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靜庵 趙光祖의 至治에 관한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07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关于静庵赵光祖的至治研究 柳炫州 儒学大学院 儒学科 ...

      关于静庵赵光祖的至治研究



      柳炫州
      儒学大学院 儒学科
      成均馆大学校



      静庵赵光祖作为韩国思想史上最具代表性的道学家之一,一直致力于实现以性理学为基础的道德政治的理想社会.
      儒学在本质上是一种实践哲学,因此儒学者们最终级的目标就是将理念具体的实现到现实社会里去. 儒学追求的理想就是在现实社会中实现仁义礼智之道,而这种道的实践在儒学中被称之为大同,而用行动去实践道则被称之为德治.
      朝鲜时代的道学思想家赵光祖希望当时的社会也能实现大同的景象,我们将此称之为至治. ‘至治’取自《书经·君陈篇》“至治馨香,感于神明”一处,即社会治理有方的话神明都会被感动. 也就是说在静庵看来,政治并不是为了维持权利而进行的单纯的支配和统治,而是一种修养和感化的德治主义政治.
      静庵所构建的实现至治的原理是:崇道学,正人心,法圣贤,兴至治,这也是他的道学政治论. 静庵至治的根本是道学思想,道学就是通过对人伦事实进行判断的客观真理和对价值判断规则知识的正确认识进行真正的人格修养,为了实现社会的爱与正义不断去实践的学问. ‘夫子之道,天地之道也;夫子之心,天地之心也’,静庵非常尊崇孔子,认为‘夫君臣者,为民而设也,上下须知此意,昼夜以民为心,则治道可成’,强调应以道为根本,以为民·爱民为思想的核心,严格区分义和利,公和私,理和欲,特别是权利阶级更要慎戒利欲,所有人都应当按照自己的本分遵守公理.
      虽然静庵在为实现自己的理想社会的途中不幸夭折,终年仅有38岁,但是就像栗谷所说,他死后成为了朝鲜儒林永远尊崇的领袖. 后世对于静庵的评价虽然过于表面化,也多少有些狭隘,但是本文所要重点考察的不是静庵个人,而是他为了构建理想社会做出了什么样的努力,他的这些努力对于生活在现在的我们来说又具有什么样的价值,而对这样的价值我们是否有着正确的认识. 彻头彻尾的去实行‘人可弘道,非道弘人’的学问,严格践行至治的道学者之中,我们将追随的是最具代表性的人物-赵光祖,跟着他的足迹去考察.
      静庵所追求道学的理想社会不是以财物, 法律或刑罚来治理的社会. 静庵推行了许多‘改革’,所谓的这些改革看起来好像外形有些改变,但实际上这些变化的内部强调的是他所追求的那些不变,而那些不变正是本论文的核心. 那些不变是让人活的更像人的世界,即一个遵守本分社会的实现。静庵学问的最终极目标,也是他的理想学问就是‘吾即圣人’,即成为真理。因此构建遵守本分的社会,其开端就是‘正己’.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靜庵 趙光祖의 至治에 관한 硏究 靜庵 趙光祖(1482-1519)는 한국 사상사에서 가장 대표적인 道學者로서 性理學 이념을 바탕으로 道德政治가 구현되는 理想社會를 구현하고자 노력한 자이다...

      靜庵 趙光祖의 至治에 관한 硏究


      靜庵 趙光祖(1482-1519)는 한국 사상사에서 가장 대표적인 道學者로서 性理學 이념을 바탕으로 道德政治가 구현되는 理想社會를 구현하고자 노력한 자이다.
      유학은 본질적으로 實踐哲學이다. 그래서 유학자들은 이념을 현실 속에 구현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유학이 추구하는 이상은 仁義禮智의 道를 현실세계에 실현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선시대 道學思想家 趙光祖는 大同의 모습을 조선 땅에서 구현해보고자 하였으니, 그것을 우리는 ‘至治’라고 부른다. ‘至治’는『書經』「君陳篇」의 “至治馨香 感于神明”이라 한 것에서 취한 것으로 잘 다스려진 인간세계의 향기는 神明을 感銘시킬수 있다는 것이다. 즉, 靜庵에 있어서 정치란 단순히 지배하고 통치하는 권력유지의 차원이 아니라 修養과 感化의 정치 곧 德治主義의 관점에서 풀이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靜庵이 내세운 至治의 구현 원리는 “도학을 존숭하고(崇道學), 인심을 바르게 하며(正人心), 성현을 본받음으로써(法聖賢) 지치를 일으킬 것(興至治)”을 내세웠으니, 이것이 바로 ‘趙光祖의 道學政治論’이다. 靜庵 至治의 근본은 道學思想에 있다. 도학이란 人倫에 대한 사실판단으로서의 객관적 진리와 가치판단으로서의 규범적 지식을 올바르게 인식하여 참된 인격을 수양하고 사회에 사랑과 정의를 구현하려는 實踐的 학문이다.
      ‘孔子의 道는 천지의 道이며 孔子의 마음은 천지의 마음이다’하여 孔子를 존숭하였던 靜庵은 “대저 임금과 신하는 백성을 위하여 설치된 것이므로 군신 상하가 모름지기 이 의미를 알아서 밤낮으로 백성으로써 자기의 마음을 삼으면(以民爲心) 治道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하였으니, 道를 근본으로 하고 爲民․愛民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義와 利, 公과 私, 理와 慾을 엄격히 분변하여 집권층의 利慾을 극히 경계하고, 모든 사람들이 본분에 따라 公理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靜庵은 자신이 꿈꾸던 이상사회를 펼치던 도중 38세의 나이로 종명 하였지만, 栗谷이 말했듯 사후 조선조 유림의 領袖로 영원한 존숭을 받았다. 靜庵에 대한 후세의 평가는 皮相的이거나 다소 偏狹한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靜庵 한 개인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그가 이상사회를 만들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했으며, 그것이 전하는 바의 의미가 현재 우리들에게 남기는 가치에 대하여 제대로 아는 것이 중요한 것이라 여겨진다. ‘사람이 道를 넓히는 것이지 道가 사람을 넓힐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을 철저하게 실행하여 지독하게 至治를 이루고자 하였던 도학자들,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인물 趙光祖의 자취를 따라가 보았다.
      靜庵이 생각하는 도학적 이상이 실현되는 사회는 재물이나 법 또는 형으로써 다스려지는 세상이 아니었다. 靜庵은 수많은 ‘개혁’을 추진하였는데 개혁이라고 불리는 것들이 外形的으로는 새로운 변화를 시도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실상으로 들어가 보면 그는 추구하는 가운데 변화하지 않는 것을 강조하였으니, 본고의 핵심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그것은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 즉, 근본이 지켜지는 사회의 구현에 있었던 것이다. 靜庵 학문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이자 이상은 학문을 하는 내 자신이 ‘聖人’ 즉, 진리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근본이 지켜지는 사회의 시작은 다름 아닌 바로 ‘나’를 바로 잡는(正己)데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緖 論
      • 1. 硏究目的과 必要性
      • 2. 硏究範圍와 方法
      • Ⅱ. 時代的 狀況과 理念의 問題
      • Ⅰ. 緖 論
      • 1. 硏究目的과 必要性
      • 2. 硏究範圍와 方法
      • Ⅱ. 時代的 狀況과 理念의 問題
      • 1. 政敎理念의 沈滯와 國是의 混亂
      • 1) 道學의 受容過程과 道統의 問題
      • 2) 異敎의 隆盛과 道學理念의 沈滯
      • 3) 儒敎立國 이후 國是의 混亂
      • 2. 覇道政局의 形成과 王政의 失踪
      • 1) 燕山君의 登場과 政治社會的 不安
      • 2) 士林의 被禍와 兩大士禍의 性格
      • 3) 士氣의 停滯와 士習의 退步
      • Ⅲ. 靜庵 至治의 思想的 淵源
      • 1. 孔子의 德治論
      • 1) 堯舜의 中庸과 無爲政治
      • 2) 大同의 公義와 賢能選定
      • 2. 孟子의 王道政治論
      • 1) 聖君의 資質과 爲善의 追求
      • 2) 王道의 內容과 至治的 性格
      • Ⅳ. 靜庵 道學의 性理學的 基盤과 至治的 特性
      • 1. 靜庵 道學의 形成과 哲學的 基盤
      • 1) 寒暄堂의 實踐之學的 特性과 影響
      • 2) 靜庵 道學의 經學的 基盤과 性格
      • 2. 靜庵 至治論의 構造와 特性
      • 1) 天人無間의 存在論과 人間의 主體性
      • 2) 至誠의 價値論과 持敬의 追求
      • 3) 理想的 君主像과 政治의 方道
      • 4) 明道의 全一性과 愼獨의 踐履
      • Ⅴ. 靜庵 至治의 實現과 醇正한 完成
      • 1. 正道의 回復과 正統性 確立
      • 1) 言路의 擴充과 國是의 回復
      • 2) 異端의 排斥과 正學의 崇尙
      • 2. 泰和之域의 具現과 純一政治
      • 1) 科擧制 弊端과 薦擧制 導入
      • 2) 化民成俗과 隆平社會의 實現
      • 3. 國脈의 定立과 君臣相孚 政治
      • 1) 利慾의 根絶과 公道의 樹立
      • 2) 宰相責任論과 賢愚의 分辨
      • Ⅵ. 靜庵 至治의 影響과 現代的 意義
      • 1. 後代에 미친 靜庵의 至治主義
      • 1) 崇道倡學과 聖君政治論
      • 2) 啓道丹心과 至治의 再燃
      • 2. 靜庵 至治의 現代的 省察
      • 1) 政治指導者의 資格과 政治理念 確立
      • 2) 自我確認과 自己主體의 發揚
      • Ⅶ. 結 語
      • 參考文獻
      • 中文抄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