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주도 탐라후기 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 =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later culture of Tamna in Jeju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56021

      • 저자
      • 발행사항

        무안군 : 목포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목포대학교 대학원 고고인류학과 고고학전공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02.5 판사항(6)

      • DDC

        930.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vii, 92장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건수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mna is divided into the former and latter parts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Gonae-ri style pottery that follows Gwakji-ri style pottery. Until now, chronology of the latter part of Tamna depended on the chronology of external relics due to the abse...

      Tamna is divided into the former and latter parts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Gonae-ri style pottery that follows Gwakji-ri style pottery. Until now, chronology of the latter part of Tamna depended on the chronology of external relics due to the absence of its record or weak archaeological data, but this data increased explosively since 2013. Therefore, the material culture of the latter part of Tamna needs to be reestablished at this point.
      Remains from the latter part of Tamna are mostly distributed near streams where it is easy to obtain drinking water, or near the shoreline where spring water flows out.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relics, the area can be divided into 5 zones. It is verified through this that the center of Tamna at the time was the northern part of Jeju Island, focusing on the northwestern and northern areas.
      Constructional remains of the latter part of Tamna is confirmed in dwelling and pits. Number of dwellings is low, and pits are overlapped. Dwelling is divided into 3 types, where it gradually rises above ground from pit-type dwelling.
      Deep bowls can be divided into 3 types (I, II, III) based on the temporal variation of earthenware. Such changes were considered the influence of new pottery technique known as the introduction of pottery production method. Also, the time was divided into and examined in 3 parts based on the changes in dwelling, along with changes in earthenware.
      Part I is from the early 6th century A.D. to mid-7th century, when Baekje was expanding its influence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Because of this, it is when the material culture in the latter part of Tamna grows. As Baekje’s influence picked up, the latter part of Tamna seems to have experienced a new social change. Relics are found in the northwestern and southwestern parts of Jeju Island, and pit-type circular dwellings were found. Among the relics of Sangmo-ri in the southwestern area, many dug pits were discovered, and it is assumed that it is the production place of earthenware ingredient of the southeastern area. Earthenware get narrower in their mouth from the existing method where the mouth opened outward.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pottery technique, changes occurred in the tradition of pottery with an outward mouth. Also, hard grayish blue pottery, forged iron spearhead, and iron axe are accompanied.
      Part II is from the end of 7th century to mid-8th century, when Baekje collapses and Unified Silla appears. Different civilization was introduced to Tamna through Unified Silla’s direct domination method. Accordingly, material culture spreads significantly in the latter half of Tamna. Remains are found throughout Jeju Island along the coastal line, and pit-type round square dwellings are found. In relics made in Gonae-ri, many potteries accompanying soil, calcined, and discarded pits were found. Pottery starts to take the form of deep bowl, and the types are diversified. Deep bowls spread throughout Jeju Island, and many potteries with stamped design are accompanied.
      Part III is from the end of 8th century to early 10th century, when it is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Unified Silla. Remains are discovered in the northwestern, northern, and northeastern parts of Jeju Island, and dwellings are ground-based circle dwelling. Deep bowls are decreasing in their types during this time. The mouth is inward or in and shortly outward, and the diameter of mouth get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foot. Accompanying relics are mostly storage potteries such as pieces of large pots and pattern-less long bodied bottle. Also, remains of ancestral rites with damaged pottery and high-class relics are formed in Yongdam-dong and Gwideok-ri, implying that ritualistic actions took place at the time. There must’ve been an influence that would perform such ancestral rites. After, the latter part of Tamna is not associated from the layer where the early stage of Korean tea bowls with halo-shaped foot ring was found, and it is considered to become extinct at the latest by the 10th century.
      In summary, Tamna seems to have accepted the outside culture, while maintaining the individual cultures that continued from the former part of Tamna. However, the only firm example of the cultural introduction is the change of pottery technique. Other material cultures were introduced, but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it leads to changes in culture. However, it is only known which area or political body each period of Tamna is related to.
      Tamna was related to the south coast of korean peninsula influence from before. Meanwhile, expansion of Baekje established a subordinate relationship, and after receiving public office from Baekje, it became a tributary relationship. After Baekje collapsed, it was subjugated to Unified Silla, and massive introduction of culture takes place. In terms of the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domestic and foreign relationships were discovered from the areas of south coast-Daema Island-Iki Island, and all the way to the northern part of Kyushu.
      At the end of the latter part of Tamna, Goryeo appeared and exercised influence in the Korean peninsula. Simplification and extinction of Tamna’s material culture took place due to the appearance of a new unified country. As the outside culture, such as the import of porcelain from Yuezhou kilns in China, replaced inside culture, the culture of latter part of Tamna gradually dissip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탐라는 곽지리식토기에 뒤이어 나타나는 고내리식토기가 확인되는 것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를 구분한다. 그동안 탐라후기 편년은 자체기록의 전무, 빈약한 고고학자료의 문제로 외부유...

      탐라는 곽지리식토기에 뒤이어 나타나는 고내리식토기가 확인되는 것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를 구분한다. 그동안 탐라후기 편년은 자체기록의 전무, 빈약한 고고학자료의 문제로 외부유물 편년에 의존해왔으나, 2013년부터 탐라후기의 자료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본고는 탐라후기의 물질문화 재정립을 위해 작성하게 되었다.
      탐라후기의 유구는 주거지와 수혈유구 중심으로 확인된다. 주거지의 수가 적고 수혈이 대부분 중첩되어 확인되는 양상이다. 주거지는 3개의 형식으로 나뉘며 수혈식주거지에서 점차 지상가옥화되는 양상을 띤다.
      토기의 시간적 변화상을 기준으로 심발형토기를 Ⅰ, Ⅱ, Ⅲ의 세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변화요인을 도기제작방식의 유입이라는 새로운 제도기술의 영향으로 보았다. 그리고 토기의 변화상과 함께 주거지에서의 변화를 기준으로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Ⅰ기는 기원후 6세기 초∼7세기 중엽으로 외반구연호의 전통에서 점차 새로운 제도기술로의 탈피가 확인된다. 유적은 제주도 북서부, 남서부에서 확인되며 수혈식의 원형주거지가 확인된다. 토기는 구연부가 크게 외반하는 양상이며 구경이 저경보다 넓다. 회청색경질토기와 단조의 철투겁창, 철부 등이 공반되는 양상이며, 서남부의 상모리유적에서는 다수의 채토수혈이 확인되어 당시 서남부지역의 토기 원료 산지로 판단된다.
      이때는 백제가 한반도 서남부권에서의 영향력의 팽창으로 인해 전남서부지역과의 교류 및 백제와의 신속 관계를 맺음으로서 기존 무문토기 제작방식의 제도기술이 저부와 동체부를 따로 제작하여 접합하는 방식으로의 진보가 이루어진 것을 기점으로 하여 시작된 것으로 보았다. 이는 새로운 문물(철기, 토기 등) 유입, 백제계의 토기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반면 마한계통 토기인 양이부호의 출토되어 알 수 있다. 이 당시에 탐라는 백제로부터 관직을 받고 조공관계를 유지하였으며 일본과의 교류 또한 이루어졌다.
      Ⅱ기는 7세기 후엽∼8세기 중엽으로 전형적인 심발형토기의 형태가 갖춰진 시기이다. 유적은 해안을 따라 제주도 전반적으로 확인되며 수혈식의 말각방형주거지가 확인된다. 토기는 구연부가 대체적으로 직립 또는 짧게 외반하는 양상이며 점차 구경과 저경의 너비가 같아진다. 토기의 기종이 다종다양화되는 시기이며 제주도 전반적으로 심발형토기가 확산된다. 장동병, 단경병, 반구병 등 다수의 인화문도기가 공반되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문화의 양상은 통일신라와 탐라와의 직접적인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660년 백제가 멸망한 이후 662년 신라에 신속되며 탐라는 직접지배방식 속에서 많은 문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며 점차 자체 제도기술이 발전하였다. 이는 고내리생산유적에서 다수의 채토·소성·폐기수혈과 공반된 토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일본과의 통교도 남해안 일대를 지나 대마도-이키섬을 지나서 큐슈 북부와의 교류도 이루어지게 되는 등 대내외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Ⅲ기는 8세기 후엽∼10세기 초로 심발형토기의 기종이 점차 줄어드는 시기이다. 유적은 제주도 북서부, 북부, 북동부에서 확인되며 주거지는 지상식의 원형주거지가 확인된다. 토기는 구연부가 내만하거나 내만 후 짧게 외반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구경이 저경보다 작아지는 양상이다. 공반유물은 대호편과 무문의 장동병, 반구병, 1면편병, 4면편병 등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도기만 폐기된 제사유적이 용담동과 귀덕리에 형성되어 당시 의례적인 행위가 이루어졌고 그만큼의 세력을 갖춘 곳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후 탐라후기는 초기 단계의 해무리굽 청자가 확인되는 층위부터 공반되는 경우가 없기에 아무리 늦어도 10세기가 되면 소멸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때는 고려가 새로이 한반도의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기로 강력한 왕권국가의 등장에 의해 재지적인 탐라의 물질문화 단순화 및 소멸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중국 월주요에서 자기가 수입되는 등 외부의 문화가 내부의 문화를 대체하는 상황에 직면하며 탐라의 후기문화는 점차 소멸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탐라후기의 유적은 대다수가 해안가를 중심으로, 또한 가까운 포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이후 고려시대의 16현촌의 성립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1. 연구사 1
      • 2. 연구목적 및 방법 8
      • Ⅱ. 탐라후기 유적검토 10
      • Ⅰ. 머리말 1
      • 1. 연구사 1
      • 2. 연구목적 및 방법 8
      • Ⅱ. 탐라후기 유적검토 10
      • 1. 입지와 분포 10
      • 2. 유적 검토 16
      • Ⅲ. 유구 · 유물 분석 및 편년 27
      • 1. 유구 분석 27
      • 1) 주거지 27
      • 2) 수혈유구 30
      • 3) 패총 35
      • 4) 동굴·바위그늘 37
      • 5) 제사유적 39
      • 2. 출토유물분석 41
      • 1) 토기 41
      • (1) 기종분류 43
      • (2) 속성분석 및 형식분류 46
      • 2) 도기 52
      • 3) 철기 54
      • 4) 기타유물 56
      • 3. 편년 59
      • Ⅳ. 탐라후기의 고고학적 성격 65
      • 1. 탐라후기 문화의 전개과정 65
      • 2. 탐라후기의 성격 80
      • Ⅴ. 맺음말 84
      • 참고문헌 87
      • 국문초록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