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문소설의 여성 인물에 대한 구조적 폭력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890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17∼18세기 가문소설의 여성 인물에 대한 구조적 폭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문소설에서는 가부장제와 신분제가 구조적 폭력으로 작동하고 있었는데, 이 두 가지 구조를 밝히...

      이 연구에서는 17∼18세기 가문소설의 여성 인물에 대한 구조적 폭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문소설에서는 가부장제와 신분제가 구조적 폭력으로 작동하고 있었는데, 이 두 가지 구조를 밝히기 위해 요한 갈퉁(Johan Galtung)이 언급한 구조적 폭력의 개념, <대명률(大明律)> 등 조선의 법질서, <내훈(內訓)>, <계녀서(戒女書)>, <사소절(士小節)>과 같은 여성 교훈서의 도움을 받았다.
      고소설은 서자 홍길동, 기생 춘향이처럼 시대의 약자를 그렸고 가문소설에서 여성 인물 역시 약자로 나타났다. 가문소설 속 여성 인물들은 무수한 폭력을 당했다. 남편 폭력담 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있으나 17∼18세기 가문소설을 대상으로 여성 인물에 대한 구조적 폭력을 거시적 관점에서 다루지는 않았다. 대상 작품으로 17세기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 <소현성록(蘇賢聖錄)> 연작, 18세기 <유씨삼대록(劉氏三代錄)>, <현몽쌍룡기(現夢雙龍記)>·<조씨삼대록(曺氏三代錄)>, <현씨양웅쌍린기(玄氏兩熊雙麟記)>를 선정하여 17∼18세기 가문소설의 흐름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여성 인물에 대한 구조적 폭력 양상은 크게 ‘가시적(可視的)’·‘비가시적(非可視的)’으로 나뉜다. 그 하위 항목은 각각 ‘부부간’과 ‘가문 내’로 설정한다. 물론 남편도 가문 내 구성원에 포함되지만 구조적 폭력 양상을 살피는데 있어 남편과 그 외 가문 내 구성원을 나누는 것이 효과적이라 여겼다. 즉 부부간 폭력의 가해자는 남편이며, 가문 내 폭력의 가해자는 피해 여성의 적국(敵國), 시댁 식구, 친정 식구 등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구조적 폭력의 특징과 의미를 도출한다. 가해자의 특성은 4가지로 여성의 도리를 강조하는 경우, 늑혼(勒婚)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이는 경우, 가문의 안위를 중시하는 경우, 가문 내 불안한 위치로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이다. 피해자의 특성은 3가지로 폭력에 침묵하지만 굴하지는 않는 경우, 순종하며 무대응하는 경우, 거부 또는 대응하는 경우이다. 가시적 폭력의 의미로는 첫째, 여성의 도구화, 둘째, 가문 내 여성의 위계화, 셋째, 부부간 폭력의 대물림을 들 수 있고, 비가시적 폭력의 의미로는 첫째, 소가장(小家長)의 권력화, 둘째, 여성의 타자화, 셋째, 가문의 권세를 들 수 있다.
      소설사적 의의는 3가지 측면에서 살핀다. 첫째, 구조적 폭력 양상에 따른 작품별 특성이다. 가부장제와 신분제는 17세기와 18세기 가문소설에서 동일하게 작용하며, 하위 폭력 양상의 분포와 작품별 성격이 거의 비슷하다. 둘째, 당대 여성들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폭력의 ‘일상성’과 가문소설이 가진 ‘흥미성’을 통해 드러난다. 가문소설의 서술자는 구조적 폭력을 문제 삼으려 하지 않았다. 단지 여성 인물의 삶을 긴 서사에 녹이다보니 의도하지 않았지만 폭력이 문면에 드러난 것이었다. 이로 인해 구조적 폭력이 당대 여성들의 처지를 반영하면서도 동시에 기존의 가부장제와 신분제에 문제 제기를 하지 않은 채 독자층에게 접근된다. 셋째, 구조적 폭력은 장편화와 흥미 요소로 활용되며 그럼에도 17세기와 18세기에 걸쳐 달라진 독자의 요구를 반영한다. 17세기에만 나타난 폭력 양상, 18세기에만 나타난 폭력 양상, 17세기와 18세기에 걸쳐 변화한 폭력 양상을 통해 가문소설의 독자층이 17세기에는 예학(禮學)의 극대화를 추구하나 18세기에는 예학의 이념 문제를 제외한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18세기 독자층은 가문 내적 질서에 집중하며 가문 내적 갈등이 밖으로 표출되는 것도 원치 않는다. 이처럼 여성 인물에 대한 구조적 폭력으로 17세기 및 18세기 가문소설의 성격이 달랐음을 유추할 수 있다.
      가문소설은 폭력의 집합체였다. 가부장제와 신분제를 벗어날 수 없는 여성 인물은 결국 성리학적 질서를 빨리 체화하는 길만이 살길이었다. 하지만 17∼18세기 가문소설의 여성 인물이 겪는 구조적 폭력과 현재 여성에 대한 폭력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여전히 그 ‘구조’는 시대별로 명칭만 바뀔 뿐 변하지 않았다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structural violence against female characters in saga novels from the 17th to the 18th century. In the saga novels, a patriarchy and class system were acting as structural viole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two structur...

      This study aims to examine structural violence against female characters in saga novels from the 17th to the 18th century. In the saga novels, a patriarchy and class system were acting as structural viole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two structures, this study referred to the concept of structural violence mentioned by Johan Galtung, the law and order of Joseon dynasty such as <Daemyungyool>, and female lesson books such as <Naehun>, <Gyenyeoseo>, and <Sasojeol>.
      Old novels described weak people such as Hong Gil-dong, the illegitimate son and Chunhyang, the gisaeng(female entertainer), but female characters in saga novels were also portrayed as weak people in the age. In the saga novels, female characters were experiencing a lot of violence. Although there are previous studies on violence by their husband, there are no studies to deal with structural violence against female characters in the saga novels from the 17th to the 18th century. Hence, as target works, this study selected the works <Changseon Gam Ui Rok> and <So Hyun Sung Rok> Series in the 17th century, and <Yussisamdaerok>, <Hyunmong Ssangryong Ki>, <Jossisamdaerok> and <Hyunssi Yangwoong ssangringi> in the 18th century.
      First of all, in order to examine patterns of the structural violence against females, this study largely divided them into a ‘visible’ violence pattern and ‘invisible’ violence pattern. Then, each violence pattern was categorized into ‘between a married couple’ and ‘within the family’. Their husband is obviously a member of the family, but it is effective to divide perpetrators of the violence into their husband and other members in the family for investigating the patterns of structural violence.
      The visible violence pattern between a married couple and the one in the family were all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hysical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eviction. Of them, the pattern of physical violence in the family was various, which was divided into 5 categories.
      In the invisible violence pattern, violence between a married couples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5 categories: Indifference due to the ugly face, Indifference and Violent language due to keeping away inwardly while outwardly pretending to be friendly, Indifference and Violent language due to delusional jealousy of the wife, Noninterference, and Prohibition of wife's visits to her parents' house and of her greeting to parents. The invisible violence pattern in the family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4 categories: Alienation, Fidelity Plots, Parents-in-law Plots, and Prohibition of wife's visits to her parents' house and of her greeting to parents.
      After analysis of these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violence were obtained.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erpetrators showed that they emphasized the duty of females,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 a marriage by force, emphasized safety of the family, or be in an uneasy position in the family. In additi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victims showed that they were silent on violence but did not give in, did not respond with obedience, or denied or responded.
      The visible violence means the followings: the instrumentation of females, the hierarchy of females in the family, and the passing down violence between a married couple. On the contrary, the invisible violence means the followings: the powering of the small head of household, the becoming others of females, and the power of the family.
      Significances of the structural violence against female characters in novel history we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the characteristic of each work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structural violence shows that a patriarchy and class system were working equally in the family novels of the 17th century and the family novels of the 18th century, and the distribution of violenc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n each work were almost similar. Secondly, it reflects the reality of females in the era, which is revealed through ‘routinization’ and ‘interest’ of the violence. It reflects the situation of females in the era, but it approaches readers lightly without raising questions on the existing patriarchy and class system. Thirdly, it is used as elements for long-length novels and interesting elements, and reflects the needs of readers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Violence has always existed in human history, and how to see the violence is closely related to systems and ideologies in the society. Similarly, it was possible to discern personality of readers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through structural violence against females in saga novels. In addition, this author will leave parts that the meaning of structural violence in saga novels has not been found, as future study sub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사 4
      • 3. 연구 대상 및 방법 17
      • Ⅱ. 폭력 담론 22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사 4
      • 3. 연구 대상 및 방법 17
      • Ⅱ. 폭력 담론 22
      • 1. 폭력의 개념과 구조적 폭력 22
      • 2.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구조적 폭력 27
      • 1) 일반론 27
      • 2) 조선조의 구조적 폭력 31
      • Ⅲ. 여성에 대한 구조적 폭력 양상 38
      • 1. 가시적인 폭력 양상 38
      • 1) 부부간 폭력 38
      • (1) 물리적 폭력 39
      • (2) 성적 폭력 41
      • (3) 축출(逐出) 43
      • 2) 가문 내 폭력 46
      • (1) 물리적 폭력 48
      • ① 명예살인 48
      • ② 납치 50
      • ③ 절벽이나 강물에 뛰어내림 52
      • ④ 매 맞기 53
      • ⑤ 신생아 유괴 및 살인 55
      • (2) 성적 폭력 58
      • (3) 축출(逐出) 62
      • 2. 비가시적인 폭력 양상 64
      • 1) 부부간 폭력 64
      • (1) 박색(薄色)으로 인한 냉담 65
      • (2) 외친내소(外親內疎)에 따른 냉담과 폭언 68
      • (3) 의처증에 따른 냉담과 폭언 70
      • (4) 방임 72
      • (5) 귀녕(歸寧) 금지 75
      • 2) 가문 내 폭력 76
      • (1) 소외 77
      • (2) 정절 모해 82
      • (3) 시부모 모해 84
      • (4) 귀녕(歸寧) 금지 85
      • Ⅳ. 구조적 폭력의 특징과 의미 87
      • 1. 가해자의 특성 87
      • 1) 여성의 도리 강조 87
      • 2) 늑혼(勒婚)에 대한 부정적 태도 90
      • 3) 가문의 안위 중시 92
      • 4) 가문 내 불안한 위치 94
      • 2. 피해자의 특성 96
      • 1) 침묵하나 굴하지 않음 96
      • 2) 순종, 무대응 98
      • 3) 거부 또는 대응 101
      • 3. 폭력의 의미 109
      • 1) 가시적 폭력 109
      • (1) 여성의 도구화 109
      • (2) 가문 내 여성의 위계화 113
      • (3) 폭력의 대물림 115
      • 2) 비가시적 폭력 119
      • (1) 소가장의 권력화 119
      • (2) 여성의 타자화 125
      • (3) 가문의 권세 126
      • Ⅴ. 소설사적 의의 129
      • 1. 구조적 폭력 양상에 따른 작품별 특성 129
      • 2. 당대 여성의 현실 반영 138
      • 3. 장편화 및 독자의 요구 반영 142
      • Ⅵ. 결론 150
      • 참고문헌 156
      • ABSTRACT 17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명관, "열녀의 탄생", 돌베개, 2009

      2 정태섭, "성 역사와 문화", 동국대학교 출판부,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2

      3 조용호, "삼대록소설 연구", 계명문화사, 계명문화사, 1996

      4 임치균, "<현몽쌍룡기> 연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113, 국어국문학회, 1995

      5 조동일, "『한국문학강의』", 길벗, 길벗, 2015

      6 정성희, "『조선의 성풍속』", 가람기획, 1998

      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8 임치균, "「<소현성록> 연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한국문화』16,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 원, 1995

      9 박영희, "<소현성록> 연작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대 박사논문, 1993

      10 박영희, "「<설씨이대록>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11, 한국고전연구학회, 2005

      1 강명관, "열녀의 탄생", 돌베개, 2009

      2 정태섭, "성 역사와 문화", 동국대학교 출판부,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2

      3 조용호, "삼대록소설 연구", 계명문화사, 계명문화사, 1996

      4 임치균, "<현몽쌍룡기> 연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113, 국어국문학회, 1995

      5 조동일, "『한국문학강의』", 길벗, 길벗, 2015

      6 정성희, "『조선의 성풍속』", 가람기획, 1998

      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8 임치균, "「<소현성록> 연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한국문화』16,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 원, 1995

      9 박영희, "<소현성록> 연작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대 박사논문, 1993

      10 박영희, "「<설씨이대록>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11, 한국고전연구학회, 2005

      11 조용호, "「<조씨삼대록> 연구」", 서강대 석사논문, 1988

      12 임치균, "「연작형 삼대록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2

      13 백순철, "「<소현성록>의 여성들」",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성문학연구』1, 한국여성문학학회, 1999

      14 한영우, "『조선시대신분사연구』", 집문당, 집문당, 1997

      15 李昇馥, "『고전소설과 가문의식』", 월인, 월인, 2000

      16 장병인,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 일지사, 일지사, 1997

      17 심유정, "「<현씨양웅쌍린기>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1992

      18 이영택, "<현씨양웅쌍린기> 연작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대 박사논문, 2012

      19 허순우, "「<현몽쌍룡기> 연작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2009

      20 임치균, "『조선조 대장편소설 연구』", 태학사, 태학사, 1996

      21 박일용, "<유씨삼대록>의 작가의식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고전문학연구』12, 한국고전문 학회, 1997

      22 정길수, "「<창선감의록>의 작자 문제」", 한국고전문학회, 『고전문학연구』23, 한국고전문학회, 2003

      23 임옥희, "「폭력의 시대, 공존의 윤리」", 한국여성평화연구원, 『여성과 평화』5, 한국여성평화연구원, 2010

      24 윤영돈, "「폭력의 일상화와 인문치료」",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23, 한국윤리교육학 회, 2010

      25 심영희, "『한국 젠더정치와 여성정책』", 나남출판, 2006

      26 장경남, "「임 병 양란과 17세기 소설사」", 우리문학연구회, 『우리문학연구』21, 우리문학회, 2007

      27 신동흔, "『서사문학과 현실 그리고 꿈』", 소명출판사, 2009

      28 서경희, "「<소현성록>의 ‘석파’ 연구」", 『한국고전연구』12, 한국고전연구학 회, 2005

      29 이지하, "「<현씨양웅쌍린기> 연작 연구」", 서울대학교, 서울대 석사논문, 1992

      30 이지영, "「18세기 경화사족의 소설 향유」", 국문학회, 『국문학연구』21, 국문학연구, 2010

      31 지연숙, "「<소현성록>의 주변과 그 자장」", 『한국문학연구』4, 고려대학교 민 족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소, 2003

      32 김승권, "「부부폭력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143,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2008

      33 장복희, "「국제법상 여성의 지위와 인권」", 『법학연구』15(3), 연세대학교 법 학연구소, 2005

      34 조혜란, "「소현성과 유교적 삶의 진정성」",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36, 한국고소설학회, 2013

      35 조용호, "「<유씨삼대록>의 서사론적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1, 한국고전연구 학회, 1995

      36 강미선, "「<현몽쌍룡기> 연작의 서사구조」", 한국어문회, 『어문연구』38(1), 2010

      37 박병동, "「경산본 <창선감의록>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어문연구회, 『어문연구』25, 어문연구학회, 1994

      38 김문희, "<현몽쌍룡기>의 서술 문체론적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23, 한국고소 설학회, 2007

      39 송성욱, "「18세기 장편소설의 전형적 성격」", 『한국문학연구』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소, 2003

      40 아렌트, 한나, "지음; 김정한 옮김,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41 아감벤, 조르조, "지음; 박진우 옮김,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42 장시광, "「<쌍천기봉>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동방학』9, 한서대학교 동양 고전연구소, 2013

      43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설초벽’ 연구」", 국문학회, 『국문학연구』19, 국문학회, 2009

      44 김문희, "「<조씨삼대록>의 서술전략과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26, 한국고소설 학회, 2008

      45 김우준, "「폭력성의 중독 문제에 관한 고찰」", 한국중독범죄학회, 『한국중독범죄학회보』4, 한국 중독범죄학회, 2012

      46 박영수, "가정폭력의 현황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한국경찰연구』15(2), 한 국경찰연구학회, 2016

      47 정선희, "「<소현성록> 연작의 남성 인물 고찰」",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12, 한국고 전연구학회, 2005

      48 임치균, "「대장편소설의 수신서적 성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13, 이화여자 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7

      49 장시광, "「<화산선계록>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135, 국어국문 학회, 2003

      50 이종필, "『조선 중기의 전쟁과 고소설의 기억』", 소명출판, 소명출판사, 2017

      51 장시광, "「<명주보월빙>의 여성 반동인물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14, 한국고소 설학회, 2002

      52 김용기, "「<창선감의록>의 상징과 초월성 연구」", 『어문논집』53, 중앙어문학 회, 2013

      53 이승수, "「<창선감의록>의 인물과 은폐된 현실」",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동아시아문화연구』26, 한 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5

      54 정혜경, "「<현씨양웅쌍린기>의 서사적 힘-웃음」", 한민족문화학회, 『한민족문화연구』37, 한민 족문화학회, 2011

      55 장시광, "『조선시대 대하소설의 여성반동인물』",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06

      56 지연숙, "「<소현성록>의 공간 구성과 역사 인식」",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13, 한국 고전연구학회, 2006

      57 이원수, "「가정소설의 작품세계와 시대적 변모」", 경북대 박사논문, 1991

      58 최혜영(Choi, Hae-Young), "고대 지중해 여성 납치 담론과 식민 활동",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서양고대사연구』47,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6

      59 이나영, 허민숙, "한국의 젠더폭력과 신자유주의 젠더질서", 한국가족학회,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26(4), 2014

      60 최수현 ( Sue Hyun Choi ), "<유씨삼대록>의 전고 활용 특징과 그 기능",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38, 한 국고소설학회, 2014

      61 조혜란, "「17세기 조선의 규방 현실에 대한 보고」", 『한국고전연구』9, 한국고 전연구학회, 2003

      62 김정녀,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35,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2010

      63 진경환, "<창선감의록>의 작품구조와 소설사적 위상", 고려대학교, 고려대 박사논문, 1992

      64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여성의 놀이문화 연구」", 『여성문학연구』28, 한국 여성문학학회, 2012

      65 박일용, "「<현몽쌍룡기>의 창작 방법과 작가의식」",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구』26(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66 김운회, "가정폭력범죄 그 이론과 실제 그리고 사례", 백산, 백산출판사, 2006

      67 조혜란, "「<소현성록>의 보여주기 서술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17, 한 국고전연구학회, 2008

      68 이미정, 전기택, 박건표, "「여성에 대한 폭력 통계 개선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 보고서』2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2012

      69 임형택,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창선감의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방학지』57, 연세대 학교 국학연구원, 1988

      70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예법(禮法)에 관한 연구」", 『한국학연구』34, 고려 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2010

      71 장시광, "「<윤하정삼문취록>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 구』1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72 이현정, "「강간죄의 구성요건에 관한 비판적 고찰」",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연구』21(1), 연세 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73 박일용, "「<창선감의록>의 구성원리와 미학적 특징」", 『고전연구학회』18, 한국고전문학회, 2000

      74 이지하, "「<현몽쌍룡기>의 음모구조와 소설적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고전문학연구』47, 한 국고전문학회, 2015

      75 송시열, "(宋時烈) 지음; 전진우 옮김, <계녀서(戒女書)>", 정음사, 1986

      76 이덕무, "(李德懋) 지음; 김종권 옮김, <사소절(士小節)>", 양현각, 1983

      77 최윤희, "<소현성록>에 나타난 외모묘사의 양상과 특징",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고전과 해석』 21,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6

      78 장시광, "「<소현성록> 연작의 여성수난담과 그 의미」", 우리문학회, 『우리문학연구』28, 우리문학회, 2009

      79 임치균, "「<소현성록>에 나타난 혼인의 양상과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13, 한국고전연구학회, 2006

      80 장시광, "「<쌍천기봉>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 회』21,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81 엄태식, "「<창선감의록>의 창작 저변과 서사적 특징」",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32, 한 국고소설학회, 2011

      82 주형예, "「「유씨삼대록」의 감정 규칙과 독서경험」", 『열상고전연구』34, 열상 고전연구회, 2011

      83 서정민, "「대하소설 속 여성 침묵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 구』22,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84 소혜왕후, "(昭惠王后) 지음; 이선영 외 옮김, <내훈(內訓)>", 채륜, 2011

      85 장시광, "「<명주보월빙>의 여성수난담과 서술자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 구』17,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8

      86 이선혜 ( Sun-hye Lee ), "< 창선감의록 > 인물 형상화의 관습문화적 원리", 퇴계학부산연구원, 『퇴계학논총』 27,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87 옥지희,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9

      88 정환국, "「원귀와 금오신화-조선 초 원혼서사의 형성」", 『동양한문학연구』 35, 동양한문학회, 2012

      89 박영희, "「<소현성록>에 나타난 공주혼의 사회적 의미」", 『한국고전연구』12, 한국고전연구학회, 2005

      90 이지하, "「<소현성록>의 이중성에 내재된 욕망의 실체」", 반교어문학회, 『반교어문연구』40, 반교어문학회, 2015

      91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죽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문화』39, 서 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7

      92 이지하, "「여성주체적 소설과 모성이데올로기의 파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 구』9,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4

      93 이원수, "「창선감의록,장자상속제와 사대부가의 고민」", 한국어문학회, 『어문학』100, 한 국어문학회, 2008

      94 조혜란, "「고전소설에 나타난 군자형 인물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연구』33,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95 정선희, "「조선후기 여성들의 말과 글 그리고 자기표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27,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96 장시광, "<현몽쌍룡기> 연작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 학』152, 국어국문학회, 2009

      97 전성운, "「<소현성록>에 나타난 성(性)적 태도와 그 의미」", 『순천향 인문과학 논총』16,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5

      98 김상배, "「왜 폭력화 되는가-폭력 없는 사회를 지향하며」", 『철학과 현실』 93, 철학문화연구소, 2012

      99 조현우, "「<사씨남정기>의 악녀 형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 학연구』13,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100 김용기, "「<소현성록> 인물 출생담의 특징과 서사적 기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연구』 39(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101 정선희, "「<조씨삼대록>의 악녀 형상의 특징과 서술 시각」",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 학연구』18,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102 김병권, "「<창선감의록>의 작명과 그 서술의 서사적 의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족문화』 18,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1

      103 강우규, "<소현성록>에 나타난 여성 가장의 리더십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 구』35,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104 장시광, "「<유씨삼대록> 여성수난담의 성격과 서술자의식」", 한국문학언어학회, 『어문론총』51, 한국문학언어학회, 2009

      105 장시광, "「<유효공선행록>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 배달말학회, 『배달말』45, 배 달말학회, 2009

      106 강명관, "「『삼강행실도』-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5,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2

      107 갈퉁, 요한, "지음; 강종일 외 옮김,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108 박은정(Park Eun jeong), "<명주옥연기합록>에 나타난 악녀 형상의 기능과 의미",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고전문학 과 교육』29, 2015

      109 박일용, "<소현성록>의 서술시각과 작품에 투영된 이념적 편견",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 연구』14, 한국고전연구학회, 2006

      110 장시광, "「<소현성록> 여성반동인물의 행위 양상과 그 의미」",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성문학연 구』11,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111 정선희, "「<조씨삼대록>의 보조 인물의 양상과 서사적 효과」",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58, 국어국문학회, 2011

      112 박길희, "「<창선감의록>의 효제(孝悌)담론과 보상의 교화성」", 『한국고전연 구』28, 한국고전연구학회, 2013

      113 최수현, "「<현몽쌍룡기>에 나타난 친정/처가의 형상화 방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 문학연구』15,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114 서정민, "「<소현성록> 이본간의 변별적 특징과 그 산출 시기」",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연 구』101,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115 최수현, "「<유씨삼대록> 속 이민족 여성의 형상화와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 구』25, 한국고전연구학회, 2012

      116 이지영, "「규범적 인간의 은밀한 욕망 :<창선감의록>의 화진」",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32, 한국고소설학회, 2011

      117 정환국, "「동아시아 환상의 지표와 한국 초기서사의 환상성」", 『한문학보』32, 우리한문학회, 2015

      118 장시광, "「<이씨세대록> 여성반동인물의 행위양상과 그 의미」", 『동방학』10,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04

      119 이선혜, "「<창선감의록>에서 서술된 ‘창선’의 시대적 의미」", 『퇴계학논총』 29, 퇴계학부산연구원, 2017

      120 정선희(Jeung, Sun-hee),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공주/군주 형상화와 그 의미", 『한국고전 여성문학연구』31,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121 정선희, "「17 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 구』21, 한국고전연구학회, 2010

      122 양민정, "「<소현성록>에 나타난 여가장의 역할과 사회적 의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외국문학연 구』12, 외국문학연구소, 2002

      123 공혜란,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부부간 폭력의 대물림 고찰」", 『외국문학연 구』69, 외국문학연구소, 2018

      124 박길희, "「<창선감의록>에 나타난 심씨의 형상과 사회적 현실」",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남도문화연 구』25,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3

      125 김문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한담적 대화양상과 기능」",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 구』16, 한국고전연구학회, 2007

      126 조혜란, "「<소현성록> 연작의 서술과 서사적 지향에 대한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 연구』13, 한국고전연구학회, 2006

      127 이승복, "「<유씨삼대록>에 나타난 정-부실 갈등의 양상과 의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국어교 육』77, 한국어교육학회, 1992

      128 한정미, "「<완월회맹연> 여성 인물 간 폭력의 양상과 서술 시각」",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 연구』25, 한국고전연구학회, 2012

      129 김위경, "「<창선감의록>에 나타난 권력구조의 양상과 정치의식」",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101, 한국어문학회, 2008

      130 반재유, "「<창선감의록>의 갈등구조 연구-여성인물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 논문, 2006

      131 이지영, "「한문본 <창선감의록>의 변이와 독자의 소설향유방식」",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 구』14, 한국고소설학회, 2002

      132 탁원정 ( Won Jung Tak ), "정신적 강박증과 육체의 지병 -국문장편소설을 대상으로",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 연구』41, 한국고소설학회, 2016

      133 박길희, "<창선감의록>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지향과 교화적 성격",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 고전여성문학연구』29,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134 양민정, "「<유효공선행록>에 나타난 전통적 가족윤리의 제 문제」",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 구』4, 한국고소설학회, 1998

      135 이지영, "「<창선감의록>의 이본 변이 양상과 독자층의 상관관계」", 서울대 박 사논문, 2003

      136 장시광, "「<천수석> 여성반동인물의 행동양상과 그 서사적 의미」", 『동양고전 학회』18, 동양고전연구, 2003

      137 박은정, "「‘소운성’을 통해 본 <소현성록>의 성장소설적 성격」", 한국어문학회,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108, 2010

      138 장시광, "「운명과 초월의 서사-<임씨삼대록> 여성수난담의 성격」",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 구』31, 한국고소설학회, 2011

      139 김경미, "「주자가례의 정착과 <소현성록>에 나타난 혼례의 양상」",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 연구』13, 한국고전연구학회, 2006

      140 이원승, "「<창선감의록>에 나타난 개과(改過)의 원리와 윤리의식」", 『도남학 보』22, 도남학회, 2008

      141 한길연,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남편 폭력담’의 양상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 문학연구』21,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142 김용기, "「여성영웅의 서사적 전통과 고소설에서의 수용과 변모」", 우리문학회, 『우리문학 연구』32, 우리문학회, 2011

      143 김수연, "「<창선감의록>의 ‘개과천선’과 악녀(惡女) 무후(無後)」", 『한국고전여 성문학연구』25,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144 권순긍, "「근대 초기 고소설의 전변(轉變) 양상과 담론화(談論化)」", 『고소설연 구』36, 한국고소설학회, 2013

      145 장시광, "「대하소설 여성수난담의 성격-<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동양고 전연구』47, 동양고전학회, 2012

      146 정선희, "「<소현성록>에서 드러나는 남편들의 폭력성과 서술 시각」",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 전여성문학연구』1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147 이지영, "「조성기 사유와 <창선감의록> 작자의식의 간극에 대하여」", 한국고전문학회, 『고전문 학연구』38, 한국고전문학회, 2010

      148 권현정, "『페미니즘 역사의 재구성: 가족과 성욕을 둘러싼 쟁점들』", 공감, 공감, 2003

      149 공혜란,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상층 여성 겁탈과 대응 문제」", 『한국 고전연구』37,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150 김지연, "「<현씨양웅쌍린기>의 단일 갈등 구조와 인물 형상의 관계」", 『민족 문학사연구』28, 민족문학사연구소, 2005

      151 정선희, "「영웅호걸형 가장(家長)의 시원(始原)-<소현성록>의 소운성」", 『고소 설연구』32, 한국고소설학회, 2011

      152 서신혜, "「<설씨이대록>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실현과 그 이면의 상황」", 한민족어문학회, 『한 민족어문학』48, 한민족어문학회, 2006

      153 김종철, "「17세기 소설사의 전환과 ‘가(家)’의 등장」, 『국어교육』112", 한국국 어교육연구학회, 2003

      154 김나영, "「<창선감의록>의 주요 등장인물 분석-理氣性情論에 입각하여」", 『돈 암어문학』15, 돈암어문학회, 2002

      155 허순우, "「<현몽쌍룡기> 연작의 <소현성록> 연작 수용 양상과 서술시각」",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17, 한국고전연구학회, 2008

      156 이지하, "「조선시대 이혼법에 비추어 본 <현씨양웅쌍린기>의 여성의식」", 『진 단학보』124, 진단학회, 2015

      157 조혜란, "「<소현성록>에 나타난 가문의식의 이면-반복 서술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고 소설연구』27, 한국고소설학회, 2009

      158 이지영, "「<창선감의록>의 개작을 통해 본 소설읽기와 필사의 위안 효과」", 한국문학치료학회, 『문학치료연구』8,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159 김위경, "「<창선감의록>의 명가 실현과 17세기 벌열 관료가문의 지향의식」", 한국고전문학회, 『고전문학연구』47, 한국고전문학회, 2015

      160 장시광, "「<윤하정삼문취록> 여성반동인물의 행위 양상과 그 서사적 기능」",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9,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4

      161 김서윤,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신분 위상과 부부갈등」",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구』38, 정신문화연구소, 2015

      162 장시광, "「대하소설에 나타난 인물 묘사의 방식-여성반동인물을 중심으로」", 『관악어문연구』28,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3

      163 정선희, "「윤여옥의 활약을 중심으로 살핀 <창선감의록>의 주제 구현 양상」",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고전문학과 교육』30,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164 정선희, "삼대록계 국문장편 고전소설 속 여성들의 길 떠나는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3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165 한길연, "「여성교육과 부부갈등의 관련양상 연구-<유씨삼대록>을 중심으로」", 『인문논총』66,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166 한길연, "「<완월회맹연>의 정인광-폭력적 가부장의 ‘가면’과 그 ‘이면’」", 한국고소설학회, 『고 소설연구』35, 한국고소설학회, 2013

      167 박미랑, "가정폭력, 가족간살인, 그리고 판결문속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읽기", 한국공안행정학회, 『한국공안행정학회보』22(3), 한국공안행정학회, 2013

      168 최기숙 ( Key Sook Choe ), "고소설의 감성 문법과 감정 기호 -<소현성록>의 감정 수사를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39, 한국고소설학회, 2015

      169 백옥경, "「조선시대의 여성폭력과 법-경상도 지역의 <검안(檢案)>을 중심으 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19, 2009

      170 양민정, "「초기 가문소설의 형성과 여성의 가문의식-<창선감의록>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12, 한국고소설학회, 2001

      171 박영희, "「17세기 소설에 나타난 시집간 딸의 친정 살리기와 ‘출가외인’ 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13,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172 이주영, "「<소현성록> 인물 형상의 변화와 의미-규장각 소장 21권본을 중심으 로」", 『국어교육』98, 한국어교육학회, 1998

      173 윤재환, "「단국대학교 소장 한문본 <창선감의록> 소재 삽입 한시의 기능과 미 감」", 『동양고전연구』59, 동양고전학회, 2015

      174 조혜란, "「악행(惡行)의 서사화 방식과 진지성의 문제-<현몽쌍룡기>를 중심으 로」", 『한국고전연구』23,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175 임치균, "「<소현성록>의 여성 인물 연구 – 색(色)과 덕(德)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국학연구론총』18, 택민국학연구원, 2016

      176 탁원정, "『17세기 가정소설의 공간 연구 :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을 대상 으로』", 이화여대 박사논문, 2005

      177 강우규,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공주혼의 유형적 시대적 특성과 의 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3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16

      178 허순우, "「현실적 문제 제기와 낭만적 해결법의 모색-<영이록>의 작품 성격 재 고찰」",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25, 한국고전연구학회, 2012

      179 정창권, "「<소현성록>의 여성주의적 성격과 의의-장편 규방소설의 형성과 관련 하여」", 『고소설연구』4(1), 한국고소설학회, 1998

      180 임치균, "「‘아내의 정숙함’을 의심하는 남편에 대한 문학 치료적 접근 방식 고 찰」", 한국문학치료학회, 『문학치료연구』22,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181 정선희, "「17세기 소설 <소현성록> 연작의 여성인물 포폄(襃貶)양상과 고부상 (姑婦像)」", 『문학치료연구』36,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182 정선희, "「17세기 후반 국문장편소설의 딸 형상화와 의미-<소현성록>연작을 중심으로 -」", 배달말학회, 『배달말』45, 배달말학회, 2009

      183 유인선,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개성적인 여인상-주소저의 인물분석을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관악어문연구』33, 2008

      184 이찬수, "모방 욕망, 소수자 재생산과 그 극복의 동력: 르네 지라르의 폭력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8(2),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185 강우규, 박대복, "「<현몽쌍룡기> 연작의 인물 유형 연구-남성인물의 유형과 반 복양상을 중심으로」", 『어문학』113, 어문학회, 2011

      186 서유석 ( You Seok Seo ), "상상적 동일시와 상징적 동일시의 차이와 그 의미 - 가족로망스로 창선감의록 읽기",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41, 한국고소설학회, 2016

      187 차충환, "「고전 국문장편소설 향유자들의 작품 수용의식 연구-발췌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어국문학』149, 국어국문학회, 2008

      188 정선희, "「가부장제하 여성으로서의 삶과 좌절되는 행복-<소현성록>의 화부인 을 중심으로」", 『동방학』20,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189 정혜경, "「<창선감의록>에 나타난 눈물의 작용과 의미-화진과 심씨 모자의 관 계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161, 국어국문학회, 2012

      190 김형래, "「미하엘 하네케의 <제7의 대륙>에 나타난 폭력 비판-신화적 폭력에서 신적 폭력으로」", 한국브레히트학회, 『브레히트와 현대연극』32, 한국브레히트학회, 2015

      191 김현주, "「조선 후기 서사체에 나타나는 설득화법의 두 양상-<한중록>과 <조 씨삼대록>의 경우」",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32,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192 정선희 ( Sun Hee Jeung ), ""장편고전소설에서 여성 보조인물의 추이와 그 의미 -여성 독자층,서사 전략과 관련하여"",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40, 한국고소설학회, 2015

      193 송성욱, "「17세기 소설사의 한 국면-<사씨남정기> <구운몽> <창선감의록> <소 현성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8, 한국고전연구학회, 2002

      194 최길용, "「<유효공선행록> 연작 연구-<유효공선행록>과 <유씨삼대록>의 작품 적 연계성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107, 국어국문학회, 1992

      195 김용기, "「고소설 속 불교적 인물의 성격과 역할-설화와 17세기 이후 고소설과 의 대비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우리문학연구』35, 우리문학회, 2012

      196 이수희, "「공주혼 모티프의 모티프 결합 방식과 의미-<구운몽> <소현성록> <유씨삼대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19, 한국고전연구학회, 2009

      197 송혜란, "「가문소설에서의 인물 성품 변화에 대한 담화 방식과 그 배경적 인식-<조 씨삼대록>의 경우」", 『어문연구』44(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198 김서윤, "「고소설에 나타난 공주혼 모티프의 문학치료적 함의-<소현성록>과 <유씨삼대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문학치료연구』34,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199 김도환, "「고전소설 자객화소의 창작경로-<구운몽> <창선감의록>의 중국 협의 자객담 수용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42, 한국고소설학회, 2016

      200 한길연, "「대하소설의 능동적 보조인물 연구-<임화정연>, <화정선행록>, <현 씨양웅쌍린기>를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논문, 1997

      201 정보미, "「조선 후기 ‘젠더(gender)’ 규범의 소설적 형상화와 교육적 의미-<창 선감의록>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54,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202 이주영, "「늑혼을 둘러싼 사회 관계망과 전언 분석-<소현성록>, <유씨삼대록>, <성현공숙렬기>를 중심으로」", 국문학회, 『국문학연구』32, 국문학회, 2015

      203 이지영, "「구활자본-<창선감의록>의 변이와 독자의 분화-한남서림본, 조선서관 본, 신구서림본을 중심으로」", 『국문학연구』8, 국문학회, 2002

      204 강우규, "「<소현성록> 연작과 <유효공선행록> 연작의 비교 연구-‘혼인담’에 나 타난 서술시각을 중심으로」", 『어문논집』52, 중앙어문학회, 2012

      205 탁원정(Tak Won Jung),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병과 그 의미 -소교완, 이자염, 장성완을 대상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문학치료연구』40, 한국문학치료 학회, 2016

      206 김현주, "「가문소설 투기대목이 화소결합방식과 유형화-<사씨남정기>, <창선감 의록>, <소현성록>을 대상으로」",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26, 한국고소설학회, 2008

      207 차충환, "「조선후기 소설 장(場)에서 구성된 지식-<창선감의록>에 나타난 담론 의 실천, 전유, 분산의 한 사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27, 한국고 전여성문학회, 2013

      208 김문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공간 묘사와 공간 인식-<소현성록>, <조씨 삼대록>, <임씨삼대록>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62, 동악어문학 회, 2014

      209 강우규, 이명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반란의 공간과 경계의 환상성 - <소현성록> 연작과 <현몽쌍룡기> 연작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우리문학연구』52, 우리문학연구회, 2016

      210 고은임, "「국문장편소설 여성인물의 정절 이념 전용(轉用) 양상-<유씨삼대록>, <명주기봉>, <부장양문록> 중심으로」", 『고소설연구』39, 한국고소 설학회, 2015

      211 김종철, 정보미, "「‘이타적 인간’에 대한 문학과 경제의 융합교육-행동경제학의 관점에서 본 <창선감의록>의 ‘화진’」", 『새국어교육』111, 한국국어교 육학회, 2017

      212 강우규, "「<현몽쌍룡기> 연작에 나타난 ‘길 떠남 이야기’의 의미 기능 고찰-남 주인공의 ‘길 떠남’을 중심으로」", 『어문연구』153, 어문연구회, 2012

      213 조혜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추모(醜貌) 연구-<유씨삼대록>의 순씨와 <임씨삼대록>의 목지란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 구』18,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214 윤이화, "「여성폭력에 대한 여성 운동의 대응과 향후과제-성폭력특별법과 가정 폭력방지법의 제 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15(4), 한국 평화연구학회, 2014

      215 강우규,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異國公主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 <유씨삼대록>과 <성현공숙열기> 연작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츠 연구』21,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216 서정민,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소현 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여성문학연구』 24,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217 정충권, "「형제 갈등형 고전소설의 갈등 전개 양상과 그 지향점-<창선감의록>, <유효공선행록>, <적성의전>, <흥부전>을 대상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문학치료연 구』34,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218 한길연, "「몸의 형상화 방식을 통해서 본 고전대하소설 속 탕녀연구-<쌍성봉효 록>의 ‘교씨’와 <임씨삼대록>의 ‘옥선’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8,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219 최기숙,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부부 관계’와 ‘결혼 생활’의 상상적 조율 과 문화적 재배치-‘현경문-주소저’ 부부 관련 서사분석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20,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