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百濟 喪葬儀禮 硏究 : 古墳 埋葬프로세스를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88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mortuary practice of Baekje: an analysis focused on burial process Kang, Wonpyo Department of Archaeology,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Jongtaik) This research aims at understandi...

      【Abstract】

      A study on mortuary practice of Baekje: an analysis focused on burial process


      Kang, Wonpyo

      Department of Archaeology,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Jongtaik)

      This research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burial processes and procession by analyzing related factors found in tombs belonging to the Baekje period. It is attempted to reconstruct mortuary practice of the Baekje based on literature surveys regarding Baekje and contemporaneous other kingdoms’ funerary custom. Furthermore implications of such mortuary practice to the Beakje society are discussed.
      Ancient rulers had often built the gigantic tombs to show off their power and authority, which had stimulated to develop mortuary practices including burying grave goods such as daily items for afterlife and cult. Thus many aspects of ancient society are directly reflected on the grave goods. Apart from the primary aim to bury the deceased, grave goods are semantic cultural complex where political, economic and religious aspects of the society are tangled and and indeed are the remains of funeral ceremony.

      Scarcity of research regarding mortuary practices is attributed to the limits and nature of archaeological data which are mostly tangible material remains. Rather than archaeology, other academic fields such as anthropology, ethnography, and religion studies mainly address such research themes. Often unplausible hypotheses were claimed due to scarcity of material evidence left in tombs and fundamental constrains of archaeological data.

      Baekje’s tombs are the resources to provide materials illustrating cultures of Baekje, and royal tombs such as King Muryeong’s tombs are the most primary and essential dataset to understand history, culture, ideology, arts and international cultual exchang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ata amongst burial goods of the King Muyreong’s tombs are two pieces of stone epitath stone plaque identifying the buried deceased in the tomb. From the record of these epitath, it is known that the king and queen’s bodies had been kept for 27 months before they were eventually laid in the tomb. Such practice is thought to have been originated from Chinese Confucious funeral custom of there years’ mourning, which led to the abundant comparative studies with Chinese mortuary practice.

      The other event marked in the study of mortuary practice was the discovery of Jeongjisan archeological site in 1996. It brought a massive interest on King Muryeong’s mortuary practice by publication of study inferring the Jeongjisan site as a funerary chapel which preserved the body for three years. In addition, stone-piled archaeological features, which are assumed to be the venue for the ceremony inside the tombs cluster at the Suchonri site, Gongju. The archaeological data related to mortuary practice has been increasingly discovered.

      The integrated research on various data found in Baekje’s tombs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 mortuary practice had developed under the interaction between traditional indigenous practice with foreign custom associated with adoption of new type of burials. The summary of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ocession of cult in pit burial, a main tomb style of Mahan Confederation to Baekje, in particular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was reviewed. In contrast to the perceived assumption of using portable wooden coffin, it is revealed that the coffin was assembled inside the pit. Thus the procession of the pit burial tomb was carried out in this order as follows.

      ① to dig a pit ‣ ② to assembly a coffin, grave goods container ‣ ③ to place artifacts and infill the pit ‣ ④ to lay the body and offerings ‣ ⑤ to place the covering stone and offerings ,and to perform cults ‣ ⑥ to infill the pit and to perform cults and to bury ‣ ⑦ to construct the mound

      It was suggested that the offerings were tributed at each stage. Jar tombs and pit burials were constructed at the outskirt of the pit and negative ditches, burial of potteries and iron tools, continuously perform cults in the ditches, cults on the mound.

      Secondly, stone built burials which became the main burial style for the local rulers from the early 4th century AD maintained the interior structure similar to the previous pit burials despite the change of chamber construction material from wood to stone. It is inferred that the previous mortuary practice had persisted.

      Thirdly, it was suggested that adoption of stone chamber burial marked the biggest change in mortuary practice of Baekje. A stone chamber burial with a side entrance indicates that the mainstream central Beakje elites accepted a large number of Chinese refugees and their tomb style due to its active expansion to the northwestern region. In addition, adoption of mass burial for a stone built burial with a side entrance force the indigenous local elites, who consistently kept the custom of individual stone-built tomb, to break old custom.

      Such a conflict is well reflected in stone chambers with a side entrance constructed in the rural area far away from the Hanseong, the first capital in the mid fifth century AD. Compromised elements are represented as maintaining pit-style burials in a form of a stone chamber with a side entrance, individual tombs (one coffin for each tomb), construction of a coffin assembled with wooden plates and a wooden vault inside the chamber. It shows that conserved elements of indigenous mortuary practice were seen in the newly accepted burial style. In addition, the ritual place in rectangular stone-piled tombs had gradually lost its function as stone chamber tombs had been widely adopted with a change of cult performed inside the individual tomb.

      Fourthly, the expansion of the stone burials with side entrance during the Ungjin-Sabi period, was noted. In the early 6th century, brick built chamber tomb of the Chinese Southern Dynasty’s style had strongly influenced, and its influence was reflected on a rectangular plan burial chambers, co-burial of a married couple and family, and a block wooden coffin with rings for carrying attached. Cults inside the ditches and burials around the pi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dditional burial became relatively easier inside the stone chamber, and cults could be performed inside the chamber as well.

      Considering the King Muryeong’s tomb and the Jeongjisna site in this period, mortuary custom was highly affected by that of Chinese. Epitaph stone plaques, mystic animal sculpture, Chinese imported goods, and three years mourning custom reflect the tradition of Chinese mortuary practice. In addition, certain actions such as breaking off the pottery and using covers as plates were considered to be the semantic symbolic gestures to transform them to be the dead’s belongings. So was the influence of Chinese custom.

      Fifthly, the revival of mortuary practice from stone burials with side entrance to individual tomb, is noted. Local stone chamber burials located in the western coastal area far away from the capital shows the revival of an individual tomb with a rectangular chamber plan and more potteries placed than the capital region. Even in the Neongsan-ri tombs cluster in Sabi period, individual tombs were constructed at 7th Century AD. Such changes caused the reduced role of the entrance, and it is assumed to have influenced the stone chamber burial with a entrance wall. Some of these burials were constructed without consideration for additional burial.

      It is summarized that the mortuary practice of Baekje with the base of stone built burial and pit burial originated from the Bronze and Iron Age was initially established with coffin, wooden container box and deep pit burial by the refugee from Buyeo-Goguryeo, then had a large change by introduction of the stone chamber tomb. Local people with a previous tradition accepted the stone chamber burial, but it took time to accept the family tomb mortuary practice. Despite the widespread of this new custom, the old tradition of individual tomb revived again with a change from mass burials to individual burial in a form of stone chamber burial with a side entrance.

      Although it is generally perceived that changes of burial and mortuary practice were accompanied, but they did not alway coincidently occur, but it had depended on temporal and political context.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burial styles could be changed by tradition of mortuary practice and beliefs regarding afterlife, contrasting to the norm that mortuary practice was always influenced by the burial style. Thus certain ideological aspects such as the tradition of mortuary practice played a role in the material cultural change, it can be identified by archaeological dataset.


      【Keywords】 Mortuary Practice, Cults, Pit Burial, Wooden Box Container, Stone Chamber Burial with a Side Entrance, Brick Built Chamber Buri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百濟 喪葬儀禮 硏究 -古墳 埋葬프로세스를 中心으로- 강원표 고려대학교 문화재학 협동과정 고고학 전공 본 연구는 百濟의 墳墓遺蹟에서 발견되고 있는 喪葬儀禮와 관련된 요소를 정리...

      百濟 喪葬儀禮 硏究
      -古墳 埋葬프로세스를 中心으로-

      강원표

      고려대학교 문화재학 협동과정 고고학 전공

      본 연구는 百濟의 墳墓遺蹟에서 발견되고 있는 喪葬儀禮와 관련된 요소를 정리・검토하여, 그 전개양상과 변화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백제 및 삼국의 상례와 관련된 문헌기록, 동시대 주변나라의 연구 성과 등을 참고하여 백제 상장의례의 모습을 복원하고 이러한 상장의례가 백제 사회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대의 권력자들은 자신의 권력과 위엄을 전하기 위해 거대한 분묘를 축조하였고, 분묘 안에는 死者의 사후 생활을 위하여 일상용품을 부장하거나 呪術的인 儀禮를 행하는 풍속이 발전하게 되었다. 무덤에 남아있는 부장품들은 당시 사회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자료 중 하나이다. 死者를 매장하다는 1차적인 목적 외에도 당시 사회와 매장 수행자의 정치적, 경제적, 종교적 목적이 복합된 의미복합체이며, 그 자체가 의례 행위의 결과물이다.
      지금까지 상장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물질자료인 고고자료를 통해 밝힐 수 있는 한계는 분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질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고고학에서보다는 인류학, 민속학, 종교학 등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다. 분묘에서 발견되는 적은 수의 의례흔적을 바탕으로 한 상장의례의 복원 시도는 고고자료가 가지는 성격과 한계, 적은 사례에 기반을 둔 무리한 추론의 전개로 흐를 우려가 있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백제의 분묘에서는 백제문화를 보여주는 자료들을 계속해서 제공해 주고 있으며, 특히 무령왕릉과 같이 백제 최상위 계층의 분묘들은 그 자체가 역사・문화・사상・예술・국제교류를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자료이다. 무령왕릉 출토품 중 가장 중요한 자료의 하나는,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를 밝혀준 2매의 墓誌石이다. 이 묘지석의 기록을 통해 당시 백제왕과 왕비가 사망 이후 27개월간의 殯葬을 치른 뒤에 비로소 능묘에 안장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3년간의 빈장은 중국의 유교적 전통에 기반을 둔 3년상의 전통으로 추정되며, 이후 중국 상장의례와의 비교를 통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1996년에는 백제 상장의례 연구의 또 하나의 중요한 계기가 되는 艇止山 遺蹟이 발견되었다. 이곳이 무령왕과 왕비가 빈장을 치렀던 殯殿址로 추정하는 연구가 발표되면서, 무령왕의 상장의례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공주 수촌리유적에서 분묘군 내 제사유적으로 추정되는 적석유구가 조사되는 등 상장의례와 관련된 흔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백제 분묘유적에서 확인된 여러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여 백제 상장의례에 대하여 고찰한 결과 백제의 상장의례는 전통적인 상장의례와, 외부에서 들어온 새로운 묘제와 공반된 새로운 상장의례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마한 ~ 백제의 중심 묘제이며, 백제 한성도읍기의 주요 묘제이기도 한 토광묘의 제의절차를 검토하였다. 3~4세기대의 토광묘의 구조가 상자형의 이동식 목관이 아니라, 묘광 내에 판재를 조합하여 틀을 짜 넣은 ‘판재 조합형 목관’임을 밝히고 이에 따라 토광묘의 장례 절차를 ① 굴광 ‣ ② 관, 부장곽, 곽 설치 ‣ ③ 묘광 내 매장부 주변 유물매납 및 충진 ‣ ④ 시신안치 및 공헌품 부장 ‣ ⑤ ‣ 개판설치 후 상면에 제례 및 공헌품 부장 ‣ ⑥ 묘광 내 복토 및 평탄면 부근에 의례와 매납 ‣ ⑦ 봉분조성의 순서로 진행됨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절차의 각 단계에 공헌품이 순차적으로 매납됨을 밝혔다. 그리고 묘광 주변과 주구에 옹관묘와 토광묘의 배장, 토기와 철기의 매납, 주구에서의 지속적인 의례, 봉분에서의 의례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로 토광묘의 뒤를 이어 4세기 초반부터 지방의 유력 재지세력의 주요 묘제로 성장한 석곽묘도, 내부에 판재 조합형의 목관이 설치되는 곽의 재료가 나무에서 돌로 바뀌었지만 기본적인 구조 및 기존의 토광묘에서의 상장의례 전통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추정하였다.
      세 번째로 석실분의 도입이 백제의 상장의례에 큰 변화를 일으킨 요인이 되었음을 밝혔다. 횡혈식 묘제의 도입은 4세기 말 백제의 적극적인 서북한 지역의 진출로 인한 서북한 세력의 유입을 배경으로, 백제 중앙세력이 중국계 유민과, 그들의 선진 묘제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와 함께 추가장이 가능한 가족묘제 개념을 기반으로 한 다장의 횡혈식 묘제의 도입은 1인이 1묘 기반의 수혈식 묘제를 고수하고 있던 재지세력에게 큰 변화를 강요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갈등은 백제 도입인 한성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의 5세기 중반에 축조된 횡혈식 석실분들에서 잘 나타난다. 기존의 상장의례의 요소인 수혈식의 안치(횡혈식 묘를 수혈식으로 사용), 1인 1묘(묘실 내 1개의 관대 설치), 묘실 내 판재 조합식의 목관과 목곽의 설치 등으로 나타난다. 즉 백제 세력권으로의 편입과 함께 횡혈식석실묘를 받아들이기는 하였으나 전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던 상장의례를 고수하려 하였다. 또한 고분군에서 보이는 방단적석의 분묘 제사터는 석실분의 확대와 함께 개별 분묘 내에서의 제사로 변화되면서 점차 기능을 잃어갔을 것으로 생각된다.
      네 번째는 웅진~사비도읍기 횡혈식 석실묘의 확대이다. 6세기 초 남조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전축묘의 도입과 함께 장방형의 묘실양식의 정착, 묘실 내에 부부합장과 가족장의 원칙, 관고리로 대표되는 운구형의 상자형 목관 등이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주구 내에서의 제사 흔적과 묘광 주변의 배장이 줄어든다. 이는 묘실 내의 추가장이 비교적 쉬웠고, 묘실 내에서 제사가 이루어질 수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 시기 무령왕릉과 정지산유적에서 살펴지듯이 상예 제도에 있어서도 중국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묘지석과 매지권, 진묘수, 중국제 기물, 3년상 등은 중국 상례문화의 전통으로 보인다. 또한 이 시기 토기의 일부분을 훼손하고, 뚜껑을 개배로 사용하는 등 기물의 비정상적인 사용은 죽은 사람을 위한 기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행위이며, 이 역시 중국의 영향으로 보인다.
      다섯 번째는 횡혈식 석실묘로 대표되었던 상장의례가 다시 1인 1실의 단장의 전통적인 모습으로 회귀하는 것이다. 도읍지에서 거리를 두고 있는 서해안 지역의 지방 석실분들은 장방형의 묘실에 1인 1실의 전통이 부활한 모습을 보여주며, 중앙에 비해서 토기 등의 부장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비도읍기의 왕릉급 고분인 부여 능산리고분군에서도 7세기 대에는 1인을 위한 분묘가 축조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입구의 기능축소를 가져왔고, 이러한 영향이 구조가 간단하고 폐쇄가 용이한 횡구식 석실묘의 유행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횡구식 석실묘 중 일부는 처음부터 추가장을 염두에 두지 않은 형태가 등장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백제의 상장의례는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를 거쳐 이어져 오던 단장의 석곽묘, 토광묘 전통의 상례가 부여-고구려계의 백제 건국세력에 의하여 동북아시아지역과 관계가 깊은 관, 곽 토광묘로 자리 잡았고, 다시 횡혈식묘제의 도입으로 인해 상장의례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기존의 전통을 지키려는 지방 세력은 횡혈식 석실묘라는 묘제는 받아들였지만 가족장이라는 상장의례는 시차를 두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한때는 이러한 변화가 널리 확산되는 듯도 하였기만 결국 다시 전통적인 단장의 요소가 일부 부활하면서 횡혈식 석실묘가 단장묘로 변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묘제의 변화와 상장의례의 변화를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자료에서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인 상황과 정치적인 양상에 따라 시간적, 수용양상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드시 묘제에 의해 상장의례가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상장의례의 전통과 생사관에 의하여 물질문화인 묘제가 변화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즉 상장의례의 전통과 같은 정신적인 부분이 물질문화를 변화시키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고고자료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1
      • 1. 硏究의 背景과 目的 1
      • 1) 硏究의 背景 1
      • 2) 喪葬儀禮의 槪念과 用語의 정리 5
      • Ⅰ. 序論 1
      • 1. 硏究의 背景과 目的 1
      • 1) 硏究의 背景 1
      • 2) 喪葬儀禮의 槪念과 用語의 정리 5
      • 2. 硏究史 檢討 8
      • 3. 硏究의 對象과 方法 13
      • Ⅱ. 百濟墳墓 喪葬儀禮 關聯 考古資料 15
      • 1. 墳墓에서 발견되는 喪葬儀禮 資料의 樣相 15
      • 1) 喪葬儀禮 資料의 出土樣相 15
      • 2) 新羅, 伽耶의 喪葬儀禮 硏究現況 19
      • 3) 喪葬儀禮 資料의 類型分類 24
      • 2. 墳墓築造 過程에서의 儀禮資料 28
      • 1) 분묘축조를 위한 정지면 28
      • 2) 묘광의 굴광과 매장주체부 축조 31
      • 3. 屍身安置 過程에서의 儀禮資料 33
      • 1) 시신의 안치와 기물의 부장 33
      • 2) 매장주체부 내부에서의 의례 43
      • 3) 석실묘의 폐쇄 48
      • 4) 묘광 주변의 주혈과 목탄흔 51
      • 5) 묘광 주변의 배장과 유물매납 54
      • 4. 封墳과 周溝에서의 儀禮資料 60
      • 1) 봉분에서의 의례 60
      • 2) 봉분 호석의 의례 63
      • 3) 주구에서의 의례 66
      • 5. 墳墓群에서의 儀禮資料 75
      • 1) 분묘군 주변 제사지 75
      • 2) 빈전지 81
      • 3) 매납유구 83
      • 6. 器物의 毁損과 破壞 89
      • 1) 기물의 훼손과 파괴 89
      • 2) 특수한 부장행위 97
      • 3) 기물 훼손의 의미 99
      • Ⅲ. 百濟 喪葬儀禮 關聯 文獻資料 104
      • 1. 百濟 喪葬儀禮과 관련한 文獻資料의 檢討 104
      • 2. 中國 喪葬禮의 儒敎的 傳統 110
      • Ⅳ. 百濟 喪葬儀禮의 考察 117
      • 1. 土壙墓의 喪葬儀禮 117
      • 1) 百濟 土壙墓의 全開 117
      • 2) 土壙墓 內 木棺과 木槨의 設置 119
      • 3) 土壙墓의 매장과정 145
      • 2. 石槨墓 喪葬儀禮 147
      • 1) 百濟 石槨墓의 全開 147
      • 2) 바닥시설의 分類 148
      • 3) 石槨墓의 매장과정 152
      • 3. 石室墓의 喪葬儀禮 152
      • 1) 百濟 石室墳의 全開 152
      • 2) 石室墳의 埋葬過程 155
      • 4. 百濟 喪葬儀禮의 展開와 變化 165
      • 1) 土壙墓~石槨墓에서 확인되는 儀禮의 痕迹 165
      • 2) 石室墓에서의 喪葬儀禮의 變化 168
      • Ⅴ. 結論 176
      • 【參考文獻】179
      • 【參 考 表】206
      • 【Abstract】22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尹世英, "冠飾",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2 지재희, "예기", 학민출판사, 상・하 자유문고, 2000

      3 崔鍾圭, "埋葬三祭", 晉州 武村Ⅱ-高麗 ․ 朝鮮墓群(2) , 경남고고학연구소, 2004

      4 최종규, "鐵箱集Ⅰ", 도서출판 考古, 2014

      5 인재해, "전통 상례", 대원사, 대원사, 1990

      6 關野 貞, "朝鮮美術史", 朝鮮史學會, 1932

      7 關野 貞, "百濟の遺蹟", 考古學雜誌 第6卷 3號, 日本考古學協會, 1915

      8 朴相珍, "木棺의 樹種",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 究所., 1991

      9 崔秉鉉, "新羅古墳硏究", 一志社, 1992

      10 한신, "大學校 博物館", 내風納土城 Ⅳ쇄-慶堂地區 9號 遺構에 대한 發掘報告-, 2004

      1 尹世英, "冠飾",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2 지재희, "예기", 학민출판사, 상・하 자유문고, 2000

      3 崔鍾圭, "埋葬三祭", 晉州 武村Ⅱ-高麗 ․ 朝鮮墓群(2) , 경남고고학연구소, 2004

      4 최종규, "鐵箱集Ⅰ", 도서출판 考古, 2014

      5 인재해, "전통 상례", 대원사, 대원사, 1990

      6 關野 貞, "朝鮮美術史", 朝鮮史學會, 1932

      7 關野 貞, "百濟の遺蹟", 考古學雜誌 第6卷 3號, 日本考古學協會, 1915

      8 朴相珍, "木棺의 樹種",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 究所., 1991

      9 崔秉鉉, "新羅古墳硏究", 一志社, 1992

      10 한신, "大學校 博物館", 내風納土城 Ⅳ쇄-慶堂地區 9號 遺構에 대한 發掘報告-, 2004

      11 한신, "大學校 博物館", 내風納土城 Ⅲ쇄-삼화연립 재건축 사업부지에 대한 조사보고-, 2003

      12 崔鍾圭, "石室墳의 禮制", 考古學探究 13, 考古學探究會, 2013

      13 朴永福, "耳飾, 頸飾, 釧",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 硏究所., 1991

      14 尹武炳, "古墳考古學硏究", 學硏文化社, 1992

      15 盧重國, "百濟政治史硏究", 일조각, 1988

      16 兪元載, "雄津百濟史硏究", 도서출판 주류성, 1997

      17 崔鍾澤, "高句麗土器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18 朴漢濟, "아틀라스중국사", 사계절, 사계절, 2007

      19 박태호, "『장례의 역사』", 서해문집, 2006

      20 周裕興, "南朝文化와 百濟", 古代 東亞世亞와 百濟 , 서경문화사, pp. 239~251, 2003

      21 尹武炳, "武寧王陵의 木棺", 百濟硏究 6,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5

      22 安承周, "百濟古墳의 硏究", 百濟文化 7・8合輯, 公州師範大學 百濟文化硏 究所., 1975

      23 徐聲勳, "百濟器台의 硏究", 百濟硏究 11,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193~216., 1980

      24 安承周, "百濟土器의 槪觀", 百濟土器圖錄 , 百濟文化開發硏究院, pp. 412~449., 1984

      25 李南奭, "百濟墓制의 硏究", 서경문화사, 2002

      26 崔夢龍, "百濟의 祭祀遺蹟", 韓國上古史學報 17, 韓國上古史學會, 1994

      27 吉井秀夫, "무령왕릉의 목관", 내百濟 斯麻王쇄무령왕릉 발굴 그 후 30년의 발 자취 특별전 도록, 국립공주박물관., 2001

      28 신기철, 신용철, "새우리말 큰사전", 삼성출판사, 1995

      29 朴淳發, "한성백제의 탄생", 서경문화사, 서경문화사, 2001

      30 張寅成, "南朝의 喪禮 硏究", 『百濟硏究』 32,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149~160., 2000

      31 辛勇旻, "漢代 木槨墓 硏究", 學硏文化社, 2000

      32 姜仁求, 王仲殊, "漢代 考古學 槪說", 學硏文化社, 1993

      33 李南奭, "百濟 石室墳 硏究", 學硏文化社, 1995

      34 李大行, 李錫九, "百濟三足土器硏究", 公州師大 論文集 25, 公州師範大學, pp. 88~107, 1987

      35 安秉燦, "王妃頭枕과 墨書銘",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 文化硏究所., 1991

      36 남민이, "내상장례 민속학쇄", 시그마프레스, 2002

      37 강인구, "내한반도의 고분쇄", 아르케, 1999

      38 李相吉, "지석묘의 장송의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古文化 4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4

      39 崔鍾圭, "三韓 早期墓의 禮制", 考古學探究 창간호, 考古學探究會, 2007

      40 崔鍾圭, "積石冢의 封, 槨, 殉", 考古學探究 9, 考古學探究會, 2011

      41 成周鐸, 鄭求福, "誌石의 形態와 內容",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公州大學 校 百濟文化硏究所, pp.165~186., 1991

      42 강원표, "능산리 고분의 개요", 유리건판으로 본 백제의 고분, 국립중앙박물 관, pp.102~143, 2015

      43 백제문화개발연구원, "백제의 신화와 제의", 주류성, 주류성, 2006

      44 장인성, "백제의 종교와 사회", 서경문화사, 서경문화사, 2001

      45 공병석, "예기 상례의 인문관", 학고방, 學古房, 2013

      46 장철수, "『옛무덤의사회사』", 웅진출판, 웅진출판사, 1995

      47 金時晃, "韓國 喪禮 葬禮 硏究", 東洋禮學 8, pp.39~80, 2002

      48 崔在錫, "韓國古代社會史硏究", 一志社, 1987

      49 崔在錫, "高麗時代의 喪 ․ 祭", 韓國古代社會史硏究 , 一志社, pp. 582~610, 1987

      50 盧重國, "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지식사업사, 2010

      51 이한상, "「백제의 장례풍습」", 『百濟의 文化와 生活』 百濟文化史大系 12, 충청남 도역사문화연구원, pp.448~470, 2007

      52 李聖愛, "中國喪禮考-禮記中心", 韓國文化硏究院論叢 50, 梨花女子大學校 韓國文化硏究院, pp.31~124., 1991

      53 申光燮, "環頭大刀와 裝飾刀子",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 濟文化硏究所., 1991

      54 山本孝文, "葬墓制度의 定着過程", 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 제51회 전국역 사학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175~186., 2008

      55 박의서, "『한국의 전통 장례』", 재원, 재원, 2002

      56 兪元載, "中國正史 百濟傳 硏究", 學硏文化社, 1993

      57 金吉植, "古代의 氷庫와 喪葬禮", 『韓國考古學報』47, 韓國考古學會., 2002

      58 尹武炳, "武寧王陵 石獸의 硏究", 百濟硏究 9,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8

      59 山本孝文, "百濟의 環帶에 대하여", 湖西考古學 16, 湖西考古學會, pp.25~56., 2007

      60 權五榮, "고대 한국의 喪葬儀禮", 내韓國古代史硏究쇄20, 한국고대사학회・서경 문화사, pp.5~29., 2000

      61 尹世英, "古墳 出土 副葬品 硏究",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8

      62 朴淳發, "百濟 國家의 形成 硏究", 서울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8

      63 申光燮, "百濟泗沘時代陵寺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64 林永珍, "百濟漢城時代古墳硏究", 서울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5

      65 李南奭, "泗沘時代의 百濟考古學", 서경문화사, 2014

      66 김종만, "내百濟土器의 新硏究쇄", 서경문화사, 2007

      67 금장태, "『유교의 사상과 의례』", 예문서원, 2000

      68 李南奭, "中西部地方 百濟 甕棺墓", 역사와 역사교육 3,4합집, 웅진사학회., 1999

      69 趙由典, "宋山里 方壇階段式 무덤",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70 鄭鍾秀, "朝鮮初期 喪葬儀禮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71 무라마츠 요스케(村松洋介), "木棺墓 葬送儀禮의 復原", 코기토 65, 부산대 학교 인문학연구소, pp.111~141., 2009

      72 金元龍, "武寧王陵 出土 獸形佩飾", 百濟硏究 6,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5

      73 姜仁求, "武寧王陵의 葬法과 墓制", 내百濟武寧王陵쇄,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148~162., 1991

      74 姜熙天, 尹煥, "百濟 三足土器의 一硏究", 古代硏究 4, 古代硏究會, pp.47~74., 1995

      75 琴章泰, "祭天儀禮의 歷史的 考察", 내儒敎思想文化硏究쇄4․ 5, 韓國儒敎學會, pp.51~67., 1992

      76 장경호, "내아름다운 백제 건축쇄", 주류성, 2004

      77 全京秀, 韓相福, "二重葬制와人間의精神性", 『韓國文化人類學』2, 한국문化人 類學會, pp. 74~86., 1961

      78 金亨坤, "土壙木棺墓 構造硏究(Ⅰ)", 韓國上古史學報 10, 韓國上古史學會., 1992

      79 金時德, "韓國 儒敎式 喪禮의 硏究", 高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7

      80 金在鵬, "武寧王과 隅田八幡畫象鏡", 孫寶基 博士停年記念 韓國史學論叢, 지식산업사, 1988

      81 李相吉, "無文土器時代의 生活儀禮", 「환호집락과 농경사회의 형성」영남고곡 학회․ 구주고고학회 제3회 합동고고학대회 발표자료집, 영남고고학회․ 구주 고고학회, pp.241~279., 1998

      82 서성훈, 신광섭, "「表井里 百濟古墳調査」", 내中島쇄Ⅴ, pp.129~175, 1984

      83 나희라,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 지식산업사, 2007

      84 李南奭, "中西部地域 墳丘墓의 檢討", 『先史와 古代』35, 한국고대학회., 2011

      85 崔在錫, "新羅時代의 葬法과 喪・祭", 韓國古代社會史硏究 , 一志社, pp. 505~528, 1987

      86 金貞培, "東北亞속의 韓國의 岩刻畵", 韓國史硏究 제99·100호, 韓國史硏究., 1997

      87 李南奭, "漢城時代 百濟의 古墳文化", 서경문화사, 2014

      88 尹昊弼, "韓國 先史時代의 水邊儀禮", 고대 동북아시아의 水利와 祭祀 , 대 한문화유산연구센터・학연문화사, pp.141~171., 2011

      89 김낙중, "내영산강유역 고분 연구쇄", 학연문화사, 2009

      90 尹武炳, "무령왕릉의 구조와 몇문제",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91 尹武炳, "連山地方 百濟土器의 硏究", 百濟硏究 10, 忠南大學校 百濟硏究 所. pp. 5~44., 1979

      92 李相吉, "廢棄에 관한 考古學的 檢討",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周年記 念論叢,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00

      93 金恩鏡, "新羅古墳 出土 雲母의 性格", 한국고고학보 77, 한국고고학회, 2010

      94 秦弘燮, "武寧王陵 撥遣 頭枕과 足座", 百濟硏究 6,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5

      95 殷和秀, "韓國出土 卜骨에 對한 考察", 湖南考古學報 10, 湖南考古學會, pp. 5~30., 1999

      96 박승범, "고대 한국의 국가제의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97 권오영, "「무덤연구의 새로운시각」", 한국고고학회, 내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쇄제51회 전국역 사학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5~14, 2008

      98 李相吉, "祭祀를 통해 본 勸力의 發生", 계층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한국고 고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자료집, pp. 117~149, 2006

      99 徐五善, "목관장식, 금제장식, 은장식",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 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100 성정용, "「4~5세기 百濟의 地方支配」", 『한국고대사연구』 24, 한국고대사학회, 2001

      101 成正鏞, "「백제와 중국의 무역도자」",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백제연구』 38,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3

      102 전호태, "『高句麗 古墳壁畵의 世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03 李盛周, "新羅․ 伽耶土器樣式의 生成", 韓國考古學報 72, 韓國考古學會, 2009

      104 李殷晟, "武寧王陵의 誌石과 元嘉曆法", 東方學志 43, 延世大學校 國學硏究院, 1984

      105 任孝宰, "石村洞 百濟初期古墳의 性格", 내考古美術쇄129 130 合輯, 1976

      106 金秀桓, 李晟準, "韓半島 古代社會의 殉葬文化", 韓國考古學報 81, 韓國考古 學會, 2011

      107 최광식, "내고대한국의 국가와 제사쇄", 한길사, 1994

      108 이진우, "마한・백제권 석곽묘의 변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09 尹世英, "古墳에 副葬된 土器의 一考察", 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 -考古學編-, 一志社., 1987

      110 李在賢, "嶺南地域 木棺墓에 대한 硏究", 釜山大學校 碩士學位論文, pp. 40~41, 1994

      111 愼仁珠, "新羅 注口附容器에 대한 硏究", 文物硏究 3,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 재단., 1998

      112 崔鍾圭, "朝陽洞文化 晩期의 무덤 構造", 考古學探究 8, 考古學探究會, 2010

      113 鄭求福, "武寧王 誌石解釋에 대한 一考", 宋俊浩敎授停年記念論叢, pp.39~52, 1987

      114 李南奭, "漢城期 百濟 石室墳의 再認識", 眞檀學報 103, 震檀學會., 2007

      115 土田純子, "百濟 有蓋三足器의 編年 硏究", 韓國考古學報 52, 韓國考古學會, 2004

      116 나혜림, "내百濟 器臺의 變遷과 機能쇄",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17 홍보식, "내신라 후기 고분문화 연구쇄", 춘추각, 2003

      118 崔虎林, "우리나라 明器에 관한 一考察", 韓國學論集 14, 한양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1988

      119 安承周, "論山 表井里 百濟古墳과 土器", 百濟文化 9, 公州師範大學附設 百 濟文化硏究所, 1976

      120 兪炳夏, "考古學 資料로 본 백제의 祭祀", 바다와 祭祀-扶安 竹幕洞 祭祀遺 蹟- 특별전 도록, 國立全州博物館., 1995

      121 김용성, 黃曉芬, "한대의 무덤과 그 제사의 기원", 학연문화사, 학연문화사, 2006

      122 김홍남, "「陶磁器」, 내百濟武寧王陵쇄",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123 山本孝文,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서경문화사, 2006

      124 姜仁求, "周溝土壙墓에 관한 몇가지 問題", 내精神文化硏究쇄17-3, 韓國精神文 化硏究院., 1994

      125 權龍大, "경주지역의 출현기 목곽묘 연구", 한국고대사탐구학회, 내韓國古代史探究쇄9, 韓國古代史 探究學會., 2011

      126 정호섭, "내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쇄",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27 김용성, "내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쇄", 학연문화사, 2008

      128 김용성, "내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쇄", 학연문화사, 2009

      129 金殷暎, 李俊貞, "무령왕릉 출토 생선뼈에 대하여", 『무령왕릉을 격물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130 尹根一, "公州 宋山里 古墳 發掘調査 槪報", 文化財 21, 국립문화재연구소, 1988

      131 崔旭鎭, "百濟 武寧王陵의 築造 背景 硏究",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32 山本孝文, "韓國 古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33 安順天, "小形鐵製模型農工具 副葬의 意義", 嶺南考古學報 18, 嶺南考古學會., 1996

      134 李盛周, "技術, 埋葬儀禮, 그리고 土器樣式", 韓國考古學報 52, 韓國考古學 會, pp. 95~136, 2004

      135 成周鐸, "武寧王陵 出土 <童子像>에 對하여", 百濟硏究 10, 忠南大學校 百 濟硏究所., 1979

      136 朴普鉉, "積石木槨墳期 非墳墓遺構의 性格", 韓國上古史學報 10, 韓國上古 史學會., 1992

      137 姜玧錫, "일본 고대의 殯(모가리)에 대하여", 내古文化쇄65, pp.57~80, 2005

      138 安承周, "保寧 九龍里 百濟古墳과 出土遺物", 百濟文化 10, 公州師範大學附 設 百濟文化硏究所, 1977

      139 朴普鉉, "威勢品으로 본 古新羅社會의 構造", 慶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5

      140 土田純子, "百濟土器 東아시아 交叉編年 硏究", 서경문화사, 2014

      141 신윤정, "내漢城百濟伎 盒․ 洗流의 硏究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42 高久建二, "樂浪墳墓 埋葬主體部에 대한 硏究", 내考古歷史學誌쇄10, 동아대학 교 박물관., 1994

      143 愼仁珠, "新羅 象形 注口附容器에 대한 硏究", 東亞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2

      144 윤호필, "축조와 의례로 본 지석묘사회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45 有光敎一, "扶餘陵山里傳百濟王陵 ․ 益山雙陵", 橿原考古學硏究所論集 第 四, 橿原考古學硏究所, 1979

      146 구성희, "漢代厚葬風俗과 薄葬論, 내史林쇄15", 수선사학회, 2001

      147 이한상, "「公州 艇止山遺蹟의 編年과 性格」", 『백제의 왕실제사유적 정지산 학술 발표대회 요지문』, 국립공주박물관, 1998

      148 李盛周, "儀禮, 記念物, 그리고 個人墓의 발전", 湖西考古學 26, 湖西考古學 會, pp.74~109, 2012

      149 張守男, "武寧王陵 買地券의 起源과 受容背景", 『百濟硏究』54, 忠南大學校 百 濟硏究所, pp.83~112., 2011

      150 김유정, "내熊津ㆍ泗沘期 百濟 建物址 硏究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51 岡內三眞, "백제 무령왕릉과 남조묘의 차이연구", 내百濟硏究』11,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80

      152 이남석, "「정지산 유적의 성격에 대한 검토」", 『정지산』, 국립공주박물관, 1999

      153 金榮國, "中西部地域 百濟 竪穴式 石槨墓 硏究",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54 姜元杓, "百濟 三足土器 擴散과 消滅過程 硏究", 高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1

      155 尹武炳, "連山 新興里 百濟古墳과 그 出土遺物", 百濟文化 7·8合集, 公州師 範大學附設 百濟文化硏究所, 1975

      156 장철수, "내사당의 역사와 위치에 관한 연구쇄", 국립문화재연구소, 1990

      157 이성준, "백제 수혈식 석곽묘의 형식학적 연구", 한국고고학회,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58 이남석, "「백제횡혈식 묘제의 구조형식연구」", 내百濟文化』 22, 公州大學校 百濟 文化연구소, 1992

      159 이남석, "「백제묘제의 전개에서 본 무령왕릉」", 『백제문화』31, 공주대학교 백제 문화연구소, 2002

      160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관념과 祭儀」", 『역사와현실』 32, 한국역사연구회, 1999

      161 林永珍, "百濟初期 埋葬土器와 生活土器의 關係", 한국상고사(Ⅱ) , 학연문화사, 1993

      162 조보람, "내3~4세기 중서부지역의 토광묘 고찰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63 김영배, "「百濟武寧王陵塼考」, 내百濟硏究쇄5",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4

      164 권오영, "「백제의 對中交涉의 전개와 그 성격」", 『古代 東亞細亞와 三韓 三國 의 交涉』, 복천박물관, pp.1~18, 2002

      165 李相吉, "靑銅器時代 儀禮에 대한 考古學的 硏究",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0

      166 全惠淑, "우리나라 古代喪制 속에 반영된 宗敎觀", 한국복식 9, 단국대학교 박물관, 1991

      167 金基雄, "古墳에서 엿볼 수 있는 新羅의 葬送儀禮", 내新羅文化祭學術發表論文 集-新羅宗敎의 新硏究쇄5, 新羅文化宣揚會 · 慶州市., 1984

      168 安順川, "大伽倻圈域의 縮小模型鐵製農工具 硏究", 釜山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97

      169 金吉植, "氷庫를 통해 본 公州 艇止山遺蹟의 性格", 『考古學誌』 12, 韓國考古 美術硏究所, pp.49~76., 2001

      170 崔泰淨, "考古資料를 통해 본 高句麗 喪葬禮 硏究",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71 유동현, "백제 한성기 횡혈식 석실분의 변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2 閔德植, "發掘調査資料로 본 百濟時代의 祭祀遺蹟", 史學硏究 71, 한국사학 회, pp.1~76., 2003

      173 崔完圭, "百濟成立과 發展期의 錦江流域 墓制樣相", 韓國上古史學報 37, 韓 國上古史學會, 2002

      174 金權九, "선사시대 儀禮와 사회적 성(gender)의 고착", 내考古歷史學志쇄16, 동 아대학교박물관., 2000

      175 徐程錫, "宋山里 方壇階段形 積石遺蹟에 대한 檢討", 百濟文化 24, 公州大 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39~54., 1995

      176 李炳鎬, "扶餘 陵山里寺址 伽藍中心部의 變遷 過程", 韓國史硏究 143, 韓國 史硏究會, pp.35~76, 2008

      177 變太燮,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上)", 歷史敎育 3, 歷史敎育 硏究會., 1958

      178 變太燮,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下)", 歷史敎育 4, 歷史敎育 硏究會., 1959

      179 이 훈, "공주 수촌리 백제금동관의 고고학적 성격", 충청학과 충청문화 5-2,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6

      180 林英宰,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성립과 전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81 성병희, "「조령숭배의 한일비교」, 내민속연구쇄5", 안동대학교민속학연구소, 1995

      182 권오영, "「고구려 횡혈식석실분의 매장프로세스」",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 려 사회의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pp.12~65, 2009

      183 張寅成, "武寧王陵 墓誌를 통해 본 百濟人의 生死觀", 『百濟硏究』 32, 忠南大 學校 百濟硏究所, pp.161~171., 2002

      184 姜元杓, "百濟 金銅冠의 製作과 賜與에 대한 一考察", 百濟의 冠, 국립공주 박물관, 2011

      185 李樹鳳, "百濟文化圈域의 喪禮風俗과 風水說話硏究", (財)百濟文化開發硏究院, 1986

      186 尹世英, "可樂洞 百濟 古墳 第 1, 2號墳 發掘調査 略報", 내考古學쇄, 1974

      187 洪思俊, "扶餘 陵山里 一古墳의 調査 : 史蹟 第十五號", 내美術史學硏究쇄7-3卷, 1966

      188 權五榮, "百濟文化의 이해를 위한 中國六朝文化 탐색", 내韓國古代史硏究쇄37, 한국고대사학회‧ 서경, pp.81~112., 2005

      189 이한상, "내裝身具 賜與體制로 본 百濟의 地方支配쇄", 서경문화사, 2009

      190 尹溫植, "嶺南地域 原三國時代 後期 祭儀土器의 設定", 韓國考古學報 76, 韓國考古學會., 2010

      191 이기동, "「지석의 역사적 의의」, 내百濟武寧王陵쇄",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 文化硏究所, 1991

      192 權龍大, "慶州 ․ 蔚山地域의 三國時代 毁損土器 硏究", 내湖西考古學쇄16, 湖 西考古學會., 2007

      193 마이클, "로이(이성규 譯), , 내古代中國人의 生死觀쇄", 지식산업사, 1987

      194 황보경, "한강유역 신라 고분의 제의유구에 대한 성격", 한국고대학회, 先史와 古代 29, 한국고대학회, pp.247~277, 2008

      195 金相烈, "내武寧王陵에 보이는 喪葬 -殯을 중심으로-쇄", 仁荷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2

      196 임영진, "「공주 송산리 D지구 적석유구의 성격 검토」", 내공주지역의 고분과 출토 유물』 백제 역사유적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국제학술회의, 2013

      197 趙宇然, "集安 高句麗碑에 나타난 왕릉제사와 조상인식", 한국고대사연구 70, pp.139~179, 2013

      198 金聖洙, "내中西部地方 3~4世紀 周溝土壙墓 特性 硏究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9

      199 권오영, "「喪葬制와 墓制」, 내동아시아의 고분문화쇄", 중앙문화재연구원・서경문화 사, pp.41~62, 2011

      200 권오영, "《고대 동아시아 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돌베개, 돌베개, 2005

      201 장인성, "「무령왕릉 지석을 통해 본 백제인의 생사관」", 『百濟硏究』 27, 忠南大 學校 百濟硏究所, 1997

      202 平郡達裁, "무덤資料로 본 南韓地域 靑銅器時代 社會 硏究", 釜山大學校 博士 學位論文, 2012

      203 金武重, "백제 한성기 橫穴式石室墳의 構造와 埋葬 方法", 내제18회 고분문화 연구회 발표요지쇄, 古墳文化硏究會., 2012

      204 이남석, "「竪穴式 石槨墓의 收容樣相, 내湖西考古學쇄5", 湖西考古學會, 2001

      205 나희라, "「고대 한국의 타계관」, 내한국고대사연구쇄20", 한국고대사학회, 2003

      206 나희라, "「고대의 상장례와 생사관」, 내역사와 현실쇄 54", 한국역사연구회, pp.171~195, 2004

      207 채미하, "「백제의 산천제사와 그 정비」, 내東國史學쇄 48", 동국사학회, pp. 31~62, 2010

      208 金東淑, "新羅․ 伽倻 墳墓의 祭儀遺構와 遺物에 관한 硏究", 내嶺南考古學쇄 30, 嶺南考古學會, pp.59~98., 2002

      209 河在一, "百濟 雄津期 喪葬禮 硏究 –武寧王陵을 中心으로-", 공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4

      210 金一權, "고구려 고분변화의 도교와 유교적 신화 도상 분석", 동북아역사논총 25. 동북아역사재단., 1996

      211 이 훈, "공주 수촌리고분군 제2차 발굴조사의 성과와 의의", 금강유역권 신 출자료와 그 해석 , 제11회 백제학회 정기발표회, 2012

      212 구중회, "내풍속문화로 만난 무령임금 무검의 12가지 비밀쇄", 서경문화사, 2011

      213 兪炳夏, "부안 죽막동유적에서 진행된 삼국시대의 해양제사", 扶安竹幕洞 祭 祀遺蹟 硏究 , 國立全州博物館., 1998

      214 이남석, "「馬韓墳墓와 그 墓制의 認識, 내馬韓百濟文化쇄22", 圓光大學校 馬韓百 濟文化硏究所, 2013

      215 김옥순, "「분묘 출토유물의 성격」, 내韓國上古史學報쇄 59", 韓國上古史學會, pp.51~73, 2008

      216 정종수, "「유교식 상례」, 내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쇄", 두산동아, pp.73~150, 2005

      217 서영대, "「한국 고대의 제천의례」, 내한국사 시민강좌쇄45", 一朝閣, pp. 1~24, 2009

      218 尹武炳, "武寧王陵 및 松山里六號墳의 塼築構造에 대한 考察", 百濟硏究 5,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4

      219 朴相珍, "무령왕릉 관재의 재질과 年輪構造에 관한 조사연구", 『百濟論叢』 6, (財)百濟文化開發硏究院., 2001

      220 이남석, "「橫穴式 墓制의 淵源과 展開」, 『先史와 古代』30", 한국고대학회, 2009

      221 공병석, "「<禮記> 喪葬觀의 人文衣食」, 내儒敎思想硏究쇄 20", 韓國儒敎學會, pp.277~308, 2004

      222 김영심, "「백제문화의 도교적 요소」, 내韓國古代史硏究쇄64", 한국고대사학회, 2011

      223 車順喆, "皇南大塚의 遺物 副葬 위치를 통해 본 祭儀行爲 檢討", 新羅史學報 3, 新羅史學, pp.1~20, 2005

      224 미르치아, "엘리아데(이윤기 譯), , 내샤마니즘-고대적 접신술-쇄", 까지, 1992

      225 신광섭, 이강승, "「부여 태양리 백제고분의 一例」, 내百濟文化쇄15집", 공주사범대 학 백제문화연구소, 1983

      226 배영동, "「전통적 기제사를 통해 본 조상관」, 내민속연구쇄9", 안동대학교 민속학 연구소, 1999

      227 권오영, "「喪葬制를 중심으로 본 武寧王陵과 南朝墓의 비교」", 『百濟文化』 31,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51~64, 2002

      228 平郡達哉, 張龍俊, "유절병식 석검으로 본 무문토기시대 매장의례의 공유", 한국고고학회, 한 국고고학보 72, 한국고고학회, pp.37~71, 2009

      229 土田純子, "百濟 土器의 編年 硏究 -三足器 高杯 뚜껑을 중심으로-", 忠南 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4

      230 박순발, "「묘제의 변천으로 본 한성기 백제의 지방 재편 과정」", 『한국고대사연 구』48, 한국고대사학회, 2007

      231 김시덕, "『한국의 상례문화: 한국 유교식 상례의 변화와 지속』", 민속원, 민속원, 2012

      232 禹在柄, "영산강 유역 前方後圓墳 출토 圓筒形 토기에 관한 試論", 百濟硏究 31,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0

      233 이진우, "「마한 백제권 석곽묘의 변천」, 내韓國上古史學報쇄88", 韓國上古史學會, 2015

      234 권용대, "「울산지역의 4~5세기 목곽묘 연구」, 내야외고고학쇄12", 한국문화재조 사연구기관협회, 2011

      235 김성남, "「중부지방 3~4세기 고분군 세부편년」, 내百濟硏究쇄33", 忠南大學校 百 濟硏究所, 2001

      236 이홍종,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지형경관」, 내고고학쇄 14-1호", 중부고고학회, pp.45~67, 2015

      237 李在賢, "弁辰韓 社會의 발전과정-木槨墓의 출현배경과 관련하여", 嶺南考古 學 17, 嶺南考古學會, 1995

      238 김은경, "「三國時代 古墳出土 朱와 그 意味」, 내嶺南考古學쇄61", 嶺南考古學會, 2012

      239 김창억, "「우물에 대한 祭儀와 그 意味」, 내嶺南文化財硏究쇄17", 嶺南文化財硏 究院, 2004

      240 李柱憲, "三韓의 木棺墓에 대하여- 嶺南地方出土 資料를 中心으로", 古文化 44,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4

      241 이남석, "백제 적석총의 재인식 -석촌동 백제 고분군의 묘제 검토-",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 대 39, 2013

      242 정호섭, "「高句麗 積石冢 단계의 祭儀 양상」, 내先史와 古代쇄29", 韓國古代學會, pp. 191~222, 2008

      243 채미하, "「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祭禮」 내한국고대사연구쇄65", 한국고대사학회. pp.35~75, 2012

      244 양승이, "≪한국의 상례 -한국인의 생사관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한길사, 한길사, 2010

      245 박승범, "「집안일대 고구려 왕릉의 ‘祭壇’」, 내高句麗硏究쇄19", 高句麗硏究會, 2005

      246 趙慶和, "경주지역 古墳을 통해 본 祭儀의 형태와 신라인의 죽음인식", 안동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47 조윤재, "「百濟와 梁의 교섭과 大通寺」, 내공주 대통사지와 백제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pp.121~160, 2012

      248 박중환, "「금석문을 통해서 본 백제인의 내세관」 내역사학연구쇄29", 호남사학회, 2007

      249 김영심, "「무령왕릉에 구현된 도교적 세계관」, 내韓國思想史學쇄40", 韓國思想史 學會, 2012

      250 임영진, "「백제 한성기 묘제의 다양성과 그 의미」, 내고고학쇄4-1호", 중부고고학회, 2005

      251 김수민, "「신라고분에 보이는 음식공헌과 生死觀」, 내慶州史學쇄38", 慶州史學會, 2013

      252 姜仁求, "中國墓制가 武寧王陵에 미친 影響의 木棺 -風水地理的 要素-", 내百 濟硏究쇄10,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9

      253 車胤煥, "原三國後期~百濟初期漢江中 下流域의 墓制와 地域集團 硏究", 용 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54 金鍾滿, "忠淸西海岸地方 百濟土器硏究 -保寧・舒川地方을 중심으로-", 百濟 硏究 25, 忠南大百濟硏究所, pp.49~88., 1995

      255 길기태, "「百濟 威德王의 陵山里寺院 創建과 祭儀」, 내百濟文化쇄41", 公州大學 校 百濟文化硏究所, pp.5~34, 2009

      256 朴淳發, "漢江流域 百濟土器의 變遷과 夢村土城의 性格에 대한 一考察", 서울 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89

      257 趙胤宰, "長江中下流地域 漢 ․ 六朝前室墓의 墓門設置에 대한 일고찰", 中國 史硏究 56, 中國史學會, pp.37~66, 2008

      258 정운용, "「韓國 上古時代의 祭祀 意識과 그 繼承」, 내한국사학보쇄37", 고려사학 회, pp. 421~456, 2009

      259 권오영, "「고분과 고대사회」,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쇄5", 국립문화재 연구소, 2009

      260 김문옥, "내한성기 백제 횡혈식 석실분 연구 –한강유역을 중심으로-쇄", 공주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0

      261 심현철, "「新羅 積石木槨墓의 구조와 축조공정」, 내韓國考古學報쇄88", 韓國考古 學會, 2013

      262 정호섭, "「高句麗壁畵古墳에 나타난 信仰과 祭儀樣相」, 내古文化쇄74", 한국대학 박물관협회, pp. 83~114, 2009

      263 박중환, "「백제권역 동물희생 관련 考古자료의 성격」 내百濟文化쇄47", 공주대학 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264 권오영, "「삼국지 동이전 한조의 고고학」, 내삼국지 동이전의 세계쇄", 성균관대학 교 출판부, 2013

      265 조윤재, "「 漢晉 喪葬儀禮의 形成과 棺槨制度의 變容」, 내考古學쇄12-3", 중부고 고학회, 2013

      266 김광명, 정은정, "「古代韓國의 陪墓 - 嶺南地域을 中心으로」, 내野外考古學쇄6",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의회, 2009

      267 윤태영, "「무령왕릉 출토 목관 부속구 -새로 확인된 시상을 중심으로-」", 『무령 왕릉을 격물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268 김용성, "「고분으로 본 신라의 장송의례와 그 변혁, 내중앙고고연구쇄15", 중앙문 화재연구원, 2014

      269 김동숙, "「신라 ․ 가야의 象形容器와 분묘 제사」, 내丹豪文化硏究쇄12", 용인대 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09

      270 土生田純之(하부다 요시유키), "韓日 前方後圓墳 比較檢討 –石室構造와 葬送 儀禮를 中心으로-", 韓國의 前方後圓墳 , 충남대학교출판부, pp.1~23, 2000

      271 서현주, "「고분 부장품의 해석」,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쇄5", 국립문화 재연구소, 2009

      272 이성준, "「장제와 묘제의 의미」,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쇄5", 국립문화 재연구소, 2009

      273 安秉燦, 李相洙, "百濟 武寧王陵 나무배개에 쓰여진 銘文 ‘甲’, ‘乙’에 대하여", 考古學誌 2, 韓國考古美術硏究所, pp.98~104, 1990

      274 동진숙, "「제사유적을 통해 본 고대의 제사의례」, 내博物館硏究論集쇄14", 부산박 물관, 2008

      275 이동희, "「보성 조성리유적의 성격」 내고대 동북아시아의 水利와 祭祀쇄", 대한문 화유산연구센터․ 학연문화사, pp.81~114, 2010

      276 박초롱, "「백제 사비시기 오제 제사 시행과 그 의미」, 내韓國思想史學쇄47", 韓國 思想史學會, pp.5~39, 2014

      277 권용대, "「소가야지역 분구묘의 특징과 형성과정 연구」, 내야외고고학쇄2", 한국문 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7

      278 윤서석, "「신라의 음식」, 내신라문화제발표논문집-신라사회의 신연구쇄 8", 경주 시・신라문화선양회, 1987

      279 조윤재, "「남경 및 주변지역 六朝 대형 전실묘의 築造工程에 대한 일고찰」", 내考 古學探究쇄3, 고고학탐구회, 2008

      280 이남석, "「百濟 竪穴式 石室墳 -變遷과 橫口式의 발생-」, 내先史와 古代쇄6", 韓 國古代學會, 1995

      281 박아림, "「고구려 벽화고분의 帷帳의 설치와 기능」, 내고구려발해연구쇄44", 고구 려발해학회, pp.137~167, 2012

      282 박서영, "「백제 무령왕릉 두침, 족좌의 용도와 성격」, 내美術史學硏究쇄289", 한 국미술사학회, 2016

      283 홍순창, "「신라 유교사상의 재조명」, 내신라문화제 학술발표회 논문집쇄12", 동국 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1

      284 金貞培, "魏志東夷傳에 나타난 古代人의 生活習俗 –禮葬・婚禮를 중심으로-", 大東文化硏究 13,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소., 1979

      285 조윤재, "「中國 魏晉南北朝의 墓葬과 喪葬儀禮」, 내동아시아의 고분문화쇄", 중앙 문화재연구원․ 서경문화사, pp.239~302, 2011

      286 김종일, "「죽어야 사는 고고학」, 내움직이는 세상, 움직여야 하는 고고학쇄", 서경 문화사, pp.183~218, 2012

      287 배기동, "「한국민족지 고고학의 가능성과 방향에 대하여」, 내민족학연구쇄1", 한국 민족학회, pp.347~355, 1995

      288 이필영, "「한국 고대의 장례의식 연구」, 내한남대학교논문집(인문과학편)쇄17", 한 남대학교, pp.257~276, 1987

      289 조윤재, "「長江流域 漢․ 六朝時期 塼室墓의 四隅券進式 天頂部에 대한 고찰」", 『百濟硏究』 52,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1~28, 2010

      290 방민규, "「고고학 자료로 본 신라 고분제사의 성격」, 내한국전통문화연구쇄 13", 한국전통문화학교, 2014

      291 朴淳發, "熊津 泗沘期 百濟土器 編年에 대하여-三足器와 直口短頸壺를 中心으 로-", 百濟硏究 37,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57~80., 2003

      292 김세기, "「대가야의 고분과 사후세계」, 내축제와 함께하는 대가야사 학술대회쇄",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6

      293 김종만,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발견된 신요소」, 내백세사비도성의 불교사찰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한국고대학회, 2015

      294 박종천, "「상․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내국학연구쇄 17", 한국국학진흥원, pp.363~397, 2010

      295 김성남, "내중부지방 3~4세기 고분군 일연구 -세부편년과 고분군 조영 양상 분 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96 권오영, "성스러운 우물의 제사 - 풍납토성 경당지구 206호 유구의 성격을 중 심으로", 내지방사와 지방문화쇄11권 2호, pp. 211~241, 2008

      297 이미선, "3~4세기 중서부지역의 목관(곽)묘 연구 -경기 남부와 충청지역을 중 심으로-",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98 高久建二(타카쿠켄지), "樂浪郡과 弁・辰韓의 墓制-부장품의 조성과 배치에 대 한 분석을 중심으로", 내고고학으로 본 변・진한과 왜쇄영남고고학회・구주고 고학회 제4회 합동고고학대회, 영남고고학회・구주고고학회., 2000

      299 김수봉, "百濟文化圈域 의 喪禮風俗과 風水說話硏究쇄-호서 · 호남지방을 중심 으로", 百濟文化開發硏究院, 1986

      300 육정임, "「宋代 祖上祭祀와 祭禮의 再構想:계급의 표상에서 종족결집의 수단으 로」", 내한국사연구쇄27, pp.313~349, 2007

      301 김무중, "「百濟 漢城期 橫穴式石室의 構造와 調査方法」, 내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쇄", 서경문화사, 2011

      302 이남석, 이현숙, "「百濟 喪葬儀禮의 硏究 -錦江流域 喪葬儀禮 遺蹟의 意味-」 , 내百濟文化쇄54",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016

      303 차윤환, "「原三國後期~百濟初期漢江中 下流域墓制의 地域性」, 내韓國上古史學 報쇄78", 韓國上古史學會, 2012

      304 朴有貞, "中西部地域 橫口式 石槨墓 變遷 硏究 -百濟 泗沘期 ~ 統一新羅時代 를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05 황보경, "百濟 漢城期의 石室墳 特徵과 性格 考察 -최근 발굴된 백제 석실분 을 중심으로-", 史林 37, 수선사학회, 2010

      306 김규운, "「가락동・방이동고분군으로 본 백제 횡혈식석실의 성립」, 내先史와 古 代쇄40", 韓國古代學會, 2014

      307 김동숙, "「고대 분묘 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 법론쇄5", 국립문화재연구소, pp.359~380, 2009

      308 성정용, "「중원지역의 원삼국시대 분묘양상」, 내중원문화권 고분이 전개 양상과 성격쇄",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09

      309 김성범, "「나주 복암리 유적 출토 백제목간과 기타 문화자 관련 유물」, 내목간과 문자쇄3", 한국목간학회, 2009

      310 김용성, "「대가야 고총의 상장례」, 내대가야의 정신세계쇄제7회 대가야사 국제학 술대회", 한국학연구원, 2009

      311 박양진, "「墓葬 資料의 사회적 분석과 楡樹老河深墓地의 一考察」, 내韓國上古史 學報쇄29", 韓國上古史學會, pp. 7~44, 1998

      312 權五榮, "考古資料를 中心으로 본 百濟와 中國의 文物交涉 - 강남지방과의 관 계를 중심으로", 『眞檀學報』 66, 震檀學會., 1988

      313 吉井秀夫, "대가야계 수혈식석관분의 “목관” 구조와 그 성격-못 ․ 꺽쇠의 분석 을 중심으로-", 내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周年 紀念論叢쇄,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00

      314 이홍종, 허의행, "「漢城百濟期 據點都市의 構造와 機能 -羅城里遺蹟을 中心으 로-」, 내百濟硏究쇄60",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14

      315 노중국, "「百濟의 祭儀체계 정비와 그 변화」, 내계명사학쇄15-동곡 김종철교수 정년기념호-", 내계명사학회쇄, 2004

      316 한준영, "「경기지역 한성백제기 산성(山城) 출토 제의용(祭儀用) 토기의 검토, 내 사학지쇄49", 단국사학회, pp.171~210, 2014

      317 박종오, "「송이도(松耳島)의 초분(草墳) 고찰-“앉은 초분”의 형태와 그 기능을 중심으로」", 내韓國民俗學쇄41, pp.303~331, 2005

      318 권오영, "「물의 제사」, 내고고자료로 본 고대 제사쇄, 제10회 복천박물관 학술세 미나 자료집", 복천박물관, pp.51~83, 2006

      319 이남석, "「百濟 石室墳群內 埋納遺構의 檢討 : 公州 汾江 古墳群 資料의 檢 討」, 내古文化쇄50",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7

      320 임영재,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매장과정과 그 의의」, 내제29회 고분문화연구회 발표자료집쇄", 고분문화연구회, 2016

      321 이성주, "「木棺墓에서 木槨墓로- 蔚山 中山里遺蹟과 茶雲洞遺蹟에 대한 檢討」, 내新羅文化쇄14",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7

      322 동진숙, "「고대 제사유적과 유물」, 내선사․ 고대의 제사, 풍요와 안녕의 기원쇄 특별전시도록", 복천박물관, pp.145~163, 2006

      323 김길식, "「百濟地域 橫穴墓의 鐵器副葬 習俗, 葬法의 系統과 造墓集團의 性格 」, 내百濟文化쇄48",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171~212, 2013

      324 姜玧錫, "新羅․ 伽倻古墳에 나타난 祭祀儀式에 關한 硏究 : 5․ 6世紀代 古墳 建築過程을 中心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325 권오영, "「정지산유적과 백제의 喪葬儀禮, 내백제의 왕실제사유적 “공주 정지산” 학술발표회쇄", 국립공주박물관, pp.84~100, 1998

      326 松永悅枝(마츠나가 요시에), "고분출토 취사용토기로 본 고대 한․일 장송의례의 비교-일본열도 瀨戶內地域을 중심으로-", 嶺南考古學 50. 嶺南考古學會., 2009

      327 이한솔, "내한성백제기 우물제사에 대한 고찰 - 풍납토성 206호 유구의 고고학 적 분석을 중심으로-쇄",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28 김무중, "「고대의 생활제사」, 내고고자료로 본 고대 제사쇄, 제10회 복천박물관 학술세미나 자료집", 복천박물관, 2006

      329 배기동, "「민족지고고학의 전망-한국고고학 방법론 확장 가능성에 대하여」, 내韓 國上古史學報쇄9", 韓國上古史學會, 1992

      330 이창엽, "「中西部地域 百濟漢城期 木棺墓 變化 - 烏山 水淸洞遺蹟을 中心으로 」, 내선사와 고대쇄27", 한국고대학회, 2007

      331 김희중, "「馬韓 周溝墓의 類型과 時,空間的 展開過程 -京畿,忠淸地域을 中心으 로-」, 내百濟硏究쇄62",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15

      332 홍보식, "「횡구식석실 ․ 횡혈식석실의 조사 방법과 기록」,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 사연구방법론쇄, 5", 국립문화재연구소, pp. 151~197, 2009

      333 유병하, "「해양교류와 고대 제사유적」, 내해양교류의 고고학쇄제26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발표논문집", 한국고고학회, pp.59~78, 2002

      334 홍보식, "「통일신라의 장 ․ 묘제」, 내통일신라시대 고고학쇄, 제28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 71~115, 2004

      335 신광철, "「유교의 수용과 세계관의 변용 –윤리・사회 덕목의 구현을 중심으로- 」, 내韓國古代史硏究쇄20",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pp.45~75, 2000

      336 김동숙, "「원시와 고대의 장송의례 연구」, 내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쇄제51회 전 국역사학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2008

      337 조윤재, "「漢晉 喪葬儀禮의 形成과 變容」, 내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쇄-第51回 全國歷史學大會 發表資料集-", 韓國考古學會, pp.159~174, 2008

      338 김낙중, "「백제 묘제 연구에서 공주 수촌리 고분군이 갖는 의미」, 내수촌리유적 의 고고학적 성과와 의의쇄", 공주시・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3

      339 김대환, "「임당 유적 고총의 祭器 구성과 외래계 토기 – 조영EⅢ3호묘를 대상 으로-」, 내東垣學術論文集쇄16", 國立中央博物館․ 韓國考古美術硏究所, 2015

      340 姜玧錫, "日本 횡혈식 석실분의 축조과정과 그 상장례에 대한 시론 - 九州地 域의 6~7세기대의 圓墳을 중심으로-", 내傳統文化論叢쇄3, 한국전통문화학교., 2005

      341 최병현, "「중부지방 백제 한성기 축조 신라 재사용 석실분과 고구려 신라 연속조 영 고분군」, 내고고학쇄14-2호", 중부고고학회, 2015

      342 이명희, 한지선, "「한성백제기 기대 연구 : 풍납토성 출토 원통형기대와 상협하 광형기대를 중심으로」, 내考古學誌쇄18", 국립중앙박물관, 2013

      343 李樹鳳, "百濟文化圈域의 喪禮風俗 硏究 - 百濟文化圈域의 喪禮風俗과 風水 說話硏究 –湖西․ 湖南地方을 中心으로-", 百濟文化開發硏究院. pp.9~132, 1986

      344 김대환, "「신라 장경호 부장 정형과 신라 토기의 확산-‘토기제사법’과 ‘양식적 선택압’의 실체-」, 내중앙고고연구쇄",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345 김창석, "「백제 왕실수공업의 성립과 생산체제, 내백제고대 제사유구와 유물」, 내 선사․ 고대의 제사 풍요와 안녕의 기원쇄", 복천박물관, pp.149~163, 2006

      346 성주탁, "「무령왕릉 출토 지석에 관한 연구」, 내무령왕릉의 연구현황과 제문제쇄 무령왕릉 발굴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국립공주박물관, 1991

      347 신용민, "「다호리유적 목관묘 시기의 묘제」, 내茶戶里 遺蹟 發掘成果와 課題 - 昌原 茶戶里 遺蹟 發掘 20周年國際學術 심포지엄-쇄", 국림중앙박물관, 2008

      348 김창석, "「한성시대 백제의 국가제사 체계와 변화 양상-풍납토성 경당지구 44 호, 9호 유구의 성격 검토를 중심으로-」, 내서울학연구쇄22",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pp.1~28, 2004

      349 김두철, "「제사고고학의 연구성과와 과제 - 수혈식 의례를 중시므로」, 『고고학 의 새로운 지향쇄, 제4회 부산복천박물관 학술발표회자료집", 복천박물관, 2000

      350 박중환, "「복합고분과 제사 –나주 복암리 3호분의 제사자료-」, 내호남지역 선사 와 고대의 제사쇄제22회 호남고고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호남고고학회, 2014

      351 송종열, "「분묘 및 주거지 출토 토기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상장의례 –정읍 신 면유적과 장성 환교유적을 중심으로-」, 내湖南文化財硏究院쇄12", 湖南文化財 硏究院, pp.5~20, 2012

      352 윤호필, "「청동기시대 장송의례의 재인식 - 인도네시아 숨바섬 지석묘의 장송의 례 비교를 중심으로-」, 내무덤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사회와 문화쇄", 경남발전 연구원역사문화센터・학연문화사, pp.139~16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