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新羅의 漢江流域 領域化 過程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45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강유역은 한강에 연결되는 지류들의 면적을 포함하면, 한반도에서는 압록강 유역에 이어서 두 번째 규모에 해당하는데, 실질적인 성장 잠재력은 가장 높은 지역이다. 백제는 한강에 인접...

      한강유역은 한강에 연결되는 지류들의 면적을 포함하면, 한반도에서는 압록강 유역에 이어서 두 번째 규모에 해당하는데, 실질적인 성장 잠재력은 가장 높은 지역이다. 백제는 한강에 인접한 한성에 도읍을 하였고, 6세기 중반까지 한성을 중심으로 백제와 고구려간에 치열한 각축이 벌어졌다.
      기왕의 연구에서 한강유역으로 신라가 진출하게된 내용과 결과는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그런데 신라가 한강유역으로 진출하는 550년대의 상황에 관심이 집중되었고, 진출의 전단계에 해당하는 5세기 중반부터 6세기 중반 이전의 상황과 7세기 이후의 신라의 한강유역 영역화 과정에 대한 검토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본고에서는 5세기 중반부터 7세기대까지의 전체적인 영역화 과정에 대하여 검토를 진행하였다.

      신라는 중고기 이전에도 북방 지역을 안정화시키고자 동해안으로 북진을 시도하였고, 낙동강 동안으로 진출하여 가야 지역으로 서진을 준비하였다. 실성마립간기에는 고구려와 북방 지역에서 충돌이 반복되었지만, 지증왕이 즉위하면서 대고구려 관계가 안정화되었고, 이러한 틈을 노린 신라는 지증왕대부터 영역확장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기 시작하였다. 동해안 지역에서는 실직주를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지배하였다. 남한강 상류 지역은 기왕의 견해와 다르게 신라가 죽령 이북의 단양 지역까지 진출하여 전진 기지를 확보하였음을 고고학 자료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가야 지역의 경우에는 법흥왕대에 금관국과 탁순국을 복속하면서 낙동강 이동 지역으로 진출해 들어갔으며, 특히 낙동강 하구를 장악하면서 낙동강 수계에 대한 통제가 가능해졌다. 이를 통하여 확보한 물적, 인적인 자원을 바탕으로 법흥왕을 이어 즉위한 진흥왕대에는 본격적인 대외팽창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본고에서는 신라의 한강유역 영역화의 준비기로 설정하였다.

      548년에 백제가 독산성을 고구려로부터 공격을 받는 사건은 한강유역으로 진출하는 기점이 된다. 󰡔일본서기󰡕에서는 안라국이 고구려와 결탁하여 백제에 대응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실제로 신라가 개입하면서 독산성 전투는 복잡한 상황으로 진행된 국제전이었다. 신라는 독산성 전투를 통하여 고구려를 공격하는 명분을 확보하였고, 동시에 고구려와 백제의 군사적인 허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550년에는 백제가 고구려의 도살성(증평)을 빼앗고, 고구려는 백제의 금현성(진천)을 빼앗은 사건이 발생하였다. 신라는 두 성을 모두 탈취하였고, 금현성을 되찾기 위한 고구려를 공격을 막아내면서 승세를 타고 국원(충주)까지 진출하였다. 고구려의 남방 전진기지인 국원의 확보는 신라의 입장에서 북진의 전진기지를 마련하게 된 것이었다.
      551년에는 연호를 개국으로 고치고, 진흥왕은 낭성(청주)을 순행한 뒤에 본격적으로 한강유역으로 북상하게 된다. 백제가 한성과 남평양을 포함한 6군(한성, 남평양을 중심으로 용인, 광주, 이천, 안성 일대일 가능성이 높고, 한강 이북의 경우에는 파주, 양주 일대가 포함)을 점령하여 한강 하류일대를 장악하게 되자, 거칠부 등에게 명하여 승세를 타고 고구려의 10군(춘천, 원주, 제천, 가평, 양구, 화천, 회양, 김화, 창도)을 확보하여 북한강 상류 추가령 구조곡 일대까지 영역을 확보하였다. 이후 신라는 백제가 확보한 지역까지 장악한 뒤에 553년에 신주를 설치하였고,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를 격파하였다. 진흥왕은 북한산을 순행한 뒤에 고구려의 남평양인 아차산 일대에 북한산주를 설치하였고, 한강 이북 지역 대한 영역화를 진행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한강유역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한 이 시기는 본고에서 한강유역 진출기로 파악하였다.
      신라는 568년에 한강유역에서는 북한산주를 폐지하고 남천주를 설치하고, 동시에 비열홀주를 폐지하고 달홀주를 설치한다. 이러한 대대적인 주치의 변화는 대고구려 방어선의 변동과 관련된다. 특히 572에 다수의 전사자가 발생한 것을 짐작케하는 팔관연회가 개최되었다. 이를 통하여 568~572년에 대대적인 군사적 충돌이 있었고, 신라가 한강 이북 지역을 고구려에게 상실하였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고려사󰡕 악지 장한성가의 내용을 통하여 신라의 장한성(아차산성 및 아차산 일대 보루군 포함)을 고구려에게 상실하였다가, 신라가 탈환하였던 정황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아차산 일대 보루군에 대한 조사성과의 재검토를 통하여 고구려가 551년 이후에도 한강 이북에 군사를 주둔하였다는 것을 입증해 보았다.
      한편 학계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는 고구려 온달이 아단성을 공격한 사건을 주목해 보았다. 아단성 전투는 590~594년경에 발생한 것이며, 아단성의 위치는 서울 아차산성임을 재확인하였다. 단양 영춘의 옛 지명이 乙阿旦이라는 점 등을 근거로 온달산성에 비정한 견해와 소백산맥 일대까지 고구려가 남진하였다는 견해가 문제가 있음을 고고학적인 자료와 온달 전승의 유포와 전승 과정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밝혔다. 즉, 남천주 설치 단계는 고구려가 한강 이북 지역으로 다시 남진하고, 신라가 이를 막아내는 시기에 해당하며, 한강유역 영역화의 소강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604년에 신라는 북한산주를 재설치하였는데, 기왕의 연구에서는 이 시기를 포함하여 백제-고구려 멸망기와 나당전쟁기의 영역화 과정은 앞 시기와 단절적으로 다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단계를 한강유역 영역화의 완성기로 설정하였다. 신라는 603년 고구려의 북한산성(=아단성, 아차산성) 공격을 진평왕의 친정을 통하여 막아낸 뒤, 이듬해에 북한산주를 재설치하였다. 북한산주가 재설치된 이후의 내용은 사료가 소략하여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기 어렵지만, 고고학 자료를 통하여 북한산주의 치소인 북한산성이 현재 아차산성임을 확증하였다. 또한 한강유역의 성곽과 고분의 조성을 분석하여, 앞 시기에 비하여 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지배가 안정화되었고, 낭비성 전투를 통하여 고구려와의 경계가 임진강 일대에 이른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강유역의 남쪽 백제와 경계를 검토하면서 기왕에 논란이 많았던 가잠성을 청주 부모산성에 비정하였다.
      한편 637년에 우수주가 설치되면서 북한산주의 관할범위와 운영에 변화가 발생하였다. 우수주가 북한산주에서 분리되면서, 북한산주는 한산주로 개칭되고 치소도 한강 이남의 이성산성 일대로 옮겨졌다. 한산주가 설치된 이후에 대고구려관계는 당과의 전쟁 여파로 소강기에 접어들었다. 638년에 신라가 고구려로부터 칠중성을 공격받았으나 이를 막아내었다. 643년에는 백제가 고구려와 연합하여 당항성 공격을 시도하였다. 신라는 고구려-당의 전쟁에서 당을 지원하면서 임진강 이북 지역으로 활동범위를 넓히게 되지만, 655년 고구려와 백제가 연합하여 신라의 33성을 공격하는 대규모 전투가 벌어지면서 신라는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위기감에 신라는 당을 적극적으로 전쟁에 끌어들이면서, 660년에 백제를 멸망시킨다. 같은해 고구려에게 칠중성을 상실하지만, 이듬해인 661년에 북한산성(아차산성)에서 고구려의 공격을 막아내었다. 이후 고구려가 멸망하고 신라는 평양과 고구려의 옛 영역을 확보하지는 못했지만, 최종적으로 735년에 당으로부터 패강 이남의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공인받게 되었다. 그 결과로 확정된 6~7세기 신라의 한강유역 영역화의 최종적인 결과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의 한강유역 영역화 과정에 대한 정치외교적인 측면과 지방지배와 경제적인 측면의 역사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신라는 군사력의 동원 과정에서 왕권이 강화되고, 이를 통하여 중앙의 지배체제가 정비될 수 있었다. 대외적으로는 한강유역을 확보하여 고구려와 백제가 육상에서 연결되는 교통로를 차단하고, 남양만 일대에 대중국 항구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라는 대중국 외교가 활발하게 진행하였고, 결과적으로 백제와 고구려를 순차적으로 멸망시킬 수 있었다.
      또한 한강유역 진출 이후 신복속지에서 재지민의 지배 방식과 융합의 의미를 살펴보고, 활발한 축성의 결과로 한강유역은 면적당 밀도가 높은 행정 구역이 설정될 수 있었다. 한강유역을 확보한 후에 농업 생산력이 증가하고 철 등의 자원을 확보하였다. 또한 한강 수계를 이용한 물류망의 발전은 신라의 경제 성장의 기반이 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序 論
      • 1. 연구 목적과 연구사 검토
      • 2. 연구 방법과 구성
      • Ⅰ. 신라의 남한강 상류 지역과 낙동강 하구의 확보
      • 序 論
      • 1. 연구 목적과 연구사 검토
      • 2. 연구 방법과 구성
      • Ⅰ. 신라의 남한강 상류 지역과 낙동강 하구의 확보
      • 1. 남한강 상류 지역 진출과 거점의 확보
      • (1) 동해안 지역에서 고구려와의 충돌
      • (2) 추풍령-화령-계립령 일대 거점의 안정화 시도
      • (3) 우산성 전투와 남한강 상류 지역 확보
      • 2. 加耶 지역 진출과 한강 일대의 상황
      • (1) 대고구려 소강기 신라의 가야 지역 진출
      • (2) 한성 지역을 둘러싼 고구려-백제의 길항
      • Ⅱ.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 州의 설치
      • 1. 獨山城 전투와 삼국의 정세 변화
      • 2. 미호천 유역과 國原의 확보
      • (1) 도살성․금현성 전투와 미호천 유역 진출
      • (2) 국원 평정과 진흥왕의 낭성 순행
      • 3. 한강유역의 확보와 新州-北漢山州의 설치
      • (1) 신주의 설치와 관산성 전투
      • (2) 진흥왕의 북한산 순행과 北漢山州 설치
      • Ⅲ. 신라의 南川州 설치와 고구려 남진의 좌절
      • 1. 南川州 설치와 고구려의 남진 시도
      • (1) 한강 이남으로 방어선의 후퇴
      • (2) 고구려의 남진과 아차산 일대 보루군
      • 2. 고구려의 재남진과 阿旦城 전투
      • (1) 한강 이북 지역의 회복
      • (2) 阿旦城 전투와 고구려의 재남진 저지
      • Ⅳ. 신라의 한강 이북 지역 안정화와 영역 확정
      • 1. 北漢山城 전투와 北漢山州의 재설치
      • 2. 娘臂城 전투와 임진강 유역 진출
      • (1) 고구려의 우회공격과 우명산성의 상실
      • (2) 낭비성 확보와 임진강 유역으로 방어선의 북상
      • 3. 羅唐戰爭의 종결과 임진강 이남 지역 확보
      • (1) 백제 멸망을 전후한 북방영역 변화의 추이
      • (2) 고구려 멸망과 나당전쟁 이후 영역 확정
      • Ⅴ. 신라의 한강유역 영역화 과정의 특징과 의미
      • 1. 지배체제의 강화와 대중국 관계의 본격화
      • (1) 영역 확장 과정에서 왕계와 지배집단의 변동
      • (2) 서해안 항구의 확보와 대중국 교섭의 강화
      • 2. 지방통치의 정비와 경제적 기반의 확보
      • (1) 신복속지 재지세력의 융합과 인적 자원의 증가
      • (2) 집중적인 축성과 성곽의 지방 치소화
      • (3) 물적 자원의 증가와 물류의 발전
      • 結 論
      • 參考文獻
      • 抄 錄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도학, "「고대」", 역사학회, 아차산의 역사와 문화유산, 구리시,구리문화원, 1994

      2 류기선, "「중세」", 역사학회, 아차산의 역사와 문화유산, 구리시,구리문화원, 1994

      3 손영종, "고구려사 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7

      4 심광주, "「신라성곽」", 京畿道의 城郭, 경기문화재단, 2003

      5 손영종, "『고구려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6 이춘식, "事大主義",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7 南在祐,, "安羅國史", 혜안, 2003

      8 국립중앙박물관, "法泉里Ⅰ", 2000

      9 국립중앙박물관, "法泉里Ⅱ", 2002

      10 겨레문화유산연구원, "계양산성Ⅱ", 2011

      1 이도학, "「고대」", 역사학회, 아차산의 역사와 문화유산, 구리시,구리문화원, 1994

      2 류기선, "「중세」", 역사학회, 아차산의 역사와 문화유산, 구리시,구리문화원, 1994

      3 손영종, "고구려사 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7

      4 심광주, "「신라성곽」", 京畿道의 城郭, 경기문화재단, 2003

      5 손영종, "『고구려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6 이춘식, "事大主義",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7 南在祐,, "安羅國史", 혜안, 2003

      8 국립중앙박물관, "法泉里Ⅰ", 2000

      9 국립중앙박물관, "法泉里Ⅱ", 2002

      10 겨레문화유산연구원, "계양산성Ⅱ", 2011

      11 겨레문화유산연구원, "계양산성Ⅲ", 2016

      12 조희승, "백제사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2

      13 경희대학교고고미술사 연구소, "오두산성Ⅰ", 1992

      14 김수태, "백제의 전쟁", 주류성, 2007

      15 임용한, "전쟁과 역사", 혜안, 2001

      16 건설부, "한국의 홍수", 1969

      17 成周鐸, "百濟城址硏究", 서경문화사, 1990

      18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1999

      19 강인숙, 리지린, "고구려사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76

      20 충북대학교박물관, "中原 薔薇山城", 2004

      21 박순발, "백제토기 탐구", 주류성, 2006

      22 광진구 광진문화원, "아차산의 전설", 2010

      23 김민수, "아차산의 전설", 고구려역사문화보전회, 2007

      24 세종대학교박물관, "의왕 모락산성", 2006

      25 최혜숙, "高麗 南京 硏究", 景仁文化社, 2004

      26 양시은, "고구려 성 연구", 진인진, 2016

      27 高麗大學校 考古環境硏究所,, 韓國考古環境硏究所, "홍련봉 1, 2보루", 2015

      28 延敏洙,, "古代韓日關係史", 혜안, 1998

      29 노중국, "百濟政治史硏究", 一潮閣, 1988

      30 정구복, "韓國古代史學史", 景仁文化社, 2008

      31 이영식, "가야제국사연구", 생각과 종이, 2016

      32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33 전용신, "한국고지명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93

      34 千寬宇, "「三韓의 國家形成」", 韓國學報2,3, 1976

      35 백종오, 한준영, "「光名市 關防遺蹟」", 광명시의 역사와 문화, 세종대학교박물관, 2003

      36 梁起錫, "「國原小京과 于勒」", 忠北史學16, 2006

      37 이승현, "「新羅의 東宮制度」", 한국고대사연구55, 2009

      38 이용현, "「가야의 대외관계」", 한국 고대사 속의 가야, 혜안, 2001

      39 이한상, "「고구려의 장신구」",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고 려대학교박물관, 2005

      40 김주성, "「무왕의 권력강화」", 사비도읍기의 백제(百濟文化史大系 硏究叢書 5),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2007

      41 최병현, "「중원의 신라고분」", 중원의 고분,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09

      42 최호근, "「집단기억과 역사」", 역사교육연구회, 歷史敎育85, 2003

      43 金貞培, "「초기국가의 성격」", 韓國史4 國史編纂委員會, 1997

      44 임기환, "「후기의 정세변동」", 한국사5 삼국의 정치와 사회Ⅰ-고구려, 국 사편찬위원회, 1997

      45 박순발, "漢城百濟의 誕生", 서경문화사, 2001

      46 朱甫暾, "금석문과 신라사", 지식산업사, 2002

      47 서영교, "나당전쟁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6

      48 梁起錫, "백제의 국제관계", 서경문화사, 2006

      49 김윤우, "북한산 역사지리", 범우사, 1995

      50 이상수, "삼척의 고고문화", 삼척시립박물관, 2012

      51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서울 양천고성지", 2016

      52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박물관, "漣川 瓠蘆古壘Ⅳ", 2014

      53 申瀅植, "「新羅 發展과 漢江」", 韓國史硏究77, 1992

      54 鄭媛朱, "高句麗 滅亡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55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고구려 유물 연구", 2005

      56 국립진주박물관, "서부 경남의 성곽", 2011

      57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서울 독산동 유적", 2016

      58 高麗文化財硏究院, "서울 명륜동 유적", 2012

      59 한얼문화재연구원, "서울 우면동 유적", 2012

      60 권덕영, "신라의 바다 황해", 일조각, 2012

      61 국방문화재연구원, "파주 덕은리 유적", 2013

      62 김규동, 성재현, "「船里. 銘文瓦 考察」", 考古學志7, 2011

      63 서울대학교박물관, "연천 무등리 2보루", 2015

      64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용인 할미山城(Ⅳ)", 2017

      65 李宇泰, "「北韓山碑의 新考察」", 서울학연구12, 1999

      66 尹武炳, 成周鐸, "「百濟山城의 新類型」", 百濟硏究8, 1977

      67 朱甫暾, "「金庾信의 政治指向」", 新羅史學報11, 2007

      68 李昊榮, "「麗濟連和說의 檢討」", 慶熙史學9,10, 1982

      69 이영재, "「麗羅密約說의 검토」", 韓國古代史硏究80, 2015

      70 이성주, "「가야와의 문물교류」", 백제의 문물교류(백제문화사대계 연구총서 10),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71 박수영, "「강원도의 신라고분」", 흙에서 깨어난 강원의 신라문화, 국립춘 천박물관, 2013

      72 김재홍, "「철제농기구와 우경」", 한국사연구입문①, 풀빛, 1995

      73 李弘稙, "韓國古代史의 硏究", 新丘文化社, 1971

      74 손영종, "고구려사의 제문제", 사회과학출판사, 2000

      75 주보돈, "「于勒의 삶과 가야금」", 악성 우륵의 생애와 대가야 문화, 고령 군,대가야박물관,계명대학교 학국학연구원, 2006

      76 李丙燾, "「北漢山州 置廢 問題」", 鄕土서울6, 1959

      77 朴賢淑, "「熊津 遷都와 熊津城」", 百濟文化30, 2001

      78 洪潽植, "「百濟와 加耶의 교섭」", 百濟文化27, 1998

      79 김주성, "「管山城 戰鬪의 背景」", 中原文化論叢12, 2008

      80 오승환, "「백제 사람들의 음식」", 서울 2천년사 -⑤한성백제의 문화와 생활 -, 서울역사편찬원, 2015

      81 김기흥, "「통일의 배경과 요인」",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4-신라의 삼국 통일, 경상북도, 2016

      82 국립공주박물관,, 충남대학교박물관, "大田 月平洞忠 遺蹟", 1999

      83 장창은, "고구려 남방 진출사", 景仁文化社, 2014

      84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85 김창호, "고신라 금석문 연구", 서경문화사, 2007

      86 한백문화재연구원, "남양주 별내 유적Ⅲ", 2012

      87 국방문화재연구원, "남양주 수석동 유적", 2011

      88 국립중앙박물관, "남양주 수석리 보루", 2010

      89 李道學, "백제 고대국가 연구", 一志社, 1995

      90 문안식, "백제의 흥망과 전쟁", 혜안, 2006

      91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양주 태봉산 보루Ⅰ", 2016

      92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양주 태봉산 보루Ⅱ", 2017

      93 홍보식, "新羅 後期 古墳文化 硏究", 춘추각, 2003

      94 李永植, "「加耶諸國의 外交形式」", 韓國古代史硏究7, 1994

      95 金崙禹, "「娘臂城과 孃子谷城考」", 史學志21, 1988

      96 강인구, "「漢江地域 高句麗古墳」", 古墳硏究, 學硏文化社, 2000

      97 李永植, "「百濟의 加耶進出過程」", 韓國古代史論叢7, 1995

      98 閔德植, "「陽平地域의 關防遺蹟」", 忠北史學23, 2009

      99 朴京哲, "「麗羅戰爭史의 再檢討」", 韓國史學報26, 2007

      100 심광주, "「남한산성의 축성기술」", 남한산성, 경기도박물관, 2011

      101 노중국, "「北漢山 眞興王巡狩碑」", 譯註 韓國古代金石文2, 駕洛國史蹟開 發硏究院, 1992

      102 宣奉助, "7세기 濟,麗同盟 硏究",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博士 學位論文, 2017

      103 김덕원, 조범환, 이부오, 김창겸, "韓國 古戰史 -古代編-", 육군본부, 2007

      104 金貞培,, "韓國古代史와 考古學", 신서원, 2000

      105 이용현, "가야제국과 동아시아", 통천문화사, 2007

      106 中央文化財硏究院, "고양 멱절산유적(1차)", 2014

      107 강종훈, "삼국사기 사료비판론", 여유당, 2011

      108 박중균, "「中原 古墳遺蹟의 검토」", 高句麗와 中原文化, 주류성, 2014

      109 金瑛河, "「新羅時代 巡守의 性格」", 民族文化硏究14, 1979

      110 梁起錫, "「新羅의 淸州地域 進出」", 文化史學11,12,13, 1999

      111 李龍範, "「紺岳山 古碑에 대하여」", 佛敎美術7, 1983

      112 金秉柱, "「羅濟同盟에 관한 硏究」", 韓國史硏究46, 1984

      113 정나리, "「高句麗 金製耳飾 硏究」",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5

      114 정영호, "「고구려의 불교와 불상」",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고려대학교박물관, 2005

      115 최영준, "「남한강의 수로와 수운」", 국토와 민족생활사, 한길사, 1997

      116 서영일, "「삼국 항쟁과 아차산성」", 아차산성, 광진구,광진문화원, 2014

      117 이영식, "「六世紀 安羅國史 硏究」", 國史館論叢62, 1995

      118 경기도박물관, "抱川 城洞里 마을遺蹟", 1999

      119 한신대학교박물관, "華城 松山洞 農耕遺蹟", 2009

      120 李仁哲, "고구려 대외정복 연구", 백산자료원, 2000

      121 중앙문화재연구원, "고양 도내동 원당유적", 2014

      122 이인철, "신라 정치경제사 연구", 일지사, 2003

      123 김민수, "아차산의 역사와 숨결", 광진구, 2001

      124 중앙문화재연구원, "용인 보정동 442-1 유적", 2011

      125 기전문화재연구원, "용인 보정리 소실유적", 2005

      126 皇甫慶, "「新州 位置에 대한 硏究」", 白山學報53, 1999

      127 방용철, "「麗,濟 連和說의 재검토」", 民族文化論叢62, 2016

      128 李永植, "「가야국명의 재검토(Ⅰ)」", 伽倻文化17, 2004

      129 畿甸文化財硏究院, "華城 석우리 먹실 遺蹟", 2007

      130 국립충주대학교박물관, "단양 赤城 어제와 오늘", 2011

      131 김일규, "백제 고고학 편년 연구", 학연문화사, 2015

      132 서영일, "신라 육상 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133 정동준, "7세기 전반 백제의 대외정책", 한국역사연구회, 역사와 현실46, 2002

      134 박명호, "7세기 신라 정치사 이해", 景仁文化社, 2016

      135 김종만, "사비시대 백제토기연구", 서경, 2004

      136 김영하, "「一統三韓의 실상과 의의」", 한국고대사연구59, 2010

      137 沈光注, "「南韓地域의 高句麗 유적」", 高句麗硏究12, 2001

      138 金泰植, "「大加耶의 世系와 道設智」", 震檀學報81, 1996

      139 林相先, "「新羅時代 서울지역 經營」", 鄕土서울61, 2001

      140 金瑛河, "「新羅의 發展段階와 戰爭」", 韓國古代史硏究4, 1991

      141 조인규, "「沃川 已城山城 발굴조사」", 호서지역 문화유적 발굴성과, 호서 고고학회, 2016

      142 金起燮, "「百濟 近肖古王代의 北境」", 軍事29, 1994

      143 韓圭哲, "「高句麗時代의 靺鞨 硏究」", 釜山史學14,15, 1988

      144 임동철, "「온달전설의 분포와 전승」", 온달문학의 설화성과 역사성, 박이 정, 2000

      145 류기선, "「조선 사복시 살곶이목장」", 박물관휘보5, 1994

      146 김상헌, "「충주 장미산성 시굴조사」", 2016년 호서지역 문화유적 발굴성 과, 호서고고학회, 2016

      147 關東大學校 博物館, "三陟의 歷史와 文化遺蹟", 1995

      148 한국선사문화연구원, "忠州 塔坪里 탑평들遺蹟", 2014

      149 姜鳳龍, "新羅 地方統治體制 硏究", 서울大學校 國史學科 博士學位論文, 1994

      150 단양문화원, "溫達山城의 歷史와 文化", 1997

      151 황보경, "「603年 北漢山城 전투 고찰」", 韓國史學報58, 2015

      152 李萬烈, "「三國의 抗爭」 韓國史3", 國史編纂委員會, 1989

      153 盧泰敦, "「三韓에 대한 認識의 變遷」", 韓國史硏究38, 1982

      154 심광주, "「新羅 城郭 出土 文字기와」", 성곽과 기와, 한국기와학회,한국성 곽학회, 2013

      155 임동민, "「백제와 동진의 교섭 항로」", 백제연구17, 2015

      156 이강래, "「삼국의 성립과 영역 확립」", 한국사 3.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 로-1, 한길사, 1994

      157 李丙燾, "「北漢山 文殊寺 內의 石窟」", 眞檀學報61, 1986

      158 홍영호, "新羅의 何瑟羅 經營 硏究", 景仁文化社, 2006

      159 강원대학교 박물관, "華川의 歷史와 文化 遺蹟", 1996

      160 최광식, "고대 한국의 국가와 제사", 한길사, 1994

      161 노중국,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 지식산업사, 2012

      162 윤명철, "「강화지역의 해양방어체제」", 고구려산성과 해양방어체제연구, 백산자료원, 2003

      163 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一潮閣, 1984

      164 심광주, "「三國時代 城郭과 二聖山城」", 二聖山城 -이성산성 발굴 20주년 기념 특별전-, 한양대학교박물관, 2006

      165 秦弘燮, "「南山新城碑의 綜合的 考察」", 歷史學報26, 1965

      166 白種伍, "「南韓內 高句麗古墳의 檢討」", 高句麗渤海硏究35, 2009

      167 李基東, "「新羅 奈勿王系의 血緣意識」", 歷史學報52,53, 1972

      168 金昌謙, "「新羅時代 太子制度의 性格」", 韓國上古史學報13, 1993

      169 崔壹聖, "「歷史地理的으로 본 鷄立嶺」", 湖西史學14, 1986

      170 金一圭, "「漢城期 百濟土器 編年再考」", 先史와 古代27, 2007

      171 金元龍, "「百濟初期古墳에 대한 再考」", 歷史學報62, 1974

      172 姜萬吉, "「眞興王碑의 隨駕臣名 硏究」", 史叢1, 1955

      173 이용현, "「高句麗 南進과 임진강유역」", 臨津江流域의 古代社會, 인하대 학교 박물관, 2002

      174 서영일, "「군사제도와 외곽 방어체계」", 서울 2천년사 -④한성백제의 도성 과 지배체제-, 서울역사편찬원, 2015

      175 안형기, 이홍종, "「삼성동토성 위치추정 연구」",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야외고고학27, 2016

      176 이기봉, "「서울에서 세계문명을 보다」", 고지도를 통해 본 서울지명연구, 국립중앙도서관, 2001

      177 최병현, "「신라 후기양식토기의 편년」", 영남고고학회, 嶺南考古學59, 2011

      178 량익룡, "「안변 용성리 고분발굴보고」", 문화유산58-4, 1958

      179 박초롱, "「진흥왕순수비 건립의 의의」", 한국사학회, 사학연구118, 2015

      180 권순진, "「철원지역 신라산성의 성격」", 육군군사연구소, 군사연구135, 2013

      181 양보경, 홍금수, "「한강유역의 역사 인문지리」", 경기도3대하천유역 종합학 술조사 Ⅲ-한강 Vol.1 환경과 삶-, 경기도박물관, 2002

      182 趙二玉, "統一新羅의 北方進出 硏究", 서경문화사, 2000

      183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남양주의 역사와 문화유적", 1999

      184 인하대학교박물관, "문학산의 역사와 문화유적", 2002

      185 강경구, "신라의 북방영토와 김유신", 학연문화사, 2007

      186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안성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1999

      187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양평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1999

      188 신형식, "한국고대사의 새로운 이해", 주류성, 2009

      189 노태돈,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집문당, 2009

      190 徐榮洙, "「三國과 南北朝 交涉의 性格」", 東洋學11, 1981

      191 李道學, "「二聖山城 出土 木簡의 檢討」", 韓國上古史學報12, 1993

      192 徐榮一, "「利川 雪城山城에 대한 고찰」", 史學志32, 1999

      193 梁起錫, "「南漢江 流域의 古代史 硏究」", 江原文化史硏究4, 1999

      194 朱甫暾, "「新羅 中古期의 郡司와 村舍」", 韓國古代史硏究1, 1988

      195 李基白, "「新羅 初期 佛敎와 貴族勢力」", 震檀學報40, 1975

      196 全德在, "「新羅 花郞徒의 武藝와 手搏」", 韓國古代史硏究38, 2005

      197 金甲童, "「新羅와 百濟의 管山城 戰鬪」", 白山學報52, 1999

      198 姜眞周, "「漢江流域 新羅 土器의 性格」", 先史와 古代26, 2007

      199 김수태, "「百濟 威德王의 정치와 외교」", 韓國人物史硏究2, 2004

      200 양기석, "「管山城 戰鬪의 樣相과 影響」", 中原文化論叢12, 2008

      201 서영일, "「고구려의 백제 교통로 고찰」", 史學志38, 2006

      202 김현숙, "「삼국시기 안동 지역의 역사」", 고대 안동의 역사와 문화, 안동시, 2009

      203 김영심, "「웅진,사비시기 百濟의 領域」", 古代 東亞世亞와 百濟, 서경, 2003

      204 金一圭, "「웅진기 백제양식 연대 시론」",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50, 2014

      205 이규근, "「장미산성 축조에 관한 검토」", 중원문화재연구원, 중원문화재연구2, 2008

      206 辛善惠, "新羅 中古期 佛敎敎團 연구", 高麗大學校 韓國史學科 博士學 位論文, 2016

      207 김주성, "百濟 泗沘時代 政治史 硏究", 全南大學校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1990

      208 심광주, "남한지역 고구려 성곽 연구", 상명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209 이정숙, "신라 중고기 정치사회 연구", 혜안, 2012

      210 서울대학교박물관, "아차산성 -시굴조사 보고서", 1999

      211 황보경, "역사자료로 본 삼국과 한강", 주류성, 2016

      212 김영하, "한국 고대사의 인식과 논리", 주류성, 2012

      213 국성곽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성곽학회, 2017

      214 鄭雲龍, "「5世紀 高句麗 勢力圈의 南下」", 史叢35, 1989

      215 노중국, "「7世紀 新羅와 百濟와의 關係」", 新羅學國際學術大會論文集-7世 紀 東亞世亞의 新羅, 慶州市,新羅文化遺産硏究院, 2010

      216 노병식, "「忠州 地域 新羅 築城의 변화」", 중원문화연구22, 2014

      217 車勇杰, "「慰禮城과 漢城에 對하여(Ⅰ)」", 鄕土서울39, 1981

      218 梁起錫, "「熊津時代의 百濟支配層硏究」", 史學志14, 1980

      219 전덕재, "신라의 北進과 서북 경계의 변화", 한국사연구회, 韓國史硏究173, 2016

      220 중원문화재연구원, "문화유적 분포지도 -영동군-", 2006

      221 이도학, "백제 한성,웅진성 시대 연구", 일지사, 2009

      222 사회과학원력사연구소, "조선전사 3:중세편 고구려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1

      223 김지영 ( Kim Ji-young ), "7세기 고구려와 백제 관계의 변화",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학연구32, 2016

      224 신형식, "「신라의 영토확장과 북한산주」", 鄕土서울66, 2005

      225 이창식, "「온달문화축제의 성격과 전망」", 온달문학의 설화성과 역사성, 박이정, 2000

      226 정운용, "「정복사업의 추진과 영역확장」", 신라의 체제 정비와 영토확장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03), 경상북도, 2017

      227 金瑛河,, "韓國古代社會의 軍事와 政治",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2001

      228 李道學, "고구려 광개토왕릉비문 연구", 서경, 2006

      229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 사람들, 2005

      230 허태용,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아카넷, 2009

      231 정재윤, "「4~5세기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 고구려발해학회, 高句麗渤海硏究44, 2012

      232 金泰植, "「5~6세기 高句麗와 加耶의 관계」", 北方史論叢11, 2006

      233 金貞培, "「中原高句麗碑의 몇 가지 問題」", 史學志13, 1979

      234 金元龍, "「丹陽赤城의 歷史 地理的 性格」", 史學志12, 1978

      235 朱甫暾, "「二聖山成 出土의 木簡과 道使」", 慶北史學14, 1991

      236 김영관, "「古代 淸州地域의 歷史的 動向」", 白山學報82, 2008

      237 梁起錫, "「新羅 五小京의 設置와 西原京」", 湖西文化硏究4, 1993

      238 盧重國, "「漢城百濟의 沒落과 首都 移轉」", 鄕土서울64, 2004

      239 이도학, "「漢江流域 支配權의 變遷 考察」", 삼국 한강, 광진문화원, 2015

      240 成周鐸, "「百濟末期 國境線에 대한 考察」", 百濟硏究21, 1990

      241 鄭雲龍, "「羅濟同盟期 新羅와 百濟 關係」", 白山學報46, 1996

      242 김주성, "「聖王의 漢江流域 占領과 喪失」", 百濟史上의 戰爭, 서경문화사, 2000

      243 閔德植, "「鎭川 大母山城의 分析的 硏究」", 韓國史硏究29, 1980

      244 金永上, "「阿旦城과 長漢城에 대한 考察」", 鄕土서울51, 1992

      245 서영일, "「高句麗의 百濟 攻擊과 南進路」", 경기도 고구려 문화유산, 경 기도박물관, 2007

      246 전덕재, "「삼국 및 통일신라의 수리시설」", 한국고대의 수전농업과 수리시 설, 서경문화사, 2010

      247 강진주, "「삼국시대 충주의 진출과 지배」", 高句麗와 中原文化, 주류성, 2014

      248 金德原, "「신라 眞平王代 金庾信의 활동」", 신라사학보10, 2007

      249 황보경, "「신라의 安城地域 진출과 의미」", 韓國古代史探究25, 2017

      250 주보돈, "「웅진 도읍기 백제와 신라관계」", 古代東亞世亞와 百濟, 서경, 2003

      251 이홍두, "「조선전기 畿甸의 牧馬場 설치」", 서울과 역사93, 2016

      252 金昌鎬, "「北漢山碑에 보이는 甲兵 문제」", 文化財25, 1992

      253 李昊榮, "月山 李昊榮의 韓國史學 編歷", 서경문화사, 1984

      254 李販燮, "百濟 交通路의 考古學的 硏究", 忠南大學校 考古學科 博士學 位論文, 2015

      255 대동문화재연구원, "고령 주산성 현장설명회 자료", 2015

      256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파주 칠중성 지표조사 보고서", 2001

      257 申瀅植, "「巡幸을 통해 본 三國時代의 王」", 韓國學報24, 1981

      258 李銖勳, "「新羅 中古期 州의 構造와 性格」", 釜大史學12, 1988

      259 서영교, "「高句麗 倭 連和와 阿旦城 전투」", 軍史81, 2011

      260 김주성, "「백제 무왕의 대야성 진출 기도」",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백제연구49, 2009

      261 성윤길, "「삼국시대 6세기 금동광배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美術史學硏究277, 2013

      262 정운용, "「신라의 성장과 한강 지역 지배」", 서울 2천년사 -⑥삼국의 각축 과 한강-, 서울역사편찬원, 2015

      263 정운용, "「한강 유역 회복과 관산성 전투」", 泗沘都邑期의 百濟(백제문화 사대계 연구총서5),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2007

      264 김기흥, "삼국 및 통일신라 세제의 연구", 역사비평사, 1991

      265 국립문화재연구소, "아차산 4보루 발굴조사 보고서", 2009

      266 경기도박물관, "연천 당포성2-시굴조사보고서-", 2008

      267 경기도 박물관, "龍仁할미산성 試掘調査報告書", 2005

      268 白種伍, "「仁川沿岸의 古代城郭에 대하여」", 문화사학23, 2007

      269 任孝宰, 尹相悳, "「峨嵯山城의 築造年代에 대하여」", 淸溪史學16,17, 2002

      270 한정훈, "「신라통일기 육상교통망과 五通」", 釜大史學27, 2003

      271 김진영, "「한강유역 신라고분의 전개과정」", 백산학회, 白山學報79, 2007

      272 金珉秀,, "峨嵯山에서의 古代史의 諸問題", 九里文化院, 1999

      273 漢陽大學校 博物館, "안산 성태산성 지표조사보고서", 2000

      274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장미산성 시굴조사보고서", 2014

      275 홍영호, "「三國史記 所載 泥河의 위치비정」", 韓國史硏究150, 2010

      276 서영일, "「京畿北部地域 高句麗 堡壘 硏究」", 文化史學17, 2002

      277 하승철, "「山淸 中村里古墳群에 대한 小考」", 慶南硏究2, 2010

      278 拜根興, "「新羅 文武王代의 對唐交涉 術論」", 新羅文化16, 1999

      279 이도학, "「新羅의 北進經略에 관한 新考察」", 慶州史學6, 1987

      280 權五榮, "「漢城百濟의 時空的 上限과 下限」", 百濟硏究53, 2011

      281 박진숙, "「百濟 東城王代 對外政策의 變化」", 百濟硏究32, 2000

      282 朱甫暾, "「金春秋의 外交活動과 新羅 內政」", 韓國學論叢20, 1993

      283 허미형, "「경기지역의 新羅係 평기와 小考」", 畿甸考古5, 2005

      284 전덕재, "「관산성전투에 대한 새로운 고찰」",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新羅文化34, 2009

      285 이상희, "「신라시대 한주지역 토기완 연구", 세종대학교 사학과 석사학 위논문, 2010

      286 심광주, "「임진강 유역의 역사와 관방유적」", 임진강, 경기도박물관, 2009

      287 김성명, 박영복, "「중부지역 발견 고구려계 귀걸이」", 昌山 金正基博士 華甲 紀念論叢, 1990

      288 정운용, "「金石文에 보이는 高句麗의 年號」", 韓國史學報5, 1998

      289 이형호, "南韓地域 出土 高句麗土器 硏究", 고려대학교 고곡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290 金英燮, "峨嵯山 高句麗 堡壘群의 재고찰", 檀國大學校 史學科 碩士學 位論文, 2009

      291 안성현, "경남지역 고대 石築山城의 연구", 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292 박대재, "고대한국 초기국가의 왕과 전쟁", 景仁文化社, 2006

      293 한림대학교박물관, "양주 대모산성 -동문지, 서문지-", 2002

      294 문화재연구소, 한림대학교박물관, "양주 대모산성 발굴조사 보고서", 1990

      295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연천 당포성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3

      296 서경문화재연구원, "용인 보정동 988-1번지 일원 유적", 2014

      297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제철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13

      298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포천 반월산성 -종합보고서(Ⅰ)-", 2004

      299 이상훈(李相勳), "661년 북한산성 전투와 김유신의 대응",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31, 2016

      300 梁起錫, "「5~6世紀 前半 新羅와 百濟의 關係」", 新羅文化際學術發表會論 文集15, 1994

      301 林起煥, "「6, 7세기 高句麗 귀족세력의 동향」", 韓國古代史硏究5, 1992

      302 박종욱, "「602년 阿莫城 戰鬪의 배경과 성격」", 韓國古代史硏究69, 2013

      303 金昌鎬, "「二聖山城 출토의 木簡 年代 問題」", 韓國上古史學報10, 1992

      304 金澤均, "「東濊考-江陵 濊國說과 관련하여-」", 江原文化硏究16, 1997

      305 李道學, "「百濟 蛇城의 位置에 대한 再檢討」", 韓國學論集17, 1990

      306 박종서, "「高句麗 娘臂城 위치에 대한 검토」", 국학연구17, 2010

      307 김진형, "「영월 정양산성 발굴성과 및 의의」", 영월 정양산성 보존 및 활 용방안 학술 심포지엄, 江原考古文化硏究院, 2014

      308 강인구, "「인천의 진산, 문학산의 문화유적」", 새얼문화재단, 황해문화19, 1998

      309 서승완(Seo Seung-Wan), "파주 덕진산성의 축성법의 변화 검토", 고구려발해학회, 高句麗渤海硏究58, 2017

      310 김현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Ⅱ)", 일지사, 2003

      311 김현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Ⅲ)", 일지사, 2003

      312 강민식, "「5세기 후반 삼국의 전투와 대치선」",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軍史87, 2013

      313 장창은,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 당의 전쟁」", 신라사학보38, 2016

      314 김애경, "「6세기 百濟의 加耶진출과 그 성격」", 梨花史學硏究27, 2000

      315 柳炳華, "「國際法上 領土의 槪念 및 그 權限」", 領土問題硏究1, 1983

      316 徐炳國, "「新唐書渤海傳所載 泥河의 再檢討」", 東國史學15,16, 1981

      317 최광식, "「新羅 大祀 中祀 小祀의 祭場 硏究」", 역사민속학4, 1994

      318 심광주, "「桂陽山城의 築造方法과 築造時期」", 인천 계양산성의 역사적 가 치와 활용(인천 계양산성 국가 사적 지정을 위한 학술 심포지엄 자료 집), 2013

      319 홍형우, "「아차산 4보루 성벽의 구조와 특징」", 경기도의 고대문화-최근 발굴 성과를 중심으로-(한국고대학회 춘계학술회의 자료집), 한국고대학회, 2011

      320 전혁기, "「온달산성의 축조양상과 경영변화」", 古代城郭의 修築과 改築(한, 2017

      321 한신대학교박물관, "龍仁 彦南里 -統一新羅 生活遺蹟-", 2007

      322 경기도박물관, "월롱산성 -정밀 학술조사 보고서-", 2004

      323 金周成, "「6~7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상호관계」", 고구려연구회, 高句麗渤海硏究20, 2005

      324 정운용, "「6世紀 新羅의 加耶 倂合과 그 意味」", 史叢52, 2000

      325 양기석, "「三國의 曾坪地域 進出과 二城山城」", 중원문화연구18,19, 2012

      326 서봉수, "「京畿地域 山城出土 新羅기와 硏究」", 京畿史學6, 2002

      327 崔鍾澤, "「南韓地域 高句麗 土器의 編年硏究」", 先史와 古代24, 2006

      328 白種伍, "「抱川 城東里山城의 變遷過程 檢討」", 先史와 古代20, 2004

      329 함순섭, "「新羅 樹枝形帶冠의 退化型式 設定」", 東垣學術論文集3, 2000

      330 李道學, "「漢城末 熊津時代 百濟王系의 검토」", 韓國史硏究45, 1984

      331 蘇在英, "「燕行의 山下와 燕行使의 歷史意識」", 東洋學35, 2004

      332 신형식, "「韓國古代史에 있어서 丹陽의 位相」", 仁山 金在浩會長 古稀紀念 論文集 -丹陽과 그 이웃의 先史文化-, 학연문화사, 2007

      333 박진욱, "「동해안 일대의 신라무덤에 대하여」", 고고민속1967-3, 1967

      334 이희인, "「문학산성의 조사현황과 향후 과제」", 인천의 산성, 그 역사적 가치 재조명-인천 문학산성 복원과 보존 방향-,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2016

      335 홍영호, "「삼척 오화리산성과 신라사적 의미」", 한국이사부학회, 이사부와 동해12, 2016

      336 전덕재,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 지배방식」",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鄕土서울73, 2009

      337 어창선, "「충주 제철유적의 조사현황과 성격」", 高句麗와 中原文化, 주류성, 2014

      338 박윤선, "5세기 중반~7세기 백제의 대외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339 한강문화재연구원, "서울 호암산성 종합정비 기본계획", 2014

      340 최종택, "아차산 보루와 고구려의 남진경영", 서경문화사, 2013

      341 이부오, 하시모토 시게루 역, "이마니시 류 今西龍의 신라사연구", 서경문화사, 2008

      342 임기환, "「5~6세기 고구려의 남진과 영역 범위」", 경기도의 고구려 문화 유산, 경기도박물관, 2007

      343 서지영, "「5~6세기 영주,순흥 재지세력의 동향」", 大丘史學120, 2015

      344 정운용, "「三國時代 新羅 異斯夫의 軍事 活動」", 先史와 古代50, 2016

      345 白種伍, "「中原地域 高句麗 遺蹟 遺物의 檢討」", 高句麗渤海硏究50, 2014

      346 金昌錫, "「古代 領域 관념의 형성과 王土儀式」", 韓國史硏究129, 2005

      347 鄭雲龍, "「新羅의 東海岸 方面 進出과 于山國」", 이사부와 동해12, 2016

      348 박중균, "「父母山城 出土 土器의 樣相과 性格」", 청주 부모산성의 종합적 고찰, 충북대학교 박물관, 2013

      349 전덕재, "「牛首州의 설치와 변천에 관한 고찰」", 江原文化硏究28, 2009

      350 강봉룡, "「순수비에 담긴 진흥왕의 꿈과 아망」", 고대로부터의 통신, 푸른역사, 2004

      351 최종택, "「아차산 고구려 보루의 역사적 성격」",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鄕土서울64, 2004

      352 주성지, "「웅진시대 백제의 蟾津江 水系 진출」", 慶州史學22, 2003

      353 박중균, "「장미산성 출토 土器의 양상과 성격」", 東亞世亞 歷史文化論叢, 서경문화사, 2014

      354 강민식, "「증평 이성산성과 道西,都西,道安縣」", 중원문화연구21, 2013

      355 차용걸, "「청주 부모산성의 조사 성과와 의의」", 청주 부모산성의 종합적 고찰, 충북대학교 박물관, 2013

      356 방유리, "「포천 반월산성 출토 신라유물 연구」", 단국사학회, 史學志41, 2009

      357 김기룡, 이상현, 배기동, "「화성 당성의 발굴조사 성과와 의의」", 신라성곽의 축성과 운영, 그리고 가야성곽 연구(한국성곽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 대회 자료집), 한국성곽학회, 2017

      358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용인 보정리 고분군 발굴조사 보고", 2004

      359 강종훈, "「5세기 후반 고구려와 신라의 국경선」",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 선, 서경문화사, 2008

      360 李仁哲, "「7세기 高句麗 軍事活動의 주요 變數」", 新羅文化24, 2004

      361 심광주, "「南韓 地域 出土 高句麗 기와의 特徵」", 경기도의 고구려 문화유 산, 경기도박물관, 2007

      362 박승범, "「新羅 四瀆의 위치와 그 祭場의 성립」", 新羅史學報23, 2015

      363 李昊榮, "「高句麗, 新羅의 漢江流域 進出 問題」", 史學志18, 1984

      364 김병남, "「백제 무왕대의 영역 확대와 그 의의」", 한국상고사학회, 한국상고사학보38, 2002

      365 양시은, "「아차산 고구려 보루의 구조 및 성격」", 한국대학박물관협회, 고문화79, 2012

      366 이상수, "「유적을 통해 본 이사부 출항지 검토」", 이사부와 동해2, 2010

      367 최희준, "「통일기 신라의 客館 운영과 그 분포」", 韓國史學報69, 2017

      368 정구복, "「삼국사기 원전자료와 사료비판」", 韓國古代史硏究42, 2006

      369 李昊榮, "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 書景文化社, 2001

      370 朴時亨,, "광개토왕릉비 1966, 사회과학출판사;", 푸른나무, 2007

      371 한성문화재연구원, "여주 파사성 7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6

      372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이천 설봉산성 3차 발굴조사 보고서", 2002

      373 한백문화재연구원, "평택 자미산성 2차 발굴조사 보고서", 2010

      374 李賢惠, "「4~5세기 신라의 농업생산과 사회발전」", 韓國上古史學報8l, 1991

      375 김재홍, "「新羅 中古期의 村制와 地方社會構造」", 韓國史硏究72, 1991

      376 趙順欽, 車勇杰, "「管山城 關聯遺蹟의 現狀과 保存方向」", 中原文化論叢12, 2008

      377 최호원, "「高句麗 寶藏王代 對新羅關係와 認識」", 高句麗渤海硏究50, 2014

      378 김희선, "「高句麗의 漢江유역 進出과 關防體系」", 서울학연구20, 2003

      379 鄭永鎬, "「高句麗의 錦江流域進出에 대한 小考」", 山耘史學3, 1989

      380 김영심, "「백제의 지방지배 방식과 섬진강유역」", 백제와 섬진강, 서경문 화사, 2008

      381 박중국, "「삼국시대 한강유역 마을의 생업경제」", 한강 유역의 마을과 생 업경제, 한성백제박물관, 2017

      382 이문기, "「신라 문무왕대의 군사정책에 대하여」", 역사교육학회, 역사교육논집32, 2004

      383 京畿文化財硏究院, "驪州 婆娑城Ⅲ-5, 6차 발굴조사 보고서-", 2014

      384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南漢行宮址 -제6차 발굴조사 보고서-", 2004

      385 중원문화재연구원, "忠州 薔薇山城 -1次 發掘調査 報告書", 2006

      386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온달산성-2012년 발굴조사 보고서-", 2014

      387 한백문화재연구원, "파주 오두산성 정밀지표조사 보고서", 2008

      388 서영일, "「5~6세기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 경영」", 博物館紀要20, 2005

      389 朴鍾益, "「咸安 城山山城 出土木簡의 性格 檢討」", 韓國考古學報48, 2000

      390 李文基, "「泗沘時代 百濟의 軍事組織과 그 運用」", 百濟硏究28, 1998

      391 정호섭, "「고구려 강역에 대한 연구쟁점과 과제」", 한국 역사상의 강역과 국경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백산학회, 2017

      392 서영교, "「신라의 대고구려 전쟁과 고구려 멸망」", 서울 2천년사 -⑦신라 의 삼국통일과 한주-, 서울역사편찬원, 2015

      393 최병현, "「중원문화권 고분 연구의 성과와 과제」", 중원문화 정립을 위한 조사 연구 방향 심포지엄 자료집,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08

      394 權五榮, "「풍납토성 출토 외래유물에 대한 검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百濟硏究36, 2002

      395 홍보식, "「한강유역 신라 石室墳의 受容과 展開」", 畿甸考古5, 2005

      396 김진영, "「한강유역 신라 석실묘의 구조와 성격」", 한국고대학회, 先史와 古代27, 2007

      397 한백문화재연구원, "안성 죽주산성 남벽 정비구간내 유적", 2012

      398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음성 망이산성 -2014 발굴조사 보고서-", 2016

      399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漣川 瓠蘆古壘 -精密地表調査報告書-", 1999

      400 박성현, "「5~6세기 고구려,신라의 경계와 그 양상」", 역사와 현실82, 2011

      401 拜根興, "「“羅唐戰爭” 硏究 中의 몇 가지 問題」", 中國學報46, 2006

      402 全用宇, "「《高麗史》〈樂志〉의 史學史的 檢討」", 湖西史學14, 1986

      403 邊太燮, "「丹陽眞興王拓境碑의 建立年代와 性格」", 史學志12, 1978

      404 임기환, "「고구려,신라의 한강 유역 경영과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18, 2002

      405 신광철, "「고구려의 중원 지역 진출에 대한 소고」", 高句麗渤海硏究51, 2015

      406 정재윤, "「백제의 섬진강 유역 진출에 대한 고찰」", 백제와 섬진강, 서경 문화사, 2008

      407 임세권, "「유물과 유적을 통해 보는 안동의 고대」", 고대 안동의 역사와 문화, 안동시, 2009

      408 國立中原文化財硏究所, "忠州 下九岩里古墳群 발굴조사보고서", 2011

      409 京畿文化財硏究院, "驪州 婆娑城Ⅱ-2~4차 발굴조사 보고서-", 2014

      410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당성 3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집", 2016

      411 이정범, "「5∼6세기 고구려의 한강 유역 지배형태」", 고구려발해학회, 高句麗渤海硏究51, 2015

      412 이동희, "「6~7世紀 全南東部地域의 考古學的 性格」", 史林15, 2001

      413 張彰恩, "「中原高句麗碑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歷史學報189, 2006

      414 金侖禹, "「廣開土大王의 南下征服地에 대한 一考」", 龍巖 車文燮敎授華甲 紀念 史學論叢, 1989

      415 심광주, "「楊州 大母山城의 築造方法과 築城時期」", 양주 대모산성의 재조 명,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4

      416 김민수, "「羅唐연합군의 백제정벌 루트의 재검토」", 군사학연구10, 2013

      417 배종도, "「신라 하대 지방 제도 개편에 대한 연구」", 學林11, 1989

      418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南漢行宮址 -제4, 5차 발굴조사 보고서-", 2003

      419 서울대학교박물관, "아차산 제4보루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2000

      420 畿甸文化財硏究院, "오산 독산성 세마대지 시굴조사보고서", 2001

      421 한국고고환경연구소, ,, "홍련봉 1, 2보루 3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422 金炳坤, "「京畿 海岸島嶼의 歷史 文化와 東아시아」", 東아시아古代學14, 2006

      423 朱甫暾, "「咸安 城山山城 出土木簡의 基礎的 檢討」", 韓國古代史硏究19, 2000

      424 兪元載, "「武寧王代의 對外關係」百濟武寧王陵",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 究所, 1991

      425 이도학, "「溫達의 南下經路와 戰死處 阿旦城 檢證」", 東아시아古代學32, 2013

      426 梁起錫, "「百濟 威德王代 王權의 存在形態와 性格」", 百濟硏究21, 1990

      427 윤경진, "「고구려 ‘南平壤’의 실체와 출현 배경」", 서울과 역사95, 2017

      428 김태식, "「백제의 가야지역 관계사 - 교섭과 정복-」",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429 尹炯元, "「서울, 京畿地域의 新羅墳墓와 出土遺物」", 고고학1-1, 2002

      430 白種伍, "「신라 북진기 할미산성의 고고학적 검토」", 신라사학회, 新羅史學報6, 2006

      431 이인철,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정에 대한 고찰」", 鄕土서울57, 1997

      432 서영일, "「안성 죽주산성 발굴조사의 성과와 의의」", 안성 죽주산성의 역 사적 가치 재조명, 안성시,한국고대학회, 2015

      433 문안식, "「의자왕 전반기의 신라 공격과 영토확장」", 경주사학회, 慶州史學23, 2004

      434 단양향토문화연구회 편, "단양의 고을고을 그 역사따라 향기따라", 1995

      435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인천 계양산성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7

      436 서울대학교박물관, "특별전 고구려 한강유역의 고구려 요새", 2000

      437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漣川 瓠蘆古壘Ⅲ-第2次 發掘調査報告書", 2007

      438 金榮官,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신라사학회, 新羅史學報20, 2010

      439 曺凡煥, "「新羅 上代 太子制의 運營과 東宮의 設置」", 新羅文化35, 2010

      440 曺凡煥, "「新羅 智證王代 北魏에 사신 파견과 목적」", 서강인문논총46, 2016

      441 尹星鎬, "「新羅의 大加耶 복속 과정에 대한 재검토」", 韓國史硏究155, 2011

      442 전덕재, "「椵岑城의 位置와 그 戰鬪의 역사적 성격」", 역사와 경계87, 2013

      443 정운용, "「淸原 南城谷 高句麗 山城의 構造와 運用」", 동북아역사논총39, 2013

      444 皇甫慶, "「漢江流域 新羅 古墳의 現況과 特徵 硏究」", 文化史學27, 2007

      445 이기봉, "「고려시대 양주의 읍치 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문화역사지리23-3, 2011

      446 盧泰敦, "「광개토왕릉비」譯註 韓國古代金石文1",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447 김병남, "「백제 성왕대 북방영역 관련 지명의 분석」", 한국상고사학회, 한국상고사학회52, 2006

      448 안성현, "「서울,경기,강원지역 성곽 발굴조사 성과」", 계간 한국의 고고학 34, 2016

      449 金煐泰, "「신라 불교의 호국사상」新羅佛敎硏究", 民族文化社, 1987

      450 윤성호, "「신라의 道薩城,錦峴城 전투와 國原 진출」", 한국고대사연구87, 2017

      451 이정숙, "「진흥왕대 우륵 망명의 사회 정치적 의미」", 이화사학연구소, 梨花史學硏究30, 2003

      452 현남주, "「할미산성을 통해 본 신라의 영역화 과정」", 용인의 고대에서 중 세로의 변화 -할미산성과 석성산성, 한국고대학회, 2013

      453 김준식, 이진혁, "순흥지역 횡구식석실과 그 축조 집단의 성격",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야외고고 학19, 2014

      454 중원문화재연구원, "남한산성 암문(4). 수구지 일대 발굴조사", 2007

      455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여주 술천성 주변 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2014

      456 徐榮一, "「6世紀 新羅의 北進路와 淸原 飛中里 石佛」", 史學志30, 1997

      457 篠原啓方, "「「中原高句麗碑」의 釋讀과 내용의 의의」", 史叢51, 2000

      458 김진한, "「嬰陽王代 高句麗의 政局動向과 對隋關係」", 高句麗渤海硏究33, 2009

      459 梁泰鎭, "「高句麗 嶺土 연구 -三國史記를 중심으로-」", 軍史18, 1989

      460 崔豪元, "「고구려 嬰陽王代의 新羅攻擊과 國內政治」", 韓國史硏究157, 2012

      461 김호준, "「인천 계양산성 축성 및 활용에 대한 시고」", 인천의 고성 계양 산성, 인천광역시 검단선사박물관, 2015

      462 李康來, "「三國史記에 보이는 靺鞨의 軍事活動」", 嶺土問題硏究2, 1985

      463 경기문화재연구원, "漣川 大田里山城Ⅰ-시, 발굴조사 보고서-", 2015

      464 경기도박물관, "고양 멱절산 유적 -긴급발굴조사 보고서-", 2005

      465 국방문화재연구원, "불암산성 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집", 2017

      466 嘉耕考古學硏究所, "예산지역 백제산성 학술조사 연구보고서", 2017

      467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용인 할미山城(Ⅱ) -1차 발굴조사 보고서-", 2014

      468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용인 할미山城(Ⅲ) -2차 발굴조사 보고서-", 2015

      469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인천 계양산성 7차 시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5

      470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인천 계양산성 9차 시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471 李文基, "「648, 649년 신라의 對百濟戰 승리와 그 의미」", 新羅文化47, 2016

      472 윤성환, "「6세기말~7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 연구」",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鄕土서울79, 2011

      473 山本孝文, "「古墳資料로 본 新羅勢力의 湖西地方 進出」", 湖西考古學4,5, 2001

      474 李京燮, "「城山山城 출토 荷札木簡의 製作地와 機能」", 韓國古代史硏究 37, 2005

      475 郭長根, "「湖南 東部地域의 加耶세력과 그 成長過程」", 湖南考古學報20, 2004

      476 金元龍, "「華城郡 麻道面 白谷里 百濟古墳과 土器類」", 百濟硏究2, 1971

      477 盧泰敦, "「高句麗의 漢水流域 喪失의 原因에 대하여」", 韓國史硏究13, 1976

      478 서영일, "「산성분포로 본 신라의 한강유역 방어체계」", 중부고고학회, 고고학9-1, 2010

      479 김정인, "「충주 달천유역의 고구려계 고분에 대하여」", 高句麗와 中原文化 , 주류성, 2014

      480 中原文化財硏究院, "聞慶 新峴里 古墳群Ⅱ -2006년도 발굴조사-", 2008

      481 육군박물관, "경기도 김포시 군사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1998

      482 鮮文大學校 考古學硏究所, "계양산성 일대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1

      483 서울대학교박물관, "아차산 시루봉 보루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2002

      484 용인시, "용인 보정동 고분군 종합정비계획 보고서", 2015

      485 국립문화재연구소, "한성지역 백제토기 분류표준화 방안 연구", 2011

      486 서울大學校博物館, "한우물 -虎岩山城 및 蓮池發掘調査報告書", 1990

      487 崔永俊, "嶺南大路 -韓國古代路의 歷史地理的 硏究", 高麗大學校 民族 文化硏究所, 1990

      488 金鎭漢, "「6世紀 前半 高句麗의 政局動向과 對外關係」", 軍史64, 2007

      489 임기환, "「7세기 동북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전쟁」",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一潮閣, 2006

      490 김병희, 백종오, 김주홍, "「京畿,서울,仁川 地域 關防遺蹟의 硏究現況」", 學藝誌8, 2001

      491 文暻鉉, "「伽耶史의 新考察-大伽耶 問題를 中心으로-」", 大丘史學9, 1975

      492 허재혁, "「고구려 남정 이후 김해지역의 정치적 동향」", 부경역사연구소, 지역과 역사12, 2003

      493 양시은, "「고구려의 한강 유역 지배방식에 대한 검토」", 중부고고학회, 고고학9-1, 2010

      494 이상훈, "「나당전쟁기 신라의 대규모 축성과 그 의미」", 한국고대사탐구학회, 韓國古代史探究 23, 2016

      495 안신원, "「최근 한강 이남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고분」", 고구려발해학회, 高句麗渤海硏究 36, 2010

      496 송영대, "6~7세기 신라의 전략 전술 무기체계의 개발", 韓國傳統文化大 學校 文化遺産學科 碩士學位論文, 2015

      497 中原文化財硏究院, "문경 고모산성1 -남문, 남동곡성 발굴조사-", 2007

      498 김현숙, "「475~551년 한강유역 領有國 論議에 대한 검토」", 鄕土서울 73, 2009

      499 장창은, "「6세기 중반 한강유역 쟁탈전과 管山城 戰鬪」", 眞檀學報111, 2001

      500 金壽泰, "「백제 성왕대의 변경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百濟硏究44, 2006

      501 翰林大學校博物館, "여주 상리 고분(94, 97년도 발굴조사 보고서)", 2001

      502 경상문화재연구원, "함양 사근산성 -추정동문지 구간 발굴조사-", 2014

      503 翰林大學校博物館, "驪州 梅龍里 용강골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1988

      504 황보경, "「7세기 초 삼국의 정세와 당항성 전투의 의의」", 軍史96, 2015

      505 이동희, "「全南東部地域의 加耶系 土器와 歷史的 性格」", 韓國上古史學報 46, 2004

      506 최장열, "「漢江北岸 高句麗堡壘의 築造時期와 그 性格」", 韓國史論47, 2002

      507 서영일, "「삼국시대 임진강 유역 관방체계와 덕진산성」", 파주 덕진산성의 역사적 가치와 보존 및 활용 방안, 중부고고학연구소, 2015

      508 김종구, "「충주지역 누암리,하구암리 고분의 위계분석」", 신라사학보40, 2017

      509 최종택, "湖西地域 高句麗遺蹟의 調査現況과 歷史的 性格",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백제연구 63, 2016

      510 國立中原文化財硏究所, "忠州 樓岩里古墳群 2차 시, 발굴조사 보고서", 2012

      511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 "연천 은대리성 지표 및 시, 발굴조사 보고서", 2004

      512 김길식, "6~7세기 경기북부지역 신라 성곽의 철기 수급체계",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百濟文化 54, 2016

      513 朴賢淑, "「5~6세기 삼국의 접경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 한국고대사학회, 韓國古代史硏 究58, 2010

      514 趙珖, "「朝鮮後期의 歷史認識」韓國史學史의 硏究", 乙酉文化社, 1985

      515 盧鏞弼, "「眞興王 北漢山巡狩碑 建立의 背景과 그 目的」", 鄕土서울53, 1993

      516 이도학, "「阿旦城 所在地와 溫達城 初築國에 관한 論議」", 韓國古代史探究18, 2014

      517 문명대, "「고구려 금동불상과 중국 산동 금동불상 교류」", 고구려 불상과 중국 산동불상, 동북아역사재단, 2007

      518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史叢81, 2014

      519 徐榮一, "「안성 비봉산성 수습 「本彼」銘 기와의 고찰」", 文化史學11,12,13, 1999

      520 신유리, "「영월 정양산성 내 신라~고려시대 수혈주거지」", 영월 정양산성 보존 및 활용방안 학술 심포지엄, 江原考古文化硏究院, 2014

      521 이상국, "「용인 할미산성 다각형 건물지의 구조와 특징」", 용인 할미산성 발굴조사 성과와 보존활용 방안,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5

      522 심재연, "6~7세기 신라의 북한강 중상류지역 진출 양상」", 신라문화31, 2008

      523 朴省炫, "新羅의 據點城 축조와 지방 제도의 정비과정", 서울大學校 國 史學科 博士學位論文, 2010

      524 李承勳, "考古資料로 본 6~7世紀 新羅의 漢江流域 支配", 慶北大學校 文化人類學科 碩士學位論文, 2010

      525 한국교통대학교박물관, "단양 溫達山城 -서문지일원 발굴조사보고서-", 2013

      526 嘉耕考古學硏究所, "예산산성 문화유적 발굴(시굴)조사 약보고서", 2016

      527 李弘鍾, "「“三國史記” ‘靺鞨’기사의 考古學的 接近」", 韓國史學報5, 1988

      528 李喜寬, "「新羅上代 지증왕계의 왕위계승과 박씨왕비족」", 東亞硏究20, 1990

      529 전덕재, "「新羅의 東北地方 國境과 그 變遷에 관란 고찰」", 軍史91, 2014

      530 양시은, "「서울지역 고구려 보루 유적 조사 성과와 과제」", 서울지역 고중 세 성곽유적에 대한 주요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제60회 전국역사학대 회 고고학부 발표자료집), 서울특별시,한국고고학회, 2017

      531 박중균, "「장미산성의 구조 및 축성 주체에 대한 일고찰」", 한국성곽학회, 한국성곽학보2, 2003

      532 전상우, "6세기 후반 高句麗의 대외관계와 阿旦城 공격", 단국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533 충북대학교박물관, "淸州 父母山城 -西壁區間 맟 母乳井, 第1堡壘-", 2014

      534 백종오, "高句麗 南進政策 硏究 -臨津江에서 錦江까지-", 서경, 2006

      535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호암미술관, "자유로 2단계지역 문화유적 발 굴조사 보고서", 1992

      536 安東大學校博物館, 慶北大學校博物館, "臨河댐水沒地域 文化遺蹟 發掘調 査報告書Ⅱ", 1989

      537 李文基, "「6世紀 新羅 ‘大王’의 成立과 그 國際的 契機」", 新羅文化祭學術 發表會論文集9, 1988

      538 丁昭榮, "「「온달설화」의 역사수용 의식과 재창조 양상」",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어문학57, 2006

      539 李鍾旭, "「南山新城碑를 통하여 본 新羅의 地方統治體制」", 歷史學報64, 1974

      540 李鎔賢, "「咸安 城山山城 出土 木簡」韓國의 古代木簡", 國立昌原文化財 硏究所, 2004

      541 권순진, "「경기지역 新羅 ‘北進期城郭’에 관한 일고찰」", 新羅史學報9, 2007

      542 최종택, "「남한지역 고구려유적 조사연구의 현황과 전망」", 수도권 문화유 적 조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2017

      543 최희준, "「신라 ‘党項城’의 연혁과 善德王代 羅唐關係」", 先史와 古代47, 2016

      544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단양 온달산성 문화재 학술발굴조사 약보고서", 2015

      545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단양 온달산성 문화재 학술발굴조사 약보고서", 2016

      546 翰林大學校博物館, "驪州 梅龍里 용강골古墳群 Ⅱ 發掘調査報告書", 1989

      547 하승철, "「外來系文物을 통해 본 固城 小加耶의 對外交流」", 가야의 포구 와 해상활동(제17회 가야사학술회의), 김해시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 구소, 2011

      548 車勇杰, "「竹嶺路와 그 부근 嶺路沿邊의 古城址 調査硏究」", 國史館論叢 16, 1990

      549 양시은, "「남한에서 확인되는 고구려의 시 공간적 정체성」", 고고학10-2, 2011

      550 조경철, "「백제 왕실의 3년상 -무령왕과 성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東方學志 145, 2009

      551 안성현, "「홍련봉 1,2보루의 축조방식과 구조에 대한 연구」", 百濟文化 55, 2016

      552 강종훈,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사료 계통과 그 성격」", 韓國古代史硏究 42, 2006

      553 한백문화재연구원, "포천 반월산성 북벽 보수구간 문화재 발굴조사", 2009

      554 李熙眞, "「加耶의 消滅過程을 통해 본 加耶-百濟-新羅關係」", 歷史學報 141, 1994

      555 成正龍, ,, "「漢江, 錦江流域의 嶺南地域系統 文物과 그 意味」", 百濟硏究 46, 2007

      556 李成市, "「韓國木簡연구의 현황과 咸安城山山城출토 木簡」", 韓國古代史硏 究19, 2000

      557 홍영호, "「산성과 고분으로 본 신라의 하슬라 진출과 경영」", 신라사학회, 新羅史學報 33, 2015

      558 漢陽大學校博物館, "丹陽 斜只院里 태장이墓 第2次 發掘調査 報告書", 2002

      559 中原文化財硏究院, "曾平 추성산성 -4次 (北城 1次) 發掘調査 報告書-", 2014

      560 경희대학교 부설 고고 미술사연구소, "통일동산 및 자유로 개발지구 발 굴조사 보고서", 1992

      561 신수진, "「5세기 후반 加羅國의 성장과 帶山城 전투의 성격」", 韓國史硏究 172, 2016

      562 張彰恩, "「眞興王代 新羅의 北方進出과 對高句麗 領域向方」", 新羅史學報 24, 2012

      563 한강문화재연구원, "아차산성 망대지 일원 학술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6

      564 박대재, "의식과 전쟁 -고대 국가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책사랑, 2003

      565 윤대준, "「475~551년 한강 하류 유역 領有國 문제에 관한 考察」", 정신 문화연구118, 2010

      566 이영재, "「6세기 말 고구려의 정국과 대왜 교섭 재개의 배경」", 역사와 현 실83, 2012

      567 李基東, "「新羅 官等制度의 成立年代 問題와 赤城碑의 發見」", 歷史學報 78, 1978

      568 姜眞周, "「新羅의 龍仁地域 定着過程에 대한 考古學的 檢討」", 新羅史學報 36, 2016

      569 山本孝文, "「考古資料로 본 南漢江 上流地域의 三國 領域變遷」", 韓國上古 史學報40, 2003

      570 최종택, "「고고학상으로 본 고구려의 한강유역 진출과 백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백제연구 28, 1998

      571 임기환, "「울진 봉평리 신라비와 광개토왕비, 중원고구려비」", 울진봉평리 신라비와 한국고대 금석문, 한국고대사학회, 2011

      572 임기환, "「웅진시기 백제와 고구려 대외관계 기사의 재검토」", 百濟文化 37, 2007

      573 김진영, "안성 도기동산성의 발굴성과와 성벽구조에 대한 소고", 고구려발해학회, 高句麗 渤海硏究58, 2017

      574 國立中原文化財硏究所, "忠州 樓岩里古墳群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 보고서", 2009

      575 畿甸文化財硏究院, "驪州 婆娑城Ⅰ-긴급수습 및 1차 발굴조사 보고서-", 2007

      576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강원도 화천군 춘천시 군사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1

      577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파주 덕진산성 정밀지표조사 및 시굴조사 보고서", 2004

      578 홍승우, "「4~6세기 신라의 동해안 지역 진출과 지방 지배방식」", 4~6세 기 영남 동해안 지역의 문화와 사회, 동북아역사재단, 2009

      579 여호규, "「4세기 후반~5세기 초엽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 변천」", 역사와 현실84, 2012

      580 윤성호, "「5세기 중후반 신라 소지마립간대의 대고구려 관계」", 5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재조명(학술회의 자료집), 동북아역사재단, 2017

      581 여호규, "「5세기 후반~6세기 중엽 高句麗와 百濟의 국경 변천」", 百濟文 化48, 2013

      582 나희라, "「7세기 전쟁의 확대와 신라인의 巡國主意的 生死觀」", 한국고대 사연구53, 2009

      583 윤경진, "「「청주운천동사적비」의 건립시기에 대한 재검토」", 史林45, 2013

      584 金顯吉,, "「忠州地域의 歷史地理的 背景」中原京과 中央塔", 忠州工業專 門大學博物館, 1992

      585 申瀅植, "「武烈王係의 성립과 활동」韓國古代史의 新硏究", 一潮閣, 1984

      586 이도학, "「百濟 熊津期 漢江流域支配 問題와 그에 대한 認識」", 鄕土서울73, 2009

      587 方東仁, "「韓國 上古時代의 領域認識」韓國 國境劃定硏究", 一潮閣, 1997

      588 金德原, "「고구려 연개소문의 대백제 신라 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학논총 45, 2016

      589 김영심, "「관산성전투 전후 시기 대가야,백제와 신라의 대립」",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 고령군 , 대가야박물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590 전덕재, "「신라 중고기 주(州)의 성격 변화와 군주제(君主制)」", 역사와 현 실40, 2001

      591 노중국, "「한국고대의 수리시설과 농경에 대한 몇 가지 검토」", 한국고대 의 수전농업과 수리시설, 서경문화사, 2010

      592 임평섭(Lim, Pyeong-seob), "신라의 산천제사와 진흥왕 순수비 입석 목적의 연관성",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新羅 文化43, 2014

      593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인천 계양산성 제8차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 2016

      594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탑평리유적(중원경 추정지) 발굴조사 보고서", 2013

      595 金昌錫, "「6세기 후반~7세기 전반 百濟, 新羅의 전쟁과 大耶城」", 新羅文化 34, 2009

      596 이용현, "「加羅(大加耶)를 둘러싼 국제적 환경과 그 대외교섭」", 韓國古代 史硏究18, 2000

      597 朱甫暾, "「南山新城의 築造와 南山新城碑 -第9碑를 중심으로-」", 新羅文 化10,11, 1994

      598 梁起錫, "「百濟 威德王代의 對外關係 -對中關係를 중심으로 -」", 선사와 고대19, 2004

      599 曺凡煥, "「眞興王 巡狩碑에 대한 몇 가지 疑問과 새로운 理解」", 신라사학 보27, 2013

      600 한석정, "「함경남도의 유래미상의 산성들과 고분들에 대하여」", 문화유산 62-4, 1960

      601 김호준, "「화성 당성 주변 성곽의 나말여초기 이후 경영 연구」", 先史와 古代52, 2017

      602 南在祐, "「‘廣開土王碑文’에서의 ‘安羅人戍兵’과 安羅國」", 成大史林12,13, 1997

      603 李道學, "「抱川 半月山城 出土 ‘고구려’기와 銘文의 再檢討」", 高句麗硏究3, 1997

      604 金性泰, "「임진강유역의 新羅遺蹟」臨津江流域의 古代社會", 인하대학교 박물관, 2001

      605 김창원, "「高麗史 「樂志」에 나타난 三國~高麗歌謠의 相」", 고전과 해석 10, 2011

      606 국립문화재연구소, "軍事保護區域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江原道篇)", 2000

      607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용인 보정동 고분군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 료-", 2017

      608 경남문화재연구원, "함양 사근산성 서문지구간 발굴조사 결과 약보고서", 2013

      609 양정석, "“고고유적을 통해 본 신라 후기~고려전기의 평택지역”", 신라사학회, 신라사 학보34, 2015

      610 白種伍, "「南漢地域 高句麗 關防體系 -臨津江流域을 중심으로-」", 先史와 古代26, 2007

      611 金昌鎬, "「咸安 城山山城 出土木簡에 대하여」咸安城山山城", 國立昌原 文化財硏究所, 1998

      612 심재연, "「양주 대모산성 출토 삼국,통일신라시대 토기의 검토」", 양주 대 모산성의 재조명,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4

      613 황상일, "「일산 충적 평야의 홀로세 퇴적환경 변화와 해면활동」", 대한지 리학회지33-2, 1998

      614 윤성호,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자료와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군", 서울역사편찬원, 서 울과 역사96, 2017

      615 서울大學校博物館, "幸州山城 -整備復元을 위한 土城址 試掘調査報告書-", 1991

      616 김민수, "「6세기 중엽 중서부에서의 백제 신라의 영토교환 제의」", 군사학 연구11, 2016

      617 한성백제박물관, "2016년 삼성동토성 추정지 발굴(시굴)조사 완료보고서", 2016

      618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忠州 下九岩里 古墳群 地表調査 및 試掘 調査 報告書", 2000

      619 김태식,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1-수로왕에서 월광태자까지", 푸른 역사, 2002

      620 윤성환, "「650년대 중반 고구려의 대외전략과 對新羅攻勢의 배경」", 국학 연구17, 2010

      621 李販燮, "「古代 地方道路와 陸上交通路 - 燕岐地域을 中心으로 -」", 湖西 考古學35, 2016

      622 申瀅植, "「統一新羅時代 高句麗流民의 動向」三國時代史硏究", 삼지원, 1988

      623 姜眞周,, "「附加口緣臺附長頸壺를 통해 본 新羅의 漢江流域 진출」", 경기도 의 고고학 ,주류성, 2007

      624 김병희, "「인천 계양산성 출토 유물 검토 -도,토기류를 중심으로」", 인천 계양산성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인천 계양산성 국가 사적 지정을 위한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 2013

      625 中央文化財硏究院, "忠州 下九岩里 ㈜애강 工場敷地內 忠州 下九岩里遺蹟", 2010

      626 한성백제박물관,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집", 2017

      627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 "오두산성 성곽 보수, 정비 관련 동벽 유 구조사보고서", 2006

      628 심광주, "「德津山城과 臨津江 流域 高句麗와 新羅의 築城法 比較」", 坡 州 德津山城 -1,2次 學術發掘調査-, 중부고고학연구소, 2014

      629 梁起錫, "「신라 5소경의 설치와 서원소경」신라 서원소경 연구", 서경문 화사, 2001

      630 임범식, "「5~6세기 한강유역사 再論 -식민사학의 병폐와 관련하여-」", 漢 城史學15, 2002

      631 徐榮一, "「抱川 半月山城 出土〈馬忽受解空口單〉銘 기와의 考察」", 史學 志29, 1996

      632 閔德植, "「百濟 阿旦城硏究 -百濟初期 都城硏究를 위한 일환으로-」", 韓國 上古史學報17, 1994

      633 윤선태, "「무왕과 미륵사 -익산의 역사지리적 환경과 관련하여-」」", 백제 문화의 보고, 미륵사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634 서울대학교박물관, "연천 무등리 1보루 정밀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 료집", 2017

      635 최희준, "「三國遺事 皇龍寺九層塔條에 대한 재검토와 阿非의 출자」", 한국 학논총36, 2011

      636 申瀅植, "「高句麗의 성장과 그 영역」한국사의 전개과정과 영토", 국사 편찬위원회, 2002

      637 문경현, "「영일냉수리 신라비에 보이는 部의 성격과 정치운영문제」", 한국 고대사연구3, 1990

      638 국립문화재연구소, "남한의 고구려 유적 현황조사 및 보존정비 기본계획(안)", 2006

      639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아차산성 남벽 및 집수지 발굴조사 2차 자문회의 자료집", 2016

      640 최창빈, "「4~6세기 전반기 삼국통일정책 실현을 위한 고구려의 투쟁」",  력사과학논문집14, 1989

      641 張彰恩, "「6세기 후반~7세기 초반 高句麗의 南進과 對新羅 領域向方」",  民族文化論叢55, 2013

      642 윤성호, "「三國史記 溫達傳 所載 阿旦城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 韓國 史學報66, 2017

      643 국강고고학연구소, "강릉 경포대 현대호텔 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15

      644 광진구, "아차산성 -‘96보수구간내 실측 및 수습발굴 조사보고서-", 1998

      645 정호섭, "「三國史記 溫達傳을 통해 본 온달의 역사적 위상과 阿旦城」", 한 성사학29, 2014

      646 鄭永鎬, "「新羅 南川停址의 硏究」邊太燮博士 華甲紀念 史學論叢", 三英社, 1985

      647 成周鐸, 車勇杰, "「百濟儀式考 -祭儀 田獵 巡撫 閱兵 習射 儀式에 關한 檢討-」", 百濟硏究12, 1981

      648 금경숙, "「高句麗 領域으로서의 北漢江 流域 -靺鞨문제와 관련하여-」", 韓 國史學報11, 2001

      649 김태식, "「봉선대전(封禪大典), 그 기념물로서의 진흥왕 ‘순수비’」", 白山學 報68, 2004

      650 이한상, "「읍내리분묘군의 편년을 통해 본 5세기대 순흥지역의 위상」",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역 사문화연구19, 2003

      651 崔秉鉉, "「서울 江南地域 石室墳의 性格-新羅 地方石室墳 硏究(1)-」",  崇實史學10, 1997

      652 예맥문화재연구원, "화천 원천리 2지구 유물산포지 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1

      653 한성문화재연구원, "단양 적성 -북문 일원 보수공사 서벽구간 시굴조사 보고서-", 2017

      654 구의동보고서 간행위원회, "한강유역의 고구려요새 -구의동유적 발굴조 사 종합보고서", 1997

      655 朱甫暾, "「丹陽新羅赤城碑의 再檢討 -碑文의 復元과 分析을 中心으로-」",  慶北史學7, 1984

      656 徐榮一, "「漢江以北의 城址와 新羅의 防禦體系 -坡州地域을 中心으로-」",  文化史學10, 1998

      657 崔鍾澤, "「고고자료를 통해 본 백제 웅진도읍기 한강유역 영유설 재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百濟硏究47, 2008

      658 심광주, "「축성기법을 통해 본 대전리산성과 주변 성곽의 역사적 위상」",  연천 대전리 산성 학술회의-대전리 산성, 매초성 인가, 경기문화재단, 2013

      659 정운용, "「三國史記 交聘 記事를 통해 본 羅濟同盟 時期의 再檢討」", 百 濟硏究44, 2006

      660 경기도박물관, "경기도3대하천유역 종합학술조사Ⅱ -한강 Vol. 2 문화유 적(1)", 2002

      661 채희국, "고구려력사연구-고구려건국과 삼국통일을 위한 투쟁, 성곽-", 종합대학출판사, 2000

      662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삼성동토성 추정지 일대 발굴을 위한 기초조사 용역 보고서", 2016

      663 이재석, "「日本書紀를 통해 본 안라국과 주변제국-특히 왜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51, 2014

      664 김경애, 소재윤, "「세종시 봉산리산성 및 수습 백제 기와 소개」 성곽과 기와", 한국기와학회,한국성곽학회, 2013

      665 李永植, "「신라와 가야제국의 전쟁과 외교」新羅의 對外關係史 硏究", 新羅文化宣揚會, 1994

      666 김종혁, "「전근대 수로의 경제적 기능과 문화적 의미 :한강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비평2006년-봄, 2006

      667 경기도박물관, "경기도3대하천유역 종합학술조사Ⅰ- 임진강 Vol2 문화 유적(1)", 2001

      668 김영하, "「일제시기의 진흥왕순수비론 -滿鮮’의 경역인식과 관련하여-」", 韓國古代史硏究52, 2008

      669 徐榮洙, "「三國時代 韓中外交의 전개와 성격」古代韓中關係史의 硏究", 三知院, 1987

      670 황보경, "「광주 대쌍령리 고분 출토 ‘南漢山助舍’銘 청동제 방울 고찰」",  문화사학31, 2009

      671 李宇泰, "「정치체제의 정비」한국사7 삼국의 정치와 사회Ⅲ-신라,가야", 국사편찬위원회, 1997

      672 김한성, "남한지역 출토 고구려 토기의 편년 -장동호와 옹을 중심으로- ", 숭실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673 최준경, "「5세기말엽 7세기중엽 삼국통일을 위한 고구려의 남방진출연구 」", 고구려사연구론문집(2), 사회과학출판사, 2005

      674 車勇杰, "「小白山脈 北麓式 水口形式 試論」韓國史의 理解고대,고고Ⅰ", 신서원, 1991

      675 윤성호,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 과정 검토-신주 설치 이전을 중심으 로-」", 한국고대사학회 제154회 정기발표회(발표문), 한국고대사학회, 2017

      676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양주 태봉산보루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4차 발굴 조사 약보고서", 2017

      677 장창은, "「4세기 후반~6세기 중반 단양지역을 둘러싼 신라와 고구려의 각축」", 한국고대사탐구학회, 韓國古代史探究21, 2015

      678 尹相悳, "「6~7세기 신라토기 相對編年 試論-慶州芳內里古墳群을 중심으 로-」", 韓國考古學輔45, 2001

      679 백종오, 최진호, 오강석, "「忠州 薔薇山城 北壁部 遺構와 遺物 -2010年度 整備區間 收拾報告-」", 中原文化22, 2010

      680 이정범, "「감시권역 분석을 통해본 경기북부지역 보루의 사용주체와 기 능」", 고구려발해학회, 高句麗渤海硏究37, 2010

      681 최호원, "6세기 중엽 고구려와 신라의 통호와 7세기 전반까지 양국의 상호 인식",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史叢91, 2017

      682 강민식, "「552년 백제의 한강유역 포기[棄]와 신라,고구려의 밀약설(密 約說)」", 선사와 고대40, 2014

      683 여호규, "「6세기말~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 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역사와 현실46, 2002

      684 이경섭, "「二城山城 출토 문자유물을 통해서 본 신라 지방사회의 문서행 정」", 역사와 현실81, 2011

      685 金貞培, "「高句麗와 新羅의 영역문제 -順興地域의 考古學 자료와 관련하여-」", 韓國史硏究61,62, 1988

      686 불교문화재연구원, "고양 행주산성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자 문회의 자료집", 2017

      687 金瑛河, "「新羅 中古期의 政治過程試論 -中代王權成立의 理解를 위한 前 提-」", 泰東古典硏究4, 1988

      688 慶南發展硏究院, "陜川 大耶城 -陜川郡 大耶城 考證을 爲한 1, 2차 試掘 調査 報告書-", 2005

      689 주보돈, "「5~6세기 高句麗와 新羅의 관계 -신라의 漢江流域 진출과 관 련하여-」", 북방사논총11, 2006

      690 정요근, "「7~11세기 경기도 북부지역에서의 간선교통로 변천과 ‘長湍渡 路’」", 韓國史硏究131, 2005

      691 林東喆, "「忠北 北部地域의 傳說考1-溫達傳說의 分包와 傳承을 中心으 로-」", 忠北大學校論文集27, 1984

      692 鄭海濬, "「예산지역 백제산성의 특징-고고학적 특징과 지방통치를 중심 으로-」", 웅진사학회, 역사와 역사교육5, 2000

      693 江原考古文化硏究院, "寧越 正陽山城Ⅰ-사적 제446호 영월정양산성 1~3차 발굴조사 보고서-", 2014

      694 中原文化財硏究院, "淸州 父母山城Ⅰ-1,2차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북문 지, 수구부 일원-", 2008

      695 中原文化財硏究院, "여주 황학산 수목원 조성부지내 문화재 발굴조사 驪州 梅龍里 遺蹟", 2009

      696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세종특별자치시 금이성 복원정비사업 문화재 시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6

      697 강종훈, "「5~6세기 삼국간 국경변동에 관한 諸說의 검토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大丘史學116, 2014

      698 한강문화재연구원, "지방도 357호선(제2자유로 및 연결도로) 내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8

      699 양기석, "「5~6세기 백제의 北界 -475~551년 百濟의 漢江流域 領有問 題를 중심으로-」", 博物館紀要20, 2005

      700 최형균, "「경기도 지방의 신라고분 연구 시론 서울경기지역의 신라유적 과 유물", 서울경기고고학회, 2006

      701 朴京哲, "「中原文化圈의 歷史的 展開 -그 地政學的 戰略的 位相 變化를 中心으로-」", 先史와 古代15, 2000

      702 高麗文化財硏究院, "김포 대능리 유적 -김포 수안산성 주변 이주단지 내 유적 시, 발굴조사-", 2007

      703 최인창, "삼국시대 중부지역의 주거시설연구 -주거시설의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704 안성현,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의 구조에 대한 연구 -구의동 보루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월례발표회 자료, 2016

      705 徐榮一, "「廣開土太王代 高句麗와 新羅의 關係」廣開土太王과 高句麗 南 進政策", 學硏文化社, 2002

      706 이동주, "「밀양지역 고대 治所城에 대한 검토 -推火山城과 佳山里山城을 중심으로-」", 석당논총41, 2008

      707 江原考古文化硏究院, "春川 槿花洞 遺蹟 -경춘선 춘천정거장 예정부지 내 A구역 유적 발굴조사-", 2011

      708 한백문화재연구원, "화천 거래리 유적 -4대강 살리기 북한강 12공구 거례1지구 4구간 A, C~F구역", 2013

      709 양시은, "「최근 북한 고고학계의 고구려 연구 동향-」조선고고연구를 중심으로」", 高句麗渤海學會56, 2016

      710 鄭載潤, "「熊津時代 百濟와 新羅의 關係에 대한 考察 -羅濟同盟에 대한 비판적 검토-」", 湖西考古學4,5, 2001

      711 李宇泰, "「丹陽 新羅 赤城碑 建立의 背景 -也尒次의 功籍과 恩典의 性格 을 중심으로-」", 泰東古典硏究8, 1992

      712 朱甫暾, "「毗曇의 亂과 善德王代 政治運營」李基白先生古稀紀念韓國史學 論叢(上)", 一潮閣, 1994

      713 金榮官, 노중국, "「5~6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 -고구려의 한강유역 점령과 상실을 중심으로-」", 北方史論叢11, 2006

      714 李辰赫, "5~6세기 소백산맥 동북부 일대 신라고분 연구(횡구,횡혈식묘 제를 중심으로)", 嶺南大學校 文化人類學科 碩士學位論文, 2016

      715 경기문화재연구원, "이천목리 기와가마터 -이천 마장휴게시설부지 문화 재 시 발굴조사 보고서-", 2014

      716 강종훈, "「7세기 삼국통일전쟁과 신라의 군사활동 -660년 이전 對高句 麗戰을 중심으로-」", 新羅文化24, 2004

      717 崔光植, "「百濟의 國家祭祀와 竹幕洞 祭祀遺蹟의 性格」扶安 竹幕洞 祭 祀遺蹟 硏究", 國立全州博物館, 1998

      718 李熙濬, "「토기로 본 大伽耶의 圈域과 그 변천」加耶史硏究 -대가야의 政 治와 文化-", 慶尙北道, 1995

      719 기호문화재연구원, "城南 麗水洞遺蹟-성남 여수지구 국민임대주택부지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Ⅲ", 2012

      720 예맥문화재연구원, "春川 槿花洞遺蹟 -경춘선 춘천정거장 예정부지내 C구역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2011

      721 高麗文化財硏究院, "加平 項沙里 遺蹟 -청평-현리 도로건설공사 예정구 간 문화재 발굴조사(B지구)-", 2010

      722 수원대학교박물관, "華城 長安里 遺蹟 -이화-삼계 간 도로 확, 포장공사 구간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2008

      723 동양대학교박물관, "단양 도담-영천 간 복선전철구간 내 단양 당동리 고분군 발굴 조사 약식 보고서", 2015

      724 徐榮一, "「中原高句麗碑에 나타난 高句麗 城과 國防體系 -于伐城과 古牟 婁城을 중심으로-」", 高句麗硏究10, 2000

      725 延敏洙, "「古代韓日關係史 硏究의 현단계와 문제점 -金鉉球, 金泰植氏의 업적을 중심으로-」", 歷史學報143, 1994

      726 장창은, "「고구려의 한성 공격과 한강 유역 지배」서울 2천년사 -⑥삼국 의 각축과 한강-", 서울역사편찬원, 2015

      727 최병현, "「중부지방 백제 한성기 축조,신라 재사용 석실분과 고구려 신라 연속조영 고분군」", 고고학14-2, 2015

      728 예맥문화재연구원, "春川 松岩洞遺蹟 -춘천 의암 레저스포츠타운 조성 부지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2010

      729 한울문화재연구원, "평택 가곡리 유적 -평택 진위2 일반산업단지(1단 계) 조성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2017

      730 박성현, "「6세기 초 고구려,신라의 화약과 경계 -「중원 고구려비」와 양 국 경계의 재검토-」", 역사와 현실76, 2010

      731 윤경진, "「신라 통일기 금석문에 나타난 천하관 역사의식 -삼한일통의식 의 성립시기 고찰-」", 史林49, 2014

      732 서영교, "「三國志 魏略의 斯盧國과 魏書의 斯羅 -6세기 초 羅濟同盟의 향방과 관련하여-」", 歷史學硏究59, 2015

      733 江原文化財硏究所, "春川 牛頭洞 遺蹟Ⅰ-직업훈련원 진입도로 확포장공 사구간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11

      734 김영관 ( Young Kwan Kim ), "웅진시대 백제의 한강유역 영유권 연구-문헌과 고고학 자료의 재검토를 통한 이해 서설-",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百濟文化52, 2015

      735 임평섭, "「신라 진흥왕대 州의 廢置와 巡狩 -眞興王巡狩碑를 통해 살펴 본 순수의 전략적 의미-」", 신라문화48, 2016

      736 畿甸文化財硏究院, "烏山 佳水洞 遺蹟 -늘푸른오스카빌 아파트신축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본문 2>", 2007

      737 한백문화재연구원, "포천 반월성 남벽보수구간 정비사업부지 내 문화재 발굴조사 전문가검토회의 자료집", 2017

      738 충북대학교박물관, "청주 정북동토성 해자 터 연장발굴조사 약보고서 - 동벽구간, 남문지 외측~서북벽 구간-", 2015

      739 중앙문화재연구원, "行政中心複合都市 中央綠地空間 및 生活圈 2-4區 域 內 低濕8遺蹟(北쪽) 燕岐 羅城里遺蹟", 2015

      740 韓㳓劤, "「古代國家成長過程에 있어서의 對服屬民施策(上) -其人制 起源 說에 대한 檢討에 붙여서 -」", 歷史學報12, 1960

      741 서영일, "신라 북진기 한강유역과 용인 할미산성」용인 할미산성 발굴 조사 성과와 보존활용 방안",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5

      742 임기환, "「廣開土王碑에 보이는 百濟관련 記事의 檢討 -永樂 6년조 기사 의 역사지리적 검토를 중심으로-」", 漢城百濟 史料 硏究,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 2005

      743 張彰恩, "「5~6세기 高句麗의 南下와 漢江 流域의 領域向方 -三國史記 地理志 ‘高句麗 故地’의 實際-」", 白山學報88, 2010

      744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양천고성지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서울 양천고 성지 제5차 발굴조사) -5차 자문위원회의 자료집", 2016

      745 延敏洙, "「六世紀前半 伽倻諸國을 둘러싼 百濟, 新羅의 動向 -소위「任那 日本府」說의 究明을 위한 序章-」", 新羅文化7, 1990

      746 연세대학교 원주박물관, ,, "한국 국제전시장전용 진, 출입도로 개설공사 구 간 강매-원흥간 도로 개설공사구간 시굴조사 보고서", 2006

      747 李成市, "「加耶의 國際環境과 外交 -新羅關係를 중심으로-」加耶의 對外 關係 -第5回 加耶史學術會議 資料集-", 金海市, 1999

      748 金賢淑, "「4~6세기경 小白山脈 以東地域의 領域向方 -三國史記 地理 志의 慶北地域 ‘高句麗郡縣’을 중심으로-」", 韓國古代史硏究26, 2002

      749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鎭川 校成里 發掘調査 報告書」오창~진천 간 도로 확,포장공사구간 내 文化遺蹟 試掘, 發掘調 査報告書", 2002

      750 서울문화유산연구원, "서울 동대문구 전농2동 생태공원 조성부지 내 유 적(배봉산 토루지) 정밀발굴조사 전문가검토회의 자료집", 2016

      751 韓國文化遺産硏究院, "安城 長院里,龍舌里, 唐木里 遺蹟 -안성 두교리-죽 산간 도로건설공사 예정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12

      752 江原文化財硏究所, "華川 居禮里遺蹟 -4대강(북한강)살리기 사업구간 내 화천 거례리유물산포지 1지구 5구간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2013

      753 盧鏞弼, "「新羅 眞興王代 大等의 分化와 그 政治的 背景-昌寧 眞興王巡 狩碑 會集人名의 大等관계 부분의 분석을 중심으로-」", 歷史學報127, 1990

      754 江原文化財硏究所, "春川 槿花洞 遺蹟 -경춘선 춘천정거장 예정부지내 B구역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Ⅱ>三國時代(新羅/統一新 羅)~鐵器時代", 2011

      755 井上直樹, 이재석 역, "「고구려의 남진과 백제와 가야제국 -「大加耶聯盟」 과 「任那復興會議」-」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 고령군,대가야박물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756 장창은, "「아차산성을 둘러싼 삼국의 역관계」아차산성과 삼국의 상호관 계(아차산 일대 성곽문화재 보수정비를 위한 기초조사 용역 학술회의 자료집),", 가경고고학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