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 궁궐의 풍수지리 분석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Feng-shui analysis and application plans of cultural contents on palace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2777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문화정보콘텐츠학과 2017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00.15 판사항(6)

      • DDC

        353.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 230 p. : 삽화(일부천연색), 지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기덕
        참고문헌: p. 219-227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에 위치한 5대 궁궐인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경덕궁), 덕수궁(경운궁)에 대한 풍수지리(풍수)적 입지분석을 하였다. 궁궐에 대한 선행연구에 있어 궁궐건축의 공간특성과 궁궐 내 주요...

      서울에 위치한 5대 궁궐인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경덕궁), 덕수궁(경운궁)에 대한 풍수지리(풍수)적 입지분석을 하였다. 궁궐에 대한 선행연구에 있어 궁궐건축의 공간특성과 궁궐 내 주요공간의 입지 및 배치에 따른 각 궁궐에 대한 선행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조선시대 궁궐풍수와 연계한 입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선행연구로는 한양천도에 따른 서울지세의 풍수적 입지와 경복궁과 창덕궁에 국한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내용으로는 경복궁을 중심으로 한 수도서울의 산계 및 사신사(현무, 청룡, 백호, 주작)별로 여러 문제요인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창덕궁의 풍수적 견해에 있어서도 상반된 견해차를 보이고 있어 문제원인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에 있어선 5대 궁궐의 산계와 수계를 중심으로 한 풍수적 입지와 주요전각의 입지특성에 대하여 용맥의 흐름방향 및 국세에 대한 실측자료를 근거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제시코자 하였다. 이에 대한 객관적 타당성 확보와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고문헌자료와 풍수경전을 참조하였으며, 그 외 연구논문을 비롯한 학술기록 및 기사, 관련사진 및 문화재청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관산법(觀山法)에 의한 실측자료는 간략화한 체계도의 흐름도를 작성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네이버 위성지도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한 등고선지도에 용맥의 흐름을 기재하여 객관성을 높였다. 그리고 궁궐입지 외에 주요전각 위치에 대한 풍수적 해석도 같이 시도하였다. 또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지형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지형의 변화여부도 고려하여 용맥의 흐름을 반영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궁궐의 전체적 입지분석을 실시하여 풍수적으로 입지조건이 우수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모든 궁궐 내에 안정된 사신사를 갖추고 응집된 혈장의 터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해당 위치를 제시하였다. 또한 궁궐의 유지 및 보존에 의한 관리뿐만 아니라 풍수이론체계에서의 개선 및 다양한 문화콘텐츠로서의 활용방안을 제시코자 하였다. 그동안 보존위주의 문화재 보호정책이었던 틀에서 벗어나 문화재 활용에 의한 가치창출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5대 궁궐의 정비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풍수지리적 입지특성과 비보풍수를 활용한 궁궐 장소성의 보존 및 복원방향을 제안하고 또한 해당영역의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둘째, 풍수적 입지를 활용한 새로운 궁궐안내(해설)의 경로 개발을 통하여 다른 시각의 궁궐에 대한 이해 제고 및 관광화사업의 질적 요인을 강화코자 하였다.
      셋째, 3D 가상현실(Virturl Reality)기술을 이용한 웹개발을 통해 역사학습 강화 및 궁궐풍수의 콘텐츠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did Feng-Shui Analysis on 5 palaces in Seoul such as Gyeongbokung, Changdeokgung, Changgyeonggung, Gyeonghuigung, and Deoksugung. Existing studies about spatial characteristics of palaces, and location and placeness of main space in palace h...

      The study did Feng-Shui Analysis on 5 palaces in Seoul such as Gyeongbokung, Changdeokgung, Changgyeonggung, Gyeonghuigung, and Deoksugung. Existing studies about spatial characteristics of palaces, and location and placeness of main space in palace have been progressed steadily. But studies about location from view of Feng-Shui for palace have been poor.
      Whole existing studies are about Feng-Shui location of Seoul topography according to move of Joseon to Hanyang and part related to Gyeongbokung and Changdeokgung. The content of the studies deal with mountain range of the capital Seoul focusing on Gyeongbokung and pointed out several problems of “Sasinsa” (Hyun-Moo, Chung-Ryong, Baek-Ho and Ju-Jak). And the studies show contrary opinions each other about Feng-Shui of Changdeokgung. So it would be necessary to identify causes of the problems.
      For study methodology, the author analyzed location from view of Feng-Shui focusing on mountain range and water range of the 5 palaces and location features of main palatial residence based on actual measurement materials about flow direction of Yong-Maek and Gukse. As a result, the study tried to suggest application plans of cultural contents. For securing objective validity and improving completeness, ancient writings and Holy Book of Feng-Shui were referred to. Besides them, theses, academic records and articles, related photos, materials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ere used. Actual measurement data by Gwansanbup(觀山法) can be understood by making concise flow chart. By describing flow of Yong-Maek on NAVER satellite map and contour map made in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objectivity improved. And interpretation from Feng-Shui on location of major palatial residence was tried. Change in topography can happen over era so that flow of Yong-Maek was reflected, considering change of topography.
      Accordingly, the study intended to identify if location condition is excellent in view from Feng-Shui or not, conducting overall analysis on location of palaces in Seoul.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stable “Sasinsa” (Hyun-Moo, Chung-Ryong, Baek-Ho and Ju-Jak) were prepared in all the palaces, site of condensed Hyeol-Jang(the best location as a palace from the view point) existed. Furthermore, their location was suggested. The author suggested management for maintaining and preservation of palaces as well as improvements in Feng-Shui theory system and application plans as various cultural contents. The study explored plans for creating value by using cultural assets going beyond framework of policy to protect cultural assets focusing on preservation until now.
      First, the study suggested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direction using location characteristics under Feng-Shui and Bibo(裨補) which can be reflected on organization plan of the 5 palaces to form space of placeness and to develop storytelling of related areas.
      Second, the study tried to improve understanding about palace from different view and to strengthen qualitative factor of business for tourism through development of route of palace guidance(commentary) by using location from view of Feng-Shui.
      Third, the author suggested methods to strengthen learning of history and to realize contents of palace Feng-Shui by using 3D Virtual Re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 연구의 범위 2
      • 2. 연구의 방법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 연구의 범위 2
      • 2. 연구의 방법 4
      • 제3절 선행연구의 검토 9
      • 제2장 서울 궁궐의 풍수지리적 입지분석 17
      • 제1절 수도 서울의 입지배경 17
      • 제2절 수도 서울의 산계(山系)와 사신사(四神砂) 18
      • 1. 산계 19
      • 2. 사신사 22
      • 제3절 수도 서울의 수계(水系) 30
      • 제4절 서울 궁궐의 풍수지리적 입지 36
      • 1. 경복궁 37
      • 2. 창덕궁 69
      • 3. 창경궁 100
      • 4. 경희궁 114
      • 5. 덕수궁 142
      • 제5절 서울 궁궐의 풍수지리 종합분석 163
      • 제3장 서울 궁궐의 풍수지리적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168
      • 제1절 궁궐콘텐츠 개발 필요성 및 방향 168
      • 제2절 풍수와 비보를 적용한 보존 및 복원과 활용 172
      • 1. 경복궁 177
      • 2. 창덕궁 181
      • 3. 창경궁 183
      • 4. 경희궁 184
      • 5. 덕수궁 193
      • 제3절 궁궐풍수의 문화콘텐츠 구현 199
      • 1. 궁궐풍수 스토리텔링 201
      • 2. 궁궐 안내(해설) 202
      • 3. 3D 증강 및 가상현실 활용 210
      • 제4장 결론 215
      • 참고문헌 219
      • ABSTRACT 22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두산백과, "(http://www", doopedia.co.kr/), null

      2 장용득, "『명당론』", 신교출판사, 1976

      3 최원석, "『왕도풍수』", 신편 강화사 中(문화와 사상), 2003

      4 김동규, "『인자수지』", 명문당, 2008

      5 김혜정, 장성규, "『풍수경전』", 문예원, 2010

      6 배상승, 서구원, "『도시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7 조중근, "『신풍수지리』", 가교, 가교, 2001

      8 강병수,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9 김두규, "『풍수학대사전』", 비봉출판사, 2005

      10 지창룡, "『한국지리총람』", 재판, 명문당, 1994, 1977

      1 두산백과, "(http://www", doopedia.co.kr/), null

      2 장용득, "『명당론』", 신교출판사, 1976

      3 최원석, "『왕도풍수』", 신편 강화사 中(문화와 사상), 2003

      4 김동규, "『인자수지』", 명문당, 2008

      5 김혜정, 장성규, "『풍수경전』", 문예원, 2010

      6 배상승, 서구원, "『도시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7 조중근, "『신풍수지리』", 가교, 가교, 2001

      8 강병수,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9 김두규, "『풍수학대사전』", 비봉출판사, 2005

      10 지창룡, "『한국지리총람』", 재판, 명문당, 1994, 1977

      11 최창조, "『청오경 금낭경』", 민음사, 1993

      12 홍순민, "『우리궁궐이야기』", 청년사, 청년사, 1999

      13 황영웅, "『풍수원리강론(I)』", 동국비전, 2004

      14 유영봉, "『하늘이 내신땅 2』", 문자향, 2004

      15 이병도, "『고려시대의 연구』", 재판, 아세아문화사, 1980, 1946

      16 김두규, "『우리땅 우리풍수』", 동학사, 1998

      17 최세창, "『청와대 풍수논쟁』", 돋을새김, 돋을새김, 2007

      18 황영웅, "『풍수기초 원리론』", 동국비전, 2002

      19 박언곤, "『한국건축사 강론』", 문운당, 재판, 문운당, 2004, 1998

      20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90

      21 최종희, "전통경관의 보존관리",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Journal of Natural Sciences Pai Chai University Korea』, 21, :, 2010

      22 최원석, "「한국의 裨補風水論」", 『대한지리학회지』, ,제37권 제2호 통권 90호, :, 2002

      23 최창조, "『땅의 눈물 땅의 희망』", 궁리출판사, 2004

      24 이몽일, "『한국풍수사상사연구』", 日馹社, 일일사, 1991

      25 강경환, "『문화재 활용가이드북』", 문화재청, 문화재청, 2007

      26 이강근, "「경희궁의 보존과 복원」", 『건축역사연구』, 제13권 제1호, :, 2004

      27 김종헌, "「덕수궁의 보존과 복원」", 『한국건축역사학회』, 제13권 제1호 통권37호, :, 2004

      28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29 양형석, 홍성서, "『착맥부 동림조담 역해』",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13

      30 지종학, "『청와대 입지의 재조명』", 관음출판사, 2011

      31 우동선, "창덕궁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1991

      32 김동욱, "「전환기 건축사학의 전망」", 『한국건축역사학회』, 창립10주년 기념 학술발표대회, :, 2001

      33 김용국, "「서울 奠都의 動機와 顚末」", 『향토서울』1, :, 1957

      34 금기용, "서울관광의 질적 내실화 방안",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 2014

      35 이상태, "「조선 초기의 풍수지리사상」", 한국사학회, 『사학연구』, 제39호, :, 1987

      36 문갑식, "「경희궁내 일제 방공호 철거」", 『조선일보』, 년 11월09일 자, 2002

      37 장지연, "『고려, 조선초 국도풍수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10

      38 한영우, "『서울 600년의 문화사적 의의』", 서울시민문화대학, 1994

      39 장지연, "「麗末鮮初遷都論議에 대하여」", 『한국사론』, :, 2000

      40 황영웅, "「한반도의 자생 풍수원리이론」", 국립민속박물관, 『민속학연구』, 제17호, :, 2005

      41 이원명, "「한양천도의 배경에 관한 연구」", 『향토서울』42, :, 1984

      42 이강근, "『경복궁에 관한 건축사적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 논문, 1983

      43 金基德, "고려시대 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 제17호, :, 2001

      44 강환웅, "『조선초기의 풍수지리사상연구』", 세종대 박사학위 논문, 2003

      45 최창조, "『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 서해문집, 1993

      46 최병선, "『경운궁의 복원계획에 관한 연구』", 명지대석사학위논문, 2008

      47 김기덕(Kim, Ki-duk), 박재희(Park, Jae-hee), "창덕궁의 풍수지리적 입지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중앙사론』, 제43집, :, 2016

      48 홍석주, "「광해군대의 경덕궁(경희궁) 창건」",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 권34, :, 2009

      49 천인호, "「풍수 비보의 측면에서 본 서울숲」",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구』, 제32권 제4호. :, 2009

      50 박희용, "『창덕궁 정전 영역의 구성과 운영』", 서울시립대 박사학위논문, 2008

      51 김지선, 이훈, "「고궁관광 평가요인과 만족도 분석」", 한국관광학회, 『한국관광학회 관 광학연구』, 33(6), :, 2009

      52 김기덕, "「고려시대 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한국사학회, 『사학연구』, 제73호, :, 2004

      53 김동욱,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구』, 제7권2 호 :, 1998

      54 박정해(朴正海), "창덕궁의 역사적 전개와 전통입지과정",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24, :, 2014

      55 박세준, "「말로만? 좌초위기 경희궁 복원사업」", 『주간동아』, 년 5 월11일자, 2016

      56 윤홍기, "「한국 풍수지리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회』, 제 17집, :, 2001

      57 진용미, "『창덕궁 후원의 배수체계 특성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 문, 2014

      58 황영웅, 박재희, "「국립서울현충원의 풍수지리적 고찰」",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중앙사론』, 제 41집, :, 2015

      59 김찬동, "「서울도시마케팅의 현황과 발전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2006

      60 김기덕, "「高麗中 後期遷都論議와 風水 圖讖說」", 『역사민속학』제20 호, :, 2005

      61 류호철, "「문화재 관리체계의 한계와 개선방안」",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노총』, 제54 집, :, 2013

      62 서정규, "『한양천도에 풍수지리설이 미친 영향』",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석사학위논문, 1989

      63 최홍렬, "「원형 되찾은 경희궁 21일 시민 곁으로」", 『조선일보』, 년 5월11일자, 2002

      64 박희용, 홍대형, 최종철, "「창덕궁 인정전 일곽의 공간구성 변화」", 대한건축학회,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권 11호, :, 2005

      65 문다미, "『전통 궁궐 공간의 수체계에 관한연구』", 상명대 대학원, 상명대석사학위논문, 2000

      66 이강훈, 조세홍,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문화유산 구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멀티미디어 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 2012

      67 김기덕, "「고려시대 강도 궁궐의 풍수지리적 고찰」", 한국중세사학회, 『한국중세사연구』, 제31호, :, 2011

      68 배한철, "「일제가 망친 경희궁 내년부터 복원한다」", 『매일경제』, 년 1월27일자, 2013

      69 이원희, "『5대궁을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 구원, 2004

      70 김홍식, "『창경궁 내전권역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명지대 석사학위논 문, 2010

      71 조남선, "『창덕궁의 풍수지리적 입지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대구한의대 석사학위 논문, 2005

      72 김기덕, "「고려시대 개경과 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한국사연구』, 제127호, :, 2004

      73 홍석주, "『조선조 광해군대의 궁궐건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홍익대박사학위논 문, 2000

      74 박명희(Park Myung-Hee), "문화관광자원해설의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관광레저연 구』, 제11권 제2호, :, 1999

      75 김지선, 이훈, "「문화유산관광의 지속가능한 관리모형 개발」", 한국관광·레저학회, 『한국관 광 레저학회』, 제22권 제5호, :, 2010

      76 안희자, "『문화관광지 해설프로그램의 평가척도 개발』", 한양대 석사학위 논문, 2004

      77 이병민, "창조적 문화중심도시 조성전략과 문화정책방향", 한국문화정책개발원, 『한국문화 관광연구원』, 문화정책논총 25(1), :, 2011

      78 김동욱, "「경희궁지의 역사적 가치와 궁지의 복원문제」", 한국건축역사학회, 『건축역사연 구』, 제1권 1호, :, 1992

      79 박무흠, "『공공시설의 입지에 따른 풍수지리학적 연구』", 영산대 박사학위 논문, 2014

      80 홍순민, "『조선왕조 궁궐 경영과 “양궐체제”의 변천』", 서울대박사학위논 문, 1996

      81 조재모, "『창덕궁의 성장과정과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 위, 1997

      82 유동환, "“한국 전통 문화유산 콘텐츠개발 현황과 과제”",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 원』, 국학연구 12, :, 2008

      83 이주영, "『서울 정동지역의 공공공간 재생에 관한 연구』", 홍익대석사학위 논문, 2008

      84 박정해, "「경복궁의 입지환경에 대한 풍수적 논의와 해석」",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 2013

      85 이창환, "『조선시대 능역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 박 사학위논문, 1998

      86 김두규, 이창환, 최종희, 김규연, "“세계문화유산 조선 왕릉의 능제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2권 제4호, :, 2014

      87 천민호, "“문화관광 해설이 관광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 텐츠학회논문지』, 11호, :, 2011

      88 한상우, "「대중교육을 위한 문화유적의 해석에 관한 기본연구」", 『고문 화』, 제68차, :, 2006

      89 서정협, "서울시, 2018년 세계 5대 관광도시 목표 중장기 비전 제시", 『한국관광정책』, 2013

      90 이창근, "『궁궐 종묘 문화유산의 관광자원 활성화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2013

      91 박경정, "『세계유산 조선 왕릉의 입지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 박사학위논문, 2015

      92 김은주, "「경복궁 문화관광해설의 박물관교육기능과 의미 연구」", 한국박물관교육학회, 『박물 관교육연구』, 제10호, :, 2013

      93 김두규, 김현욱, 김용기,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한양의 비보풍수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Vol.20 No. 3. :, 2002

      94 이병훈, "『농촌관광마을의 스토리텔링 구현을 통한 장소성 확보』", 계명대 박사학위논문, 2010

      95 서문종, "『서울의 지세와 궁궐 입지에 대한 풍수지리적 분석연구』", 한성 대 석사학위 논문, 2005

      96 이훈, "「고궁에 대한 관광학적 접근:실존적 진정성과 문화유산관광", 『고 궁관광자원 개발 및 활용방안 세미나집』, 1-27, :, 2008

      97 김응곤, 한종길, 조오훈, 유승혁, "「증강현실 기반의 문화유적지 복원 콘텐 츠 시각화 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 『한국전자통신학회』, 학술대회지 6(2), :, 2012

      98 경세진(Kyoung Se Jin), 김정미(Kim, Jeong-Mi), 조재모(Cho Jae Mo), "경사지형 활용의 관점에서 살펴본 경희궁의 배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31권 제 1호, :, 2015

      99 김찬동, "「서울마케팅 전략개발에 관한 연구: 도시 브랜딩을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2006

      100 지종학, "『경복궁 청와대 입지의 비판적 분석과 대안모색에 관한 연구』", 광운대 석사학위논문, 2009

      101 김이현, 전성곤, 이만석, 남길정, "건축문화재 홍수재해위험도 평가 분석- 경복궁과 종묘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4권 1 호, 2014

      102 김영근, 김원중, "「스마트폰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관광 정보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한국전자통신학회 학술대회지』, 7(1), :, 2013

      103 조아라, "“유네스코 문학 창의도시 가입 전략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 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2015

      104 김수경, "“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능력이 관광객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관광레저연구』, 제22권, :, 2010

      105 이강근, "「경희궁의 역사『정비 복원을 위한 경희궁지 제2차 발굴조사보 고서』」", 『서울특별시』, 단국대학교 박물관, :, 1987

      106 신현준, "「서울시 이래도 되나 , 덕수궁터 미대사관 못짓는데… 경희궁터 엔 우리 관청을?」", 『조선일보』, 년 1월13일자,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