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 도시한옥의 적응태 = Adaptation Type of Urban-Hanok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1861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2015. 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10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v, 252p. : 삽화, 도표, 설계도, 도판 ; 26cm.

      • 일반주기명

        Adaptation Type of Urban-Hanok in Seoul
        지도교수:송인호
        참고문헌 :241-248 p.

      • 소장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dition has been created over time, not set in stone. Similarly, th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Hanok cannot be defined by its fixed form or the established style, meaning that it remains adaptive to the change of times in different ways. Ther...

      Tradition has been created over time, not set in stone. Similarly, th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Hanok cannot be defined by its fixed form or the established style, meaning that it remains adaptive to the change of times in different w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urban Hanok’s sustainability to acknowledge the residents’ needs for its adjustments and reset the direction of the adaptation process depending on the needs. Meanwhile, Hanok in Seoul is one of the most traditional housing types across the country, which has been sustained over the past century with keeping the identity under the rapid urbanization and various cultural changes.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shows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urban transformation process of Hanok in areas of Seochon, Bukchon, Donam, Cheongnyangni, known as the representative Hanok districts in Seoul. At the same time, the study covers stereological analysis on alterations of the urban Hanok, on the basis of actually measured drawings describing the residential behavior, which are extracted from existing research data. Put it another way, the research is not for ‘the history of dwelling style’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form, space and structure, but for ‘ the cultural history of dwelling’, which focus on analyzing the residents’ demands for urban housing over time. When it comes to temporal aspects, it is not about ‘Archeological study’ that examines the records of each layer accumulated in the urban Hanok, but it is rather about ‘the Genealogical relation’ between urban Hanok districts and their transformation process in terms of changes or effects. From this point of view, firstly, the study identifies ‘developments in the urban hanok’, which occur in the course of adjustments to lifestyle changes like the introduction of living room, the western-style furnishing and the idea of proper sanitation. Adding to this, the developments happen during a period of adjustments to the technological progress such as a heating system, a water-supply system, an insulation system, a waterproofing system and the invention of new materials like glass, aluminum and steel. And also, the adaptations to social changes like the introduction of housing laws, conditions of a location, bring about the developments in the traditional Hanok. Secondly,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daptation process, this document shed light on great adaptability and an excellent adaptive system of the urban Hanok, by searching for ‘adaptation types’, so called the accumulation of dwelling culture, generally recognized in the urban Hanok.

      To put it simply, ‘the adaptation types’ could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type is ‘the adaptation type to lifestyle changes’ of making new spaces for new living items and using the space more conveniently. For instance, the urban Hanok adds more storage spaces, and plus it places the living room in the center of a house or along a corridor by internalizing moving lines. Secondly, the urban Hanok has ‘adapted to the technology development’, with widening the concept of housing space into a yard by new materials, new structural components and advanced construction methods. As a result, a kitchen has been changed to a dining place from a cooking place thanks to the introduction of a heating system, and attics gradually disappeared, and a hall between rooms was replaced with a living room, and thanks to steel scuppers and aluminum awnings, the yard has been internalized in the way of covering the whole spaces, and the larger space combining the inner space with the inner yard comes up, after commercial needs for the larger space eliminated wooden pillars and made steel beams. Lastly, the third type is ‘the adaption to the introduction of housing laws’. In other words, this is a spatial change of structure detaching the separate building from the main building, in addition, the separate building switched to a house for rent, in compliance with the Multi-family law. Moreover, under the Korean-style house Preservation, the urban Hanok was built from the traditional design, but added the basement or an extra storehouse. Put together, the urban Hanok has actively adjusted itself to the various social changes, at the same time, it maintains its uniqueness as well. More importantly, the adaptation types of the urban Hanok explain that Hanok is the thing of comprehensive culture which reflects the style of living culture, the universal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economic change of surrounding areas, and the new housing laws. Furthermore, the urban Hanok has produced ‘the adaptability’ like the biological evolution so that it continues to survive in complex urban environments.
      Now, the urban Hanok no longer maintain the pre-modern design of the Joseon Dynasty and keeps transforming itself, because it is prone to die out without the diversion to the residential urbanization. A number of Korean-style houses became outdated and ended up vanishing. And so, the urban Hanok has embraced its innovation whenever cultural environments such as lifestyle, technology, and social system require its change. In other words, the importance of the urban Hanok is placed on ‘ the ongoing adaptation process’, and ‘the style and the meaning of the transformed urban Hanok’. Therefore, the study on ‘ the adaptation process and types of the urban Hanok’ has significance for the established research focused on the present form and design of Hanok. This provides with a view of looking at the residents’ actual demands for the change in the urban Hanok. In conclusion, the value of the urban Hanok should be measured by what the residents need for the urban Hanok and what the urban Hanok does for them, rather than simply classifying it as ‘what is the traditional Hanok or the urban hanok’. In doing so, ‘a distinguishable value’ of accepting the differences can be pursued more than ‘an exclusive value’ of dividing the residential types. From this perspective, the value of a traditional residence will be found in the urban Hanok, and so the urban Hanok will continue to live with u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은 만들어진 것이다. 즉 전통은 고정불변의 법칙이 아니다. 한옥 또한 고정된 형태나 양식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한옥은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하...

      전통은 만들어진 것이다. 즉 전통은 고정불변의 법칙이 아니다. 한옥 또한 고정된 형태나 양식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한옥은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하며 현재 남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한옥의 지속가능한 보존을 위해서는 거주자의 필요로 이루어진 적응과정에 대한 인정과 이를 바탕으로 한 방향성의 재설정이 필요하다. 서울의 도시한옥은 도시화 과정과 다양한 문화적 변화 속에서 전통적 주거양식의 고유성을 간직한 채 현재까지 약 100여 년을 지속해 온 서울의 중요한 전통적 주거양식이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존속되어 온 서울의 대표적 도시한옥밀집지역인 ‘서촌’, ‘북촌’, ‘돈암’, ‘청량리’ 지역의 도시적 변화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과 각 지역의 기존 연구나 조사 자료 중에서 생활양태가 기록된 실측도면을 바탕으로 도시한옥 변화를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도시한옥의 형태, 공간, 구조에 대한 형태적 기록인 ‘양식사적 연구’가 아닌 당시 시대적 조건과 거주자의 요구와 생활을 분석하는 ‘문화사(생활사)적 연구’이며, 시간적으로는 도시한옥에 누적된 층위를 분석하고 기록하는 ‘고고학적 연구’가 아닌, 변화 또는 영향 요소에 따라 도시한옥밀집지역과 도시한옥의 적응과정의 관계를 정리하는 ‘계보학적 연구’이다. 이런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첫째, 거실개념, 입식생활, 위생개념 등의 도입에 따른 생활 방식 의 변화, 난방설비·수도설비·단열 및 방수 공법·유리·알루미늄·철골과 같은 신기술·신재료 등 기술의 발달, 주택관련 법제의 도입과 입지조건 등 도시적 변화에 의한 도시한옥의 ‘적응과정’을 입체적 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둘째, 이를 통해 도시한옥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도시한옥에 집적된 문화적 형태인 ‘적응태’를 찾아 도시한옥의 적응능력의 우수성과 적응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생활방식변화·기술의 발달·법제도의 도입 등의 다양한 변화조건들에 의해 도시한옥이 적응해 온 결과는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생활방식의 변화에 의한 적응태’이다. 이는 새롭게 생활에 필요하게 된 물건들을 담기 위한 공간을 만들고, 공간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적응 양상이다. 이런 변화에 대한 도시한옥의 공간적 변화 양상은 수납공간을 확장하고, 동선을 내부화하여 거실을 복도로 연결하거나 공용공간을 중심공간화하여 실들을 연결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 발달에 의한 적응태’이다. 이는 새로운 재료, 구조재, 공법의 개발로 주로 마당으로 공간을 확장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런 변화에 대한 도시한옥의 공간적 변형은 난방방식과 입식개념의 도입으로 부엌에서 주방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다락이 사라지고, 대청이 거실로 바뀌면서 내부 마당의 입면을 변화시켰다. 또한 철제 물받이, 알루미늄 차양 등의 확장으로 마당 전체를 덮어 가는 방식으로 마당을 내부화하였으며, 상업화에 따른 대공간의 필요로 목재 기둥을 없애고 철골로 보를 만들어 내부공간과 내부마당을 통합해 대공간화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법제도의 도입에 의한 적응태’이다. 주로 다가구법과 한옥보존제도 등에 의해 공간구조가 변화하는 양태로 나타난다. 이런 변화에 대한 도시한옥의 공간적 양태는 안채와 바깥채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바깥채를 셋집으로 구조화하였으며, 한옥보존제도 심의 등에 따라 도시한옥은 지어질 당시의 형태인 초기형에서 지하실이나 다락 등 새로운 공간을 만들며 공간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양태로 변화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사회적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전통적 주거양식인 한옥의 기본적인 고유성을 유지하고 적응해 온 것이다. 이를 통해 ‘적응태’는 ‘가부장적인 가족제도, 가족중심형 가족제도 등의 생활문화방식’, ‘보편적 기술의 발달, 주변지역 경제구조 변화 등의 사회·경제적조건’, ‘법제도 도입’ 등의 인문적 조건과 공간적 형태와의 입체적 상관관계를 가진 문화적 형태임을 규명하였다. 또한 도시한옥은 적응과정을 거치면서 일종의 생물학적 진화과정과 같은 ‘적응태’를 만들었으며, 도시한옥이 현재 환경에서 살아 갈 수 있는 생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 결과로 볼 때, 도시한옥은 조선시대 또는 근대 이전의 양식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으며, 그대로 유지 할 수 없었음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많은 도시한옥이 그랬듯이, 도시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할 경우에는 소멸되었기 때문이다. 즉 도시한옥은 입지조건, 생활방식 변화, 기술의 발달, 제도의 도입 등 다양한 문화적 조건들이 바뀔 때마다 능동적으로 적응을 거듭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한옥의 중요성은 현재 진행형인 ‘적응’이라 할 수 있으며, 적응한 도시한옥 자체의 ‘형태’와 ‘의미’에 있다. 도시한옥의 ‘적응과정과 적응태’에 관한 이 연구는 기존의 형태적이고, 양식사적 연구보다 거주자의 실제 필요에 의한 변화와 생활문화로서 도시한옥을 바라볼 수 있는 연구로서 의미를 가진다. 즉 ‘도시한옥’의 가치는 ‘한옥 또는 도시한옥’이냐 아니냐의 형식적 판단보다는, 거주자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와 어떻게 적응해 왔는지에 대한 판단이 중요하며, 이는 다른 주거양식과의 구분을 위한 ‘배타적 가치’가 아닌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는 ‘차이적 가치’를 찾는데 있다. 이 속에서 ‘한옥 또는 도시한옥’의 전통적 주거로서의 가치의 규정과 정의가 되어야만, 도시한옥이 전통적 주거로서 앞으로도 계속 이어져 내려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대상 및 방법 4
      • 제3절 선행연구 및 개념 정의 7
      • 1. 선행연구 분석 7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대상 및 방법 4
      • 제3절 선행연구 및 개념 정의 7
      • 1. 선행연구 분석 7
      • 2. 개념정의 10
      • 제2장 도시의 확장과 도시한옥 입지(立地)변화 17
      • 제1절 한양의 자연발생적 도심주거지 ‘서촌’ 32
      • 1. 자연발생적으로 도시화된 주거지(1894년 이전) 32
      • 2. 근대적 도시계획을 통한 일본인 ‘근린주거지역’으로 개발(1894~1962년) 40
      • 3. 도로의 확폭과 고밀(高密)의 도심으로 변화(1962~1980년) 50
      • 4. 자연발생적 주거지와 재개발(1980~2000년) 56
      • 5. 한옥보존정책과 상업화·고급주거지로 변화( 2000~현재) 58
      • 제2절 경성의 대형필지 개발로 만들어진 도심주거지 ‘북촌’ 63
      • 1. 대형필지의 사대부 주거지(1894년 이전) 63
      • 2. 대형필지의 분할로 개발된 가회동(1894-1962년) 63
      • 3. 주택난과 한옥보존제도(1962-1980년) 74
      • 4. 도시한옥주거지의 개발(1980-2000년) 75
      • 5. 한옥보존제도로 ‘관광지화’, ‘고급주거지화’ 된 북촌(2000년-현재) 80
      • 제3절 경성의 도시계획에 의한 교외주거지 ‘돈암지구’ 85
      • 1. ‘조선시가지계획령’과 ‘돈암지구’(1894-1962년) 85
      • 2. ‘보문로’의 상업화(1962-1980년) 96
      • 3. 다가구·다세대 개발에 적합한 필지(1980-2000년) 98
      • 4. 다세대·다가구의 개발과 근린상업화(2000년-현재) 107
      • 제4절 서울의 주택난 해소를 위해 계획된 교외주거지 ‘청량리’ 111
      • 1. 서울의 확장과 교통의 발달로 만들어진 청량리(1962년 이전) 111
      • 2. 경제개발계획과 개량주택 건설(1962-1980년) 118
      • 3. 시장의 발달과 도시한옥주거지의 변화(1980-2000년) 123
      • 4. 도시한옥주거지의 시장화(2000-현재) 129
      • 제5절 소결: 도시한옥밀집지역의 입지조건과 도시한옥과의 상관성 133
      • 제3장 서울 도시한옥의 적응태(適應態) 145
      • 제1절 ‘생활방식 변화’에 의한 적응태 153
      • 1. 현대적 생활 수용을 위한 ‘수납공간 확장’ 153
      • 2. 생활 동선의 편리를 위한 ‘공간의 연결’ 165
      • 3. 거실개념(LDK) 등 새로운 주거개념 도입에 의한 ‘거실 중심화’ 173
      • 제2절 ‘기술 발달’에 의한 적응태 183
      • 1. 새로운 주택기반시설 개발에 의한 ‘마당구성 변화’ 183
      • 2. 새로운 부자재 개발에 의한 ‘마당 내부화’ 191
      • 3. 새로운 구조재 개발에 의한 ‘마당의 통합공간화’ 199
      • 제3절 ‘제도 도입’에 의한 적응태 207
      • 1. 다가구법에 의한 셋집(借家)구조로서의 ‘채 분리’ 207
      • 2. 다가구법에 의한 주거지역 내 상업시설 허용에 의한 ‘채 결합’ 215
      • 3. 한옥보존제도에 의한 고급주거지로서의 ‘초기형 지향’ 223
      • 4. 한옥보존제도에 의한 초기형에서의 공간 확장을 위한 ‘새로운 공간 개발’ 230
      • 제4절 연구에 대한 논의(論議) 236
      • 제4장 결 론 239
      • 참고문헌 241
      • ABSTRACT 2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