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관 관련 텍스트를 통해 본 서울 경관·명소의 변천 특성 =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 attractions in Seoul, through analysis of the landscape associated tex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1876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2015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25.9 판사항(6)

      • DDC

        71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136 p. : 삽화, 지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한배
        참고문헌: p. 124-13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서울은 역사도시와 관광도시로서의 성격을 강화하고 있다. 이 두 측면을 종합하는 핵심자원이 경관과 명소이다. 대중들의 도시경관 이미지를 지배하는 두 가지 경향이 있는데 하나는 ...

      최근 서울은 역사도시와 관광도시로서의 성격을 강화하고 있다. 이 두 측면을 종합하는 핵심자원이 경관과 명소이다. 대중들의 도시경관 이미지를 지배하는 두 가지 경향이 있는데 하나는 시각적 랜드마크로서의 대표경관이고 또 하나는 대중들이 즐겨 방문하는 장소인 명소이다. 이 두 가지를 함축하여 경관·명소라고 부르면서 본 연구의 주 대상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 경관·명소는 실재하기도 하지만 사람들의 선택을 통해 성립되므로 기본적으로 인식의 소산이다.
      대표경관이 주로 밖에서 보는 대상적 경관이라면 명소는 영역 안에서 체험으로 즐기는 특정 장소이다. 이들은 다수의 사람들이 이상적으로 인식하는 공통된 대상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중매체들에 표현된 명소를 경관·명소로 규정짓고 시대별로 변화양상을 살펴서 서울 경관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경관과 명소에 대하여 지금까지 구조적, 정량적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다. 보다 구체적인 경관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왜, 어떻게 매력적이라고 인식하는지에 대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경관분석방법 중 현상학적 접근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당시에 편찬된 대중매체에 언급된 내용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의 시대별 이미지와 그 변천 패턴을 찾기 위해 조선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거주민의 인식 속에 나타난 대표경관과 경관·명소를 통해 연구하려 하였다. 당대 사람들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대중매체를 통해 서울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조선시대와 근대화가 시작된 일제강점기의 경관·명소를 비교하여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경관적 지속성과 변화성을 파악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통시적으로 조선과 일제강점기, 현대의 세 시대에 나타난 시대적 특성과 대중매체들의 자료를 통해 시대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일관성을 위해서 지속성 있는 경관·명소들을 물리적 측면, 생활·활동적 측면, 가치·의미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서울 경관·명소들의 장소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물리적인 측면에서는 경관·명소의 분포, 지형, 외관, 조망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생활·활동적 측면에서는 탐승, 여가문화 활동, 집단활동을 위주로 분석하였다. 가치·의미적 측면에서는 역사, 문학, 사회문화적 의미를 위주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영역이 확장되면서 경관·명소의 인식에 변화가 나타났다. 조선시대에는 산과 강 등 수려한 자연경관을 감상하는 누정문화 등 다양한 조망점이 형성, 공유되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일제 이후 근대화의 영향으로 근대적 상업가로와 위락공간이 자연경관을 대체해 갔다. 그리고 도시공원이 도입되면서 조경에 의해 형성된 면적인 경관자원의 인식도가 높아졌다. 해방 이후 미국식 격자형 도시의 확장으로 중심성과 방향성은 약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로 오면서 무분별한 개발로 자연경관이 훼손되자 다시 자연경관으로의 조망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현대로 오면서 주거지가 강남으로 많이 분포하게 되었으나 명소는 강북 원도심 주변의 역사경관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현대의 도시관광이 일상적 현실에서 벗어난 역사성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자연경관과 역사경관, 생활경관에 해당하는 자원들 특히, 도시마을과 골목길은 지속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새롭게 나타나는 것은 도심상업가로, 특히 홍대 앞과 가로수길과 같은 복합문화가로로서 경관·명소 유형이 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시생활의 변화에 따라 경관·명소의 인식도 변화하였다. 근현대로 오면서 교통과 기술의 발달로 인해 경관·명소로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으며 조망적 경관보다 체험적 명소가 늘어나게 되었다. 명소에서의 활동에 있어서도 시민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일반 사람들의 일상적인 시각과 체험이 중시되고 있다. 체험의 종류도 다양한 음식문화와 예술체험, 역사체험이 중시되는 것으로 다양해졌다.
      셋째, 서울의 경관은 조선시대부터 현대로 오면서 상이한 시대별 양식들이 축척, 융합되어 나타나며 이것이 독특한 매력을 구성하기도 한다. 넓게 트인 조망적 시각구도를 선호하는 것은 유지되었고, 부분적으로 골목 등 은신적 경관도 선호되었다. 명소에 대한 시각이 점차로 점적인 차원에서 선적·면적인 차원, 공간적 차원과 미시적 부분까지 확장되었다. 또한 명소를 인식하는 장소가 자연적, 문화적, 주거적, 상업적, 모던한 것, 버내큘라적인 양상으로 다원화 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시대, 여러 유형의 경관·명소들을 적극적으로 보전하고 거리, 공원, 광장 등 공공영역을 통해 조화롭게 공존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다원적인 경관·명소의 자원들을 연속적으로 체험시키기 위해서는 보행위주의 역사문화 탐방로들을 다양하게 조성해 줄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ul has recently been reinforcing its nature as a historical and tourist city. The core resources to put together those two aspects are landscapes and attractions. There are two tendencies to dominate the urban landscape images of people: one includ...

      Seoul has recently been reinforcing its nature as a historical and tourist city. The core resources to put together those two aspects are landscapes and attractions. There are two tendencies to dominate the urban landscape images of people: one includes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as visual landmarks, and the other does favorite attractions of people. Calling them landscapes·attractions, this study chose them as the major subjects. It is true that landscapes·attractions do exist, but they are basically the products of perception since their existence comes into effect by people's choices.
      Representative landscapes refer to object landscapes usually seen outside, and attractions refer to particular places enjoyed through experiences within an area. Both of them are common objects that many people perceive to be ideal, which was why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define attractions expressed by the mass media as landscape ·attractions and examine their changing patterns by the periods, thus shedding light onto the identity of Seoul landscapes.
      There have been many structural and quantitative researches on landscapes and attractions, and it is now needed to understand why and how they are considered attractive for more specific landscape resource management, which i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ward landscape analysis and can be examined by looking into the content mentioned by mass media published contemporarily.
      In an effort to identify the images of Seoul and their changing patterns by the periods,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representative landscapes and landscape·attractions in the perceptions of residents from Joseon to the present. The study compared Joseon, which is called the archetype of Seoul, with the Japanese rule, when its modernization began, in terms of landscape·attractions through mass media to understand people's perceptions those days, thus figuring out their changing patterns and also landscape continuity and changes until the present.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Joseon, Japanese rule, and the present diachronically based on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and mass media materials. It examined landscapes·attractions with continuity in the physical, life and activity, and value and meaning aspects to ensure research consistency, thus identifying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attractions in Seoul. It analyzed the distribution, typography, appearance, and view of landscape ·attractions in the physical aspect, sightseeing, leisure cultural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in the life and activity aspect, and historical, literary, and social cultural meanings in the value and meaning aspect. The specific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changes to the perceptions of landscape ·attractions as the urban areas expanded. They formed, shared, and used a variety of view points including the Nujeong culture to appreciate beautiful natural landscapes such as the mountains and rivers during Joseon. Natural landscapes were replaced with modern commercial street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during the Japanese rule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zation. As city parts were introduced, the perception level of landscape resources formed by landscaping rose. After Liberation, the expansion of American-style grid-type cities weakened centrality and directionality. Entering the modern times, people's view preference for natural landscapes increased once again as the reckless developments damaged natural landscapes. As the residential districts were much concentrated in Gangnam, attractions tended to concentrate in the historic landscapes around the original downtowns in Gangbuk, which is because modern urban tourism prefers historicity beyond daily reality. Natural, historical, and life landscape resources especially including urban villages and alleys have continued to hold perceptual importance since Joseon. Newly emerging were downtown commercial districts. The area around Hongik University and Garosugil belonged to the same category of complex cultural streets, which points to the diversification of types of landscape·attractions.
      Second, the perceptions of landscapes·attractions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to urban life. Entering the early modern and modern times, people had easier access to landscape·attraction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echnology with the rising number of experiential attractions rather than prospective landscapes. Activities at attractions also changed to have citizen-centric nature, which has placed importance on the daily visions and experiences of common people. The types of experiences have also become diverse with importance placed on various food cultures and artistic and historic experiences.
      Finally, the landscapes of Seoul are the results of different periodic styles being accumulated and infused from Joseon to the present, thus presenting their own unique charms. The preference for a broad open prospective view structure has been maintained with partial preference for hidden landscapes such as alleys. The perspectives of attractions have gradually expanded from the dot dimension through the line and side dimension to the spatial and microscopic dimension. In addition, the places where people perceive attractions have also become diverse including natural, cultural, residential, commercial, modern, and vernacular. There is a need to actively preserve landscapes·attractions of various periods and types and ensure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public spaces including the streets, parks, and plazas. It is especially required to create a variety of pedestrian-centric history and culture trails for the continuous experience of those diverse landscape·attractions resour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2
      • 제 3 절 관련연구고찰 6
      • 제 4 절 이론적 연구 10
      • 제1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2
      • 제 3 절 관련연구고찰 6
      • 제 4 절 이론적 연구 10
      • 1.경관․명소의 조작적 정의 10
      • 2.경관미학이론과 경관분석 방법 12
      • 1)경관미학이론 12
      • 2)경관분석방법 13
      • 3.분석의 틀 16
      • 제2장 한양(漢陽) 경관․명소의 특성 19
      • 제 1 절 한양 도시경관관련 매체 19
      • 1.시대적 배경 19
      • 2.연구매체의 특성 20
      • 제 2 절 한양 경관·명소의 분포와 지역별 특성 22
      • 1.팔경시를 통해 본 경관·명소의 특성 22
      • 2.진경산수화를 통해 본 경관·명소의 특성 27
      • 3.풍속지와 가사문학을 통해 본 경관·명소의 특성 32
      • 제 3 절 주요 경관·명소의 유형별 특성 38
      • 제 4 절 소결: 한양 경관·명소의 형성과 전개 51
      • 제3장 경성(京城) 경관·명소의 특성 57
      • 제 1 절 경성 도시경관 관련 매체 57
      • 1.시대적 배경 57
      • 2.연구매체의 특성 57
      • 제 2 절 경성 경관·명소의 분포와 지역별 특성 60
      • 제 3 절 주요 경관·명소의 유형별 특성 70
      • 제 4 절 소결: 경성 경관·명소의 변형과 중첩 82
      • 제4장 서울 경관·명소의 특성 86
      • 제 1 절 서울 도시경관 관련 매체 86
      • 1.시대적 배경 86
      • 2.연구매체의 특성 86
      • 제 2 절 서울 경관·명소의 분포와 유형별 특성 88
      • 제 3 절 주요 경관·명소의 장소별 특성 95
      • 제 4 절 소결: 서울 경관·명소의 확장과 재생 105
      • 제5장 서울 경관·명소의 지속과 변화 107
      • 제 1 절 지속과 변화의 패턴 107
      • 제 2 절 시대별 지속과 변화의 의미 112
      • 제 3 절 경관·명소로 본 현대 서울 도시경관의 정체성 117
      • 제6장 결론 120
      • 제 1 절 요약 120
      • 제 2 절 연구의 한계와 제언 12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유본예, "한경지략", 탐구당, 서울:탐구당, 1981

      2 남정희, "「한양가」", 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탐색,한어문교육 26권, 239-270쪽, 2012

      3 윤영주, 정기범, "시크릿 Seoul", 서울:시공사, 2012

      4 최완수, "겸재 정선2,3", 서울:현암사, 2009

      5 이규목, "도시와 상징", 일지사, 서울:일지사, 1988

      6 서태양, 손호기, "여가와 관광", 서울:현학사, 2006

      7 김숙현, "서울 여행사전", 터치아트, 파주:터치아트, 2010

      8 최기수, "서울의 경과 곡",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서울:서울학연구소, 1994

      9 임승빈, "「경관분석론」",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10 김종은, 이상춘, "관광지리자원론", 서울:백산출판사, 2006

      1 유본예, "한경지략", 탐구당, 서울:탐구당, 1981

      2 남정희, "「한양가」", 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탐색,한어문교육 26권, 239-270쪽, 2012

      3 윤영주, 정기범, "시크릿 Seoul", 서울:시공사, 2012

      4 최완수, "겸재 정선2,3", 서울:현암사, 2009

      5 이규목, "도시와 상징", 일지사, 서울:일지사, 1988

      6 서태양, 손호기, "여가와 관광", 서울:현학사, 2006

      7 김숙현, "서울 여행사전", 터치아트, 파주:터치아트, 2010

      8 최기수, "서울의 경과 곡",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서울:서울학연구소, 1994

      9 임승빈, "「경관분석론」",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10 김종은, 이상춘, "관광지리자원론", 서울:백산출판사, 2006

      11 박진우, "국역 경성발달사",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서울특별시사 편찬위 원회, 2010

      12 유철상, "서울여행 바이블", 서울:상상출판, 2012

      13 오세훈, "오후의 서울산책", 미디어윌, 서울:미디어윌, 2011

      14 안장리, "서울 팔경시 연구",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향토서울 74호 127-165쪽, 2009

      15 이규목, "한국의 도시 경관", 서울:열화당, 2002

      16 이하람, "두근두근 서울산책", 랜덤하우스코리아, 서울:랜덤하우스코리아, 2010

      17 임승빈, "『도시경관계획론』", 서울:집문당, 2008

      18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9 이경민, "『경성 카메라 산책』", 서울:아카이브북스, 2012

      20 조규희, "조선시대 별서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6

      21 이상아, "조선시대 팔경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 학과 석사논문, 2008

      22 권혁희,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서울 :민음사, 2005

      23 강신용, "한국 근대 도시공원사", 서울:도서출판 조경, 1995

      24 김한배, "우리 도시의 얼굴 찾기", 서울:태림문화사, 1998

      25 가와무라 미나토, "한양·경성 서울을 걷다", 인천:도서출판다인아 트, 2004

      26 설은영, "서울,여자가 걷기 좋은 길", 그리고책, 서 울:그리고책, 2011

      27 서울시, "관광문화 홈페이지(http://www", visitseoul.net), null

      28 서문당, "사진으로 보는 근대한국(상)", 서문당, 1986

      29 손성일, "서울 사계절 걷고싶은 길 110", 헬스조선, 서 울:비타북스, 2011

      30 심승희, "장소: 짧은 지리학개론 시리즈", 서울:시그마프레스, 2012

      31 나카무라, 요시오, "지음;김재호 옮김,,풍경학 입문", 서울:문중, 2008

      32 윤인규, "도시경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사논문, 1993

      33 권현지, 장미, 윤혜진, "서울 100배 즐기기 2012-2013,City 100", 서울:랜덤하우스, 2011

      34 김기호, 한은실, 박상필, "서울의 물리적 이미지 요소 해석",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 도시설계학회지 7(1):23-36, 2006

      35 전봉관, "1930년대 한국 도시적 서정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3

      36 이동미, "골목이 있는 서울,문화가 있는 서울", 서울:경향신문사 출판본부, 2008

      37 안장리, "조선시대 왕의 팔경(八景)향유 양상", 東洋學단국대학 교 동양학연구소,Vol.4243-65쪽, 2007

      38 김병민, "1930년대 관광명소로서의 경성 이미지", 홍익대학교 석사 논문, 2010

      39 김윤수, "한국미술 100년.1.국립현대미술관 기획", 파주 : 한길사, 2006

      40 박진주, "작은 지구촌 명동(트래블마인드 2013-07)", 서울:자유여 행신문, 2013

      41 고동환, "조선 후기 서울의 공간구성과 공간인식",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 26 권:1-48쪽, 2006

      42 이규목,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경관과 그 이미지", 서울학연구 1 호 149-191쪽, 1994

      43 이재곤, "해양관광 매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관광정책학 회 11(2),43-61쪽, 2005

      44 최은숙, "<한양가>에 나타난 한양경관과 장소애착성", 한국문학과 예술 10집,5-31쪽, 2012

      45 조규희, "가원조망도와 조선 후기 차경에 대한 인식", 한국미술사학회, 미술사학연 구 257호,105-139쪽, 2008

      46 서영애, "한국 영화에 나타난 도시 경관의 의미 해석", 서울시립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5

      47 권보드래, "1910년대 ‘신문’의 구상과 「경성유람기」", 서울학연구, 2001

      48 송수영, "뻔한 서울?Fun한 서울!(여행스케치 2012-03특집)", 서울: 하이미디어, 2013

      49 홍윤순, "이원개념을 활용한 도시경관연구경향의 고찰", 한경대학교, 한경대학 교 논문집 제35권,245-255쪽, 2003

      50 손정목, "마쓰다코오헤이,,일제 강점기 도시사회상연구", 서울 :ン ウル書林, 1996

      51 박수지, 김한배, "일제강점기 경성(京城)경관명소의 인식양상 변화", 한국경관학회지 제6권 2호, 2014

      52 임승빈, Choi, Hyung-Suk, Byeon, Jea-Sang, Kwon, Yoon-Koo, Hue, Youn-Sun, Jeong, Yoon-Hee, Im, Seung-Bin, 최형석, 변재상, 권윤구, 허윤선, 정윤희, "장소 경험 분석을 통한 도시 내 장소성 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39(6)46-56쪽, 2011

      53 김영록, "주말이 기다려지는 행복한 걷기여행 서울 수도 권", 터치아트, 파주:터치아트, 2011

      54 윤소영, "일본어잡지『朝鮮及滿洲』에 나타난 1910년대 경성", 지 방사와 지방문화,Vol.9No.1, 2006

      55 권 은, "경성 모더니즘 소설 연구 : 박태원 소설을 중심으로", 서강대 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 2013

      56 이규목, "인간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방법연구", 대한건축학회, 대 한건축학회지 4(1)35-45쪽, 1988

      57 조규희, "조선 후기 한양의 명승명소도와 국도명승의 재인식", 한 국문학과 예술 10집,147-194쪽, 2012

      58 Hyung Il Pai, "Navigating Modern Keij:TheTypology of ReferenceGuidesandCityLandmarks",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Vol.-No.44, 2011

      59 강관식, "광주 정문과 장동김문의 세교와 겸재 정선의 <청풍계>", 美術史學報,26권:119-149쪽, 2006

      60 김영나, "한국 근대미술과 시각문화,한국근현대미술연구회 기획", 서울:조형교육, 2002

      61 김정준, "관광지 유형에 따른 관광동기, 관여도와 관광 매력성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62 이정원, 문근종, "일제강점기 한국영화를 통해 본 도시 경성의 이 미지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 디자인융복합연구,Vol.-No.45, 2014

      63 김영자, "서울,제2의 고향-유럽인에 비친 100년전 서울 서 울교양학총서2", 서울:서울학연구소, 1994

      64 박수지, Kim, Han-Bai, Park, Su-Ji, 김한배, "서울 도시탐방명소의 장소적 특성:관광안내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41권 4호,42-55쪽, 2013

      65 임주연, "문화관광지 속성에 대한 기대와 성과가 관광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2

      66 권정은, "조선시대 성시(城市)관련 시 화(詩ㆍ畵)의 지향과 <한 양가>의 차별성", 문학치료연구 29권:139-168쪽, 2013

      67 정인숙, "19세기∼20세기 초 시가를 통해 본 서울의 인식과 근대 도시의 이미지화", 문학치료연구 20집,165-193쪽, 2011

      68 강영조, 배미경,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조망행동:진 경산수화 100엽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30권,5호:1-15쪽, 2002

      69 이정훈, 정희선, "사회적 매체 블로그를 통한 경관 이미지의 생산 과 소비:서울 서촌의 사례",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7No.3, 2014

      70 조규희, "별서도(別墅圖)에서 명승명소도(名勝名所圖)로:정선(鄭 敾)의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사와 시각문화 5권,192-223쪽, 2006

      71 김영근, "일제하 일상생활의 변화와 그 성격에 관한 연구 : 경성의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9

      72 정기호, "겸재 정선의 “경교명승첩”중 시화도 열점에 대한 조망 점과 대상경관의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권,4호,74-82쪽, 2009

      73 박수지, 이승희, 김한배, "조선시대 서울 경관 명소의 인식의 비교 연구:팔경시,진경산수화,풍속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82권,14-35쪽, 2014

      74 최수영, "산업화 이후 대중가요를 통해 본 서울의 이미지 연구 : 1960~1980년대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2

      75 유욱종, "삼청로(三淸路)의 장소성 형성에 나타난 인지특성에 관 한 연구 :웹(web)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2010

      76 노재현, Jang, Il-Young, Rho, Jae-Hyun, 장일영, "실경산수화에 담긴 ‘같은 경관’그러나 ‘다른 풍 경’,그 의미 찾기:18 19C 총석정 그림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36권 5호,82-93쪽, 2008

      77 전수연, "관광의 형성과정을 통해 본 근대 시각성 연구:1900년대 이후 일본의 조선관광과 여행안내서를 중심으로", 홍익대 예술학과 석 사논문, 2009

      78 김제정, 최아신, 송인호, "일제강점기 박람회의 개최와 경복궁의 위상변동: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와 1929년 조선박람회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서 울학연구LV 112-138쪽,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