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암사동 유적 공간 분포 양상 변화 : 신석기시대와 삼국시대 지형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ing patterns of spatial distribution in Amsa-dong site focusing on the topographic changes of the neolithic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3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patterns of spatial distribution of the Neolithic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Amsa-dong site is different. Although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s is about 3,000 years, there are no archaeologi...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patterns of spatial distribution of the Neolithic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Amsa-dong site is different. Although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s is about 3,000 years, there are no archaeological materials between them, so it was also analyzed with regard to the context of changing patterns of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ite. The two aspects can be presumed that the influ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prevailed rather than anthropogenic interven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were first examined. The site is highly influenced by river overflows, but the site is suitable for the formation of villages because of their location.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unction and occupation of the site through the features and artifacts, both periods sites were a residential base with high sedentism, and the occupation was considered to be long for both the total occupation length and the annual occupation length. As a result, it was judged that the occurrence of unoccupied period and change of patterns of spatial distribution in Amsa-dong site is difficult to find the reason without considering natural disaster.
      Therefore, the Holocene palaeoenvironments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and how much the natural environment affected the Amsa-dong site in the past. First, a study on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fluctuations that affect human life in general was examined. In early Holocene, the climate was warmer and more humid than in previous period, creating a backdrop for the arrival of the Neolithic era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ising sea levels. In middle Holocene, Neolithic period of Amsa-dong and the climate optimum period involved, was generally warmer and more humid than in the early stages, but about 6,000 BP, cold-drying trend appeared. Sea level was estimated to have been about 1 to 2 meters higher than it is today. In late Holocene, the climate gradually became cold and dry, and the sea level gradually dropped to the present level.
      And then, sea level rise simulation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ea level fluctuations caused by climate change on Amsa-dong site. As a result, past sea level fluctuations had no visible effect on there. Judging from this, the cause of unoccupied period and change of patterns of spatial distribution in Amsa-dong site may be a massive flood, such as the Great Flood in 1925, which swept across the area.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flooding and topographic changes by floods could be the main causes of them by analyzing the cycle and impact of great flood.
      In order to examine this, palaeogeomorphic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ite can actually change through the data that can examine the terrain of Amsa-dong site in the past. Next, GIS was used to grasp the past and its changes of Amsa-dong sit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opography of Amsa-dong site has been changed continuously,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topographical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Neolithic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s were caused by flood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Finally, the changes in the patterns of spatial distribution in Amsa-dong site were interpreted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The great flooding could not only destroy the site, but again confirm that it was a decisive factor in the topographic changes. After that, the appearance of topographical changes were assumed using palaeogeomorphic indication data. As a result, it was interpreted that the natural embankment moved toward inland mor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n in the Neolithic era, resulting in changes o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In addition, an archeological approach was used to reinforce the interpretation of topographic changes. First of all, causes of migration of Neolithic group related to the destruction of the site includes declining food supply stability due to climate degradation, population growth, early farming, and flood damage. This paper judged that all causes were compounded, assuming that the human group would follow the criteria of economic rationality. In other words, the flooding, which could be handled in earlier days, couldn’t be overcome when climate worsened, population control weakened, and if early agriculture was carried out, the marginal profit declined. That is, if the economy weakened, it lead to failure to overcome it.
      Meanwhile, it was considered that it was difficult to form a settlement in Amsa-dong site in unoccupied period due to the change of terrain by flooding. The nearby sites show that stable terrain or suitable for agriculture was preferred. Later, in the Three Kingdoms era, terrain of Amsa-dong was stabilized, resulting in forming a settlement. By the way, features of the Three Kingdoms are now more concentrated in eastward. The reason for this is judged as the location change due to the topographical change. This point is also the location where the wetland should be located. In other site examples, the wetland is believed to have naturally or artificially extinguished, and then it was interpreted that a settlement was formed over it. 
      Interpretations through topographic changes and archaeological aspects can help to understand the past as well as Amsa-dong site. For example, the study of the Neolithic Period on the Korean Peninsula tends to examine several sites together. This is important in the context of the times, but more intimat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site is needed for a more detailed discussion. It may also serve as a reference for future site investigations. Estimates of topographic change patterns suggest that after the Neolithic period, archaeological sites could be located further inland.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explore additional sites through the palaeogeomorphic analysis data. Conclusio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concretely through the quantitative and empirical review that goes beyond the threadbare and abstract common sense research that the Amsa-dong site was affect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암사동 유적 조사를 통해 확인된 신석기시대와 삼국시대 유적 공간 분포 양상이 상이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진행하였다. 두 시대 간 시간 차이는 약 3,000년 정도로 그 사이에 해당...

      본 연구는 암사동 유적 조사를 통해 확인된 신석기시대와 삼국시대 유적 공간 분포 양상이 상이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진행하였다. 두 시대 간 시간 차이는 약 3,000년 정도로 그 사이에 해당하는 유적이 존재하지 않는 점도 유적 공간 분포 양상이 변화하는 맥락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함께 분석하였다. 두 측면은 기본적으로 시대 특성상 인위적 개입보다는 자연환경의 영향이 우세하였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연구 진행을 위해 먼저 유적 성격을 검토하였다. 유적은 지리상 하천 범람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입지 요소상 생계에 유리하여 취락 형성에 적합한 곳이다. 다음으로 유구와 유물을 통해 유적 기능과 점유 양상을 파악한 결과, 두 유적 모두 정주성이 높은 근거지였으며 총점유기간과 연간점유기간 모두 길었다. 이에 따라 암사동 유적 공백기와 공간 분포 양상 변화 발생은 자연재해를 상정하지 않고는 그 이유를 찾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홀로세 고환경 분석을 통해 인류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해수면 변동 연구를 검토하였다. 홀로세 초기에는 이전 시기에 비해 기후가 온난𐤟습윤해져 한반도에 신석기시대가 도래하는 배경이 조성되었고 해수면이 점차 상승하였다. 중기에는 암사동 신석기시대와 기후최적기가 포함되며 대체로 초기보다 더 온난𐤟습윤하였는데, 약 6,000 BP 경인 중기 중반부터 한랭𐤟건조화 경향이 나타났다. 해수면은 현재보다 약 1~2m 더 높았던 적이 있었다. 후기로 가면서 기후는 점차 한랭𐤟건조해졌고 해수면은 점진적으로 하강하여 현재 수준에 도달하였다.
      이후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이 실제로 암사동 유적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과거 해수면 변동은 암사동 유적에 가시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로 보아 암사동 유적에 공백기와 공간 분포 양상 변화를 야기하는 원인은 과거 암사동 일대를 휩쓸어버린 을축년 대홍수 사건과 같은 대규모 홍수일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따라서 대홍수 주기와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홍수범람과 이에 따른 지형변화가 주요인이 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고지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암사동 유적 일대 과거 지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들을 통해 유적이 실제로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GIS를 이용하여 암사동 유적의 과거 모습과 그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암사동 유적 지형이 지속적으로 변화하였음을 파악하였고, 신석기시대와 삼국시대에 있었을 지형변화는 시대 특성상 홍수범람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최종적으로 앞서 분석한 내용들을 기반으로 암사동 유적 공간 분포 양상 변화를 해석하였다. 대홍수 범람이 유적을 폐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지형변화의 결정적인 요인임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고지형 지시 자료들을 통해 지형변화 양상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삼국시대에는 자연제방이 신석기시대 때보다 내륙 안쪽으로 더 이동하여 공간 분포 양상이 달라진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추가적으로 고고학적 접근을 통해 지형변화 측면에서의 해석을 보강하였다. 우선 유적 폐기와 관련된 신석기시대 집단 이주 원인에는 기후 한랭𐤟건조화에 따른 식량 공급 안정성 하락과 인구증가, 그 대안인 조𐤟기장 재배를 통한 초기농경, 그리고 홍수 피해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인간 집단이 경제적 합리성이라는 기준에 따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모든 원인들이 복합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즉, 기존에는 감당할 수 있었던 대홍수 범람이 기후악화와 인구 조절 능력 약화, 농경이 이루어졌을 시 한계 수익이 감소로 경제가 허약해졌고 결국 극복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다음으로 유적 공백기는 홍수범람으로 인해 지형이 변화하여 암사동 유적에 취락이 형성되기 어려웠다고 보았다. 인근 유적들을 보면 안정적인 지형이나 농경에 적합한 곳이 선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삼국시대에는 암사동 유적 지형이 안정화되었기 때문에 취락이 생겨나고 농경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런데 유구는 현재 암사동 193번지 일원에 더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그 이유는 지형변화에 의한 입지 변화로 판단하였다. 또한 이 지점은 위치상 배후습지가 있어야 하는 곳인데 현재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다른 유적 사례로 볼 때 배후습지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소멸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그 위로 취락이 조성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지형변화와 고고학적 측면에서 해석한 결과는 암사동 유적뿐 아니라 과거 시대상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가령, 한반도 신석기시대 연구는 여러 유적들을 함께 살펴보는 경향이 있다. 시대 특성상 그러한 점도 중요하지만 개별 유적에 대한 상세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의 유적 조사 시에도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형변화 양상 추정자료는 신석기시대 이후 유적이 보다 내륙 안쪽에 위치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또한 고지형 분석 자료를 통해 추가적인 유적 탐색도 가능하리라고 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과거 두 시대 암사동 유적이 자연환경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당연하고도 추상적인 상식적 연구에서 벗어나 정량적이고 실증적인 검토를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연구 대상과 방법론 3
      • 1. 연구 대상 3
      • 1) 시대와 편년 3
      • Ⅰ. 서론 1
      • Ⅱ. 연구 대상과 방법론 3
      • 1. 연구 대상 3
      • 1) 시대와 편년 3
      • 2) 유구와 유물 4
      • 2. 연구 방법론 8
      • 1) 유적 성격 검토 8
      • 2) 홀로세 고환경 분석 9
      • 3) 고지형 분석 10
      • Ⅲ. 유적 성격 검토 11
      • 1. 지리적 여건 11
      • 1) 지질 11
      • 2) 지형 12
      • 2. 유적 기능과 점유 양상 13
      • 1) 유구 검토 13
      • 2) 유물 검토 17
      • Ⅳ. 홀로세 고환경 분석 20
      • 1. 기후변화와 해수면 변동 20
      • 2. 홍수범람 분석 26
      • Ⅴ. 고지형 분석 33
      • 1. 지형변화 가능성 추정 33
      • 2. 고지형 분석 42
      • Ⅵ. 유적 공간 분포 양상 변화 44
      • 1. 지형변화 원인과 양상 44
      • 2. 고고학적 해석 47
      • 1) 신석기시대 유적 폐기 47
      • 2) 신석기시대 후기~원삼국시대 유적 공백기 50
      • 3) 삼국시대 유적 형성 52
      • Ⅶ. 결론 54
      • 참고문헌 56
      • ABSTRACT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