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몽골지역 흉노무덤 출토 토기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49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Potteries excavated from Xiongnu tombs in Mongolia Xiongnu, which had established an empire on the steppes in the 2nd century B.C.E, collapsed around the 1st century C.E, and left a great number of archaeological sites and artifacts. Excava...

      A Study on Potteries excavated from Xiongnu tombs in Mongolia
      Xiongnu, which had established an empire on the steppes in the 2nd century B.C.E, collapsed around the 1st century C.E, and left a great number of archaeological sites and artifacts. Excavational investigations of Xiongnu sites started in the late?]19th century, and many research results have complied over the years. Although scholars did partly touch on potteries, most of the researches have been focused on burials and settlement sites. In this contex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potteries have been largely disregarded due to other elaborate object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focus on potteries that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Xiongnu archaeology.
      Potteries can be important archaeological research objects because relatively a greater number of them are found compared to other types of objects. That gold, silver, bronze objects, as well as other weapons, had been traded among tribes may account for common features of these objects that are confirmed over a widespread area. Due to fragileness, however, potteries were locally produced for local use. Hence they display production techniques and features that are peculiar to individual trib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and organize the basic information on production techniques of Xiongnu potteries, and point out temporal and spatical changes through a classification of types.
      Approximately 4000 Xiongnu burials have been discovered so far, and about 400 of them have been excavated, yielding a great number of potteries. Nonetheless, some of the excavated potteries have not been officially reported, and records of some, though reported, are not accessible. Therefore, Xiongnu pottery in its entirety cannot be treated here.
      This thesis analyzes 89 potteries from 38 tombs of 16 Xiongnu archaeological sites. The area of these sites once belonged to Northern Xiongnu territory when Xiongnu wa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From the 38 burials, more than 89 potteries were discovered, but having excluded severely fragmented ones, only those, the original form of which can be restored, have been selected as objects of analysis.
      Xiongno potteri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jar?]type and deep?]bowl?]type. Among the 89 objects, 43 are jar?]types including long?]bodied, long?]necked, and large size ones, 40 are deep?]bowl types and the remaining 6 are effigy vessels.
      Jar?]types, and deep?]bowl types have been classified based on a shape analysis, and their typal association has been examined. Potteries, also, have been sorted according to their burial typ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ttery shapes and burial types has been scrutinized.
      Until present, no specific study on Xiongnu pottery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hence not much information was available for research. Nevertheless,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contributes to future studies on Xiongnu potteries as a starting point. Since this thesis uses potteries, the complete form of which can be figured out, when more information compiles, some of the contents will have to be revi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원전 2세기에 몽골 초원에 대제국을 세우고 기원전후한 시기 북아시아의 패자로 활약했던 흉노는 많은 유적과 유물을 남겼다. 19세기 말부터 흉노 유적이 발굴 조사되기 시작하고, 그동안 ...

      기원전 2세기에 몽골 초원에 대제국을 세우고 기원전후한 시기 북아시아의 패자로 활약했던 흉노는 많은 유적과 유물을 남겼다. 19세기 말부터 흉노 유적이 발굴 조사되기 시작하고, 그동안 흉노의 유적과 고고유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축적되었다. 학자들은 자신들의 연구에서 토기를 일부 다루기는 하였으나 대부분이 무덤과 주거유적에 대한 연구였다. 이러한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는 화려한 유물들의 빛에 가려 외면받아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그동안 흉노고고학에서 관심을 받지 못했던 토기를 이 논문의 주제로 삼게 되었다.
      토기는 고고학 발굴조사에서 다른 유물보다 비교적 많이 발견되어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금, 은, 동 귀금속 및 장식품 무기는 부족 간에 교환되었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공통점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토기류는 비교적 약해 부서지기 쉽기 때문에 해당 지역 내에서만 생산되고, 그렇기 때문에 그 지역의 생산 특징 및 부족적인 특성을 내재하고 있다. 이 논문은 흉노 토기의 제작 기법을 살펴 기본적인 정보를 정리하고, 형식 분류를 통해 토기의 시공상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지금까지 몽골지역에서 약 4천여기의 흉노무덤이 발견되었고, 이중 4백 여기가 발굴 조사되어 수많은 토기들이 출토되었지만 아직까지 미 보고된 것들도 있고, 보고가 되었더라도 자료를 구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모두 다룰 수는 없었다.
      본고에서는 현재 몽골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흉노의 16개 유적, 38기 무덤에서 출토된 89점의 토기를 형태 분석하였다. 이 유적은 흉노가 남북으로 분열되었을 때 북흉노의 활동 영역이기도 하다. 38기 무덤에서는 89점보다 더 많은 토기가 출토되었지만 결실이 심한 것은 제외하고, 원형 복원이 가능한 것만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흉노토기는 크게 호류와 심발형토기로 양분되는데 여기에서도 43점은 장동호, 장경호, 옹류를 포함한 호류이고, 40점은 심발형토기, 그리고 나머지 6점은 이형 토기이다.
      호류와 심발형 토기는 형태분석을 통해 형식을 분류하였으며, 형식간 공반관계를 정리하였다. 또한 이것을 흉노 무덤 형식에 따라 분류해 보고, 무덤 형식과 토기 형식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국내에 알려진 흉노 토기의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토기에 대한 많은 정보는 없지만 이 연구가 미약하게나마 앞으로의 흉노토기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또한 본고는 완형을 알 수 있는 토기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더 많은 자료가 축적되면 반드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Ⅱ. 연구사 2
      • Ⅲ. 흉노 토기 출토 유적 현황 12
      • Ⅰ. 머리말 1
      • Ⅱ. 연구사 2
      • Ⅲ. 흉노 토기 출토 유적 현황 12
      • Ⅳ. 흉노 토기의 제작 기법 19
      • 1. 토기의 기능 19
      • 2. 태토 19
      • 3. 성형 20
      • 4. 소성 23
      • Ⅴ. 흉노 토기의 형태분석 24
      • 1. 호류 24
      • 2. 심발형 토기 33
      • Ⅵ. 흉노 토기의 양상과 변천 39
      • 1. 토기 형식간 공반관계 39
      • 2. 무덤과의 관계 42
      • 3. 흉노토기의 변화양상 45
      • Ⅶ. 맺음말 47
      • 참고문헌 48
      • 부록 69
      • Abstract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