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야인의 身體變形習俗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body change customs of Gaya Peo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546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characters of cranial deformation, tattoos and extracting a tooth. Name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asons of customs by investigating those of the Gaya period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characters of cranial deformation, tattoos and extracting a tooth. Name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asons of customs by investigating those of the Gaya period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We can find the extensive traces of such customs of Gaya people in several parts, which we cannot understand those customs from the current standard.
      Cranial deformation is an extremely dangerous custom in which a new-born baby's head is transformed. Sometimes, some new-born babies must have lost their lives. Based on Samgukji (Chinese saga), 10 cranial deformed human bones, excavated in old tombs, located in Yean-ri, Daedong-myon, Gimhae, are valuable historical material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y Gaya people enjoyed such a difficult and dangerous cosmetic surgery, namely cranial deformation. Based on the 4th century when the cranial deformation was intensively excavated, women account for 36.8%, while men take up 16.7%. Of the whole excavated skeletal remains, 21% had cranial deformation.
      Considering that 10 cranial deformed human bones of a total of 210 excavated skeletal remains were excavated in the old tombs during the 4th to the 7th century, this means 4.8% underwent cranial deformation. The cranial deformations actually was excavated in the tombs with square-shape wooden outer coffin inside a tomb in the 4th century.
      Regarding the reasons of cranial deformation, there are various theories including the aesthetic ritual, class discernment, religious spiritual enlightenment and a function of spell. If other areas are regarded as reference, and if the targe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Gaya relics, one thing clear is that many people underwent cranial deformation, and a cosmetic surgery for children was conducted taking risks. In fact, cranial deformation was mainly conducted to the general pubic or women who are in the weaker position in the socially. In view of the current relics discovery, concentrated cranial deformation was conducted in some areas. The fact that a person's head was artificially transformed is a kind of cosmetic surgery, from the current point of view; hence, it can be asserted that Gaya people underwent cosmetic surgery. The goal of the cranial deformation of Gaya people can be a nature of spell to pray for happiness and prosperity of tribes or homes, on the basis of religious rituals. Also, it was found that general people or those people who correspond to the current minority people, not main stream people, underwent cranial deformation.
      The goal of the tattoos of Gaya people was for practical use not to be attacked or damaged by fierce water birds, big fish or animals like a dinosaur, when they went hunting or working under the water. The tattoos were regarded as valuable like clothes, being imbued with prayers or wishes to protect human bodies from the attack of aquatic animals, such as crocodiles or snakes. Although a tattoo was widely diffused as the art of self-defense, a sign of tribal solidarity, an idea for paying a tribute to ancestors or an aesthetic function, it changed to an evil meaning, as China prescribed it as a bad custom.
      As King Bupheung of Shilla (514 ~ 540) rearranged the public officials' clothes colors in full-swing, tattoos are regarded to have disappeared. Later, tattoos became the target of fear, because they were used to punish culprits by printing the crime item on the concerned culprit's face (Gyung Hyung or Muk Hyung in Korean). However, the tattoo of Gaya people was for purely practical and spell purposes, unlike its meaning in China.
      A tattoo has another important aesthetical function. One of the leading views to explain the origin of beauty is a model developing from a view of utility to a view of aesthetics. The tattoo was originated from a practical purpose to defend human body at first, but a perception that utility of a tattoo was beauty itself seemed to be initiated, based on its utility attribute in later times. As a perception of beauty sprang up, the tattoo itself might have taken a path to be diversified and abstracted.
      The reason of extracting a tooth is concerned with a passage ritual; namely it was conducted at the occasion of the coming of age ceremony or a wedding. The main purpose of extracting a tooth is to extract one's tooth, when the head of a family or a group died. It was a sign to announce that one's own parents had a mishap and to faithfully and sincerely pay a tribute to one's ancestor and a sign as the successor of the concerned property right or a family head's right. Although extracting a tooth, based on which others also correspondingly behaved themselves in advance, is an evil custom, viewed from the current standards, it was a means of social order those days. Such extracting a tooth is confirmed through other countries' ethnography cases or archaeological cases. Mostly, the cases that some people in kinship with the buried person,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a funeral, extracted their teeth and provided them as a tribute to the dead person have been reported. Such an extracting a tooth has a feature that it was conducted after those who extracted their teeth became adults, compared to the cases as a passage ritual in the growth process of a person like a coming-of-age ceremon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야인들의 신체를 변형하는 습속인 편두 · 문신 · 발치에 대해 성격을 규명하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해 가야시대는 물론 세계인의 습속을 두루 살펴 그 이유를 밝히는�...

      본 연구의 목적은 가야인들의 신체를 변형하는 습속인 편두 · 문신 · 발치에 대해 성격을 규명하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해 가야시대는 물론 세계인의 습속을 두루 살펴 그 이유를 밝히는데 있다.
      가야인들은 지금의 기준에서 보면 이해할 수 없는 이러한 풍습이 광범위하게 성행한 흔적이 곳곳에 나타나고 있다.
      편두는 갓 태어난 어린아이의 머리를 변형시키는 극히 위험한 풍습으로 생명을 잃기도 했을 것이다. 『三國志』기록을 토대로 김해 대동면 예안리 고분에서 출토된 10구의 편두 인골은 귀중한 사료이다. 왜 이같이 어렵고 위험한 머리 변형인 성형술을 가야인들은 왜 즐겼는지가 연구의 목적이다. 편두가 집중 출토된 4세기를 기준하면 여성은 36.8%에 달하며 남성은 16.7%, 전체에서 21%가 편두를 했다. 4~7세기 무덤인 이곳의 총 출토 유구인 210구에서 10구를 감안하면 4.8%가 편두를 한 셈이다. 그러나 편두는 4세기 목곽묘 무덤에서 모두 출토됐다.
      편두 이유에 대해 미의 의식, 계층 구분, 종교적인 심령개발, 주술적인 기능 등으로 분분하다. 여타 지역은 참고사항으로 보고 가야유적지로 국한하면 확실한 것은 많은 사람들이 편두를 하고, 위험을 무릅쓰고 어린아이를 성형수술 했으며, 일반인이거나 약자인 여성이 주로 편두를 했다. 현재 유적지 발굴로는 일부 지역에서 집중 편두가 발생했다. 확실한 것은 머리를 인위적으로 변형했다는 사실 자체는 현재의 기준으로 보면 성형수술이며, 따라서 가야인들은 성형수술을 했다고 단정할 수 있다.
      가야인들이 편두를 한 목적은 종교적인 의식을 바탕으로 종족이나 가정의 행복, 번창 등을 기리는 呪術的인 성격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 가야시대의 주류 계층은 아닌 일반인이거나 지금의 소수민족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편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야인들의 문신은 사냥이나 물속에서 일할 때 사나운 물새나 큰 물고기, 혹은 교룡과 같은 짐승의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한 실용적 목적이었다. 문신은 실제로 악어나 뱀과 같은 수중동물들의 공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바램을 지닌 의복과 같이 귀중하개 여겼다. 문신은 이같이 호신술로 또는 종족의 결속의 징표로, 조상숭배 사상으로, 미적 기능으로 성행했으나 중국이 나쁜 습속으로 규정하면서 악의 의미로 변화된다. 신라 법흥왕(514~540)때 관리의 복색을 본격적으로 재정비하면서 문신은 사라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문신은 범죄자를 처벌하는 ?刑 또는 墨刑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등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가야인의들의 문신은 중국의 의미와는 달리 순수한 실용적, 주술적임 목적이었다. 문신의 또 하나의 중요한 미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미의 발생을 설명하는 유력한 관점 중의 하나가 공리관에서 심미관으로의 발전 모델인데 문신 역시 처음에는 신체의 방어라는 일상의 실질적인 기능을 목적으로 생겨났다가 후대에 그 공리성을 바탕으로 그 문신의 공리성 자체가 아름다움이라는 인식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아름다움이란 인식이 생기면서 문신 자체도 다양화, 추상화되는 길을 걸었을 것이다.
      발치를 하는 이유는 통과의례와 관련된 행위로, 가령 성인식과 결혼식 때 행해졌다. 그러나 발치의 주된 목적은 가족이나 집단의 우두머리가 죽었을 때 치아를 뽑는 복상발치였다. 이는 발치를 함으로써 자신의 부모가 변고를 당했다는 것을 대외에 알리고 이후에도 충실이 조상을 받들고, 재산권 가장권의 상속자로써 그 징표였다. 다른 사람들도 발치를 한 사람을 미리 알고 처신하는 지금으로 보면 악습이지만 당시로서는 사회질서의 한 방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복상발치는 다른 나라의 민족지 사례나 고고학적 사례에서 보아도 확인되는 것으로 대개는 장례식에 참여한 참가자 중 피장자와 친연관계인 사람 일부가 자신의 치아를 뽑아 죽은 자에게 공양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 러한 복상발치는 일반적으로 발치가 성인의례 등 성장과정에서 행해진 통과의례인 것에 비해 성인이 된 후에 행해진 특징이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1
      • Ⅱ. 世界의 身體變形 習俗 = 3
      • 1. 偏頭 = 3
      • 目次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1
      • Ⅱ. 世界의 身體變形 習俗 = 3
      • 1. 偏頭 = 3
      • 가. 편두의 정의 = 3
      • 나. 편두의 사례 = 3
      • 다. 편두의 목적 = 4
      • 2. 文身 = 5
      • 가. 문신의 정의 = 5
      • 나. 문신의 사례 = 6
      • 다. 문신의 목적 = 8
      • 3. 拔齒 = 10
      • 가. 발치의 정의 = 10
      • 나. 발치의 사례 = 10
      • 다. 발치의 목적 = 12
      • Ⅲ. 가야인의 身體變形 習俗 = 13
      • 1. 가야인의 偏頭 = 13
      • 가. 文獻資料 = 13
      • 나. 考古資料 = 13
      • 다. 편두의 사회적 성격 = 26
      • 2. 가야인의 文身 = 34
      • 가. 文獻資料 = 34
      • 나. 가야인의 文身 = 35
      • 다. 문신의 사회적 성격 = 38
      • 3. 가야인의 拔齒 = 41
      • 가. 考古資料 = 41
      • 나. 가야인의 발치 = 43
      • 다. 발치의 사회적 성격 = 45
      • Ⅳ. 맺음말 = 48
      • 參考文獻 = 50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