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 조선불교도연맹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675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국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국대학교 대학원 북한학과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11.1 판사항(6)

      • DDC

        951.9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321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고유환
        참고문헌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Joseon Dynasty feudal system, the Reform Movement of the Gaewha Party, which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modern state to guarantee people’s equl rights and basic rights, caused a sudden change, but ended in three days. The ma...

      In the Joseon Dynasty feudal system, the Reform Movement of the Gaewha Party, which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modern state to guarantee people’s equl rights and basic rights, caused a sudden change, but ended in three days. The main figures of the Party such as Kim Ok-gyun, Park Young-hyo, and Hong Young-sik made Buddhist temples like Bongeunsa, Hwagyesa, and Baekdamsa under the guidance of Buddhist leaders such as Yu Dae-chi, Oh Kyoung-seok, Ven. Lee Dong-in, and Ven. Tak Mong-seong. After the forced colonization of Korea by Japan, socialism began to prevail to some Korean monks in Japan and to Junganghakrim and Hyehwa college students who were at the forefron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ism.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struggle of the Korean Buddhist circle had actively developed in and around the Seonhakwon temple. Ven. Manhae Han Yong-un was at the center of the nationalist, socialist, and anarchist monks. In the 1930s, nationalism-oriented Kim Beop-rin in Hyehwa buddhist College, organized the Mandang, a secret organization. Along with Kim Won-bong, Unam Kim Seong-sook was a member of heroic corps called ‘Euiyoldan’ as a socialist and anarchist and they fought against Japan arou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Shanghai in China and both at home and abroa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in 1945, many political organizations from all walks of life showed up. The Socialistic buddhist Innovation Federation consisted of Chairman Jang Sang-bong and Vice-Chairman Kim Yong-dam (Deputy of Ven. Manhae) insisted on sweeping pro-Japanese settlement and superstition as well as innovating and popularizing Korean Buddhism. It was in April and August 1946 that the socialist monks were known to the world when ‘the national conference of all national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 was held in Pyongyang and Haeju in which Kim Gu and Kim gyu-sik participated. Prior to the Korean War, fifty six socialist monks had defected to the North Korea, they played a pivotal ole in establishing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North Joseon Buddhist General Federation was established on December 26, 1946 and started supervising all of the Buddhist activitie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owever, with Kim Jon-un taking the helm of the communist regime, the North Korean leadership has shown a hereditary succession of the ghree generations from Kim Il-sung since its foundation in 1948. The North Korea has established an ideological foundation for building ‘the national independence socialism’ through the Kim Il-sung and Kim Jong-il regimes based on the Juche thought. The allowed religion to play the role of a social group serving to construct socialism by collectivizing the society. In other words, religion has been subordinate to the state from the beginning. The North Korean regime as in the former Soviet Union and China has taken religion as a target of class struggle. The traditional Korean religions such as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as well as Christianity have been all taken as an anti-communism groups and serving for the class of exploitation, thus being subjected to oppression.
      The North Korea regime’s new religious policy which had been gradually carried out since the 1960s was promoted in earnest from the 1980s. North Korea intends to ultimately exterminate religion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ist construction ideology, but in the reality religion is strictly present among the lives of the people. Therefore the new religion policy of patriotic use and limited recognition is progressively pursued as in the former Soviet Union and China. This is, of course, because of the internal diagnosis by the North Korean’s authorities that religion is not a threat to the major vehichle or regime of foreign intervention. In other words, the foundation of the regime was firmly established and North Korea’s religion was recognized within its regime.
      However, the new religious has been changed in a way that expands the people’s activities of religion unlike as was intended by the regime. Though limited, if religious activities are guaranteed, the tradition patriotic Buddhist religion is likely to be continued to develop through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t would bring out such socio-cultural religious exchange that overcomes the ideological different frameworks of North and South Korea.
      The Joseon Buddhist Federation (hereafter Jobulyon) which was renamed as it is in 1972 has currently about 10.000 believers, 300 registered monks, and 68 temples. The Chairperson Kang Soo-rin who was elected as the sixth chairman in November 2012, is conducting a national-wide organizational project and training monks through Jobulyon affiliated organization called Bulhakwon school. Since May 1988, North Korean monks have held regular rituals a the four major Buddhist holidays including Buddha’s Birth Day and Enlightened Nirvana Day. They hold traditional red lyrics on black or gray Jangsam uniform at various events. Jobulyon’s main tasks are to first exchange religious matters with other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n Buddhists and cooperate with international Buddhists: secondly it intends to maintain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Buddhism by educating monks through Bulhakwon school and thirdly to manage temples for preseving national cultural heritage.
      Religion in North Korea should be understood as a part of North Korean society. Much research of North Korea religion is needed in order to normalize religious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by reexamining the organization and role of Jobulyon. In addition, based on the researches such as history, humanities, and political science, it is necessary to have North Korea authorities aware of the possibilities that their socialist system and religion could coexist. Thi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actical freedom of religious life in North Korea. It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normalizing the religious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 1. 연구의 범위 7
      • 2. 연구의 방법 8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 1. 연구의 범위 7
      • 2. 연구의 방법 8
      • 제2장 북한의 종교관과 종교정책 11
      • 제1절 사회주의와 종교 13
      • 제2절 북한의 종교 역사 17
      • 1. 해방 전후의 북한종교(1945년 8월 15일 광복~1950년 한국전쟁 이전) 17
      • 2. 한국전쟁시기의 북한종교 (1950년 6월 25일~1953년7월 27일 휴전) 21
      • 3. 주체사상확립 시기의 북한종교 (한국전쟁 이후~1970년대 초반) 23
      • 4. 통일전선 시기의 북한종교 (7.4남북공동성명~1990년대 초반) 28
      • 5. 교류 모색기의 북한종교(1990년대) 34
      • 6. 남북교류시기의 북한종교 (2000년대 이후) 39
      • 제3절 북한 종교 정책의 변화 47
      • 1. 북한 법률에 나타난 종교정책의 변화 48
      • 2. 북한 최고지도자의 종교관과 사찰 현지지도 53
      • 3. 북한의 중요 사전의 종교 용어 정의(定義)의 변화 67
      • 제4절 북한 종교 단체의 현황과 북한 인민들의 종교적 심성 81
      • 1. 북한 종교 단체의 현황 81
      • 2. 북한 인민의 종교적 신앙 가능성 88
      • 제3장 조선불교도연맹 전사(前史) 97
      • 제1절 한국 불교계의 항일투쟁과 사회주의 승려 97
      • 1. 조선왕조 말기 개화파의 승려들 97
      • 2. 일제강점기의 불교계 항일투쟁과 혁신 승려들 100
      • 3. 815 해방 전 사회주의 계열 승려들의 활동 114
      • 제2절 815 해방과 불교계 혁신운동 125
      • 1. 불교혁신총연맹(이하 총연맹) 130
      • 2. 전국불교도총연맹의 결성 131
      • 3. 해방공간의 혁신단체(불교혁신 총연맹 참가 7개 단체와 혁신단체) 133
      • 제3절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와 불교계 143
      • 1. 연석회의 진행경과 143
      • 2. 불교계와 연석회의 150
      • 제4절 한국전쟁과 사회주의 승려들의 활동 155
      • 1. 한국전쟁의 상황 155
      • 2. 한국전쟁 시 서울에서의 불교혁신운동 157
      • 3. 한국전쟁 당시 불교혁신운동에 대한 평가 161
      • 제4장 조선불교도연맹의 역사와 조직 170
      • 제1절 조불련의 역사 개관 170
      • 1. 조불련 창립 전후의 시대상황 170
      • 제2절 조불련 조직의 특징과 체계 174
      • 1. 조불련의 특징 174
      • 2. 조불련의 조직 체계와 소임자 177
      • 3. 조불련의 문중 184
      • 4. 조불련의 법계제도 190
      • 5. 조불련의 불교교육기관 193
      • 6. 조불련의 역경사업 203
      • 7. 조불련의 신도조직 208
      • 8. 조불련의 현존 사찰 211
      • 제3절 조불련의 역대 주요 인물 215
      • 1. 박태화(朴泰和) 대선사: 일명 박태호(朴泰浩: 3대 위원장) 216
      • 2. 홍화두 대선사(고문) 219
      • 3. 황병준 대선사(부위원장): 개명 전 황병대 221
      • 4. 법봉(法峰) 심상진 대선사(제5대 위원장): 본명 심상련, 제5대 위원장 222
      • 5. 성보 류영선 대선사: 제4대 위원장 224
      • 6. 서화 정서정 대선사 225
      • 7. 지성 강수린 대선사(6대 위원장) 228
      • 8. 리규룡 대선사 229
      • 9. 차금철 선사 230
      • 10. 최형민 대선사 : 법명 청운(靑雲) 232
      • 11. 그 외의 조불련 주요 임원 233
      • 12. 북한 주요 사찰의 스님들 237
      • 13. 조불련 전국신도회 주요 임원 238
      • 제4절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의 재일본조선불교도연맹 240
      • 1. 재일조불련의 창립과 활동 240
      • 2. 북한지도자와 재일조불련 스님들 243
      • 제5장 남북 불교 교류협력과 북한 불교의 지속가능성 246
      • 제1절 남북 불교 교류협력의 역사 246
      • 1.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제1차 남북 및 해외동포 불교도 합동 법회 247
      • 2. 금강산 신계사의 복원 252
      • 3. 개성 령(영)통사(靈通寺)의 복원과 남한 천태종 258
      • 4. 북한 사찰 단청 지원 261
      • 제2절 남북 불교 교류와 북한 불교의 변화 265
      • 제3절 북한 종교 변화에 대한 평가 270
      • 1. 북한 종교 정책의 실질적 변천과정 270
      • 2. 북한 신종교정책의 본격화와 종교패러다임의 변화 279
      • 제4절 북한 불교의 지속 가능성 284
      • 1. 북한 불교의 현실 284
      • 2. 북한에서 보는 불교의 지속가능성 288
      • 제6장 결 론 299
      • 참 고 문 헌 305
      • ABSTRACT 31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평양사회과학역사연구소, "『발해사』", 한마당, (『조선전사』제5권 발해사 전제,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1989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력사사전』", 평양 : 사 회과학원출판부, 1973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력사사전』", 사회과학 원 역사연구소(일본 동경 학우서방 번각발행), 1972

      4 조선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통사』", 도서출판 우월, 1988

      5 조선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철학사전』", 도서출판 힘, 1988

      6 통일부 통일정책실, "『통일백서』", 서울 : 양동문화사, 2005

      7 KIM, JONG IL, "『Brief History』", 외국어 출판사, 2000

      8 고태우, "“북한의 불교”", 『북한학보』, 13집, (약호 : 북한학보 13집), 1989

      9 정태혁, "『북한의 불교』", 서울 : 국토통일원, 1979

      10 정태혁, "『북한의 종교』", 서울 : 국토통일원, 1979

      1 평양사회과학역사연구소, "『발해사』", 한마당, (『조선전사』제5권 발해사 전제,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1989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력사사전』", 평양 : 사 회과학원출판부, 1973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력사사전』", 사회과학 원 역사연구소(일본 동경 학우서방 번각발행), 1972

      4 조선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통사』", 도서출판 우월, 1988

      5 조선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철학사전』", 도서출판 힘, 1988

      6 통일부 통일정책실, "『통일백서』", 서울 : 양동문화사, 2005

      7 KIM, JONG IL, "『Brief History』", 외국어 출판사, 2000

      8 고태우, "“북한의 불교”", 『북한학보』, 13집, (약호 : 북한학보 13집), 1989

      9 정태혁, "『북한의 불교』", 서울 : 국토통일원, 1979

      10 정태혁, "『북한의 종교』", 서울 : 국토통일원, 1979

      11 신광수(법타), "『북한불교연구』", 서울 : 민족사, 2003

      12 고림, "『주체철학입문』", 구월서방, 1988

      13 고림, "『주체철학입문』", 구월서방, 1989

      14 길병옥, 라미경, "『통일정책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5

      15 고태우, "『북한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6

      16 송국현, "『세계의 김정일』", 평양 : 평양출판사, 2001

      17 임순희, "『조선녀성 분석』", 서울: 통일연구원, 2003

      18 김화효, 박용곤, "『주체사상 입문』", 구월서방, 1989

      19 김철희, "『주체의 인생관』",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4

      20 김철희, "『주체의 인생관』",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8

      21 통일문학편집부, "『통일이 보인다』", 평양 : 평양출판사, 2005

      22 오익제, "『현세의 한울림』", 평양 : 평양출판사, 1999

      23 리형민, 정인덕, "『21세기 태양찬가』", 평양 : 평양출판사, 2005

      24 신광수(법타), "『북한불교답사기』", 서울 : 민족사, 1998

      25 박득준, "『조선근대교육사』",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8

      26 서정균, "「주체사상의 창시」", 『조국』3, 4월호, 미국 조국통일 미주협 회, 1989

      27 하종필, "『북한의 종교문화』", 서울 : 선인, 2003

      28 고태우, "『북한의 종교정책』", 서울 : 민족문화사, (약호 :N.R.K), 1989

      29 정태혁, "『불교와 공산주의』", 서울 : 국토통일원, 1979

      30 최봉익, "『조선철학사 개요』",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한마당 재판, 1989), 1986

      31 리용준, "『천하명승 금강산』", 조선사회과학 출판사 : 평양, 1989

      32 이지범, "“북한불교의 역사,”", 불교닷컴 칼럼, 2012

      33 문장순, "『북한 종교의 이해』", 서울 : 도서출판 대명, 2007

      34 최영호, "“주체사상에 대하여”", 『역사비평』계간 2호, 역사연구소, 1988

      35 박승덕, 북미주 기독학자회, "『기독교와 주체사상』", 서울 : 신앙과 지성사, 1993

      36 홍사성, "『북한불교의 재인식』", 月刊佛敎社, 1989

      37 윤여상, 한선영, 윤중근, "『북한종교자유 백서』", 서울 : 북한인 권정보센터, 2014, 2014

      38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 평양 : 조선노동당출판사, 1982

      39 최기환, "『6.15시대와 민족종교』", 평양 : 평양출판사, 2005

      40 이우영, 조한혜정, "『탈분단 시대를 열며』", 서울 : 삼인, 2000

      41 강근조, 최경혜, "『평양의 어제와 오늘』",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6

      42 김강일, 탁진, 박홍제, "『김정일 지도자』 제2부", 동방사, 동경, 1984

      43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제1권』", 평양 :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4

      44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제2권』", 평양 :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4

      45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제3권』", 평양 :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4

      46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제4권』", 평양 :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4

      47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제5권』", 평양 :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4

      48 김영, "『선군정치와 조국통일』", 평양 : 평양출판사, 2004

      49 윤성식, "『자주통일의 기치따라』", 평양 : 평양출판사, 2004

      50 이지범, "“북한의 불교교육기관,”", 불교닷컴 칼럼, 2012

      51 井上周入, "『現代朝鮮(金正日秘書)』", 동경 : 응산각출판사, 1983

      52 하종필, "『남북한 종교통합 방안』", 서울 : 선인, 2005

      53 심상진, "『불교도들의 참다운 삶』", 조선불교도련맹중앙위원회, 2001

      54 윤여상, "『2014 북한 종교자유 백서』", 서울 : 북한인권정보센터,, 2014

      55 박완신, "『북한종교와 선교통일론』", 서울 : 지구문화사, 1996

      56 조성열, "“북한불교의 특징과 성격”", 『북한학연구』, 제6권 제2호, 동국대 북한학연구소, 2010

      57 류성민, "『김정일 이후의 북한선교』", 서울: 모퉁이돌선교회, 2008

      58 김철우, "『김정일 장군의 선군정치』", 평양 : 평양출판사, 2000

      59 김홍수, 류대영, "『북한종교의 새로운 이해』", 서울 : 다산글방, 2002

      60 심병철, "『조국통일문제 100문 100답』", 평양 : 평양출판사, 2003

      61 조민, "『평화통일의 이상과 현실』", 서울 : 백산서당, 2004

      62 최기환, "『영원한 태양 김일성 주석』", 평양 : 평양출판사, 2002

      63 류연식, "로남, 『금수강산 우리조국』",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6

      64 고성준, 김갑철, "『주체사상과 북한사회주의』", 일산 : 문우사, (약 호 : 김갑철), 1988

      65 신광수(법타), 차종환, "『21세기를 맞는 오늘의 북한』", 양동출판사, 2005

      66 황병덕, "『국제적 통일역량 강화방안』", 서울 : 통일연구원, 2003

      67 김재호, "『김정일 강성대국 건설전략』", 평양 : 평양출판사, 2000

      68 임혜봉, "『일제하 불교계의 항일운동』", 서울: 민족사, 2001

      69 김광식, "『한국 근대불교의 현실인식』", 민족사학술총서 42, 서울: 민족 사, 1998

      70 박영호, "『한반도 평화정착 추진전략』", 서울 : 통일연구원, 2003

      71 최희숙,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 전망”", 이화여대 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석사논문, 2003

      72 김인옥, "『김정일 장군 선군 정치리론』", 평양: 평양출판사, 2005

      73 김희태, 정베드로, "『박해: 북한 지하교회의 실상』", 서울 : 북한정의연 대, 2013

      74 장석, "『김정일 장군 조국통일론연구』", 평양 : 평양출판사, 2001

      75 정하철, "『우리는 왜 종교를 반대하는가』", 조선노동당, 1959

      76 김일성,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 방침』", 조국통일사, 1974

      77 강충희, 원영수, "『6.15자주통일시대 : 평양출판사』",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2005

      78 송승환, "『우리민족제일주의와 조국통일』", 평양 : 평양출판사, 2004

      79 한석봉, "『우리나라 불교 주체의 나라 1권』", 평양 : 평양출판사, 1989

      80 김홍수, "“북한종교의 변화와 사회적 환경”", 『종교연구』, 제32집, 2003

      81 김일성, "“우리 민족의 대단결을 이룩하자”", 『조선중앙 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92, 1992

      82 JO, Song Baek, "『The Leadershyo philosophy of KIM. JONG. IL』", 외 국어 출판사, 1999

      83 조선로동당중앙위원회직속 당력사연구소, "『김일성 저작선집』1 · 2 · 5 · 30권",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null

      84 이금순, "『대북인도적 지원의 영향력 분석』", 서울 : 통일연구원, 2003

      85 조성백, "『세계를 매혹시키는 김정일 정치』", 평양 : 평양출판사, 1999

      86 강충희, "『조국통일 3대 공조 : 평양출판사』", 2005

      87 강운빈, "『주체사상의 창시와 역사적 의미』",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3

      88 북한연구소, "“부처님 자비가 북녘에도 깃들기를”", 『북한』, 1950

      89 김병로,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와 종교실태』", 서울 : 통일연구원, 2002

      90 조광, "􋺵북한의 종교 현황과 종교적 심성􋺶", 서울 : 새남, 『민족의 화해를 향하여』, 1996

      91 남궁경, "“북한의 종교정책과 장충성당의 건립”",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 논문, 2001

      92 박영규, "『남북한 통합과 통일인프라 확장방안』", 서울 : 통일연구원, 2005

      93 박종철, "『평화번영정책의 이론적 기초와 과제』", 서울 : 통일연구원, 2003

      94 윤진숙, "“종교의 자유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 제20 권 제2호, 2010

      95 김정일, "『주체의 혁명관을 튼튼히 세울 데 대하여』", 재일본조선인총연 합회중앙상임위원회, 1988

      96 노컷뉴스, "“통일부 조계종 금강산 신계사 방문 허용,”", 2013

      97 박승덕, "“기독교에 대하는 주체사상의 새로운 관점”", 『기독교와 주체사 상』, 서울: 신앙과 지성사, 1993

      98 E.베비, "『북한대학원 대학교 편집 : 북한연구방법론』", 2005

      99 홍정자,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 전체는 하나를 위하여』", 평양 : 평양출 판사, 2004

      100 노컷뉴스, "“北, 칠골교회 리모델링...‘새 모습 드려내,’”", 2014

      101 신광수(법타), "『(사)조국평화통일 불교협회 : 평불협 10돌 백서』", 여래기 획, 2002

      102 레닌, "김탁 역, “사회주의와 종교,”『레닌 저작집 3-3』", 서울 : 전진출판 사, 1990

      103 서재진, "『북한의 맑스 – 레닌주의와 주체사상 비교연구』", 서울 : 통일 연구원, 2002

      104 허종호, "『주체사상에 기초한 남조선혁명과 조국통일 리론』", (평양: 사 회과학출판사, 1975

      105 김일성, "『온 사회를 주체사상화하기 위한 인민정권의 과업』", 평양 : 삼 학사, 1982

      106 김정일, "『쿠바신문 그란마 사장이 제기한 질문에 대한 대답』", 평양 : 조선노동당출판사, 1989

      107 신광수, "(법타), 「남북한 불교교류를 위한 제언」, 『현대불교』", 현대불교 사, 1990

      108 김원곤, "“세계화시대 북한의 종교정책과 종교자유에 관한 연구”", 『선교 신학』, 제26집, 2011

      109 김일성, "『주체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조선인민의 투쟁에 대하여』", 평양 : 조선노동당출판사, 1983

      110 김정일, "『맑스레닌주의와 주체사상의 기치를 높이들고 나아가자』", 조선 노동당출판사, 1984

      111 일본조선연구소,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국민경제발전 통계집 1946~1960』", 평양 : 외국문출판사,, 1961

      112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45: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 1 (1912.4~1930. 5)』",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113 지승철, "『대성산 일대의 유적을 통하여 본 고구려의 강성 과학백 과』", 사전출판사, 2005

      114 김규일,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를 통해본 북한선교의 전략에 대한 연구”", 아세아신학대학 대학원 석사논문, 2006

      115 신광수, 이서행, "(법타) 외, 『한국정신문화원 편 : 남북사회문화 교류와 북한의 한국학』", 백산서당, 2004

      116 신광수, "「사찰 방문에서 나타난 북한 현지지도사업의 특성과 종 교정책의 변화」", 『북한학연구』, Vol.13 No.1, 2017

      117 존 물리뉴, "천형석 역,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마르크 스주의 철학 입문』", 서울 : 책갈피, 2013

      118 김일성, "『주체의 혁명적 가치를 높이 들고 사회주의, 공산주의 위업을 끝까지 완성하자』", 평양 : 조선노동당출판사, 1988

      119 박영호, "『통일시나리오와 통일과정상의 정책추진 방안 : 이론적 모델 과 전문가 인식 조사』", 서울 : 통일연구원,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