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 鐵器時代 土器 硏究 = (A)study on the iron age potteries in Korean penins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216184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淑明女子大學校, 199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911.02

      • DDC

        951.901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219p.: 삽도; 26cm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철기시대 토기는 硬質無文土器, 粗質灰色土器, 赤褐色硬質土器, 灰靑色硬質土器, 軟質灰色土器 등으로 분류된다. 철기시대 토기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科學的 分析을 시도하였다...

      철기시대 토기는 硬質無文土器, 粗質灰色土器, 赤褐色硬質土器, 灰靑色硬質土器, 軟質灰色土器 등으로 분류된다.
      철기시대 토기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科學的 分析을 시도하였다. 즉 8가지에 걸친 토기 자체의 분석조사의 결과에 근거를 두고 鐵器時代의 여러 토기가 각기 어떤 독자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다른 토기와의 聯關關係 및 相對年代에 의한 선후관계 순위에 대해서도 아울러 조사·정리하였다. 그리고 이 토기들이 지역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갖고 있는가 고찰하였고, 각 토기의 성격과 지역의 차이를 연관시켜서 토기문화의 전파과정과 그 문화시기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鐵器時代에 속하는 토기들은 서로 다른 성격을 보여준다는 것과 漢江流域, 東津江流域, 榮山江流域城, 洛東江流域 사이에서 같은 계통의 토기들이지만 발달의 차이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즉 硬質無文土器, 赤褐色硬質土器, 灰靑色硬質土器가 각기 선후관계를 가지며, 각 토기에 의한 時期區分 및 相對年代를 設定할 수 있었다. 이들 토기의 편년은 硬質無文土器와 粗質灰色土器가 기원전 2세기∼기원후 1세기로, 赤褐色硬質土器와 灰靑色硬質土器는 기원후 1세기 이후로, 三國土器는 기원후 4세기 이후로 일단 설정할 수 있었으며 軟質灰色土器는 灰靑色硬質土器 이전에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음은 硬質無文土器와 打捺文土器의 器形, 色相. 製作方法 등을 통해 철기시대 토기의 성격을 파악하였다.
      硬質無文土器의 器形은 종래의 無文土器에서 보이는 내반구호·발형·완형토기 등이 적은 양으로 나오는 반면, 긴 外反口緣의 壺가 다량으로 제작되며 打捺文土器의 器形인 有頸式 外反口緣壺도 극히 소량이지만 출토되기 시작한다. 또한 低部에도 타날문토기의 형식인 抹角低部에 가까운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즉, 긴 外反口緣·球形의 胴體部·들린저부의 성행 등은 경질부문토기의 특징이다. 이 특징들은 有頸式壺나 抹角底部의 형식과 함께 새로운 토기인 打捺文土器의 영향이다.
      硬質無文土器는 한강유역의 住居址유적과 남해안의 패총유적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고 土壤墓 등의 墳墓유적에서는 극히 소량으로 출토되고 있다.
      胎土·硬度·표면처리 등의 제작기법에서는 無文土器나 赤褐色硬質土器 등과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胎土의 精選이나 硬度·정면수법 등에서는 발달된 타날문토기의 요소를 보이고 있다. 즉, 整面法에서는 무문토기 말기에서 사용되기 시작하는 방법이 대부분 계승되고 있으면서, 回轉臺의 사용이라든지 빗질·깎기·두드리기 등 타날문토기의 제작방법도 사용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특징을 종합해 볼 때 硬質無文土器는 일반적인 무문토기와는 구분되며, 무문토기에서 적갈색경질토기로의 과도기에 해당하는 토기이다. 즉 청동기시대 무문토기를 계승한 철기시대 초기의 토기이다.
      한편 粗質灰色土器, 赤褐色硬質土器, 灰靑色硬質土器, 軟質灰色土器 등으로 분류되는 打捺文土器는 표면에 格子文이나 繩蓆文이 타날된 것이 특징인데 高火度를 내는 登窯에서 제작된 경질의 토기이다.
      器形에는 壺를 비롯하여 甕, 시루, 高杯, 釜形土器, 鉢形土器, 有台壺, 주머니호, 화로형토기, 頸杯, 把杯 등 다양하다.
      器形과 色相과의 관계를 보면, 赤褐色을 주로 보이는 토기들 중에는 그 특징에서 후기 무문토기나 경질무문토기와 비슷하다. 灰靑色만 출토하는 기형은 무문토기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으로 소위 瓦質土器 三國土器에서도 발견되는 매우 발달한 형식이다.
      다음으로 지역적 분포를 보면, 중부지역, 서남부지역, 동남부지역 등 세 지역에서 모두 발견되는 기형에는 平底有頸壺, 圓底有頸壺, 시루, 甕 등이 있으며 이 토기들은 형태적인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각 지역마다 각기 독특한 기형이 출토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견·조사된 유적의 지역적 분포를 고려할 때 철기시대의 새로운 토기는 한강유역의 중부지역에서 남부지역으로 전파·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철기시대의 歷史的인 배경으로 三韓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먼저 馬韓은 문헌자료에 의하면 기원전 3세기경 대륙의 변동에 기인하여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였으며, 기원전 2세기경에 한강유역에 위치하였다. 그 후 백제의 세력이 강성해짐에 따라 점차 남쪽으로 이동하여 최후에는 전남지방에 자리 잡았다.
      마한의 고고학적 배경을 종래 지석묘나 세형동검 등 청동기문화로 보았으나 필자는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마한이 등장하였으며 그 대표적인 묘제는 옹관묘라고 보았다. 옹관묘를 마한의 주된 묘제로 볼 때 옹관묘의 변천과정에 의하면 중부지역의 마한세력은 충청도를 거쳐 영산강유역에 정착하였다.
      한편 弁·辰韓은 문헌기록에 의하면 기원전 3세기 경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였으며, 기원전 2세기 내지 기원 전후 경에는 경상도지역에 자리잡았다.
      변한과 가야의 관계는 중국측과 한국측 사료에서 대비되듯이 인식의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생각되며, 변한은 가야 전기(조기)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진한과 신라는 변한의 경우와 비슷한 면도 있으나 신라라는 명칭이 가야와는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어떤 지배세력의 교체나 등장과 관련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변·진한의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면, 변한의 경우는 해안을 따라 유입된 문화의 영향을 진한에 비해 더 많이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적인 자료에서 보아도 변한은 토광묘·옹관묘·석관묘 등이 혼재하는데 비해 진한은 토광묘가 주로 사용 되었다.
      변한지역은 다양한 묘제중에서 기원후 4세기 중반 경에는 수혈식석곽묘를 중심으로 발달하는데 이 묘제의 출현을 加耶六國과 연결지었다. 진한지역은 기원후 4세기 전반 적석목곽분이 등장하는데 이를 신라와 연결시켜 이해하였다. 그리고 『三國志』, 『後漢書』 등 문헌에 기록된 변한·진한의 문화상 즉, 稻作 및 五穀, 鐵, 편두와 文身, 城柵과 城郭, 鳥羽送死 등을 철기시대의 고고학적 자료로 해석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imhae type pottery(金海式土器) has been known as the typical Iron Age pottery of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supposed that in the kimhae type pottery, there are only two kinds of potteries ; hard reddish brown pottery(赤□色硬質土器...

      The kimhae type pottery(金海式土器) has been known as the typical Iron Age pottery of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supposed that in the kimhae type pottery, there are only two kinds of potteries ; hard reddish brown pottery(赤□色硬質土器) and hard grayish blue pottery(灰靑色硬質土器). But there existed some other type potteries, namely, hard plain pottery(硬質無文土器), coarse gray pottery(粗質灰色土器), and soft gray pottery(敬質灰色土器) existed in the same cultural period.
      In this study I tried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 Age potteries and to place these potteries into relative chronological order. And I also tried to consider the correlation between Iron Age and Samhan(三韓) which was its historical background in recor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se potteries in various aspects become necessary. Through these analyses I could obtain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ron Age sites in South Korea region could be divided into 4 different localities.
      Second, the hard plain pottery was developed from the traditional plain coarse pottery with the influence from coarse gray pottery.
      Third, the hard reddish brown pottery appeared after hard plain pottery, and it was developed to hard grayish blue pottery influenced from soft gray pottery. And the difference between hard reddish brown pottery and hard grayish blue pottery is insignificant.
      Forth, the hard plain pottery and coarse gray pottery appeared since 2nd century B.C.. The hard reddish brown pottery and hard grayish pottery appeared since 1st century A.D.. And soft gray pottery was used before hard grayish blue pottery.
      Accoding to these potteries analyses the Iron Age of Korean peninsula can be divided into 3 different cultural sequences, but all of them belong to the Iron Age culture.
      Next,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hard plain pottery(硬質無文土器) and beating patterned potteries(玎□文土器) through its shape, color, manufacturing method.
      The shape of hard plain pottery shows various types. This type pottery was mainly excavated from the dwelling sites of Han River basin and shellmounds of south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In many aspects it show same characteristics from plain coarse pottery of Bronze Age, and kept common techniques with the beating patterned pottery. This pottery was intermediate type between plain coarse pottery and reddish beating pottery which was one of beating patterned potteries. Namely, this pottery belonged to the early period of Iron Age.
      On the other side, beating patterned pottery has some special features such as beating patterned, burned high-temperature and hard pottery. These potteries also show various types of shape. The color of these potteries consist of reddish brown and grayish blue. And perhaps grayish blue pottery was even more developed type. These potteries were excavated from around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but some types of shape were found only from one locality. These potteries were diffused from middle parts to south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Lastly, I conside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ron Age and Samhan(三韓) which was its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record.
      Mahan(馬韓) migrated from north to south about 3rd century B.C. because of Chinese controversy, and resettled at Han River basin about 2nd century B.C. according to ancient records. And when Packjae(百濟) emerged, Mahan migrated again to Choˇnnam province. Many scholars believed that the archaeological culture of Mahan belong to bronze culture. But I consider that Mahan was established on the bases of iron culture, and its main grave type was jar coffin tomb (□□□). Maha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hange of jar coffin tomb shows also that it has been migrated from middle province to Choˇnnam province.
      Pyoˇnhan(弁韓) and Jinhan(辰韓) also migrated from north to south, and resettled at Kyoˇngsang province from 2nd century B.C. to later 1st century B.C.. Pyoˇnhan was perceived as Kaya(伽倻) in Korean ancient records. I agree that Pyoˇ nhan is the same as the early Kaya. Jinhan shows some difference with Pyoˇnhan. In facts Jinhan was developed to Silla(新羅) through emergency of new ruler. In cultural aspects Pyoˇnhan and Jinhan have some difference. Pornhan culture was influenced from west-south coast route, and its grave types were consisted of pit-tombs(土□墓), jar coffin tomb(□棺墓) and stone lined pit-tomb(石□墓), on the other side Jinhan culture was influenced from land route, its grave type was chiefly consist of pit-tombs.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material of iron culture corresponds to the Chinese records of Pyoˇnhan and Jinhan.
      It is not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Korean Iron Age, but this paper was written to establish the pottery characteristics and also to place these potteries into chronological order by relative dating of it. And I reexamined Samhan which wa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ron Age. I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of help to the future research for the establishment of Iron Age culture of Korean peninsul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序論 = 1
      • 1. 硏究의 目的 = 1
      • 2. 硏究의 方法 및 體制 = 2
      • 제2장 鐵器時代 土器의 槪念과 分類 = 5
      • 목차
      • 제1장 序論 = 1
      • 1. 硏究의 目的 = 1
      • 2. 硏究의 方法 및 體制 = 2
      • 제2장 鐵器時代 土器의 槪念과 分類 = 5
      • 제3장 鐵器時代 土器의 分析 = 14
      • I. 分析方法 = 14
      • II. 土器의 分析 = 15
      • 1. 漢江流域의 各種土器 = 15
      • 2. 東津江流域의 各種土器 = 29
      • 3. 洛東江流域의 各種土器 = 36
      • 4. 皮膜(slip)의 定成分析 = 50
      • III. 分析結果의 綜合 = 53
      • 1. 各種土器간의 性格差異 = 53
      • 2. 各地域간의 土器性格差異 = 61
      • 3. 各 土器의 文化性格 = 64
      • 4. 各種土器의 相對年代 = 68
      • 제4장 鐵器時代 土器의 性格 = 74
      • I. 硬質無文土器의 性格 = 74
      • 1. 器形 = 75
      • 2. 分布 = 77
      • 3. 性格 = 88
      • II. 打捺文土器의 性格 = 107
      • 1. 器形 = 107
      • 2. 器形과 色相의 檢討 = 116
      • 3. 分布 = 120
      • 4. 性格 = 124
      • 제5장 鐵器時代의 歷史的 性格 = 144
      • I. 馬韓의 文化的 性格 = 144
      • 1. 文獻的 考察 = 144
      • 2. 考古學的 背景 = 153
      • 3. 甕棺墓의 檢討 = 160
      • II. 弁·辰韓의 文化的 性格 = 172
      • 1. 文獻的 考察 = 172
      • 2. 考古學的 背景 = 182
      • 3. 綜合的 考察 = 188
      • 제6장 結論 = 200
      • 參考文獻 = 208
      • 英文要約(ABSTRACT) = 2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