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윤복 풍속화에 나타난 '욕망 표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081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신윤복 풍속화에 나타난 ‘욕망 표현’ 연구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신윤복 풍속화의 ‘욕망 표현’의 상징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욕망 표현’은 조선 후기 풍속화 가...

      국문초록

      신윤복 풍속화에 나타난 ‘욕망 표현’ 연구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신윤복 풍속화의 ‘욕망 표현’의 상징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욕망 표현’은 조선 후기 풍속화 가운데 신윤복 풍속화만의 독창적인 특징이다. 그 바탕에는 당시의 사회ㆍ문화적인 변화와 경제 질서의 재편과 더불어 창작자로서 사유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었을 것이라는 데 주목한 것이다. 특히 조선시대의 창작이론은 시ㆍ서ㆍ화에 동일하게 적용되었다는 맥락에 초점을 두고, 사료가 부족한 부분은 당시에 변화된 문예사상의 검토를 토대로 신윤복 풍속화의 재조명을 시도하였다.
      조선 후기는 대외적인 변화와 더불어 양난 이후 내적으로도 변화의 조짐이 두드러지는 시기였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조선 성리학은 현실 대응에 한계점을 드러내면서, 성리학적 절대 가치에 대한 회의와 함께 경전 위주의 학문태도에서 벗어나 현실 문제를 직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각은 자신의 성찰과 함께 자의식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창작 분야에서도 개별자의 주체성을 드러내려는 시도가 본격화되었다. 그 대표적인 분야가 개성과 독창성을 강조한 문예사상이라고 하겠다. 변화된 문예사상을 대표하는 ‘천기론’과 ‘도문분리론’의 등장은 기존의 성리학의 절대적 가치로 숭상되었던 ‘재도론’에서 벗어나 ‘문’의 독립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즉 기존의 문학 비평의 기준이 인격 도야라는 목적에서 벗어나, 창작자의 개별적 감성 발현을 긍정하는 자율적 창작태도를 중시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문예사상의 변화를 주도한 이들은 비판 의식을 가졌던 진보 지식인들이었다. 조선 후기 창작의 자율성을 실현한 대표적인 진보 문인으로는 허균과 이언진, 그리고 이옥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당시의 권력의 주변에 있거나, 신분적인 불만을 지녔던 이들이다. 특히 이들의 창작물은 기존의 창작태도에서 벗어나 현실의 삶에 주목하고, 현실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것들을 가상의 작품으로 승화하여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가 인간의 욕망에 주목하고 특히 남녀 간의 정욕의 문제를 긍정하고 있다. 이들과 더불어 신윤복은 도덕적인 절대 가치를 강조한 성리학에서 가장 금기시 했던 ‘욕망’을 강조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진리에 대한 절대적 가치로 규정하는 것을 거부하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모하는 진리를 산출하고자 한 것이다. 진보 의식을 가졌던 지식인들은 예술작품의 평가 기준을 ‘진ㆍ가(眞ㆍ假)’의 문제로 보려했으며, 그 사상적 변화의 이면에는 양명좌파 문예사상의 영향을 꼽을 수 있다. 양명좌파의 사상 조류는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과 공안파의 ‘성령설(性靈說)’이 대표적이다. 이들이 강조하는 문예 창작은 ‘현실의 있는 그대로 참모습을 드러낼 것’을 중시한다. 정주학의 절대화된 진리 추구를 거짓으로 보고, 거짓 없는 순수한 본성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양명좌파가 주장하는 ‘순수한 본성’이라는 것은 사사로운 감정으로서의 욕망까지도 인간의 본성으로 인정한 것이다. 조선 후기 세계를 인식하는 시각의 변화는 새로운 시대적 담론이 형성되는 단초가 되었으며, 특히 신윤복의 풍속화에서의 ‘욕망 표현’은 시대 변화를 적극 수용한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신윤복 풍속화에 나타난 ‘욕망 표현’의 상징적 의미는 개별자의 욕망을 긍정하는 시대적 변화의 특징을 진솔하게 담아냈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것은 그동안 위계질서를 위한 보편적 담론으로 작용했던 성리학의 도덕성과 규범에 대한 비판 의식을 내포한다. 조선 후기의 현실 인식으로 탄생한 풍속화는 당시 삶의 풍속을 사실적으로 담아내고 있기는 하지만, 예술 창작자로서 신윤복의 초월적 시각은 동시대의 풍속 화가들과 다른 신윤복만의 회화적 독창성이라 하겠다.
      이러한 신윤복의 예술 정신은 바로 현대 예술이 요구하는 예술가의 개성 발현, 그리고 작품의 독창성에 대한 요구에 합치된다. 따라서 필자는 그의 풍속화가 내포하는 의미 내용을 ‘욕망 표현’의 상징적 알레고리로 규정하고, 그 함의를 탐색한 것이다. 서구 이성주의 철학전통에서도 ‘욕망’은 감각기관이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해 느껴지는 순화되지 않은 감성의 영역으로 줄 곧 이성에 비해 저급한 것으로 폄하되었다. 그러나 근대철학에서는 ‘욕망’을 긍정하였고, 이것은 회화에서 전통적으로 이어져온 원근법을 벗어나 낯설고 왜곡되어 보이는 직관적 공간의 표현이나, 또한 절대적인 ‘형식’을 숭배하지 않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회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대 예술에서는 절대적인 가치를 부정하고 새로운 ‘무엇으로 규정할 수 없는’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는 요구와 신윤복 풍속화에 나타나는 ‘욕망표현’의 상징적 알레고리 요소들은 동일한 창조적 맥락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술창작은 규정할 수 없는 본질에 대한 끊임없는 진리의 산출 행위라고 한다면, 신윤복의 창작태도 또한 당시의 현존의 대상에 대한 존재 진리의 산출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논의를 통해 분석된 신윤복의 창작태도는 현대 예술의 목표가 역설적이게도 탈현대라는 측면에서 그 동일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논문요약> i
      • 제1장 서 론 1
      • 1. 연구 목적 및 문제 제기 1
      • 목 차
      • <논문요약> i
      • 제1장 서 론 1
      • 1. 연구 목적 및 문제 제기 1
      • 2. 연구 방법 8
      • 제2장 동아시아 ‘욕망론’의 제 경향 11
      • 1. ‘욕망론’ 탐구의 밑그림 13
      • 1) ‘예’의 수호와 절욕(節欲) 14
      • 2) 인위(人爲)의 부정과 무정무욕(無情無欲) 20
      • 3) 존천리멸인욕(存天理滅人欲) 24
      • 2. 낭만성의 발현과 욕망 긍정의 계기 28
      • 1)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 28
      • 2) 공안파(公安派)의 성령설(性靈說) 34
      • 3) 조선 후기 문예론의 제 경향 40
      • (1) 천기론(天機論): 개성과 독창성을 강조한 ‘진(眞)’의 추구 41
      • (2) 도문분리론(道文分離論): 주체로서의 ‘문(文)’의 독립 48
      • (3) 문학 실천론: ‘고(古)’의 비판과 ‘금(今)’의 강조 53
      • 3. 조선 후기 문예사상과 현실인식 65
      • 1) 문학과 현실인식: ‘공(公)’에서 ‘사(私)’로 65
      • 2) 문예 창작에 나타난 자의식과 현실인식 73
      • 제3장 신윤복 풍속화에 내재된 ‘욕망 표현’의 상징성 78
      • 1. 조선 후기 풍속화의 등장과 경향 79
      • 2. ‘욕망 표현’의 토대 성격 93
      • 1) 체제 미학에 대한 도전 93
      • 2) 창작주체의 자율성 97
      • 3) 개인의 ‘욕망’ 긍정 100
      • 4) 주체적인 여성성의 표출 104
      • 3. 신윤복 풍속화의 주제별 성격 분류 110
      • 1) ‘욕망’의 이중성에 대한 비판 110
      • 2) ‘성적 욕망’: 폐쇄 공간에서 개방 공간으로 118
      • 3) ‘욕망 표현’의 상징적 알레고리 127
      • 제4장 현대적 담론을 통해 본 신윤복 풍속화의 ‘욕망 표현’ 133
      • 1. 절대 가치의 극복: 푸코의 『담론의 질서』를 토대로 134
      • 2. 진리 현현(顯現)으로서의 ‘욕망 표현’: 하이데거 예술론의 관점으로 141
      • 1) 미적 대상으로 ‘속(俗)’의 수용 142
      • 2) 존재 방식으로 나타난 ‘욕망 표현’ 147
      • 3. 현대 미술의 ‘욕망론’과 ‘욕망 표현’의 비교 153
      • 제5장 결론 157
      • <참고 문헌> 161
      • <ABSTRACT> 16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안동림, "莊子", 서울: 현암사, 2005

      2 마르틴, 하이데거, 신상희, "옮김", 숲길 (파주: 나남, 2010

      3 라캉, 민승기, "옮김", 욕망 이론 (서울: 문예출판사, 1995

      4 소현왕후, 이경하, "주해", 내훈(內訓) (파주: 한길사, 2011

      5 동기창, 변영섭, "화안", 서울: 시공사, 2003

      6 권오돈, "禮記", 서울: 홍신문화사, 1996

      7 이선옥, "사군자", 파주: 돌배게, 2011

      8 정석종, "한국사 9", 서울: 한길사, 1995

      9 성백효, "논어집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7

      10 이기동, "맹자강설", 서울: 성균관대 출판부, 2007

      1 안동림, "莊子", 서울: 현암사, 2005

      2 마르틴, 하이데거, 신상희, "옮김", 숲길 (파주: 나남, 2010

      3 라캉, 민승기, "옮김", 욕망 이론 (서울: 문예출판사, 1995

      4 소현왕후, 이경하, "주해", 내훈(內訓) (파주: 한길사, 2011

      5 동기창, 변영섭, "화안", 서울: 시공사, 2003

      6 권오돈, "禮記", 서울: 홍신문화사, 1996

      7 이선옥, "사군자", 파주: 돌배게, 2011

      8 정석종, "한국사 9", 서울: 한길사, 1995

      9 성백효, "논어집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7

      10 이기동, "맹자강설", 서울: 성균관대 출판부, 2007

      11 심경호, 원굉도, "원중랑집", 서울: 소명출판사, 2004

      12 김균태, 이옥, "이옥문집", 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13 한국사, "편집위원", 한국사 9 (서울: 한길사, 1995

      14 왕양명, 한정길, 정재인, "전습록 1ㆍ2", 서울: 청계출판사, 2004

      15 안휘준, "한국회화사", 서울: 일지사, 1993

      16 강명관, "조선풍속사 3", 서울: 푸른역사, 2010

      17 劉復烈, "韓國繪畵大觀", 서울:文敎院, 1969

      18 김충열, "노장철학강의", 서울: 예문서원, 2004

      19 강명관, "농암잡지평석", 서울: 소명출판사, 2007

      20 최완수, "진경시대 1ㆍ2", 서울: 돌베개, 1998

      2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서울: 지식산업사, 1993

      22 이상원, 이언진, "불타다 남은 시", 서울: 아라, 2013

      23 성백효, "대학ㆍ중용집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6

      24 미셀, "푸코, 이규혁 역", 성의 역사 1-앎의 의지 (서울: 나남출판, 1996

      25 오세창, "동양고전학회 역", 근역서화징ㆍ별책 영인본 (서울: 시공사, 1998

      26 고연희, "조선시대 산수화", 파주: 돌베개, 2011

      27 이동철, "21세기의 동양철학", 서울: 을유문화사, 2005

      28 홍선표, "조선시대회화사론", 서울: 문예출판사, 2004

      29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서울: 한길아트, 2000

      30 이동주, "우리나라의 옛그림", 서울: 학고재, 1995

      31 정형민, "조선후기의 기술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32 서지영, "규범과 욕망의 틈새",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 15집(한국고전연구, 2007

      33 한영우, "다시 찾는 우리역사", 파주: 경세원, 2010

      34 김상운, 마이클 하트, "들뢰즈 사상의 진화", 서울: 갈무리, 2006

      35 전경갑, "욕망의 통제와 탈주", 서울: 한길사, 1999

      36 유홍준, "조선시대 화론 연구", 서울: 학고재, 1998

      37 강명관, "조선의 뒷골목 풍경", 서울: 푸른역사, 2003

      38 한정희, "한국과 중국의 회화", 서울: 학고재, 1999

      39 임유경, "18세기 천기론의 특징", 한국한문학연구 제19집(한국한문학회, 1995

      40 윤사순, "동양사상과 한국사상", 서울: 을유문화사, 1985

      41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 정신", 서울: 예문서원, 2006

      42 진고응, "진고응이 풀이한 노자", 영남대학교출판부, 경북: 영남대학교출판부, 2004

      43 주진오, "한국여성사 깊이 읽기", 서울: 푸른역사, 2013

      44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지성사, 서울: 문학과지성사, 1999

      45 이동환, "실학시대의 사상과 문학", 서울: 지식산업사, 2007

      46 강만길, "중세사회의 동요와 해체", 한국사 9 (서울: 한길사, 1995

      47 이종호, "조선의 문인이 걸어온 길", 파주: 한길사, 2004

      48 이문규, "허균 문학의 실상과 전망", 새문사, 서울: 새문사, 2005

      49 요한네스, "힐쉬베르거, 강성위 옮김", 서양철학사 하 (대구: 이문출판사, 2006

      50 정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휴머니스트, 서울: 휴머니스트, 2007

      51 박상환, "고쳐읽는 중국철학 이야기", 서울: 도서출판 상, 2011

      52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서울: 효형출판, 2001

      53 이태호,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주의", 서울: 학고재, 1996

      54 강명관, "공안파와 조선 후기 한문학", 서울: 소명출판사, 2007

      55 정요일, "천기의 개념과 천기의 의의", 한문학보 제19집 (우리한문학회, 2008

      56 임태승, "미술관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서울: 미술문화, 2010

      57 김만중, "숨겨진 조선의 연애비화 48가지", 서울: 올댓북, 2008

      58 이옥,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역주", 역주 이옥전집 1ㆍ2ㆍ3 (서울: 소명출판사, 2001

      59 강명관,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 서울: 휴머니스트, 2012

      60 박희병, "나는 골목길 부처다-이언진 평전", 돌베개, 파주: 돌배게, 2010

      61 김현주, "고전문학과 전통회화의 상통구조", 서울: 보고사, 2007

      62 이태호, "『미술로 본 한국의 에로티시즘』", 여성신문사, 서울: 여성신문사, 1998

      63 김경호, "동양적 사유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파주: 글항아리, 2013

      64 오종일, "유학사상에 있어서 ‘욕’의 문제",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17집(범한철학회, 1998

      65 황효순, "혜원 신윤복 연구 ,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66 이순형, "조선시대 가부장제의 유학적 재해석", 한국학보 71집(서울: 일지사, 1993

      67 박현숙, "조선시대 양반가 여성들의 삶과 문화", 한국사상과 문화 35권(한국사상문학회, 2006

      68 김현주, "『판소리와 풍속화 그 닮은 예술세계』", 서울: 효형출판사, 2000

      69 김진균, "이옥의 작가적 자세와 탈중심적 글쓰기", 우리한문학회, 한문학보 제6집(우리한문학회, 2002

      70 김성룡, "조선 후기 문예 미학의 문학 사상적 의의", 고전문학과 교육 제18집(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71 박해남, "18세기 조선의 한시에 나타난 근대성 탐색", 한국시가학회, 한국시가연구 제28집(한국시가학회, 2010

      72 박찬국, "니체와 하이데거의 진리 개념의 비교 연구", 한국하이데거학회, 존재론 연구 제31집(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73 이옥, 이현우, "소외문인의 자아와 그 문학 , 반교어문연구 통권", 제20호(반교어문학회, 2006

      74 허남욱, "조선 전ㆍ후기 문학의 본질에 대한 인식변화 연구", 한문고전연구 제7집 (한국한문고전학회, 2003

      75 박경남, 조귀명, "도문분리론의 변화와 독자인식의 표현으로서의 문학", 국문학 연구 제17호(국어국문학회, 2008

      76 이태호, "「조선후기 풍속화에 그려진 여속과 여성의 미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3권(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77 이중희, "조선후기풍속화의 발생과 근대성 ,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3집(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04

      78 장완석, "성리학과 산수화의 발전에 관한 연구 – 송대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논집 제32집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79 강명관, "조선후기 한시와 회화의 교섭 :풍속화와 기속시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한국한문학연구 제30집(한국한문학회, 2002

      80 염재철, "작품존재에서 보는 예술의 본질-하이데거의 예술철학 논구(Ⅲ)", 미학 제70집(한국미학회, 2012

      81 임태승, "탈유가의 예술 사회학: 조선후기 사회에 나타난 정통질서 이탈의 양식들", 유교문화연구 제13집(유교학회, 2008

      82 박경수, "조선 후기 천기론의 시학과 낭만주의 시론의 비교연구 , 현대문학이론연구", 12권(현대문학이론학회, 1999

      83 진재교, "조선조 후기 문예공간에서 성적 욕망의 빛과 그늘-예교, 금기와 위반의 拮抗과 그 辨證法", 한국한문학연구 제42집 (한국한문학회),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