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도자기에 나타난 연화문과 모란문 연구 = (A) Study on the lotus patterns and peony patterns on Korean porcel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366390

      • 저자
      •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4.46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viii, 89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25-28

      • 소장기관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자기문양은 나라마다 그 특징을 달리하며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고 또한 시대적으로도 다르게 나타난다. 다시 말해서 도자기 문양으로 지역적인 특성을 알 수 있고 시대적으로 차이점을 ...

      도자기문양은 나라마다 그 특징을 달리하며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고 또한 시대적으로도 다르게 나타난다. 다시 말해서 도자기 문양으로 지역적인 특성을 알 수 있고 시대적으로 차이점을 느낄 수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고도자(古陶磁)인 고려도자(청자)와 조선도자(분청사기, 백자)는 사회적인 영향과 종교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발달하였다. 특히 고려도자와 조선도자의 문양은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그 문양을 통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문화적인 성향을 파악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은 아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고려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연화문과 조선시대의 사회 사조를 반영하는 모란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문양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연화문과 모란문의 생성배경과 상징적인 의미를 알아보고 그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화문과 모란문은 삼국시대 이래로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불교나 유교 등의 영향을 받으나 우리의 전통적인 민속신앙이 바탕이 되어 한국적인 문양으로 한국 고유의 문양으로 자리 잡았는데 고려시대에는 불교적인 연화문이, 조선시대에는 유교성향의 모란문이 많이 나타난다.
      청자가 전성을 이룬 고려시대는 엄격한 신분계급사회로 도공들의 직업을 자식에게 세습하게 함으로써 기술의 축척을 가져와 정교한 형태뿐만 아니라 문양에서도 공예적인 섬세함을 보이고 있는데 고려비색(高麗翡色)이라는 아름다운 색의 극치를 이룰 때에는 문양의 형상이 은은하게 드러나는 음각문(陰刻紋)이, 비색이 퇴화하는 시대에는 세계에서 최초로 알려진 상감문(象嵌紋)의 시문기법(施紋技法)이 창안되어 고려문양으로 정착하였다. 따라서 고려시대의 연화문은 음각기법이나 상감기법으로 시문한 것이 대부분이다. 고려시대에 전성을 이루던 정교한 음각문이나 상감문은 고려말기에 이르면 내란과 왜란으로 도자의 형태와 문양이 조잡하고 거칠어지게 되는데, 그러면서 귀족적이며 정교하던 도자의 형이 흐트러져 거친 붓의 터치감이 살아나는 철화기법이 나타나게 된다.
      조선시대에 이르면서 고려 상감청자의 시문기법이 거칠어지긴 하였으나 그대로 분청사기 시문기법으로 연계되면서 다양한 시문기법(조화기법, 상감기법, 박지기법, 철화기법, 분장기법 등)을 이끌어 내게 된다. 그런데 임진왜란을 계기로 분청사기는 소멸되면서 백자가 번성하게 되는데, 이때에 백자의 문양은 분청사기의 문양과 연계되면서 백자특유의 회화적인 청화문(靑華紋)이 도자기문양으로 정착한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모란문은 분청기법과 청화기법으로 된 것이 많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연화문은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나타나는데 그것은 조선조가 유교사회라고는 하지만 불교적인 성향이 바닥에 깔려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도자기문양은 단순한 기물의 장식문양에 그치는 것이 아니며 문양을 통해 그 시대의 종교와 사회상을 알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국민성 파악이 가능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rcelain pattern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countries as well as in different regions and in different periods. In other words, porcelain patterns reveal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of the times. The representative ...

      Porcelain pattern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countries as well as in different regions and in different periods. In other words, porcelain patterns reveal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of the times. The representative Korean historical porcelain, Corea celadon porcelain and Chosun porcelain (white porcelain and punchong ware), developed into different styles under social and religious influences. Especially, since Corea celadon porcelain and Chosun porcelain have all different characteristics, it is not difficult to identify cultural trends of Corea and Chosun tim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dissertation addresses the locus patterns reflecting the Corea times and the peony patterns reflecting Chosun times.
      For this purpose, the dissertation first visit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identifies their backgrounds of the birth and symbolic meanings, and analyzes different types.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which have been spread throughout Korea since the Three Kingdom Period, the lotus and peony patterns have been received as indigenous Korean patterns, based upon Korean traditional belie. In the Corea times, the Buddhist lotus patterns were popular, while the Confucian peony patterns in the Chosun times. The Corea Kingdom with the flourishing of the Corea celadon porcelain was a strict hierarchical society. Potters of the times, thus, had to hand down their accumulated skills to their children along with their professions, so pottery skills reached utmost sophistication with exquisite style and delicate patterns. When the 'Secret Color' of Corea celadon realized the perfect state, the intaglio patterns obtained reputation, while the pattern-engraving method of inlay, which was known to be developed first in the world, was widely admired when the secret color got out of fashion.
      Therefore, most locus patterns on Corea celadon were engraved in intaglio or inlay method. However, during the chaotic period at the end of Corea with a series of civil wars and invasions of Japanese pilots, the exquisite methods of intaglio and inlay got lost and become rough and crude, losing its aristocratic tastes and delicacies. Instead, iron processing method (Cheol-Hwa) emerged and replaced them.
      In Chosun times, the pattern-engraving method become rough but led to the engraving method of punchong ware, producing a variety of engraving methods (Jo-Hwa, Sang-Gam(inlay), Bak-Ji, Cheol-Hwa and Pun-Jang). Hoever, punchong ware became extinct during the upheaval of Korea-Japan War, white porcelain newly appeared with the unique pictorial pattern called Chong-Hwa (patterns engraved with cobalt), which was in line with punchong ware's patterns and became dominant. Thus, most peony patterns in Chosun times were engraved in punchong or chong-hwa. At the same time, the locus patterns from Corea were still present in the Chosun times, which means that Buddhism lied at the bottom of Korean sentiment despite the dominancy of Confucianism. Likewise, the reading of the porcelain patterns reveal not only the religious and social aspects of the times but also human characteristics of a peop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그림목차 = ⅲ
      • 논문요약 = ⅶ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목차 = ⅰ
      • 그림목차 = ⅲ
      • 논문요약 = ⅶ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 Ⅱ. 문양의 일반적 고찰 = 4
      • 1. 문양의 개념 = 5
      • 2. 도자 문양의 특성 = 10
      • Ⅲ. 연화문과 모란문의 상징적 의미 및 표현형식 = 14
      • 1. 연화문 = 14
      • 1) 연화문의 상징적 의미 = 14
      • 2) 연화문의 유형분류 = 18
      • 2. 모란문 = 24
      • 1) 모란문의 상징적 의미 = 24
      • 2) 모란문의 유형분류 = 27
      • Ⅳ. 한국도자기의 연화문과 모란문에 대한 연구 = 32
      • 1. 고려시대의 도자문양 = 32
      • 1) 고려시대문양의 발달 배경 = 32
      • 2) 고려시대의 연화문과 모란문 = 37
      • 2. 조선시대의 도자문양 = 57
      • 1) 조선시대의 문양의 발달배경 = 57
      • 2) 조선시대의 연화문과 모란문 = 63
      • Ⅴ. 결론 및 제언 = 83
      • 참고문헌 = 86
      • ABSTRACT =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