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蓮潭有一 연구 = A Study on Yeondam Yui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6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후기의 불교는 看話禪의 수행과 華嚴 敎學의 공존 양상을 띠며, 禪敎兼修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와 같은 불교계의 분위기 속에서 蓮潭有一은 조선후기 대표적 禪師이자 講師였다. 禪...

      조선후기의 불교는 看話禪의 수행과 華嚴 敎學의 공존 양상을 띠며, 禪敎兼修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와 같은 불교계의 분위기 속에서 蓮潭有一은 조선후기 대표적 禪師이자 講師였다. 禪修行을 근본으로 하는 禪宗 승려이면서도 講學과 私記 편찬을 활발히 하였던 인물이다.
      본 연구는 18세기 불교계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 연담유일의 활동을 禪敎觀, 念佛觀, 유가자와의 교류, 默庵과의 心性 논쟁 등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먼저 연담의 禪觀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그는 언제나 수행자의 자세를 유지하려고 하였고, 만년에 더욱 禪修行에 힘썼던 것을 알 수 있었다. 敎觀은 연담의 華嚴 私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담은 화엄 사기를 저술할 때, 첫째 잘못된 곳은 고치고 간략한 부분은 자세하게 밝혀 보충하였다. 둘째 방대한 󰡔華嚴經疏鈔󰡕의 내용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재구성하였다. 셋째, 개념이나 내용이 어려운 것은 쉽게 풀고, 사기를 통해 자신의 학문적 관점을 드러내었다. 넷째 연담의 華嚴法界觀은 淸凉澄觀의 사상을 계승하여 법계를 이해한 것으로 보이며, 법계를 이해하는 기본 개념인 理와 事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특히 理事無碍를 圓敎의 입장에서 파악하고 중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담의 禪敎觀은 그의 私記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에서 연담은 頓悟漸修를 현실적인 깨달음에 의거해서 판단하였고, 看話禪의 핵심은 參意가 아닌 參句임을 강조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연담이 주장한 心性論을 華嚴의 性起사상, 禪宗의 本來成佛思想, 如來藏사상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담의 주장은 衆生의 즉각적인 부처로의 전환, 즉 性起의 입장이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연담이 주장한 心性論은 菩提達摩 이후 馬祖道一 등에 이르기까지 禪宗의 祖師들에게 면밀하게 흐르는 사상이었고, 이것은 연담유일에게도 그대로 전승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자신의 心性論의 체계를 확립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인간은 본래부터 물들고 오염된 존재가 아니라, 부처의 성품을 완전히 갖추고 있는 존재라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연담 당시의 불교계는 선, 교, 염불을 중시하는 三門修行이 유행하였으며, 연담 역시 염불수행을 선수행과 동일시하면서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담은 유심정토와 서방정토 모두 용인하였지만, 마음으로 생각하는 염불은 正因이고, 입으로 명호를 송하는 염불은 助緣으로 보았다. 즉 칭명염불을 위주로 하는 서방정토는 방편적인 차원으로 용인하였다.
      또한 연담은 많은 유가자들과 시와 편지 등을 주고받으며 유가자들과 교류하였다. 이러한 교류 속에서 연담은 유가자들에게 불교를 이해시키고 佛法을 옹호하고자 하였다.
      연담의 이러한 사상과 활동은 조선후기 禪敎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었고, 大芚寺의 12 宗師, 12講師 체계의 명맥을 계승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19세기에 일어난 禪門論爭에도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연담의 사상은 조선후기 불교계 학문의 발전을 이끌었고, 불교계의 위상을 확립시켰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목적과 선행 연구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 연구 2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 Ⅰ. 서 론 1
      • 1. 연구 목적과 선행 연구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 연구 2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 Ⅱ. 蓮潭有一의 생애와 저술 12
      • 1. 조선시대 불교계의 상황 12
      • 1) 연담 이전의 불교계의 동향 12
      • 2) 연담 당시의 불교계의 상황 15
      • 2. 생애 19
      • 3. 법맥 27
      • 4. 저술 35
      • 1) 蓮潭大師林下錄 35
      • 2) 연담의 華嚴 私記 39
      • 3) 諸經會要 42
      • 4) 釋典類解 43
      • 5) 都序科目幷入私記, 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 禪要私記 44
      • Ⅲ. 禪敎兼修 풍토와 私記 46
      • 1. 조선 중후기 선교겸수의 풍토 46
      • 2. 履歷課程의 성립 50
      • 1) 이력과정의 성립과 체계 50
      • 2) 이력과정의 구성과 내용 59
      • 3. 조선후기 私記의 출현 68
      • 1) 私記의 편찬 68
      • 2) 연담유일과 인악의첨의 私記와 양대 학맥 75
      • 4. 연담의 私記 78
      • 1) 보조지눌의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78
      • 2) 조선시대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의 간행과 私記 80
      • 3) 연담의 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 85
      • Ⅳ. 蓮潭有一의 수행과 禪敎觀 114
      • 1. 연담유일의 禪觀 114
      • 1) 祖師禪 114
      • 2) 간화 수행 124
      • 2. 연담유일의 敎觀 129
      • 1) 조선후기 화엄학의 유행 129
      • 2) 연담유일의 화엄사상 142
      • Ⅴ. 蓮潭有一과 默庵最訥의 심성논쟁 157
      • 1. 雲峯大智의 心性論과의 관계 157
      • 2. 연담과 묵암의 교류 165
      • 3. 연담유일의 심성론 170
      • 1) 華嚴의 性起사상에 근거한 심성 170
      • 2) 禪宗의 本來成佛 사상에 근거한 심성 178
      • 3) 如來藏 사상에 근거한 심성 184
      • Ⅵ. 조선후기 念佛修行과 연담의 念佛觀 188
      • 1. 조선후기의 염불관 188
      • 1) 조선후기 이전의 염불신앙 188
      • 2) 조선후기 三門修行과 정토사상 192
      • 2. 연담유일의 염불관과 정토관 198
      • 1) 염불 수행의 중시 198
      • 2) 유심정토관과 서방정토관 203
      • Ⅶ. 儒佛 交流와 護佛論 208
      • 1. 연담유일의 유가사상 208
      • 2. 당대 지식인과 유가자와의 교유 212
      • 1) 茶山 丁若鏞 212
      • 2) 樊巖 蔡濟恭 218
      • 3) 연담 주변에 있었던 儒家者와의 교유 221
      • 3. 연담유일의 護佛論 232
      • 1) 上韓綾州長書 233
      • 2) 四山碑銘序 240
      • Ⅷ. 조선후기 불교계에 미친 영향 251
      • 1. 大芚寺에서 연담유일의 영향 251
      • 1) 大芚寺 表忠祠 지정에 끼친 영향 252
      • 2) 大芚寺志 편찬 257
      • 3) 대둔사 12宗師와 12講師 269
      • 2. 강학 전통의 계승 273
      • 3. 조선후기 선문논쟁에 미친 영향 279
      • Ⅸ. 결론 286
      • 참 고 문 헌 291
      • ABSTRACT 30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대한불교조계종 교재편찬위원회, "􋺷節要􋺸",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2005

      2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四集私記􋺸", 조계종출판사, 2008

      3 임석진, "􋺷松廣寺誌􋺸", 불일출판사, 1965

      4 혜각존자, "􋺷蒙山法語􋺸", 龍華禪院, 1985

      5 최현각, "􋺷선어록산책􋺸", 불광출판부, 2005

      6 김잉석, "􋺷화엄학개론􋺸", 법륜사, 1986

      7 최현각, "􋺷선학의 이해􋺸", 동국대 출판부, 2010

      8 전해주, "􋺷화엄의 세계􋺸", 민족사, 1998

      9 김영수, "􋺷朝鮮佛敎史藁􋺸", 中央佛敎專門學敎, 1939

      10 권상로, "􋺷朝鮮佛敎略史􋺸", 新文館, 1917

      1 대한불교조계종 교재편찬위원회, "􋺷節要􋺸",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2005

      2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四集私記􋺸", 조계종출판사, 2008

      3 임석진, "􋺷松廣寺誌􋺸", 불일출판사, 1965

      4 혜각존자, "􋺷蒙山法語􋺸", 龍華禪院, 1985

      5 최현각, "􋺷선어록산책􋺸", 불광출판부, 2005

      6 김잉석, "􋺷화엄학개론􋺸", 법륜사, 1986

      7 최현각, "􋺷선학의 이해􋺸", 동국대 출판부, 2010

      8 전해주, "􋺷화엄의 세계􋺸", 민족사, 1998

      9 김영수, "􋺷朝鮮佛敎史藁􋺸", 中央佛敎專門學敎, 1939

      10 권상로, "􋺷朝鮮佛敎略史􋺸", 新文館, 1917

      11 이능화, "􋺷朝鮮佛敎通史􋺸", 新文館, 1918

      12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華嚴淸凉疏鈔􋺸", 봉선사, 2008

      13 최남선, "􋺷조선상식문답􋺸", 현암사, 1974

      14 최동원, "『禪源諸詮集都序』", 의 傳來와 四集科受容에 대한 硏究, 􋺷書誌學報􋺸 31, 한국서지학회, 2007

      15 박한영, "연담과 인악과의 관계", 􋺷金剛杵􋺸 20, 1932

      16 최현각, "􋺷최현각선학전집􋺸", 동국대출판부, 2012

      17 한기두, "􋺷韓國佛敎思想硏究􋺸", 일지사, 1980

      18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曹溪宗史-고중세편􋺸", 조계종출판사, 2004

      19 김숙현, "􋺷高峰和尙禪要􋺸 연구",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2013

      20 정성본, "􋺷禪의 역사와 禪思想􋺸", 불교시대사, 1994

      21 이종찬, "􋺷韓國佛家詩文學史論􋺸", 불광출판사, 1993

      22 김지견, "􋺷韓國華嚴思想史硏究􋺸", 민족사, 1988

      23 이진오, "􋺷韓國佛敎文學의 硏究􋺸", 민족사, 1997

      24 김용조, "朝鮮後期佛敎思想의 一傾向", 􋺷경상대 논문집􋺸 22, 1983

      25 이봉춘,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 민족사, 2015

      26 효탄, "朝鮮後期講學의 復興과 展開", 􋺷종교연구􋺸 17, 1999

      27 배규범, "􋺷조선후기 한시작가론􋺸 2", 이희, 1998

      28 장일구, "최치원의 유불인식과 그 의미", 한국사상사학회 , 􋺷한국사상사학􋺸 19권, 2002

      29 金箕寧, "18세기 蓮潭有一의 護佛論考察", 동국대 불교문화연구 원, 􋺷佛敎學報􋺸 44, 2006

      30 宋天恩, "朝鮮朝後期雲峰의 佛敎心性論", 韓 國東洋哲學會, 􋺷朝鮮朝의 哲學思想과 時代精神􋺸, 1990

      31 최병헌, "茶山丁若鏞의 韓國佛敎史硏究", 민음사, 􋺷丁茶山硏究의 現況􋺸, 1986

      32 金晋鉉, "蓮潭有一의 一心和會思想硏究", 동국대 박사학위 논문, 2010

      33 김방룡, "􋺷보조지눌의 사상과 영향􋺸", 보고사, 2006

      34 정병삼, "불교계의 동향 , 􋺷한국사􋺸35", 국사편찬위원회, 1998

      35 鎌田茂雄, "􋺷宗密敎學の思想史的硏究􋺸", 동경대학출판회, 1975

      36 박문기(종호), "看話禪과 天台의 구조적 연관성", 동국대 불교문 화연구원 , 􋺷불교학보􋺸 62, 2012

      37 정종구, "茶山의 佛敎觀, 􋺷다산학보􋺸 1", 다산학보간행위원회, 1978

      38 최현각, "간화선의 전통과 그 현대적 수용", 동국대학교 불교문 화연구원 , 􋺷佛敎學報􋺸 56, 2010

      39 손성필, "16세기 조선의 정치 사회와 불교계", 􋺷동국사학􋺸 61, 2016

      40 김영수, "朝鮮佛敎와 所依經典, 􋺷一光􋺸 1",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우회, 1928

      41 李智冠, "著書를 通해 본 朝鮮朝의 淨土思想", 동국대학교 불교 문화연구원, 􋺷韓國淨土思想􋺸, 1997

      42 김석태, "􋺷18세기 호남 불가 시문학 연구􋺸", 심미안, 2007

      43 손성필, "16․17세기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동향",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2013

      44 최현각, "근본 선정관 일고 , 􋺷불교학보􋺸 29",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1991

      45 이용윤, "조선후기 嶺南의 佛畵와 僧侶門中연구", 弘益大박사학위논문, 2015

      46 高姬淑, "韓國佛敎講院沙彌科敎材의 書誌的硏究", 서지학 회, 􋺷書誌學硏究􋺸 10, 1994

      47 손성필, "16세기 송광사의 불서간행과 불교계 동향", 􋺷普照思想􋺸 45, 2016

      48 한보광, "念佛禪이란 무엇인가 , 􋺷불교연구􋺸 10", 한국불교연구원, 1993

      49 이진오, "朝鮮後期佛家漢文學의 儒佛交涉樣相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50 최현각, "조선시대 선법의 특징 , 􋺷韓國禪學􋺸 12", 한국선학회, 2005

      51 정병조, "불교신앙의 명맥 , 􋺷한국사상사대계􋺸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52 김방룡, "지눌 선사상 형성에 미친 중국불교의 영향", 불교학 연구회 , 􋺷불교학연구􋺸 23, 2009

      53 고영섭, "광해군의 불교인식 , 􋺷한국불교사연구􋺸 2",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54 김상영, "용흥사 소장 표충사 신자료의 불교사적 의미", 동국대 불교 학술원 , 􋺷불교기록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용흥사 소장 자료의 조사,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2012

      55 이종수, "조선후기 淨土思想연구 , 􋺷회당학보􋺸 13집", 회당학회, 2008

      56 서해기(정엄), "징관의 화엄법계관-법계 이해의 세 가지 유형", 불교학연구회 , 􋺷불교학연구􋺸 12, 2005

      57 유봉학, "실학의 계보와 학풍 , 􋺷韓國史市民講座􋺸 48", 일조각, 2011

      58 송일기, 최동원, "禪源諸銓集都序의 板本硏究, 􋺷書誌學報􋺸 32", 한국서지학회, 2008

      59 이능화, "禪敎兩宗과 講學布敎, 􋺷佛敎振興月報􋺸7", 불교진흥회본부, 1915

      60 최영성, "孤雲思想을 다시 음미한다 , 􋺷선비문화􋺸 14권", 남명학연구원, 2008

      61 이봉춘, "조선전기 숭불주와 흥불사업 , 􋺷불교학보􋺸 38",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2001

      62 김부용, "􋺷계초심학인문􋺸의 수행론 , 􋺷보조사상􋺸 53", 보조사상연구원, 2019

      63 최동원, "朝鮮時代에 刊行된 禪源諸詮集都序의 書誌的硏究", 중앙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8

      64 유호선, "번암 채제공의 불교인식 , 􋺷한국인물사연구􋺸 5", 한국인물사연구회, 2006

      65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2010

      66 남도영, "韓國寺院敎育制度(上), (中) , 􋺷역사교육􋺸 27~28", 역사교육연구회, 1980

      67 김용태,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계의 心性논쟁 , 􋺷보조사상􋺸 29집", 보조사상연구원, 2008

      68 고승학, "화엄교학에서의 緣起개념 , 􋺷불교학연구􋺸제37호", 불교학연구회, 2013

      69 김준혁, "朝鮮後期正祖의 佛敎認識과 政策, 􋺷중앙사론􋺸 16", 한국중앙사학회, 2002

      70 이선화, "조선후기 화엄 사기의 연구와 􋺷왕복서􋺸회편 역주", 동국대 박사학위논 문, 2017

      71 김성수, "四敎의 성립에 관한 書誌的연구 , 􋺷서지학연구􋺸 11", 서지학회, 1995

      72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三門修學을 중심으로", 동국대 박사학 위논문, 2010

      73 서재영, "조선후기 선문논쟁의 전개와 의의 , 􋺷韓國禪學􋺸 22", 한국선학회, 2009

      74 이진오, "朝鮮初期佛讚類文學과 淨土思想, 􋺷韓國文學論叢􋺸 11", 한국문학회, 1990

      75 김호귀, "禪錄을 통한 本來成佛사상의 전승 , 􋺷한국선학􋺸 30호", 한국선학회, 2011

      76 高姬淑, "韓國佛敎講院의 沙彌科 四集科敎材의 刊行에 관한 硏究", 청주대학교대학원 도서관학과, 􋺷創立十周 年紀念論文集􋺸, 1993

      77 정석종, "茶山丁若鏞의 康津流配期스님과의 交歡, 􋺷동양학􋺸 27",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1997

      78 이병욱, "􋺷운봉선사 심성론􋺸의 사상적 특징 , 􋺷한국선학􋺸 24", 한국선학회, 2009

      79 김주원, "緇門警訓(石崙菴本)의 기입토에 나타난 16세기 경상도 방언", 􋺷口訣硏 究􋺸 2, 1997

      80 서정형, 조은수, "불교의 주석 전통과 科文의 발달 , 􋺷불교학연구􋺸 제41호", 불교 학연구회, 2014

      81 정혜정, "조선조 유불교섭과 불교 심성론에 나타난 개성실현의 의미", 한국교육철학학회 , 􋺷교육철 학연구􋺸 제33권 제3호, 2011

      82 이종수, "조선후기 大芚寺현창 운동과 그 의미 , 􋺷동국사학􋺸 50집", 동국대학교 사학회, 2017

      83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 私記집성의 현황과 과제 , 􋺷佛敎學報􋺸 61", 동국대 불교 문화연구원, 2010

      84 박상국, "節要科目私記板本의 發見-本校圖書館소장 都序私記에 合編", 동대 신문 618호, 1975

      85 정병삼, "조선시대의 호남불교 연구의 성과와 전망 , 􋺷불교학보􋺸 59", 불교문화연 구원, 2011

      86 이종수, "조선후기 화엄학의 유행과 그 배경 , 􋺷불교학연구􋺸 제42호", 불교학연구 회, 2015

      87 全海住, "禪源諸詮集都序에 대한 考察: 韓國流通本都序의 文獻學的接近", 􋺷 佛敎學報􋺸 34, 1997

      88 조은수, "불교의 경전 주해 전통과 그 방법론적 특징 , 􋺷철학사상􋺸 26",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2007

      89 이정희, "조선후기 私記의 불교학적 의미 , 􋺷한국불교사연구입문􋺸 下", 지식산업 사, 2013

      90 김용태, "동아시아의 澄觀화엄 계승과 그 역사적 전개 , 􋺷불교학보􋺸 61",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2012

      91 오용섭, "영광 불갑사 복장본 강원교재 불서 연구 , 􋺷書誌學報􋺸 제35호", 한국서 지학회, 2010

      92 김용태, "조선후기 大芚寺의 表忠祠건립과 宗院표명 , 􋺷보조사상􋺸 27집", 보조 사상연구회, 2007

      93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 履歷科目의 선정과 그 의미 , 􋺷한국사연구􋺸 150", 한국 사연구회, 2010

      94 이종수, "17세기 말 心性論에 있어서 儒佛교섭의 가능성 , 􋺷보조사상􋺸 32", 보조 사상연구원, 2009

      95 김성수, "한문불전 四集의 성립에 관한 서지적 연구 , 􋺷문헌정보학논총􋺸", 구미무 역주식회사, 1994

      96 김용태, "19세기 초의의순의 사상과 호남의 불교학 전통 , 􋺷한국사연구􋺸 160", 한 국사연구회, 2013

      9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心性인식과 그 사상사적 의미 , 􋺷韓國思想史學􋺸 32", 한국사상사학회, 2009

      98 정수동, "조선 초기 배불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 􋺷동아시아불교문화學校 東洋學硏究所, 1997

      78 이병욱, "􋺷운봉선사 심성론􋺸의 사상적 특징 , 􋺷한국선학􋺸 24", 한국선학회, 2009

      79 김주원, "緇門警訓(石崙菴本)의 기입토에 나타난 16세기 경상도 방언", 􋺷口訣硏 究􋺸 2, 1997

      80 서정형, 조은수, "불교의 주석 전통과 科文의 발달 , 􋺷불교학연구􋺸 제41호", 불교 학연구회, 2014

      81 정혜정, "조선조 유불교섭과 불교 심성론에 나타난 개성실현의 의미", 한국교육철학학회 , 􋺷교육철 학연구􋺸 제33권 제3호, 2011

      82 이종수, "조선후기 大芚寺현창 운동과 그 의미 , 􋺷동국사학􋺸 50집", 동국대학교 사학회, 2017

      83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 私記집성의 현황과 과제 , 􋺷佛敎學報􋺸 61", 동국대 불교 문화연구원, 2010

      84 박상국, "節要科目私記板本의 發見-本校圖書館소장 都序私記에 合編", 동대 신문 618호, 1975

      85 정병삼, "조선시대의 호남불교 연구의 성과와 전망 , 􋺷불교학보􋺸 59", 불교문화연 구원, 2011

      86 이종수, "조선후기 화엄학의 유행과 그 배경 , 􋺷불교학연구􋺸 제42호", 불교학연구 회, 2015

      87 全海住, "禪源諸詮集都序에 대한 考察: 韓國流通本都序의 文獻學的接近", 􋺷 佛敎學報􋺸 34, 1997

      88 조은수, "불교의 경전 주해 전통과 그 방법론적 특징 , 􋺷철학사상􋺸 26",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2007

      89 이정희, "조선후기 私記의 불교학적 의미 , 􋺷한국불교사연구입문􋺸 下", 지식산업 사, 2013

      90 김용태, "동아시아의 澄觀화엄 계승과 그 역사적 전개 , 􋺷불교학보􋺸 61",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2012

      91 오용섭, "영광 불갑사 복장본 강원교재 불서 연구 , 􋺷書誌學報􋺸 제35호", 한국서 지학회, 2010

      92 김용태, "조선후기 大芚寺의 表忠祠건립과 宗院표명 , 􋺷보조사상􋺸 27집", 보조 사상연구회, 2007

      93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 履歷科目의 선정과 그 의미 , 􋺷한국사연구􋺸 150", 한국 사연구회, 2010

      94 이종수, "17세기 말 心性論에 있어서 儒佛교섭의 가능성 , 􋺷보조사상􋺸 32", 보조 사상연구원, 2009

      95 김성수, "한문불전 四集의 성립에 관한 서지적 연구 , 􋺷문헌정보학논총􋺸", 구미무 역주식회사, 1994

      96 김용태, "19세기 초의의순의 사상과 호남의 불교학 전통 , 􋺷한국사연구􋺸 160", 한 국사연구회, 2013

      9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心性인식과 그 사상사적 의미 , 􋺷韓國思想史學􋺸 32", 한국사상사학회, 2009

      98 정수동, "조선 초기 배불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 􋺷동아시아불교문화􋺸 20",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99 이종수, "숙종 7년 중국 선박의 표착과 백암성총의 불서 간행 , 􋺷불교학연구􋺸 21", 불교학연구회, 2008

      100 이진영, "蓮潭有一의 선사상-연담의 􋺷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를 중심으로", 한국선학회, 􋺷韓國禪學􋺸 30, 2011

      101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의 강학 전통과 白羊寺강원의 역사 , 􋺷불교학연구􋺸 제 25호", 불교학연구회, 2010

      102 김성수, "四集과 四敎의 集成에 관한 書誌的硏究, 􋺷恒心尹炳泰博士停年紀念論 文集􋺸", 民昌文化社, 1999

      103 안재철, "佛典解釋上의 諸問題點考察: 􋺷緇門警訓􋺸을 통하여 , 􋺷중국어문학논집􋺸 21", 중국어문학연구회, 2002

      104 조기룡, "청허 휴정과 의승군의 활동과 역할에 대한 재조명 , 􋺷원불교사상과 종 교문화􋺸 69",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105 이지관, "蓮潭및 仁嶽의 私記와 그의 敎學觀, 􋺷崇山朴吉眞博士華甲紀念- 韓國 佛敎思想史􋺸",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1975

      106 이영무, "蓮潭私記를 통해 본 朝鮮時代의 華嚴學-世主妙嚴品을 中心으로 , 􋺷韓 國華嚴思想硏究􋺸",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소, 1982

      107 박해당, "조선 후기 불교의 심성론: 大智의 ‘雲峯禪師心性論’을 중심으로 , 􋺷불교 와 문화􋺸 제23호", 大韓佛敎振興院, 1997

      108 김천학, "설파상언의 징관 􋺷화엄소초􋺸 이해의 일고찰- 십지품소 를 중심으로- , 􋺷호남문화연구􋺸 59", 호남문화연구, 2016

      109 고영섭, "조선후기 불학과 선학의 변화 - 心性및 私記논변과 禪敎및 禪旨논 변 , 􋺷한국불교사연구􋺸 제8호",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110 동국대, 박상국, "“정부 홍보담당자들의 언론 관계와 오보에 대한 인식 조사: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홍보담당자 비교 연구”", 석사 학위 논문, 1975

      111 이승범, "조선후기 蓮潭과 仁岳의 화엄십지사기 비교연구-􋺷화엄경소초􋺸 麗字卷 私記를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 35", 순천대 남도문화연구소,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