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存齋 魏伯珪의 經學思想 硏究 : 中庸箚義를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2280211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국민윤리학과 , 1992. 8

      • 발행연도

        199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151.58 판사항(3)

      • DDC

        181.11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107장 ; 26cm

      • 소장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역사상의 17, 18세기는 흔히 실학의 시대로 불리워지는데, 이 시기의 수 많은 지식인들은 당시 사회의 모순을 개혁하고자 각양의 주장과 방책을 제시하였으며 그러한 주장들의 밑바탕에...

      한국 역사상의 17, 18세기는 흔히 실학의 시대로 불리워지는데, 이 시기의 수 많은 지식인들은 당시 사회의 모순을 개혁하고자 각양의 주장과 방책을 제시하였으며 그러한 주장들의 밑바탕에는 민생 옹호라는 지식인으로서의 자책적 양심과 사회 개선의 강한 비판 의지가 근저하고 있었다.
      存齋 魏伯珪(1727∼1798)는 이러한 英·正祖시대의 호남 지식인 중 한 사람으로서, 黃胤錫·河百源과 함께 호남실학의 큰 줄거리로서 河西 - 高峰 - 遜齋에 연결되는 인물로 지목될 만큼 학문적인 명성이 높았던 인물이다. 그러나 과거 학자들의 그에 대한 평가는 그의 생애가 경륜과 포부에 비하여 불우했던 것처럼 지금까지 학계에 주목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으나, 근래의 몇 후 학자들에 의해서 실학적 측면에서 연구되어 학계에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래서 論者는 本稿에서 存齋 經學 중의 中庸箚義를 중심으로 그의 經學上의 特徵을 고찰하고자 한다.
      存齋의 經學的 特徵은 그 당시의 대부분 실학자들의 經學觀과 공통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는 博學的·原始儒學的·訓고學的인 방법에 의해서 주석하고 있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학문적 경향은 僻巷 儒土로서 의리를 實踐窮行하는 태도는 당시의 性理學者에 대한 反旗로서가 아니더라도 모순이 중첩되었던 당시의 현실 속에서 충분히 이해되는 학문적 경향이다.
      그래서 本稿에서 고찰하는 四書箚義의 중용에서는 存齋 주석의 특이성을 중심으로, 즉 정통 성리학관과 실학적 경학관의 비교차원에서 논구되어진다. 그러나 적어도 存齋 경전 연구의 방법에 있어서는 朱子와 크게 다른 것이 없는것으로 보인다. 성리학계의 이제까지 通念에 의하면, 실학은 비록 성리학의 실천사상을 다만 經世致用·利用厚生·實學求是 등의 측면으로 확충한 일종의 성리학적 실천(사회) 사상에 불과하다고 하더라도 存齋의 경전 연구의 태도를 성리학적 경학관과 구태여 비교하면 그는 失子에서와 같은 경전 주석의 방법을 援用하여 박학적·훈고학적인 방법으로 주석하고 원시 유학에의 회귀를 시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存齋는 향리에서의 현실에 밀착된 생활로 인해서 사실적이고 실용적인 인식태도를 바탕으로 牧民의 뜻을 얻지 못한 불우한 자신의 포부와 경륜을 실천하는 측면에서 학풍경향은 실학적 측면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간과해서는 안될 것은 存齋는 僻巷의 寒土로서의 삶 속에서 유학의 가치를 추구했으며 『中庸』을 주석할 때 인간의 본질을 파악함에 있어 당시의 시대상황이 투영되어 있고 鄕族들의 현실적인 가치추구 경향이나 후원이 그 기반으로 잘 반영되어 있음이다. 또한 朱子學이 조선조에 있어 지도이념이 되었고 조선조 성리학자들의 가장 큰 토론주체였던 四端七情·人物性同異의 논변 등 주요 논쟁도 그 출발점이『中庸』의 해석과 관련이 있었던 점과, 古今을 막론하고 유학은 인간의 본성 회복이 주된 철학의 과제였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存齋는 『中庸』의 핵심인 命·性·道·敎를 주석함에 있어 우주자연의 섭리인 하늘의 道에 통하는 동시에 인간의 이상사회를 건설하는데 필요한 사람의 道에 통하는 心法으로써 인간의 본질을 파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朱子와 다른 그의 실학적 경학관이 잘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存齋의 中庸箚義를 통해서 본 중용연구는 독자적인 의미를 지니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7th and 18th centuries of Korean history are often called the age of practical science, and many highbrows in this age showed many advocacies and plans to improve the incocsistency of society In his real nature of his advocacy, there are self accusa...

      17th and 18th centuries of Korean history are often called the age of practical science, and many highbrows in this age showed many advocacies and plans to improve the incocsistency of society
      In his real nature of his advocacy, there are self accusation of consience and critical volition for supporting the people as a highbrow.
      An Idea of Wi Beak - kyu(魏伯珪 1729 - 1798) is known as one of three heroes of Ho - Nam practical science with Hwang Yun sok(黃胤錫), Ha Paek Won(河百源) in the time of Young(英) · Chong(正) cho in Lee dynasty, and connected Ha - seo(河西) - Go Bong(高峰) - Son Je(遜齋) as a main stream.
      In the first time, his learning width can't have attention of the learned circles at that times, comparing with his management and ambition.
      But, After Ha Sung Lae, Lee Hae Chun's, research about him in the practical science, he has taken notice of the learned circles.
      Therefore, I am going to examine the Idea of Wi Beak - Kyu centering around of Chinese classics, undeveloped parts, in my manuscript.
      We can find out easily that his chinese classical peculiarity is annotated by the way of extensive learning, recurrence of the beginning confucianism, exegetics which have common feature with practical scientists of that time.
      This tendency of scholarship will be easily understood the attitude of doing practice oneself of IR-u Pyok Hang(一隅僻巷), not by the flag of revolt about the philosophies, but also by reiterating inconsistency of the society.
      So, Chung - Young(中庸) of Chaui in the Four Books on investigation in manuscripts is discussed on the point of Chu - Cha(朱子) and an Idea in comparison dimention namely of orthodoxy philosophy and practical science.
      But, basically, We can understand that. he is in search of the principles of righteousness in category of Chu - Cha(朱子).
      Because, According to the common notion of metaphysics, practical science is only a kind of metaphysical idea of practice amplified on Kyong Se Chi Yong(經世致用), Lee Young Hu Saeng(利用厚生), Sil Sa Ku Shi(實事求是).
      If we compare his attitude of the study of the scripture with an idea of metaphysic about Chinese Classics, we can pay attention to his annotating in extensive learning, recurrence of the beginning confucianism exegetics in frame of Chu - Cha(朱子).
      But, Not to overlook here is that his idea is reflected the situation of that time, is well reflected the tendency of pursuit of value or support of Jae(在) Gee(地) Hyang(鄕) Chok(族) in grasping about human nature as Han(寒) Sa(士) Mun(文) In(人).
      In this point, his idea about the Study of Chung - Young(中庸) can have things to do fai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國文抄錄 = 1
      • 第1章. 緖言 = 4
      • 1. 硏究의 目的 = 4
      • 2. 硏究方法과 限界 = 9
      • 목차
      • 國文抄錄 = 1
      • 第1章. 緖言 = 4
      • 1. 硏究의 目的 = 4
      • 2. 硏究方法과 限界 = 9
      • 第2章. 中庸箚義의 成立과 그 體系 = 12
      • 1. 存齋의 學問發端과 經典硏究 = 12
      • 2. 四書箚義의 成立過程 = 17
      • 3. 中庸箚義의 體制와 內容 = 25
      • 第3章. 中庸箚義의 經學上 特徵 = 32
      • 1. 中庸의 意義 = 32
      • 2. 中和의 道理 = 40
      • 3. 道의 本質 = 55
      • 4. 君子와 中庸 = 69
      • 5. 誠의 本質 = 79
      • 6. 聖人과 至誠 = 88
      • 第4章. 結語 = 96
      • 參考文獻 = 100
      • 英文抄錄 =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