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4~5世期代 百濟의 地域相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18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Local identity of Baekje in 4th ~5th Century Name : Lee HyunSook Department :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Thesis Advisor : Lee HongJong Regarding the history of Baekje, various fields ranging from the...

      Abstract

      A study on Local identity of Baekje in 4th ~5th Century


      Name : Lee HyunSook
      Department :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Thesis Advisor : Lee HongJong

      Regarding the history of Baekje, various fields ranging from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ancient Baekje to local reign policie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However most of the studies tended to focus on the central power of Baekje, which was followed by a serious limitation into the determination of local cultural identity. Thus, it is expected multiple efforts to identify local powers, and the subjects of Baekje, along with the study on local reign systems of the central ruling group, will be the bases for determining how a local society was in the Hanseong period.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Baekje local regions in the 4th ~ 5th century. An analysis on the local characteristics were focused on the settlement and tomb relics of 4th ~ 5th century in the Midwest regions that are presumed to be the former land of Mahan. The overall summary of this paper is suggested as follows in a discussion order:
      In Chapter II, prior to determining the local identity of Baekje, the meaning of local society existence in the Korean ancient history was all examined along with the literary and archeological study results of local cultures and reign systems of Baekje in Hanseong period. These examinations were tried to obtain directions of which view to be adopted to approach to, and how to interpret in recognizing local society, which is contrasted with the central region of Baekje and understanding local powers.
      The previous Baekje Histor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various fields such as the territorial extension and re-establishment of local reign system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Baekje, despite a fundamental limitation of insufficient historical materials. However, in spite of these intensive studies on local reigns of Baekje, there are still lots of limitations in clearly substantiating local society forms from a view point centering around the central region.
      Thus it is needed to look at the local identity of Baekje of Hanseong Period based on arche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4th ~ 5th century of Midwest regions, which correspond to Mahan's Former Territory, from the view point that the growth of ancient country, Baekje, might be possible not only by the influence of central political powers, but also by the engagement policy for wide local societies and the systematic ruling. Through this study, important basic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local powers of Baekje in Hanseong Period will be obtained by recognizing and appropriately substantiating the aspects of various communities that are presumed to have been included in a local society. In Chapter III, it was found that tomb relics are useful for surveying the local identity because they enable the examining of settlement and tomb materials of such Baekje. Accordingly in Chapter IV, the cultural aspects of 31 local regions were analyzed after the relics of the Midwest regions from under Hanriver to Geumriver valley were surveyed mainly based on tomb materials, and in Chapter V, case studies were conducted centering around the remains of Yongwon-ri in Cheonan that is kept in the best condition among archeological materials of 31 local units, and through these case studies, the transition process of local society and relationship between local society and central region were determined. In Chapter VI, the stone-lined tomb and stone-chamber tomb, the remarkable innovation of tombs culture, were analyzed, through which it was found these tomb cultures was very positively accepted by local societies. Further, it was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society and central region through a medium of prestige goods was simply not a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r and the subjugated, but a relationship based on active roles and involvements of local regions.
      There is limitation in examining the local identity of Baekje of 4th ~ 5th century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and patternization of tomb distribution areas, where the analysis and patternization are conducted based on material relics found in the limited regions. Nevertheless,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even part of identity of local societies that remain unclear today, based on an idea that the growth of ancient country, Baekje, was be enabled not only by the central political power but also by the efforts of local societie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actively and the engagement policy and effective ruling of central force of Baekje.
      There is limitation that the case study objec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remains of Yongwon-ri among 31 regions recognized as local societies of Baekje of Hanseong Period. As discussed in the regional aspect study focused on the tomb styles, from the face that each regional group showed various cultural types, the case study on the unit of local region should continue further. If the case studies of local societies centering around small local unit polities are accumulated, it will be possible to substantiate the forms of independent and pluralistic local societies of Baekje in Hanseong Period. This task will be supplemented by further continued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백제사는 고대국가 형성과정과 지방통치정책 등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서 집중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중앙의 관점에서 진행되는 경향이 많았기 때문에 지방사...

      백제사는 고대국가 형성과정과 지방통치정책 등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서 집중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중앙의 관점에서 진행되는 경향이 많았기 때문에 지방사회의 문화상을 구체화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중앙을 정점으로 한 지배집단의 지방통치체제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피지배대상인 지방세력의 구체적 존재형상에 접근하고자하는 다각적인 노력은 한 사회의 성격을 밝히는 근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4~5세기대 백제 지방사회의 지역상에 대한 연구이다. 마한의 고지로 인식되는 한강 이남~금강유역권을 포함하는 중서부지방의 4~5세기대 취락과 분묘유적을 중심으로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내용을 논의 순서에 따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백제 지방사회의 인식을 위한 전제로, 한국고대사에 있어서 지방사회에 대한 종합적 검토와 더불어 한성기 백제 지방문화와 통치체제에 대한 문헌사·고고학적 연구성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백제의 중앙에 대비되는 지방사회의 인식과 지방세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어떤 시각으로 접근하고, 또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기존에 이루어진 백제사 연구는 사료의 부족이라는 근본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백제의 발전과정에 따른 영역의 확대와 지방통치제도의 정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백제 지방통치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중앙중심의 관점에서 지방사회의 존재모습을 구체화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백제라는 고대국가의 성장이 비단 중앙의 정치세력만이 아니라 광역의 지방사회를 포용하고 이에 대하여 효과적인 통치를 함으로써 가능하였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마한고지에 해당하는 중서부지역의 4~5세기대 고고학자료를 기초로 한성기 백제 지방사회의 지역상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한 사회에 존재했을 다양한 공동체의 존재상을 인지하고 이를 적절히 실체화함으로써, 한성기 백제의 지방세력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Ⅲ장에서는 한성기 백제의 취락과 분묘자료를 검토하여 지역상을 살피는데 분묘자료가 유용함을 파악하였다. 이에 Ⅳ장에서는 분묘자료를 중심으로 한강 이남~금강유역의 중서부지방에서 조사된 유적을 대상으로 31개의 지역단위 문화상을 분석하였으며, Ⅴ장에서는 31개의 지역상 가운데 가장 고고학적 자료가 양호한 천안 용원리유적권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지방사회의 변천과정과 지방사회와 백제 중앙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Ⅵ장에서는 지방사회 고분문화의 획기를 이루는 수혈식석곽묘와 횡혈식석실분의 분석을 통하여 지방사회에서 이들 고분문화의 수용이 매우 능동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위세품을 매개로 한 백제의 중앙과 지방의 관계는 단순한 지배-피지배의 관계가 아니라 지방의 능동적 역할과 참여에 기초하였음을 파악하였다.
      제한된 지역에서 확인된 고고자료를 중심으로 분포영역에 대한 입지분석과 유형화를 통하여 4~5세기대 백제의 지역상을 검토하는데 있어서 나름의 한계도 적지 않다. 그러나 본 논문은 백제라는 고대국가의 성장이 중앙의 정치세력 중심만이 아닌, 지방세력의 능동적인 관계형성의 노력과 광역의 지방세력에 대한 백제의 포용과 효과적인 통제로 가능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에, 아직 미답의 형태로 있는 백제 지방사회에 대하여 일부 단면만이라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한성기 백제의 지방사회로 인지된 31지점의 지역상 가운데, 본 연구에서 진행한 사례연구의 대상은 용원리유적권에 제한되었다는데에 한계가 있다. 묘제를 중심으로 파악한 지역상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역집단별로 다양한 문화유형을 보이는 것으로 볼 때, 지역단위 사례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작은 지역단위 정치체를 중심으로 한 지방사회의 사례연구가 축적될 경우, 독자성과 다원성을 갖춘 한성기 백제 지방사회의 모습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보완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 次
      • Ⅰ. 序 論 1
      • Ⅱ. 漢城期 百濟의 地方社會 認識 7
      • 目 次
      • Ⅰ. 序 論 1
      • Ⅱ. 漢城期 百濟의 地方社會 認識 7
      • 1. 韓國古代史에서의 地方社會 硏究動向 7
      • 2. 文獻史에서의 百濟 地方社會 硏究動向 15
      • 3. 考古學에서의 百濟 地方社會 硏究動向 23
      • 4. 小結 29
      • Ⅲ. 考古學的 分析 33
      • 1. 聚落遺蹟의 分析 34
      • 1) 한강 이남~안성천 이북지역 36
      • 2) 안성천 이남~곡교천 유역 44
      • 3) 금강유역 46
      • 4) 충남 서해안지역 57
      • 2. 墳墓遺蹟의 分析 59
      • 1) 한강 이남~안성천 이북지역 61
      • 2) 안성천 이남~곡교천 유역 66
      • 3) 금강유역 68
      • 4) 충남 서해안지역 73
      • 3. 聚落과 墳墓遺蹟의 存在特性 75
      • 1) 聚落遺蹟의 特性 75
      • 2) 墳墓遺蹟의 特性 82
      • 4. 小結 85
      • Ⅳ. 墓制를 통해 본 地域相 87
      • 1. 地方社會와 地域圈 設定 87
      • 1) 地方社會와 地域 87
      • 2) 漢城期 百濟의 地域圈 設定基準 89
      • 2. 墓制와 地域圈 94
      • 1) 遺蹟現況과 墓制類型別 分類 94
      • 2) 古墳群을 통해 본 地域圈 102
      • 3. 墓制를 통해 본 地域相 157
      • 1) 漢江流域의 地域相 160
      • 2) 安城川流域의 地域相 165
      • 3) 曲橋川流域의 地域相 171
      • 4) 錦江流域의 地域相 173
      • 5) 忠南 西海岸地域의 地域相 177
      • 4. 小結 179
      • Ⅴ. 龍院里遺蹟圈의 事例硏究 185
      • 1. 龍院里遺蹟圈의 設定 186
      • 2. 遺蹟과 遺物의 檢討 188
      • 1) 遺蹟의 分布現況 188
      • 2) 遺構의 分析 195
      • 3) 遺物의 分析 206
      • 3. 龍院里遺蹟圈 地方勢力의 動向 246
      • 4. 小結 254
      • Ⅵ. 地方社會의 變動 257
      • 1. 考古學資料와 地方社會 257
      • 2. 墓制의 受容과 展開 260
      • 1) 竪穴式石槨墓의 存在特性 263
      • 2) 橫穴式石室墳의 存在特性 270
      • 3. 地方社會의 變動 278
      • 4. 小結 293
      • Ⅶ. 結 論 295
      • 參考文獻 301
      • Abstract 32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