장 조선개국기 서울의 공간역사플랫폼 구축
      • 제1절 태조대의 서울 공간상(空間像) 47
      • 제2절 정종대의 서울 공간상(空間像) 51
      • 제3절 태종대의 서울 공간상(空間像) 54
      • 제5장 결론 61
      • □ 참고문헌 64
      • □ ABSTRACT 109
      • □ 감사의 글 11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도시사, 태학사", 서울, 2007

      2 정성일, "통신사기록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역사와 경 계, 제55권, 부산경남사학회, 2005

      3 김일림, 정희선, 이은숙, "“종로 문학공간의 데이터베이 스 구축방안”", 문화역사지리, 제19권, 제2호, 한국문화역사지 리학회, 2007

      4 김종혁, "“역사지도 제작을 위한 역사지리환경의 복원”", 한국지도학회지, 제13권, 제2호, 한국지도학회, 2013

      5 강순애,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구축과 공동활용 방 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2권, 제3호,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6 성춘자, "“공간정보기반의 한국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 설계 ”",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7 이옥선, "“디지털 동여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기반 고 지도 서비스”", 역사문화지리, 제24권,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2

      8 최무용, "“도시공간의 옛모습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플 랫폼 구축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34권, 대한건축 학회, 2018

      9 윤정란, "“젠더 관점에서 본 역사문화지도 데이터베이 스 구축과정 -전남동부연안권 및 섬진강 유역의 역사분야를 중심으로”", 여성과 역사, 제13권, 한국여성사학회, 2010

      1 고동환, "조선시대 서울도시사, 태학사", 서울, 2007

      2 정성일, "통신사기록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역사와 경 계, 제55권, 부산경남사학회, 2005

      3 김일림, 정희선, 이은숙, "“종로 문학공간의 데이터베이 스 구축방안”", 문화역사지리, 제19권, 제2호, 한국문화역사지 리학회, 2007

      4 김종혁, "“역사지도 제작을 위한 역사지리환경의 복원”", 한국지도학회지, 제13권, 제2호, 한국지도학회, 2013

      5 강순애,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구축과 공동활용 방 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2권, 제3호,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6 성춘자, "“공간정보기반의 한국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 설계 ”",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7 이옥선, "“디지털 동여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웹기반 고 지도 서비스”", 역사문화지리, 제24권,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2

      8 최무용, "“도시공간의 옛모습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플 랫폼 구축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34권, 대한건축 학회, 2018

      9 윤정란, "“젠더 관점에서 본 역사문화지도 데이터베이 스 구축과정 -전남동부연안권 및 섬진강 유역의 역사분야를 중심으로”", 여성과 역사, 제13권, 한국여성사학회,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