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日帝의 同化政策과 扶餘 文化遺産의 ‘재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736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가 조선에서 고적조사사업을 시작한 것은 1910년대부터다. 그때 일제는 식민지배의 정당성을 역사와 문화에서 찾고자 고적조사사업을 시작하였다. 초기의 조사가 임나일본부설과 타율...

      일제가 조선에서 고적조사사업을 시작한 것은 1910년대부터다. 그때 일제는 식민지배의 정당성을 역사와 문화에서 찾고자 고적조사사업을 시작하였다. 초기의 조사가 임나일본부설과 타율성론을 입증하기 위해 가야지역이나 평양지역에 집중되었던 것은 그 때문이다.
      그런데 1930년대 들어서 만주사변, 중일전쟁 등을 일으켜 전선이 확대되고, 또 전쟁이 장기화됨에 따라 인적⋅물적인 자원부족이 가속되었다. 일제는 그렇게 부족한 것을 조선에서의 수탈을 통해 메우고자 했다. 1930년대 후반부터 일제가 ‘내선일체(內鮮一體)’를 특히 강조한 것은 그 때문이다.
      때마침 1940년은 일본이 건국된 지 2,600년이 되는 특별한 해였다. 따라서 일제는 일본의 천황가와 관련 있는 시설물을 세워 본토인과 조선인이 다 같이 고개 숙여 숭배하는 가시적인 시설물을 구현하고자 했다. 193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부여 신궁(神宮) 및 부여 신도(神都) 건설은 그렇게 해서 시작되었다. 부여야말로 일본과 문화적으로 가장 친연(親緣)관계에 있었던 백제의 도읍지였기 때문이다.
      조선 사람과 일본 사람이 다 같이 부여 신궁에서 일본 천황에게 고개 숙이고, 또 일본 천황을 숭배하기 위해서는 조선 사람도 일본 천황의 신민(臣民)이라는 의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었다. 일제는 그것을 역사적 사실에서 찾고자 했다. 즉, 옛날부터 왜(倭)와 백제가 어려운 일을 함께 했던 역사적 사실을 찾아내 선전함으로써 조선과 일본은 하나라는 ‘내선일체(內鮮一體)’를 강조하고자 했다. 그 역할을 담당한 것이 오사카긴타로(大坂金太郞)이다.
      백제관(百濟館) 관장(館長) 오사카긴타로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보이는 득이신성(得爾辛城)을 고고학적 발굴도 하지 않고 부여의 청마산성(靑馬山城)에 비정하였다, 청마산성 입구의 마을이름이 이전에는 ‘득신’, ‘독신’이라고도 불렀다는 점에 주목하여 청마산성을 득이신성으로 확신하였다. 청마산성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절인 고란사(皐蘭寺)도 일본인 최초의 유학지로 비정하였다. 특정한 목적을 위해 유적을 ‘재해석’, 즉 왜곡한 것이다.
      일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1935년에 군수리사지(軍守里寺址), 그리고 1942년에 정림사지(定林寺址)를 발굴하고는 백제의 가람배치가 일본의 가람배치의 기원이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물론 백제가 1탑(塔) 1금당(金堂)식의 가람배치를 보이고 있는 것은 맞지만 백제의 장인(匠人)들이 가서 세워주었다는 일본 최초의 사찰 아스카데라(飛鳥寺)는 1탑 3금당식의 구조를 하고 있다. 부여 정림사지와 일본 오사카(大阪)의 시텐노지(四天王寺)도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다.
      이렇게 차이가 명백함에도 일제는 백제문화와 일본문화, 나아가 조선문화와 일본문화의 친연성을 강조하기 위해 같은 것이라고 ‘재해석’, 즉 왜곡하였다.
      해방 후 반세기를 넘어 한 세기에 가까워져 가고 있다. 일제의 동화정책(同化政策)에 의해 의도적으로 ‘재해석’된 문화유산은 없는지 다시 한 번 세심히 살펴 그러한 오류를 이제는 하나하나 수정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was in the 1910s that the imperial Japan started an archaeological project to investigate ancient sites in Joseon. At that time, imperial Japan launched an ancient research project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colonial rule in history and culture...

      It was in the 1910s that the imperial Japan started an archaeological project to investigate ancient sites in Joseon. At that time, imperial Japan launched an ancient research project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colonial rule in history and culture. Japan focused its the initial investigation on Gaya and Pyongyang to prove the spurious theories of Japan’s ancient occupation of Gaya in Korean peninsular and of Joseon’s ansence of autonomy.
      However, in the 1930s when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roke out, and in the course of Japan’s imperial expansion and prolongation of the war, imperial Japan launched further exploitation of Joseon in order to fill up shortag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at’s why it particularly emphasized “internal unity” since the late 1930s.
      As it happened, 1940 was a special year for Japan that marked 2,600th year of its national foundation. Therefore, imperial Japan wanted to build a facility related to the Japanese Emperor's shrine that both Japanese mainlanders and colonized Koreans would worship together. The construction of Buyeo Shrine and Buyeo Holy city started in 1939. Buyeo was the capital of Baekje, which had the closest historial and cultural affinity with ancient Japan.
      In order for both Joseon and Japanese to bow down to the Japanese emperor at the Buyeo Shrine, Japan needed to instill upon people of Joseon an ideology of their identity as Japanese emperor's subjects. Imperial Japan sought to ground this colonial ideology upon what it claimed as “historical facts.“ In other words, it wished to emphasize the “internal unity” that Joseon and Japan are one by promoting historical propaganda that Japan and Baekje overcame together difficult tasks from ancient times. It was Osaka Gintaro who presided over this colonial project.
      Osaka Gintaro, director of the imperial Japan's Baekje Exhibition Hall, claimed, without any archaeological excavation, that Cheongma Fortress is the “Deuk Ee Shin Sung” recorded as in Nihon Shoki (Japanese History Book, 720AD). Noting that the village name at the entrance to Cheongma Fortress was formerly called “Deukshin” and “Dokshin”, so convinced that Cheongma Fortress was “Deuk Ee Shin Sung”. In addition to Cheongma Fortress, Koransa Temple, a temple built in the Goryeo period, was also claimed as the first place where Japanese studied abroad. This was Japan’s obvious misinterpretation or distortion of archaeological remains of Baekje for a particular purpose.
      The imperial Japan did not stop here, but after excavating the Gunsu-ri Temple Site in 1935 and Jeongnimsa Temple Site in 1942, it claimed that the temple arrangement of Japan originated from Baekje. Of course, Baekje’s temple has arrangement of one pagoda in one main building, but Asuka-dera, Japan's first temple in its history which Baekje's artisans built, has a temple structure of one pagoda in three main buildings. There are also detailed differences between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and Sitenoji in Osaka, Japan.
      In spite of these obvious differences, imperial Japan persisted in reinterpreting and distorting history in order to emphasize its theory of cultural affinity between Baekje and ancient Japan on the one hand, and Joseon and Japan on the other.
      Two thirds of a century has passed since Korea gained independence from Japan, and it is time to check out whether there is any Baekje's cultural heritage intentionally distorted or concocted by Japanese assimilation policy and to rectify historical errors and flaws produced and reproduced by Japanese colonial lega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3. 연구사 검토 5
      • Ⅱ. ‘日鮮同祖論’과 扶餘 神宮의 건설 10
      • Ⅰ. 머리말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3. 연구사 검토 5
      • Ⅱ. ‘日鮮同祖論’과 扶餘 神宮의 건설 10
      • 1. 신궁 건설의 배경 10
      • 2. 신궁 건설의 결과 14
      • Ⅲ. ‘內鮮一體’와 부여 유적의 재해석 24
      • 1. 청마산성과 득이신성 24
      • 2. 고란사와 비구니 사찰 35
      • Ⅳ. ‘親緣性’강조와 발굴조사 유적의 재해석 37
      • 1. 군수리사지의 조사 37
      • 2. 백제가람과 일본 초기 가람 43
      • Ⅴ. 맺음말 49
      • 참고문헌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