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사 문학에 나타난 음식 소재의 이념적 배경과 시대적 변모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502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전공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810.905 판사항(6)

      • DDC

        895.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256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재민
        권말부록 수록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43-00000006904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가사에서 활용된 음식 소재를 통해 조선조 가사 향유층의 정신적 지향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인간이 음식을 선택하는 기준은 음식이 지닌 메시지나 상징적 의미에서 비롯된...

      이 논문은 가사에서 활용된 음식 소재를 통해 조선조 가사 향유층의 정신적 지향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인간이 음식을 선택하는 기준은 음식이 지닌 메시지나 상징적 의미에서 비롯된다는 시각에 따라, 구체적으로 조선시대 문인들이 소재로 선택한 음식에 내재된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그 음식이 활용된 양상과 변모의 추이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음식 소재를 통하여 문학 향유층의 정신적 지향을 살피는 것은 음식이 인간의 삶과 깊은 유대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음식은 인간의 삶 속에서 작용하는 현실적인 실체로, 사회적 환경과 분리되거나 단절되지 않는 속성을 지닌다. 소재로서의 음식 역시 작품 속 환경의 맥락에서 삶을 있는 그대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에 본고는 인간의 삶의 다층적인 면모를 고루 반영하고 있는 가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소재로 활용된 음식의 종류와 내재된 이념, 그리고 시기별로 활용된 양상을 분석하였다.
      가사에서 추출한 음식 소재는 총 3,280여 개이며 이 음식들은 8가지의 종류로 분류된다. 이 음식들은 일상에서 먹는 음식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이념적 배경에 따라 활용된 양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음식에 내재된 속성이 가사 향유자의 정신적 지향과 연결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여기서는 음식 소재가 활용된 양상에 따라 이념적 배경을 일상의 음식, 유교적 음식, 도교적 음식으로 분류하고 그 속성을 탐색하였다.
      일상의 음식은 이념과 상관없이 오로지 몸의 苦樂에 관련된 음식을 의미한다. 일상의 음식은 생존을 위해 목숨을 부지하며 살림을 살아가는 정황에서 등장하는 ‘생계를 위한 음식’과 생계가 충족된 후 배부름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등장하는 ‘향락을 위한 음식’이 확인된다. 생계를 위한 음식은 거칠고 맛이 소거된 형태를 지니며 延命이나 免饑의 상황을 대변하는 속성을 지닌다. 향락을 위한 음식은 음식의 양, 다양성, 지역성의 특성을 강조한 형태로 나타나며 인간의 감각적 경험과 연결되는 속성을 지닌다.
      유교적 음식은 유교의 핵심 사상을 상징하거나 사회적 질서를 구현하는 데에 활용된 음식을 의미한다. 유교적 음식은 개인의 도덕적 품위를 대변하기 위한 ‘자기 수양이 강조된 음식’과 사회의 질서를 정립하기 위한 ‘사회 교화가 강조된 음식’이 확인된다. 자기 수양이 강조된 음식은 안빈낙도의 의지를 표명한 성인의 음식을 차용한 것으로 관념적이되 검박한 형태를 지니며 자신의 내적 본질을 닦는 행위에 수반된다. 사회 교화가 강조된 음식은 예의 실천과 관련된 전고의 사례에서 차용된 것으로 보편적이고 현세적인 형태를 지니며 규범적 실천을 강조하거나 훈교의 의도를 드러낼 때 수반된다.
      도교적 음식은 자연에서 逍遙하는 삶에 비유된 신선 세계를 상징하는 음식을 의미한다. 도교적 음식은 세속을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된 ‘탈속의 지향이 드러난 음식’과 늙지 않고 오래 살기를 염원하는 ‘불로장생의 지향이 드러난 음식’이 확인된다. 탈속의 지향이 드러난 음식은 知覺의 세계와의 단절을 전제한 환상적인 것으로 이상향이나 자유에 대한 동경의 의지를 드러낼 때 활용된다. 불로장생의 지향이 드러난 음식은 신선의 음식과 같이 실체를 알 수 없는 비현실적인 것으로 삶의 한계를 초월하기를 바라는 염원에 동반되어 나타난다.
      이상 살펴본 속성을 기준으로 시기에 따라 음식 소재가 활용된 양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 전기 가사에는 일상의 음식이 나타나지 않으며 도교적 음식이 유교적 음식보다 활용된 비중이 다소 높다. 구체적으로 유교적 음식은 수양과 교화의 차원이 비슷한 비중을 보이며 도교적 음식은 탈속의 차원에서 활용된 비중이 높다. 조선 중기 가사에는 도교적 음식>유교적 음식>일상의 음식 순으로 나타나지만 활용된 비중의 차이는 크지 않다. 구체적으로 일상의 음식은 향락의 차원에서, 유교적 음식은 교화의 차원에서, 도교적 음식은 탈속의 차원에서 활용된 비중이 높다. 조선 후기 가사에는 일상의 음식>유교적 음식>도교적 음식의 순으로 활용된 양상이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일상의 음식은 향락의 차원에서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이며 유교적 음식은 교화의 차원에서, 도교적 음식은 탈속의 차원에서 활용된 비중이 높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가사 향유자들의 정신적 지향이 변모된 추이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 전기에는 사회적으로 국가 윤리와 기강을 정립하기 위한 실천이 요구되지만 이와 달리 가사에서는 자연을 통해 이상향을 지향하고자 하는 염원이 강조된다. 즉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할수록 현실과 대별되는 자연을 통해 순수한 자신의 이념을 회복하려는 의도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가사 향유자들은 현실적인 측면에서 보이는 유교적 이념에 대한 정형적인 틀에 얽매이지 않고 향유자의 내면에 지닌 심상을 자유롭게 풀어내는 특징을 보인다. 조선 중기에는 어수선한 사회에 대한 정신적 위안을 자연에서 찾되 실제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구체적인 대상을 선택한다. 점차 현실적인 경험을 중요하게 인식하게 되면서 가사 향유자들의 정신적 지향이 현실적인 측면과 관념적인 측면으로 분파된 것이다. 조선 후기는 도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의 장이 형성되면서 새로운 문화적 욕구가 대두된다. 즉 전대와 마찬가지로 삶의 공간에서 얻는 경험을 중요하게 인식하면서 좀 더 현실적이고 경험적인 세계관을 지향하게 된다. 음식의 활용 양상을 통해서 살펴본 가사 향유자의 정신적 지향은 큰 흐름에서 볼 때, 도교적 지향-유교적 지향-일상적 지향으로 향하고 있음을 본다. 요컨대 조선조 전체 시기의 저변에는 유교적 이념이 변함없이 자리하고 있으면서 이상향을 동경했던 경향이 점차 일상의 현실적 즐거움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가사 속 음식 소재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내재된 속성을 ‘숨김과 드러남’의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나아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기능도 부여되었음을 본다. 즉 통시적인 흐름에서 볼 때 이념적 측면에서의 기능이 점차 약화되면서 다양한 음식의 진술을 통해 새로운 문화에 대한 충격과 긴장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이에 비추어 본다면 조선조 문인들의 정신적 지향 역시 시대적 요구에 따라 현실에 대응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했음을 알 수 있다. 음식 소재로 확인한 바에 따르면 문인들이 지향하고자 한 정신적 세계는 욕망과 직결된다. 그래서 욕망의 지향점이 달라짐에 따라 음식 소재의 기능 역시 변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본 연구는 문인들이 추구하고자 한 욕망과 그 속에 내재된 다면적 속성을 확인한 작업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the family members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food materials used in the Gasa(lyrics). Based on the view that the standard of human food selection stems from the message or symbolic meaning...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the family members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food materials used in the Gasa(lyrics). Based on the view that the standard of human food selection stems from the message or symbolic meaning of foo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specifically what the meaning of the food that Joseon literati chose as the subject of the food, and to identify the patterns and trends of transformation in which the food was used.
      The total number of food ingredients extracted from the Gasa(lyrics) is 3,280 and these foods are classified into eight types. These foods differ in how they are used by ideological backgrounds, with everyday food mainly made up of them. Noting that the attributes inherent in food are linked to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householders, the ideological background was classified into daily food, Confucian food, and Taoist food according to the pattern in which the food material was utilized, and explored the properties.
      Everyday food refers to food that is solely related to the pleasures of the body, regardless of ideology. The "food for the living" in which everyday food lives and lives for its survival, and "food for pleasure" in the pursuit of fullness and pleasure after well-being. Food for a living has a rough and tasteless form and is characterized by a life-or-death situation. Food for pleasure appears in a form that emphasizes the nature of food's quantity, variety, and locality, and has attributes that are linked to human sensory experiences.
      Confucian food means food used to symbolize the core ideas of Confucianism or to embody social order. Confucian food is identified as "food with a high emphasis on self-discipline" to represent individual moral decency and "food with a high emphasis on social culture" to establish order in society. Self-discipline is the borrowing of adult food that expresses the will of Ahn Bin-nak-do(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honestly) and is accompanied by a thought-provoking, thrifty form and train the mind and the body in one's inner nature. Food with an emphasis on social edification is borrowed from the example of a biography related to the practice of decorum, which has a universal and temporal form, and is accompanied by an emphasis on normative practice or revealing the intention of teaching.
      Taoist food means food that symbolizes a fresh world compared to life in nature. Daoist food is found to reflect the desire to escape the world and to live longer without aging. Food that reveals the direction of deceleration is fantastic, which preaches a break-up from the world of perception, and is used to show a yearning for idealism or freedom. Food, whose aim has been revealed to be immortal, comes with the desire to transcend the limits of life, such as Sinseon’s(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how food materials are utilized over tim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ttributes. No everyday food appears in the Gasa(lyric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portion of Taoist food used is slightly higher than Confucian food. In particular, Confucian food has a similar aspect to culture and culture, and Taoist food has been used to break away from speed. The Gasa(lyrics)of the mid-Joseon period show up in the order of Taoist food, Confucian food, and everyday food, but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used is not significant. More specifically, everyday food is used for entertainment, Confucian food for culture, and Taoist food for speed.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 everyday food, Confucian food, and Taoist food were used in order. In particular, everyday food shows an unusually high proportion in terms of entertainment, while Confucian food is used in terms of enlightenment and Taoist food is used in terms of spee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mental orientation of householders is as follows. The Joseon Dynasty biography requires practice to establish national ethics and discipline, but the Gasa(lyrics) emphasize the desire to pursue idealism through nature. In other words, it seems to reflect his intention to restore his pure ideology through nature, which contrasts with reality as he faces realistic problems. Accordingly, the enjoy people are not bound by the formal framework for Confucian ideology, which is seen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but is free to unravel the inner thoughts of the perfumers.
      During the mid-Joseon period, people choose a specific object that can find spiritual comfort in a chaotic society in nature but actually have fun. As the practical experience became important,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the householders was divided into realistic and ideological aspects. During the latter phase of the Joseon Dynasty, new cultural needs will emerge as various cultural fields are formed around the city. In other words, as in the pas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experience gained in the space of life, while aiming for a more realistic and empirical world view.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the enjoy person through the use of food is seen as a trend toward Taoist-natural-daily orientation in large flows. In short, the Confucian ideology remains unchanged at the base of the entire Joseon Dynasty, and the tendency to admire idealism is gradually shifting to the practical pleasures of everyday life.
      The ingredients of the food in the Gasa(lyrics) were used in a ‘hidden and exposed’ manner, depending on the demands of the times. Furthermore, we see that new functions have been granted by the changes of the times. In other words, as the ideological function has gradually weakened in the normal flow, it has become responsible for easing the shock and tension over the new culture through the statements of various foods. In light of this,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was also consistent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y continued to seek new alternatives. According to food sources, the spiritual world that the literati were trying to pursue is directly linked to desire. Therefore, the function of food materials has also changed as the direction of desire has changed. In the end, this study confirms the desire of the literati to pursue and the multifaceted attributes inherent in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사 검토 = 4
      • 3.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 13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사 검토 = 4
      • 3.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 13
      • Ⅱ. 분석을 위한 종합적 고찰 = 20
      • 1. 가사에 나타난 음식의 종류 = 20
      • 1) 음식의 종류 = 20
      • 2) 종류별 분류 = 41
      • 2. 분석 기준의 설정 = 68
      • Ⅲ. 가사에 나타난 음식 소재의 성격 = 73
      • 1. 일상의 음식에 내재된 현실적 욕구 = 74
      • 1) 생계를 위한 음식 = 74
      • 2) 향락을 위한 음식 = 80
      • 2. 유교적 음식에 내재된 규범적 질서 = 89
      • 1) 자기 수양이 강조된 음식 = 90
      • 2) 사회 교화가 강조된 음식 = 97
      • 3. 도교적 음식에 내재된 이상향의 동경 = 110
      • 1) 탈속의 지향이 드러난 음식 = 111
      • 2) 불로장생의 지향이 드러난 음식 = 121
      • Ⅳ. 시기에 따른 음식 소재의 변모 양상 = 131
      • 1. 전기 가사와 관념화 경향 = 132
      • 1) 일상적 차원에서의 음식 = 132
      • 2) 유교적 차원에서의 음식 = 133
      • 3) 도교적 차원에서의 음식 = 137
      • 2. 중기 가사와 경험적 의식 지향 = 146
      • 1) 일상적 차원에서의 음식 = 146
      • 2) 유교적 차원에서의 음식 = 151
      • 3) 도교적 차원에서의 음식 = 164
      • 3. 후기 가사와 일상성 추구 = 170
      • 1) 일상적 차원에서의 음식 = 170
      • 2) 유교적 차원에서의 음식 = 184
      • 3) 도교적 차원에서의 음식 = 189
      • Ⅴ. 음식 활용의 시대별 추이와 의미 = 193
      • 1. 활용 추이의 전체적인 조망 = 193
      • 2. 시기별 변모 요인 분석 = 201
      • 1) 조선 전기의 이상향 추구 = 201
      • 2) 조선 중기의 현실적 의식 전환 = 210
      • 3) 조선 후기의 문화적 욕구 충족 = 218
      • Ⅵ. 결론 = 22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장덕순, "「술과 문학」", 『한국식문화학회지』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9

      2 유정선, "「천풍가 연구」", 『이화어문논집』 15, 이화어문학회, 1997

      3 김광순, "『국문학 개론』", 새문사, 2003

      4 이상보, "『韓國歌辭選集』", 집문당, 1984

      5 조동일, "『한국문학강의』", 길벗, 2013

      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2008

      7 박연호, "『가려 뽑은 가사』", 현암사, 2015

      8 이상보, "『18세기 가사전집』", 민속원, 1991

      9 류연석, "『한국가사문학사』", 국학자료원, 1994

      10 林仁榮, "『李朝魚物廛硏究』",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977

      1 장덕순, "「술과 문학」", 『한국식문화학회지』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9

      2 유정선, "「천풍가 연구」", 『이화어문논집』 15, 이화어문학회, 1997

      3 김광순, "『국문학 개론』", 새문사, 2003

      4 이상보, "『韓國歌辭選集』", 집문당, 1984

      5 조동일, "『한국문학강의』", 길벗, 2013

      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2008

      7 박연호, "『가려 뽑은 가사』", 현암사, 2015

      8 이상보, "『18세기 가사전집』", 민속원, 1991

      9 류연석, "『한국가사문학사』", 국학자료원, 1994

      10 林仁榮, "『李朝魚物廛硏究』",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977

      11 김명희, "「시조문학과 신선」", 『시조학논총』30, 한국시조학회, 2009

      12 류연석, "『歌辭文學의 硏究』", 국학자료원, 2003

      13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14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2007

      15 정재호, "『한국가사문학연구』", 태학사, 1996

      16 김경호, "「빈과 낙에 대한 성찰」", 『유학연구』34,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17 김대행, "「상춘곡: 추상의 의미」", 『한국시가문화연구』5, 한국고시가문학회, 1998

      18 한영우, "『다시 찾는 우리 역사』", 경세원, <게우사>,박순호 소장본, 2016

      19 장화, "김영식 옮김, 『박물지』", 홍익출판사, 1998

      20 김정석, "「17세기 은일가사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1 성호경, "『조선 후기 문학의 성격』", 서강대학교출판부, 2010

      22 임기중,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 1∼20권, 아세아문화사, 2005

      23 한국민속학회, "『한국민속학학술총서 08』", 민속원, 2008

      24 모이세이 카간, "이혜승 옮김, 『문화철학』",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25 최강현, "「賞春曲과 不憂軒集 硏究」", 『홍대논총』16, 1984

      26 송재연, "「高應陟의 詩歌文學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4

      27 정병욱, "『(증보판)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99

      28 고순희, "『조선후기 가사문학 연구』", 박문사, 2016

      29 정병헌, "「한국 고전문학과 술 문화」", 『한국어와 문화』3,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08

      30 김성기, "「?仰亭 宋純의 自然詩 硏究」", 『남명학연구』10, 경상대학교남명학연구소, 2000

      31 가사협, "구자옥 외 역주, 『齊民要術』", 농촌진흥청, 2006

      32 박연호, "「누항사의 우의성과 그 의미」", 『개신어문연구』28, 개신어문학회, 2008

      33 추제협, "「오봉 이호민의 생애와 사상」", 『동아인문학』33, 동아인문학회, 2015

      34 정경훈, "「오봉 이호민의 시문학 연구」", 『한문고전연구』15, 한국한문고전학회, 2007

      35 임매, "김동욱 옮김, 『국역 잡기고담』", 보고사, 2014

      36 하이드룬 메르클레, "신혜원 옮김, 『식탁 위의 쾌락』", 열대림, 2005

      37 김홍매, "「卞鍾運 文學의 主題意識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8 김귀석, "「淸狂者朴士亨의 <南草歌>硏究」", 『국어문학』65, 국어문학회, 2017

      39 육민수, "「강복중 시가문학의 담론 양상」", 『국제어문』74, 국제어문학회, 2017

      40 조신, "정용수 번역, 『(국역) 소문쇄록』", 국학자료원, 1997

      41 安東張氏, "『음식디미방』柳得恭, 『京都雜誌』", 安東張氏, null

      42 배윤경, "「구전설화에 나타난 음식의 상징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9

      43 허남춘, "「제주 전통음식의 사회문화적 의미」", 『탐라문화』26,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5

      44 박록담, "『한국의 전통명주-다시 쓰는 주방문』", 코리아쇼케이스, 2005

      45 마빈 해리스, "서진영 옮김, 『음식문화의 수수께끼』", 한길사, 1997

      46 류해춘, "「임진왜란의 경험과 가사문학의 변모」", 『우리문학연구』17,우리문학회, 2004

      47 김용직, "「정철과 박인로의 문학인식 대비연구」", 『한국문학』13, 한국문학, 1992

      48 김기영, "「단산별곡의 작품 실상과 현대적 의미」", 『어문연구』 85, 어문연구학회, 2015

      49 류해춘, "「15세기 자연시가에 나타나는 녹색담론」", 『국학연구론총』17,태민국학연구원, 2016

      50 성호경, "「관동별곡의 형상화와 정철의 신선의식」", 『고전문학연구』37, 2010

      51 양중해, "「靑丘永言 硏究(Ⅰ)-衣 食 住를 中心으로」", 『제주대학논문 집』12, 제주대학, 1980

      52 강명관,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식욕과 판타지」", 『고전문학연구』32, 한국고전문학회, 2007

      53 황병익, "「고전시가에 나타난 술의 문학적 의미 고찰」", 『한국시가문화연구』37, 한국시가학회, 2016

      54 이주영, "「<금오신화>의 작품 구성 원리와 만남의 변주」", 『어문연구』40, 어문연구학회, 2012

      55 정용환, "「성리학적 본질은 어떻게 현실을 주재하는가?」", 『哲學硏究』 101, 대한철학회, 2007

      56 이욱, "「조선시대 망자를 위한 음식:국상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29, 2016

      57 최미정, "「북새곡에 나타난 북관의 풍경과 관직자의 감성」", 『한국학논집』5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

      58 권순회, "「17세기 남원지방 재지사족의 동향과 정훈의 시가」", 『어문논집』39, 안 암어문학회, 1999

      59 류해춘, "「16세기 <어부가>와 <오륜가>,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시조학논총』34, 2011

      60 윤서석, "「新羅時代 飮食의 硏究-三國遺事를 中心으로 하여-」",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1, 新羅文化宣揚會, 1980

      61 이승남, "「정훈 가사에 나타난 이념과 현실의 정서적 형상화」", 『韓國思想과 文化』44,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62 최규수, "「<영삼별곡>에 나타난 탐문의 특징적 형상화와 의미」", 『열상고전연구』18, 열상고전연구회, 2003

      63 서인석, "「한국 고전산문 속의 음식 표상과 그 생활사적 의미」", 『돈암어문학』28, 돈암어문학회, 2015

      64 임재욱, "「辭說時調와 雜歌에 표현된 微物의 의미와 시적 기능」", 『어문연구』4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65 이승남, "「전환기 가사에 나타난 현실과 이념, 그 정서적 형상화」", 『한국문학연구』58,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8

      66 김미혜, "「<미암일기>분석을 통한 16세기 사대부가 음식문화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8,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3

      67 최현재, "「박인로의 <노계가>에 나타난 강호 인식의 양상과 그 의미」", 『한민족어문학』65, 한민족어문학회, 2013

      68 김일권, "「조선시대 도교적 생태자연학과 생활산림서류 문헌의 전개」", 『도교문화연구』48, 한국도교문화연구학회, 2018

      69 성호경, "「가사 관동별곡의 종착지 ‘월송정 부근’과 결말부의 의의」", 『국 문학연구』22, 2010

      70 조성진, "「고전시가에 나타난 음식의 양상과 그 의미-시조를 중심으 로」", 『한국고전연구』32,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71 정 민, "「16,7세기 조선 문인지식층의 강남열(江南熱)과 서호도(西湖圖)」", 『고전문학연구』22, 한국고전문학회, 2002

      72 최상은, "「사화기 은일가사 <낙지가>와 <서호별곡>의 관념성과 작가의식」", 『한민족어문화』65, 한민족어문학회, 2015

      73 권순긍, "「古典에서의 일상생활과 문학 : 문학생활화의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7, 한국문학교육학회, 2001

      74 김승우, 차경희, "「조선시대 고문헌에 나타난 소고기의 식용과 금지에 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30,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75 이라나, "「伯夷 談論의 義理論과 文章論 : 조선시대 백이 담론의 전개와분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6 김미혜, 정혜경, "「조선후기 문학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판소리 다섯 마당을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2,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7

      77 정출헌,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문학사회학적 인식 지평과 문학생성 공간의 연구」", 『동양한문학연구』24, 2007

      78 이숙인, "「유선들의 풍류와 소통-<수운잡방>을 통해 본 16세기 한 사족의 문화정치학」", 『대동문화연구』80,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79 팽철호, "「한국에서 다른 식물로 인식되는 중국 문학 속 식물- 薇,荇菜,茱萸,?, 柏의 경우」", 『중국문학』81, 한국중국어문학회, 2014

      80 박경주, "「18∼19세기의 사대부 가사에 나타난 일상성의 양상- 노년, 여성, 가족의 코드를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국문학회, 2006

      81 안대회, "「18,19세기의 음식취향과 미각에 관한 기록-심노승의 <효전산고>와 <남천일록>을 중심으로-」", 『동방학지』169, 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2015

      82 유정선, "「화전가에 나타난 여성의 놀이 공간과 놀이적 성격-‘음식’과 ‘술’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18 한국고전연구학회, 2009

      83 김미혜, "「조선후기 문학과 회화에 나타난 한국음식문화 연구 ?판소리소설, 풍속화, 기속시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식품영양학 전공), 2007

      84 이동환, "「석주의 시민의식의 자유, 저항성의 국면과 그 역사적 의미-16∼17세기 초 서강지역과 사대부들의 의식성향과 연계하여」", 『문학작품에 나타난 서울의 형상』, 한국고전문학회,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