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東洋 繪畵의 유토피아적 세계 硏究 : 桃源과 民畵의 상징성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98699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동양화전공 2011. 6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59.95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Utopia in Oriental Painting : focused on symbolism of paradise and folk painting

      • 형태사항

        ix, 160p.: 삽도; 26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왕형열
        참고문헌 : p.151-15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東洋 繪畵의 유토피아적 세계를 硏究한 것이다. 유토피아 즉 이상세계에 대한 주제는 동서양 문화사에서 다양하게 관심을 받아왔고, 현재까지도 예술가들에게 창작동기의 원천을...

      본 논문은 東洋 繪畵의 유토피아적 세계를 硏究한 것이다. 유토피아 즉 이상세계에 대한 주제는 동서양 문화사에서 다양하게 관심을 받아왔고, 현재까지도 예술가들에게 창작동기의 원천을 주어왔다. 유토피아의 개념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이상향의 세계로 토마스 모어의 『Utopia』라는 책에서 처음 제시되었고, 그가 제시한 유토피아는 이상적인 나라로서 세상에는 존재하기 어려운 곳이었다.
      동양에서 이상향에 대한 출현은 중국 동진시대 陶淵明의 『桃花源記』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桃花源記에서 陶淵明이 제시한 이상향은 신선들이 사는 죽지 않고 영생을 누리는 낙원이 아니라 남자와 여자, 어린이와 노인이 같이 살고, 시냇물은 깨끗하고 토지는 비옥하며, 개와 닭이 뛰어 놀고 복숭아꽃이 만발한, 평범한 시골마을의 풍경으로 묘사되어 있다. 즉 현실적 공간이었으며 그러나 전쟁과 갈등이 없는 평화롭게 농사지으며 사는 지역이었다. 현 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은 수많은 문제로 갈등과 좌절에 시달린다. 환경오염과 계속되는 종교적, 문화적 갈등으로 오는 전쟁, 개인적으로 보면 독선과 의사소통의 부재와 도덕적 타락이 인간 모두에게 고통을 주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복잡하고 다양한 오늘의 시대에 누구나 한 번쯤은 상상해보는 유토피아 즉 이상세계라는 이상적 공간을 새롭게 해석해 보고 연구하여 이 시대의 새로운 相生의 유토피아적 세계를 본 논문에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표는 동양문화사에서 꾸준히 영향을 주어온 온 桃源에서 출발하여 조선시대 民畵의 상징성에서 유토피아의 새로운 전형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한국화의 정체성을 구현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이 시대의 새로운 미학을 제시한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므로 연구의 전개방식은 우선 동양회화에 나타난 桃源圖의 풍경을 통하여 회화에 표출된 桃源의 배경을 분석해 보았고 이후 民畵의 세계에 나타난 조선시대 사람들의 유토피아적 갈망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조선시대의 安堅의 夢遊桃源圖를 정치적 유토피아로, 李夏坤의 桃源圖를 현재적 삶의 유토피아로, 근대의 安仲植의 桃源圖는 화려한 세상을 갈망하는 유토피아로 분석해 보았고 중국작품으로 청대의 石濤의 桃源圖를 평범함 삶속에 있는 유토피아의 인식으로, 근대의 張大千의 桃源圖는 환상적인 삶에 대한 유토피아로 규명해 보았다.
      民畵는 길상적 그림들을 壽, 福, 祿, 辟邪, 敎訓의 상징성으로 분류하고 壽를 장수적 삶에 대한 유토피아적 희망으로, 福은 현실에 대한 기원적 유토피아로, 祿은 권세에 대한 희망의 유토피아로, 辟邪는 평화로운 현실을 기원하는 유토피아적 개념으로, 敎訓은 인격수양에 개인적 유토피아적 인식으로 해석해 보았다.
      즉 우리나라 安堅의 <夢遊桃源圖>, 李夏坤의 <桃源問津圖>, 安仲植의 <桃源問津圖>와 중국 石濤의 <桃源圖>, 張大千의 <桃源圖>를 개인적 사유관에서 비교 분석해보고 이후 民畵의 <十長生圖>, <日月五峰圖>, <까치와 호랑이>, <牡丹圖>, <冊架圖>을 토대로 화면 경영과 의미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역사속의 유토피아에 대한 다양한 구현과 갈망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후 본 논문의 연구 목표인 연구자의 그림을 통하여 이 시대의 새로운 유토피아적 세계를 제시하였다.
      연구자가 추구하는 유토피아적 세계는 첫째는 인간, 동물, 식물 등이 같이 어우러져 사는 相生적 삶의 표현으로 新桃源景을 제시하였고 이것은 인간의 오만이 빗어낸 환경파괴에 대한 복원의 희망으로 연구한 것이다.
      두 번째로는 民畵의 상징성을 오락적 요소로 재해석하여 화투의 양식을 빌리거나 화조도에 화투적 문양을 삽입하여 재미있게 표현하였다. 이것은 그림에 일종의 주술적 기운을 희망하며 진지하게 접근한 民畵의 제작태도 보다는, 그림을 즐거운 소통의 대상으로 접근하게 한 의도로서, 이 시대의 유토피아적 풍경을 즐겁고 재미있는 오락적 소통의 세계로 연구한 것이다.
      즉 본 논문은 桃源의 정신적 개념을 기본으로 民畵의 진지한 祈福의 상징성을 오락적 즐거움으로 재해석하여 조형화시킴으로서 이 시대의 새로운 新桃源景의 相生적 유토피아 세계를 회화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d utopia world appeared in oriental painting. Utopia, the ideal world, has been interested in various ways in cultural history of the East and West, and even now creatively inspires artists. Presented in Thomas More's book『Utopia』...

      This paper studied utopia world appeared in oriental painting. Utopia, the ideal world, has been interested in various ways in cultural history of the East and West, and even now creatively inspires artists. Presented in Thomas More's book『Utopia』for the first time, utopia is an unreal world; the ideal world can hardly exist in the earth.
      Utopia in oriental painting is originated from Tao Yuanming's『The Tale of Peach Blossom Spring』in Eastern Jin dynasty. Utopia presented by Tao Yuanming in The Tale of Peach Blossom Spring is not a paradise of Taoist hermit with eternal life, but a general rural village where both sexes, children and the elderly live together, with clean stream and fertile soil, dog and cock romping around, and cherry flower in full blossom. In other words, it was a real area of peaceful agriculture without war or conflict. Many problems harass modern people with numerous conflicts and frustrations. Environmental pollution, war from religious and cultural conflicts, self-righteousness, individual lacking in communication and moral corruption suffer all human beings.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tried to present a new utopia of co-existence of this times, by freshly studying and translating such an ideal world which is dreamt by someone once upon a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new model of utopia from Peach Blossom Spring, which has been consistently influencing on the oriental cultural history, and symbols of folk paintings in Joseon dynasty. As a way to revive the identity of Korean painting, this would be significant in that a historic fact presents new aesthetics to this times.
      Therefore, the appearances of Peach Blossom Spring in oriental paintings were studied for the first time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utopia, followed by Joseon people's longing for utopia that is appeared in folk paintings.
      The following were analyzed; Ahn Gyeon's Mongyudowondo in Joseon as a political utopia, Lee Hagon's Dowondo as one of present life, Ahn Jungsik's Dowondo in modern times as one of successful world, Chinese artist Seokdo's Dowondo in Qing dynasty as that of daily life, and Jang Daecheon's Dowondo in modern times as that of fantastic world.
      Good auspices of folk paintings were classified into long life, blessing, wealth, harvest and lesson; long life was translated into utopia-hope for healthy long life, blessing into actual wishes, wealth into power and authority, harvest into peaceful reality, and lesson into individual recognition of utopia.
      Therefore, Korean artists Ahn Gyeon's <Mongyudowondo>, Lee Hagon's <Dowonmunjindo>, Ahn Jungsik's <Dowonmunjindo> and Chinese artists Seokdo's <Dowondo>, Jang Daecheon's <Dowondo> were analyzed from personal views of point, followed by structure and meaning of folks like <Ten Long Lives>, <Sun-Moon-Five Peaks> <Magpie and Tiger>, <Peony>, and <Chaekgado>, to present various realizations and yearnings for utopia in this times.
      The researcher presented utopia firstly as a new peach blossom spring where humans, animals and plants live together, which is a hope for restoration of the environment damaged by arrogance of people.
      Secondly, symbolism of folk paintings was re-translated in a way of entertainment by interestingly showing them in oriental cards or using their images. This is not a sincere attitude to folk paintings hoping for some kind of black magic, but a pleasant one to communication to study utopia of this times as an enjoyable and entertaining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is paper presented a new concept of co-existing utopia in a way of painting by re-translating and shaping sincere yearning for blessing in folk paintings into entertaining pleas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및 절차 2
      • Ⅱ. 유토피아의 배경 4
      • 1. 유토피아의 개념 4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및 절차 2
      • Ⅱ. 유토피아의 배경 4
      • 1. 유토피아의 개념 4
      • 1.1 토마스 모어의 Utopia 4
      • 1.2 프랜시스 베이컨의 The New Atlantis 7
      • 1.3 에드워드 벨러미의 Looking Backward 9
      • 1.4 윌리엄 모리스의 News from Nowhere 12
      • 2. 桃源의 개념 14
      • 2.1 老子의 小國寡民 14
      • 2.2 陶淵明의 桃花源記 16
      • 2.3 우리나라 桃源의 개념 19
      • Ⅲ. 유토피아적 세계의 특징 22
      • 1. 桃源에 나타난 유토피아 22
      • 1.1 安堅의 桃源圖 - 정치적 유토피아 23
      • 1.2 李夏坤의 桃源圖 - 현실의 유토피아 30
      • 1.3 安仲植의 桃源圖 - 화려한 유토피아 33
      • 1.4 石濤의 桃源圖 - 평범한 유토피아 36
      • 1.5 張大千의 桃源圖 - 환상적 유토피아 40
      • 2. 民畵에 나타난 유토피아 - 행복한 삶에 대한 열망 43
      • 2.1 吉祥적 상징 47
      • 2.1.1 壽 - 장수적 삶에 대한 유토피아 49
      • 2.1.2 福 - 현실에 대한 기원적 유토피아 53
      • 2.1.3 祿 - 권세에 대한 희망적 유토피아 56
      • 2.2 邪적 상징 - 평화로운 현실에 대한 기복적 유토피아 58
      • 2.3 敎訓적 상징 - 인격수양에 대한 유토피아 61
      • 2.4 民畵의 色彩 상징 63
      • Ⅳ. 유토피아적 세계의 작품 분석 66
      • 1. 桃源을 통한 유토피아 세계 66
      • 1.1 安堅의 <夢遊桃源圖> 66
      • 1.2 李夏坤의 <桃源問津圖> 74
      • 1.3 安仲植의 <桃源源問津圖> 77
      • 1.4 石濤의 <桃源圖> 80
      • 1.5 張大千의 <桃源圖> 84
      • 2. 民畵를 통한 유토피아적 세계 86
      • 2.1 <十長生圖> 86
      • 2.2 <日月五峰圖> 89
      • 2.3 <까치와 호랑이> 92
      • 2.4 <牡丹圖> 95
      • 2.5 <冊架圖> 98
      • Ⅴ. 연구자의 작품과 예술세계 101
      • 1. 작품세계의 형성과 제작배경 101
      • 2. 작품세계의 특성 103
      • 2.1 유토피아의 재해석 103
      • 2.2 民畵의 재해석 105
      • 2.3 오락과 소통 107
      • 3. 주요작품 분석 110
      • 3.1 유토피아 산수 (新桃源景) 110
      • 3.2 까치와 호랑이 116
      • 3.2.1 화투양식 - <까치와 호랑이Ⅰ, Ⅱ, Ⅲ> 116
      • 3.2.2 팝아트적 표현 - <까치와 호랑이1, 2, 3, 4> 126
      • 3.3 雙鳥圖 135
      • 3.3.1 雙鳥圖 - <Ⅰ,Ⅱ> 135
      • 3.3.2 雙鳥圖 - <1, 2, 3, 4> 139
      • 3.4 鳥圖 143
      • 3.4.1 새와 연 143
      • 3.4.2 獨鳥圖-<새Ⅰ>, <새Ⅱ> 145
      • 3.4.3 獨鳥圖- <새1>, <새2> 146
      • 3.4.4 부엉이 147
      • 3.5 잉어도 148
      • Ⅵ. 결론 149
      • 참고문헌 151
      • Abstract 1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