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麗時代 질그릇의 形式分類와 變遷過程 : 甁·壺·大甕을 中心으로 = (The) style classification and change process of pottery in Koryo period : The focus on bottle, pot and large size j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340279

      • 저자
      • 발행사항

        오산 : 한신大學校 大學院, 200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신대학교 대학원 : 국사학과 고고학전공 2004. 2

      • 발행연도

        200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911.0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v, 146p. : 삽도 ; 27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31-143

      • 소장기관
        • 경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장공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질그릇은 그동안 여러 유적조사를 통해서 많은 양이 출토되었고 유적의 조사 예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出土量 및 조사의 양적인 증가와는 반대로 질그릇의 연구는 여러 ...

      질그릇은 그동안 여러 유적조사를 통해서 많은 양이 출토되었고 유적의 조사 예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出土量 및 조사의 양적인 증가와는 반대로 질그릇의 연구는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등한시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한국고고학계에 '중세고고학'이 등장함으로써 새로운 변화가 일게 되었고 그 중요성을 인식한 몇몇 학자들에 의해 질그릇 연구는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상대편년이나 형식학적 발달과정 및 시기설정 등 해명된 바 적지 않다. 그러나 아직도 질그릇의 전반적인 편년설정은 미흡하고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필자는 용인 죽전리의 질그릇 가마를 조사·정리하면서 전술한 실정을 주목하게 되었고 8C대 이후의 가마, 건물지, 분묘 출토품을 망라한 후, 보고서상의 유적 시기를 파악하여 앞선 시기부터 순서·배열한 다음 장식적 속성을 배제한 유물의 전반적인 형태를 類와 型으로 나누고 유적에서의 出土有無를 통해 대략적인 존속기간을 살폈다.
      그리고 질그릇의 제작·사용시기를 바탕으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역사적, 수공업적 배경을 아울러 전반적인 고려시대 질그릇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신라 하대부터 고려시대의 全 時期는 대략 羅末麗初期, 前期, 中期, 後期의 4단계로 편년설정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羅末麗初期는 신라하대에서부터 고려가 건국 후 전국의 주·부·군·현)을 재정비하는 등 왕권강화를 위한 시책을 추진하여 중앙집권화를 시도하는 태조 23년(940)경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시기의 기명에는 질그릇과 금속기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당시 진골귀족의 왕위쟁탈전이나 지방호족들의 세력화 과정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병장의 수요와 왕실과 사찰에서 만연된 사치풍조의 사회적 확산을 방지키 위한 흥덕왕 9년(834)의 금령으로 인해 금속기 사용의 제한과 상대적으로 원료가 풍부한 질그릇의 수요 증가가 추정되었다. 이러한 질그릇의 수요 증가는 이 시기 질그릇의 기종 및 기형의 다양함에서 유추할 수 있다.
      한편 이 단계는 자기가 아직 발생되지 않고 수입에만 의존하였으나 호족의 한 부류인 군진세력들이 군진을 중심으로 서해안 일대의 해상무역을 통해 당시 중국에서 일상생활용기로 보편화된 자기의 실용적·경제적 가치를 '인식'하는 시기로 추정된다.
      前期는 후삼국을 통일한 후 제반시책을 통해 왕권강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하였고 이를 발판으로 지방의 호족과 군현까지도 본격적으로 통제하여 중앙집권적인 귀족정치체계가 확립되는 시기로서 대략 太祖 24년(941년)부터 11C 후반 경까지로 생각된다.
      이 시기는 도자사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시기로서 10세기 초중반부터 고화도 번조가 이루어지던 봉천 원산리, 시흥 방산동, 강진 삼흥리 등지의 요업장소에서 자기가 국내생산되었다. 하지만 그 생산은 완, 접시 등 일부 음식기명에 한정되었고 정치적 안정 속에서 금속기의 사용이 다시 대두됨으로써 그리 보편화되지 않았다.
      한편 질그릇은 자기의 발생으로 인해 점차 자기질로 기능적으로 대체되어 점차 위축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저장용도의 병·호·옹 등의 일부 기형은 바닥의 평저화(평평한 바닥이 된다), 경부의 길이 및 구연의 외반 폭이 축소되는 등 이전의 장식성에서 벗어나 보다 실용성·기능성이 강조되면서 전통을 이어갔다.
      中期는 고려의 귀족정치가 완성되어 문화의 황금기를 맞게되는 12C 전반부터 무신정권이 종식되는 1273년경까지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는 자기가 비색청자라 칭해질 정도였고, 기와나 베개를 만들 정도로 발전하였다. 또한 금속기도 일반화하였다. 하지만 질그릇은 당시 계급간의 괴리 및 양극화 현상의 만연으로 인해 일반민이나 소민까지도 유망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금속기, 자기가 일반화되고 발전되는 상황이 더해져 전 단계보다 더 위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일상생활용기에서 이전 단계부터 생산되기 시작한 자기로 인해 제작체계가 금속기, 자기, 질그릇의 분화 현상이 심화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그 가운데 금속기는 당시의 혼란상과 몽고에 의한 수탈로 인해 일상생활용기에서 사용이 일정정도나마 감소되었던 시기였다. 이 같은 현상은 羅末麗初期와 마찬가지로 금속기 대신에 질그릇의 수요를 촉진시켰다. 하지만 이 단계에는 자기의 수요층이 보다 일반화되고 광범위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그럴 필요가 없게 되었다. 따라서 자기의 발전과 더불어 질그릇의 기능적 대체가 크게 활성화되었던 단계로 추측된다.
      後期는 원의 간섭기 이후 종속구조가 지속됨으로써 사회모순이 심화되는 충렬왕(1274)대부터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원 문화의 직·간접적인 영향, 잦은 왜구의 침입 등 외적 요인과 무신집권층과 권문세족에 의한 장인자체나 기명의 수탈이 심해졌다. 또 성리학을 생활이념으로 하여 검소하고 합리적인 생활을 추구하는 신진사대부가 대두하여 실용성이 담보되는 기명의 대량생산을 요구함에 따라 분청사기가 등장하였다. 따라서 자기는 수준과 질이 떨어지게 되었고, 질그릇 또한 구연외반 폭이 더 축소되고 구순 끝이 수평되게 잘린 듯이 마무리되어 실용성, 기능성만이 강조된 나머지 조형미보다는 안정감 위주로, 그리고 제작시의 편리성을 가지는 기형으로 변천되었다.
      이상과 같이 고려시대 질그릇은 각 단계별 금속기와 자기와의 영향관계 속에서 기능을 고려하여 일부 몇몇은 다른 재질로 대체되어 점차 위축되는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저장용도인 병·호·대옹 등의 일부 기형은 일상생활용기로써 평저화, 경부와 외반구연 폭의 축소화 등 실용성, 기능성을 담보하면서 조선시대로 계승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ttery has been excavated lots of stuffs through several site research. Also it is increasing research example of remains. But the research of pottery is neglected because of many causes opposite of increasing of excavation quantity and research...

      The pottery has been excavated lots of stuffs through several site research. Also it is increasing research example of remains.
      But the research of pottery is neglected because of many causes opposite of increasing of excavation quantity and research.
      Since 1990 dates, korean archaeology was a new changing through appearance the middle ages, and pottery research has been studied by several scholars who was understood its importance.
      The mutual chronicle, process of formal development and time establishment were explained by these studies. But the general chronicle establishment of pottery was too unsatisfactory and short.
      The author focused on pottery kiln through research and arrangment in Jukgeonri Yongin.
      After collecting the pottery, building site and grave since then 8C, it was described by early times. It was divided into kind and type the general form of relics except decorative attribution. And it was inspected the roughly continued time through existence and non-existence the excavations of remains.
      It was inspected the process of changes of the general pottery which was influenced direct and non-direct on basis the time of manufacture and use of pottery in koryo period. As the results, it was possible to divided into four steps by the end of silla-the first stage koryo, the first stage, the middle stage, and the last stage.
      The end of silla-the first stage koryo was established from the end of silla to Taejo 23(940) who was tried to centralized authority through rearrangement the ju, bu, gun and hyon of nation.
      The bowl was used pottery and metallic in these times. In those times, there were struggled for the throne in jingol nobility and for the political power in province powerful family. There was lots of trend of luxury in dynasty and temple. Therefore Hungdukwang 9(834) prohibited to use of metallic so it was deducted increasing in demand of pottery compare to abundance of materials. These increasing in demand of pottery can infer to variety of bowl kind and bowl type of pottery in these days.
      This stage which celadons was not produced but imported, the army power which was a branch of powerful family recognized through sea trade of west sea the utility and economic value of pottery which was generalized in china was inferred.
      The first stage which was established centralization of power controlled provincial powerful family after unifications the later three nations was called generally from Taejo 24(941) to end of 11C.
      These times was arranged new turning point the side of pottery. The porcelain was produced in domestic throughout early-middle of 10C ceramic place which was started old painting in Bongchon Wonsanri, Sihung Bangsangding, Kangjin Samhungri and so on.
      But those productions were only limited food pottery like cup, dish and so on. It does not generalized by becoming use of metallic again in political stability.
      The other side, the pottery was substituted to material of porcelain functionally because of production of porcelain. So it was gradually contracted. But the bottle, pot and jar which were used for storing were become a flat bottom of the bottom, reduced length of part of the neck and width of mouth. So those porcelains were continued the tradition by emphasis the practicality and functionalism compare to former decoration.
      The middle of stage was described from early 12C which was a golden stage of culture by making the nobility politics in koryo to on 1273 which was finished the political power of a soldier.
      The porcelain was called biseak celadon and they could made the tiles for roofing or pillow in these times. The metallic porcelain was generalized also. But the pottery was inferred more contracted compare to former stage because of alienation and polarity between the class. It was understood that the manufacture system was more deepen phenomena of specialization of metallic, porcelain and pottery because of production of porcelain former stage in daily life porcelain.
      The use of metal porcelain in daily life porcelain was reduced a little because of confusion and exploitation by monggo in those times. This phenomena was promoted the demand of pottery instead of metal porcelain like the end of silla-the first stage koryo. But it was not more necessary in this stage because demand grade of porcelain was more generalized and extensively. Therefore, it was guess that the development of porcelain and functional substitution of pottery was very activated in this stage.
      The end of stage was from Chungryulwang(1274) which social contradiction is more deepen with continuity by won's subordination to chosun which was found and koryo was destroyed.
      In this stage, the exploitation of a skilled handcraft or porcelain were more deepen because of external factors which were influence of won's culture directly or non-directly and many times invasion of a dwarf enemy, a military power class and kwonmunsejok. By the rising bureaucracy who was respect the metaphysics and was a simple and rationality was become, a painted celadons which was focused on practicality was appeared.
      Therefore the level and quality of porcelain was depreciated. Also the pottery width of mouth was more reduced. And its end of mouth was made like cut horizontally. So it was changed abnormally convenience of manufacture because it was only focused on practicality, functionality and stability better than molding arts.
      As it is mentioned above, the pottery in koryo period was more contracted to substituted another material by consideration each stage metal porcelain and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orcelain. But a part porcelain which was flat bottom of daily life vessel and reduction of width of the neck and the mouth like bottle, pot and large size jar which was use of storing were succeed to chosun period by an warranty in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國文抄錄 = ⅰ
      • Ⅰ. 머리말 = 1
      • Ⅱ. 硏究現況 = 3
      • Ⅲ. 遺蹟別 질그릇 出土現況 = 12
      • 목차
      • 國文抄錄 = ⅰ
      • Ⅰ. 머리말 = 1
      • Ⅱ. 硏究現況 = 3
      • Ⅲ. 遺蹟別 질그릇 出土現況 = 12
      • 1. 가마 = 12
      • 2. 建物址 = 26
      • 3. 墳墓 = 43
      • Ⅳ. 질그릇의 型式分類와 編年 및 變遷過程 = 60
      • 1. 型式分類와 編年 = 63
      • 2. 變遷過程 = 100
      • Ⅵ. 맺음말 = 125
      • 參考文獻 = 131
      • Abstract = 1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