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 관요 청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08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관요 청자는 조선시대 중앙 관영수공업체제의 가마에서 제작된 청색 자기이다. 조선 왕실은 각종 제도, 의례, 절차에 이르기까지 명의 영향을 받았고, 명 황실로부터 사여 받는 것 자체...

      조선 관요 청자는 조선시대 중앙 관영수공업체제의 가마에서 제작된 청색 자기이다. 조선 왕실은 각종 제도, 의례, 절차에 이르기까지 명의 영향을 받았고, 명 황실로부터 사여 받는 것 자체에 큰 의미를 두었다. 명 황실이 조선 왕실에 전한 자기는 귀한 대상으로 인식되었고, 경기도 광주 일대 가마에서 제작된 백자, 청화백자, 청자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즉, 관요 청자의 등장은 제작기술의 집약이나 자연스런 제작전개의 수순에 따른 것이 아니라 왕실의 수요, 선호, 인식을 반영하여 이례적으로 이뤄졌다. 특히 밝은 태토에 청색 유약이 두껍게 시유된 용천요 청자는 관요 청자 제작에 일종의 견본이 되었다.
      조선 왕실은 <경국대전> 형전을 처음 편찬할 당시부터 청자와 백자 사용에 구별을 두고자 하였다. 그러나 <경국대전>의 교정과 재간행 과정에서 자기 사용에 대한 조항은 누락되거나 오역되어 한동안 이행되지 못하였다. 결국 관요 청자는 왕실 내에서 엄격한 규제 없이 사용되었고, 1555년 <경국대전주해>의 규정이 이행되면서 비로소 동궁이 사용할 기명이 되었다. 조선의 각종 의례와 관제, 학문 등 다양한 분야에 근간이 된 음양오행사상은 동궁이 사용하거나 갖추는 물품의 종류와 색, 상징물을 결정하는데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청과 동, 청색과 동궁을 동일시한 실례는 자기뿐만 아니라 기, 규, 복식에서도 확인된다. 이는 <경국대전>과 <경국대전주해>에서 동궁이 사용하는 기명으로 청자가 선택된 것이 결코 우연이 아니었음을 말해준다.
      <경국대전>과 <경국대전주해>가 편찬된 시기는 조선 왕실이 왕권의 당위성을 입증하고, 공고히 하려던 시기였다. 결국 위계별로 자기 사용에 구분을 두고자한 것은 왕실과 사회의 규범을 정립시키려는데 목적이 있었다. 동궁은 왕조의 근간이자 장차 왕의 자질과 덕목을 갖춰야하는 존재로서 왕의 소용품과 구별되는 기물을 사용하도록 요구받았다. 그런 의미에서 동을 상징하는 청색, 동궁이 사용하는 기물을 청색 자기로 연관 지음으로써 동궁의 성격, 자질, 의미를 더 배가시켰고, 동궁 소용품으로 선택된 관요 청자 또한 특별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관요 청자는 명대 자기를 재현하려는 조선 왕실의 의도에 의해 제작이 시작되었고, 동궁의 사용을 고려하여 제작이 지속될 수 있었다.
      관요가 운영되기 시작한 15세기 후반은 제작기술의 습득, 인원의 구성과 분담 제작체계의 설정 등 제작환경을 확립하는데 일정 기간이 소요되었다. 그 결과 관요 청자는 광주 일대의 사기장과 지방에서 차출된 사기장의 기술력에 각각 영향을 받았다. 16세기 초반에 이르면 관요는 전국 각지에서 수준 높은 자기 제작기술을 가진 사기장이 집결하여 한층 다양한 자기를 제작하게 되었다. 관요 청자 또한 이전에 비해 기형과 문양이 늘어났고, 특히 상감기법이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관요에서 상감청자로 제작된 기종은 대부분 향로, 화분처럼 한자리에 거치시켜 하중을 가하는 특수기명이자 향 문화와 화훼 문화를 위한 기호품이었다. 흥미롭게도 이들 관요 청자의 기종은 백자보다 사용빈도와 위계에 있어 우위를 점하였고, 고려청자의 기형과 문양을 그대로 재현하였다. 당시 조선에서 향 문화와 화훼 문화는 왕실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향유되고 있었다. 한편으로 조선인들에게 고려청자는 색과 문양에 대해 감상하던 일종의 고동완상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관요는 장식성이 중요한 기종을 백자 대신 청자로 제작하였고, 고려청자의 특징을 차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키고자 하였다.
      <경국대전주해>가 이행된 16세기 중반에는 관요 청자가 가장 다양한 기종과 기형으로 제작되었고, 무엇보다도 관요 백자의 영향이 뚜렷해졌다. 다만 관요 백자는 동일한 가마에서 제작된 경우라 하더라도 제작의 편차가 컸다. 반면에 관요 청자는 제작에 들인 공력의 지표를 고려할 때 양질 자기의 비중이 높은 차이를 보였다. 한편으로 관요 청자는 용천요 청자와 서로 분화된 영역에서 보완적인 관계로 사용되었고, 용천요 청자의 영향을 일부 받았다. 공식적인 절차를 통해 조선 왕실에 전해진 용천요 청자는 실제 유통된 용천요 청자와 차이를 보였다. 여기에 용천요 청자를 재현한 관요는 제작규모와 수준이 높은 가마로 한정되어 있었다. 이는 조선에서 선호되던 용천요 청자의 기종을 선별하여 수입하고, 특정 가마에 한해 제작을 주도한 이들이 있었음을 뜻한다.
      당시 시전은 공물 조달의무와 함께 독점 영업권을 보장받았고, 외국 물품의 유입 관문으로서 주된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판매물목별로 독점 판매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점차 부유층이나 왕실 친족이 실질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방식으로 변모해나갔다. 왕실 친족은 시전뿐만 아니라 사옹원 도제조, 제조와 부제조를 도맡아 사옹원의 운영을 주도하였다. 다시 말해 그들은 시전을 통해 유통되는 자기의 종류, 수량을 산정하고 필요에 따라 사옹원에서 자기 제작을 진행시킬 수 있었다. 관요 청자 또한 대부분의 제작과 유통 일체가 시전과 사옹원의 운영을 전담한 왕실 친족에 의해 결정되었을 것이다. 자연히 용천요 청자의 유통과 이를 관요 청자로 재현한 것은 왕실 친족에 의해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
      16세기 후반 조선 왕실은 지나친 행사와 자연재해로 인해 재정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왕실 행사를 줄이고 감선을 통해 타개책을 모색하였다. 관요 역시 운영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이전에 비해 제작할 자기의 종류와 수량을 대폭 줄였고, 전담 제작할 청자의 종류와 수량을 적정선에서 분담하였다. 이후 17세기 전란을 겪으며 관요의 제작여건은 더욱 열악해졌고, 관요 청자는 가마에 상관없이 기형, 문양이 획일적이 되었다. 상감기법 대신 음각이나 첩소기법만을 이용하는 등 제작에 들이는 공력이 줄여나갔고, 제작수준 또한 확연히 낮아졌다.
      17세기 후반이 되면 관요의 제작여건이 개선되고 청화백자의 제작이 본격적으로 이뤄진 반면 관요 청자는 돌연 소멸하였다. 조선은 청과의 세공체제를 정립한 1646년 이후 청화안료를 원활히 수입할 수 있었고, 청화백자는 문인들의 묘지로도 제작될 만큼 보급되었다. 관요에서 개인의 주문에 따라 자기를 제작하는 경우가 늘어났고, 조선 왕실은 관요의 내부사정을 고려하여 사번을 일부 허용해주는 방식으로 태도 변화를 보였다. 사번이 허용된 관요는 시장과 더욱 긴밀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더 이상 신분고하에 따른 자기 사용은 무의미해졌고, 1616년 이후 왕실의 자기 사용에 대한 규제는 더 이상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조선은 왕실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화려한 색채와 장식이 표현된 채색 자기를 선호하였다. 이에 관요는 시장 논리에 따라 경쟁력 있는 기종과 기형, 문양을 선택하여 자기 제작에 적용해야 했다. 결국 관요 청자는 관요 운영체제의 변화와 사번의 허용에 따라 더 이상 동궁 소용자기로서의 역할을 상실하였다. 여기에 채색 자기를 선호하는 시장 논리에 따라 다채로운 문양이 없는 관요 청자는 제작되어야할 당위성을 잃었고, 소멸하였다.
      요컨대 관요 청자의 시작은 명 황실로부터 받은 자기로 인해 이뤄졌다. 그러나 관요 청자는 왕조의 통치이념을 공고히 하려는 징표로 인지되어 동궁이 사용하는 기명으로 선택되었고, 오랜 기간 제작을 이어갈 수 있었다. 여기에 고려청자의 전통성과 조선 백자의 시대성을 모두 보여줌으로써 고려청자와 조선 백자의 간극을 연결하는 대상으로 의미가 있었다. 또한 제작될 당시부터 최적의 조건과 최상의 기술력이 부여되었으며 왕실을 비롯해 관청, 사찰, 시전, 민가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이 선호하던 대상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관요 청자의 정의와 제작의 발단 9
      • 1. 관요 청자의 정의와 범위 9
      • 2. 제작의 시작과 배경 18
      • Ⅰ. 서론 1
      • Ⅱ. 관요 청자의 정의와 제작의 발단 9
      • 1. 관요 청자의 정의와 범위 9
      • 2. 제작의 시작과 배경 18
      • 3. 동궁 소용품으로의 선택과 그에 따른 제작 35
      • Ⅲ. 관요 청자의 종류와 시기별 전개양상 65
      • 1. 관요 청자의 종류와 성격 69
      • 2. 관요 청자의 종류별 전개양상 88
      • 3. 관요 청자의 명문의 종류와 성격 105
      • Ⅳ. 관요 청자의 양식 변화와 유형 125
      • 1. 관요 청자 양식의 시기구분 125
      • 2. 관요 청자의 유형 분류와 특징 146
      • Ⅴ. 관요 청자의 소비와 유통 173
      • 1. 발굴 자료로 본 Ⅴ.의 소비양상 173
      • 2. 관요 청자의 유통 방식과 특징 191
      • Ⅵ. 관요 청자에 대한 당대의 인식과 소멸 204
      • Ⅶ. 결론 239
      • 참고문헌 247
      • 표 목록 268
      • 별표 목록 271
      • 참고별표 목록 271
      • 도표 목록 272
      • 별표 278
      • 도판 296
      • Abstract 33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허경진, "宿踐諸衙圖", 美術史論檀11,한국미술연구소, 2000

      2 정긍식, "경국대전주해", 法學제49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3 고유섭, "高麗靑瓷", 悅話堂, 2010

      4 강경숙, "韓國陶磁史", 一志社, 2001

      5 강경숙, "한국도자사", 예경, 2012

      6 강경숙, "한국도자사", 일지사, 1989

      7 이종근, "요업 원료학", 대학교재출판사, 1978

      8 강희안, 이종묵, "역, 양화소록", 아카넷, 2000

      9 강경숙, "분청사기연구", 일지사, 1986

      10 박경자, "분청사기 명문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강좌미술사25, 2005

      1 허경진, "宿踐諸衙圖", 美術史論檀11,한국미술연구소, 2000

      2 정긍식, "경국대전주해", 法學제49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3 고유섭, "高麗靑瓷", 悅話堂, 2010

      4 강경숙, "韓國陶磁史", 一志社, 2001

      5 강경숙, "한국도자사", 예경, 2012

      6 강경숙, "한국도자사", 일지사, 1989

      7 이종근, "요업 원료학", 대학교재출판사, 1978

      8 강희안, 이종묵, "역, 양화소록", 아카넷, 2000

      9 강경숙, "분청사기연구", 일지사, 1986

      10 박경자, "분청사기 명문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강좌미술사25, 2005

      11 최완기, "조선전기 조운시고", 백산학회, 백산학보20,백산학회, 1976

      12 한영우, "정도전 사상의 연구", 서울대출판부, 1989

      13 정양모, "韓國白磁陶窯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6

      14 김영원, "조선시대 도자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15 신유아, "조선전기 체아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6 고려말, 김윤정, "조선초 명문청자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7 김영미, "朝鮮時代官窯靑磁硏究", 한국미술사학 회, 미술사학연구266, 2010

      18 김종임, "朝鮮王室金屬祭器硏究",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277, 2013

      19 김종혁, "조선 전기 한강의 津度", 서울시립대학교 서 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23, 2004

      20 정긍식, "譯註經國大典註解", 한국법제연구원, 2009

      21 박기희, "고려말 조선초 백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2 안성희, "조선시대 도자제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3 방병선, "조선후기 백자 연구", 일지사, 2000

      24 나상철, "15세기 剝地粉靑沙器硏究",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5 피재성, "도자기 원료의 특성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6 고사경, 박철주, "역, 역주 대명률직해", 민속원, 2014

      27 박정민, "조선 전기 명문백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8 김영미, "조선시대 관요 청자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9 강경숙, "燕岐松亭里분청사기 대접", 한국미술사 학회 , 미술사학연구197, 1993

      30 신윤호, "太平會盟圖의 역사적 배경", 국립중앙박물관 , 미술자료85, 2014

      31 이경희, "조선시대 향문화와 의생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2 박평식, "조선전기 상업사 연구", 지식산업사, 2009

      33 권혁주, "湖南地域덤벙粉靑沙器硏究", 호 남문화재연구원, 호남문화재연구원논문집6, 2007

      34 노행정, "광주 충효동 분청사기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5 박남훈, "조선 초기 대명무역의 실제", 관동사학회 , 관동사학1, 1982

      36 김귀한, "15~17世紀官窯白磁銘文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7 이다혜, "고려~조선시대 자기 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8 김영진, "도자기가마터 발굴보고", 백산자료원, 2003

      39 김정선, "조선시대 자기가마 구조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0 구유리, "조선전기 인화상감자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1 정소라, "朝鮮前期吉禮用粉靑祭器硏究", 미술사학연구223,한국미 술사학회, 1999

      42 김현주, "고려말 조선초 상감청자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3 이경화, "姜世晃의 <淸供圖>와 文房淸玩", 한 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271ㆍ272, 2011

      44 방병선, "朝鮮後期白磁의 製作技術硏究", 한국미 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214, 1997

      45 李成茂(Lee Sŏng-mu), "「경국대전의 편찬과 대명률」", 歷史學會, 역사학회 , 역사학보125, 1990

      46 최공호, "식기의 형태결정과 휴먼스케일", 동악미술사학회, 동악미술사학 16,동악미술 사학회, 2014

      47 이애령, "인화기법 분청사기의 변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1993

      48 김윤정, "朝鮮初酒器의 조형 변화와 원인", 한국미술 사연구소 , 강좌미술사37, 2011

      49 양윤미, "조선 15세기 안태용 도자기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50 문형진, "대명률 전래와 한국적 변이 양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소 , 국제지역연구 제6권 제3 호, 2002

      51 박형순, "조선시대 관요 백자 명문의 성격", 호서사학회, 호서사학 회 , 역사와 담론65, 2013

      52 윤용이, "朝鮮時代分院의 成立과 變遷硏究", 한국미술 사학회, 考古美術151, 1981

      53 양정현, "조선 초기의 역도 편제와 그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4 정구선, "「선초 조선출신 명 사신의 행적」", 경주사학회, 경주사학23,경주사학회, 2004

      55 김혜인, "조선시대 궁궐유적 출토 자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56 장기훈, "朝鮮17世紀前半分院의 白磁樣式變化", 미술사학연구224,한국미술사학회, 1999

      57 원영환, "조선시대 교통로와 역ㆍ원제의 고찰", 한국향 토사연구전국협의회 , 향토사연구7, 1995

      58 이현일, "조선후기 고동완상의 유행과 자하시", 동아시아문화연구37,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3

      59 방병선, "왕조실록을 통해 본 조선도자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60 한형주, "對明儀禮를 통해 본 15세기 朝-明관계", 역사민속학28,한국 역사민속학회, 2008

      61 전승창, "京畿道廣州官窯의 設置時期와 燔造官", 미술사연구22,미 술사연구회, 2008

      62 조재경, "朝鮮時代가마터 作業場의 構造와 特徵", 중앙고고연구5,중 앙문화재연구원, 2009

      63 이종민, "조선시대 官窯로의 백자원료 조달방식", 역사와 담론73호 서사학회, 2015

      64 강경숙, "15세기 경기도 광주 백자의 성립과 발전", 한국미술사학회, 한국미술사학회 , 미술사학연구237, 2003

      65 이종민, "麗末~鮮初硬質白磁로의 이행과정 연구", 호서사학50,호서 사학회, 2008

      66 심지연, "경주 서부동 출토 관사명 분청사기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4

      67 서정호, "전남 영광 출토 내섬명 분청사기의 연구", 한국 문화사학회 , 문화사학28, 2007

      68 장남원, "물질문화 관점으로 본 조선후기 玩物陶瓷", 미술사학보39,미술사학연구회, 2012

      69 김지현, "조선전기 시전출토 백자와 소비성향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2

      70 전승창, "15~16세기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 관요연구", 홍익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7

      71 방병선, "18세기 朝ㆍ淸官窯의 운영체제와 제작기술", 고려사학회 , 한국사학보11, 2001

      72 박효은, "18세기 朝鮮文人들의 繪畵蒐集活動과 畵壇",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구 233ㆍ234, 2002

      73 이현정, "조선 전기 백자에 보이는 명대 자기의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7

      74 김귀한, "15~17세기 관요 백자 명문의 변화와 그 배경",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야외고고학 17, 2013

      75 구도영, "16세기 조선 對明불법무역의 확대와 그 의의", 한국사연구회 , 한국사연구 170, 2015

      76 정동훈, "「명대의 예제 질서에서 조선국왕의 위상」", 한국역사연구회, 역사와 현실84,한 국역사연구회, 2012

      77 김윤정, "고려말 조선초 왕실용 자기의 제작체계연구", 미술사학연구 260, 한국미술사학회, 2008

      78 박경자, "공납용 분청사기의 통일된 양식과 제작배경", 한국미술연구소, 한국미술사연구소 , 미술사논단27, 2008

      79 강경숙, "初期粉靑沙器가마터 분포에 대한 一考察(Ⅰ)", 태동고전연구소 , 태동고전연 구10, 1993

      80 방병선, "조선 전기 한양의 도자-청화백자를 중심으로",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강좌미술사 19, 2003

      81 윤효정, "조선전기 백자 규화배 葵花盃의 조형과 성격", 호서사학회 , 역사와 담론 68, 2013

      82 이현정, "15-16세기 朝鮮白磁에 보이는 明代磁器의 影響", 미술사학 연구270,한국미술사학회, 2011

      83 윤용이, "朝鮮時代分院의 成立과 變遷에 관한 硏究(一)", 한국미술사학회 , 고고미술 149, 1981

      84 신상섭, "안평대군 匪懈堂원림의 의미경관과 조경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 , 한국전통조 경학회지29권 1호, 2011

      85 김봉준, "銘文資料를 통해 본 廣州牛山里窯址群의 性格",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 구266, 2010

      86 조윤주, "관사명 분청사기 연구-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87 김윤정, "고려말ㆍ조선초 官司銘梅甁의 製作時期와 性格", 용인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단호문화연 구8, 2004

      88 전승창, "조선 초기 명나라 청화백자의 유입과 수용 고찰",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 구264,한국미술사학회, 2009

      89 박정민(Park, Jung Min), "조선 전기 관요의 성립과 그 명칭에 대한 일고찰",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 미술사와 문화유산3, 2014

      90 이승혜, "조선전기 회청사기연구-요장과 분묘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1 김영원, "세조-성종년간의 分院의 設置와 陶磁樣式의 변천", 한국미술연구소 , 미술사논 단2, 1995

      92 김영원, "조선시대 도자기 가마의 명칭과 관요의 설치시기",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 미술자료 86, 2014

      93 신순철, "14~15세기 경상도지역 자기소 출토 분청사기 연구", 영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1

      94 한상권, "조선시대 법전 편찬의 흐름과 각종 법률서의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역사와 현실13,한국역사연구회, 1994

      95 秦大樹, 간략한 용천요의 현황과 발전사, "국제교류전 흙을 빚어 옥을 만들다. 용천청자", 부산박물관, 2011, 2011

      96 백옥경, "조선 전기의 使行密貿易硏究-赴京使行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역사문 화연구25, 2006

      97 변은숙, "17세기 철화백자 연구-경기도 광주 관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 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98 강경인, "朝鮮前期‘軟質白磁’製作技術에 대한 科學的硏究", 한국미술사교육학회, 미술사학 20, 2006

      99 김선영, "高麗~朝鮮時代瓷器高足杯硏究-14~17세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0 박경자,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미 술사학24, 2010

      101 김혜인, "한성부내 궁궐 및 관청유적 출토 수입자기의 사용고찰", 중원문화재연구원, 중원문화재연구원 , 중원 문화재연구4, 2010

      102 박경자, "15세기 공물의 운송방법과 분청사기 명문의 지역별 특징", 호서사학회, 호서사학회 , 호 서사학47, 2007

      103 황정연, "조선후기 서화수장론 연구-서화수장에 대한 인식과 실제", 장 서각24,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104 김윤정, "15세기 조선과 명의 御用磁器제작체제의 유사점과 차이점",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고문화85, 2015

      105 정요근,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 전남지역의 역로망 구성과 그 특징", 역사문화학회, 지방사와 지방문화13권 2호,역사문화학회, 2010

      106 윤용이, "조선시대 분원의 성립과 변천 , 광주분원과 조선도자", 경기 도박물관, 2001

      107 김혜정, "한양도성 출토 15~16세기 청화백자의 조형적 특징과 성격",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미술사학31, 2016

      108 정요근, "조선초기 역로망의 전국적 재편-교통로의 측면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조선시대사학보46,조선시대사학회, 2008

      109 박정민, "點刻銘이 부가된 ‘天地玄黃’銘백자들의 사용시기와 성격", 호서사학회 , 역 사와 담론61, 2012

      110 피재환, "청자 발색에 미치는 소재(소지, 유약)와 소성 분위기의 영향", 청자의 발색특성,강진청자박물관, 2010

      111 윤용이, "15ㆍ16세기 조선백자의 양상 , 한ㆍ일도자문화의 교류양상", 경인문화사, 2005

      112 김영원, "조선시대 관요체제의 변천-도기소ㆍ자기소에서 분원관안으로", 국립중앙박물관 , 미술자료66, 2001

      113 오유근, "Gibbsite 질 고령토를 이용한 고강도 백색소지 제조에 관한 연 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114 황정연, "김조순을 통해 본 19세기 안동김문의 골동서화애호와 감상 풍 조", 대동한문학43,대동한문학회, 2015

      115 주명희, "18~19세기 서울 문인지식인층의 고동서화 취미에 나타난 차 문화",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16 김규빈,정광용, 정광용, 김규빈, "소성온도와 혼입물 함량이 옹관의 물성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보존과학회지 제30권 제4호, 2014

      117 김 범, "朝鮮前期의 王權과 政局運營-成宗ㆍ燕山君ㆍ中宗代를 중심으 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18 송인희, "조선 17-18세기 철화백자의 특징과 성격-가마터 출토품을 중심 으로", 한국미술사학회, 한국미술사학회 , 미술사학연구267, 2010

      119 장남원, "고려청자에 대한 사회적 기억의 형성과정으로 본 조선 후기의 정황", 한국미술연구소, 미술사논단,29,한국미술연구소, 2009

      120 김영원, "조선조 인화분청의 편년적 고찰(광주 금곡리요출토품을 중심 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121 김경중, "江華行宮출토 조선도자 연구 , 조선왕실 출토품으로 본 조 선도자", 경기도자박물관, 2008

      122 신대현, "朝鮮時代玉器硏究-朝鮮王朝實錄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 文 化史學", 한국문화사학회, 2002

      123 박정민, "‘處’명백자를 통해 본 조선 전기 내수사(內需司)의 왕실용 백자 제작", 한국매장문화재협회 , 야외고고학22호, 2015

      124 박희성, "양화소록養花小錄과 장물지長物志화목류에 나타난 문인원림 취미 비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 연구소 , 한국조경학회지44권 3호, 2016

      125 정봉구, "朝鮮後期漢陽의 園林에 관한 연구-京華士族의 園林記와 園 林圖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26 김윤정, "15세기 朝․明宮廷用磁器의 제작 체제와 관리 , 미술을 통 해 본 동아시아사", 중국사학회, 2007

      127 김경중, "17세기 명문백자를 통해 본 관요의 운영시기-생산ㆍ소비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 한국고고학보77, 2010

      128 진리바, "조선후기 문인의 서화인식과 비평의식연구-서유구ㆍ성해응ㆍ 남공천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29 김귀한, "15~16세기 관요 백자 제작 양상의 변화와 그 배경-광주 대쌍 령리 2호 요지를 중심으로", 단국사학회, 단국사학회 , 사학지47, 2013

      130 김경중, "16세기 중후반 조선 관요 운영 시기 및 제작양상 연구-가마터 출토 명문백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재조사연 구기관협회 , 야외고고학15, 2012

      131 노형구, "강진청자 도편의 분석에 관한 연구 , 강진 비색청자의 과학 적 접근과 동북아 청자의 전개", 강진청자박물관, 2012

      132 김경중, "조선 전기 관요 최근 조사 성과-우산리 9호ㆍ14호 일원을 중심으로 , 제10회 경기도자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최근 발굴 조사된 가마터 조사성과", 경기도자박물관, 2015

      133 강세호, "조선 전기 관요 최근 조사성과-우산리 9호ㆍ14호 일원을 중 심으로 , (제10회 경기도자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최근 발굴 조사된 가마터 조사성과", 경기도자박물관,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