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홍산문화의 '十字紋'으로 바라본 은대 갑골문 '+'의 한국선도적 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13452

      • 저자
      • 발행사항

        천안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과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11 판사항(6)

      • DDC

        951.9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iv, 65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경희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홍산문화의 ‘十字紋’으로 바라본 은대 갑골문 ‘+’의 한국선도적 해석 본고는 은대 갑골문에 나타난 최고 신격을 탐색하고 신격의 의미를 은대의 선행문화인 홍산문화와의 계승관계 속...

      홍산문화의 ‘十字紋’으로 바라본 은대 갑골문 ‘+’의 한국선도적 해석

      본고는 은대 갑골문에 나타난 최고 신격을 탐색하고 신격의 의미를 은대의 선행문화인 홍산문화와의 계승관계 속에서 재해석하였다.
      중국정부는 홍산문화로 대표되는 요서지역 신석기 문명을 중국의 민족통합정책인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핵심으로 인식하고, 이를 중심으로 중국의 역사체계를 재편하고 있으며, 홍산문화의 성격을 중원지역 은상문화의 선행문화인 선상(先商)문화·예제(禮制)문화적 성격의 샤머니즘으로 평가하고 있다.
      중국 요서지역의 고고학 성과는 한국 상고사 연구에 전기를 마련해 주었으며, 2000년대 이후 요서지역 유물·유적에 나타난 사상성·내용성을 규명하는 방향으로 재도약하고 있다.
      홍산문화 유적중에서 단연 세계인의 주목을 받은 우하량 여신묘 유적은 신전의 십자형 건축 구조과 여신상의 십자형 배치, 옥기 등에 나타난 십자형 상징이 한국선도의 기철학 표상을 반영한 것으로 선도기학(仙道氣學)을 신화의 형태로 제시한 마고신화가 우하량 여신묘 조성에 그대로 적용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홍산문화 후기에는 남신상도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우하량 16지점 적석총 유적에서 발굴된 옥인상에는 인체의 상·중·하 3단전의 선도수행표식이 나타나 있어 홍산문화의 여신상과 남신상 유적에서 공통으로 신인합일의 선도문화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홍산문화 유적과 은대 갑골문, 후대의 문헌기록에 나타난 최고 신격을 비교·분석하여 두 문화의 내용성과 신격의 계승관계를 고찰하였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은상족의 최고 신격을 상제(上帝)로 인식하는 반면 최고 의례인 체(禘) 의례의 신격을 무(巫)로 바라보는 모순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자는 학계에서 은대 최고 신격으로 인식하고 있는 상제(갑골문 글꼴 )와 무로 해석하는 +의 글꼴이 한국선도의 삼원오행론 표상임에 주목하였다. 그중에서도 제의의 신격이 되는 +에 대한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동안 학계에서 당연시 여겨졌던 ‘=巫’설의 오류를 지적하고 상제가 아니라 +가 은대 최고 의례의 대상이 되는 최고 신격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은대 최고 신격 +의 특성을 살펴보면 동·서·남·북 방위와 결합하거나 ‘四+’으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모두 체(禘, 갑골문 글꼴 ) 의례의 신격이 되었다. 이는 동·서·남·북의 방위 표시가 단순히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마고신화에 나타난 물질계를 이루는 4대 원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九+’의 표현도 등장하는데 이는 기(氣)의 가장 높은 차원인 9차원을 상징하는 것으로 최고 신격 가 삼원오행론적 속성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최고신 은 바람, 토지신, 황하의 신, 산악신 등 자연신을 통어하는 권능과 인간세계에 재앙을 내리거나 없애는 권능도 가지고 있었다.
      연구자는 갑골문 +가 최고 신격의 의미로 쓰였을 뿐만 아니라 최고 신격을 상징하는 신물(神物)의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였다.
      갑골문 +의 신격을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무(巫)개념의 기원과 발달과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무는 은대 중기의 무함을 시조로 하고 있으며, 왕을 보좌하여 점복과 제의를 행한 집단으로 갑골문이 기록된 은대 후기에는 전문화·계층화된 방대한 조직을 형성하고 있었다.
      은대 최고 신격에 대한 제의의 의미를 갖는 제(帝)의 갑골문 자형은 으로 이는 본질과 현상을 함께 표현한 한국선도기학의 9기형 표상이며 이후 주대 금문의 시(啻) 의례나 문헌기록에 나타난 주대 체(禘) 의례의 원형이 되었다.
      은대 갑골문에 나타난 최고 신격 +와 최고신에 대한 제의를 의미하는 제(帝, )는 글꼴과 의미에서 모두 홍산문화 시기의 사유체계인 한국선도의 삼원오행사상을 계승하고 있었다.

      주제어 : 홍산문화, 한국선도, 선도제천, 십자문, 마고신화, 은상문화, 갑골문 +, 갑골문, 제(帝), 상제(上帝), 무속(巫俗), 배달국, 삼원오행론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Interpretation of a Sign ‘+’ in the Oracle Bone Script of Shang Dynasty from Korean SunDo Perspective, Focusing on Cross Symbols of HongShan Culture. This study explored the supreme godhood represented in the oracle bone script of Shang(商) ...

      An Interpretation of a Sign ‘+’ in the Oracle Bone Script of Shang Dynasty from Korean SunDo Perspective, Focusing on Cross Symbols of HongShan Culture.

      This study explored the supreme godhood represented in the oracle bone script of Shang(商) dynasty and reinterpreted the meaning of the goddess in succession of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The Chinese government considers the civilization of the Neolithic era in the area of LiaoXi represented by the HongShan culture as the core of the "unified multiethnic state theory" of China's national integration policy and reorganizes the Chinese history system. It apprai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ngShan culture as a Shamanism characterized by the pre-Shang culture and the Confucian culture.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f the LiaoXi area have provided an insight into the study of the Korean ancient history and have been redefined in the direction of identifying ideas and the content represented in the remains and relics of the LiaoXi since 2000.
      Among ​​HongShan cultural heritages, the ruins of a NiuHeLiang-goddess temple, attracting people in the world, include the cross structure of the temple, the cruciform arrangement of the statues of goddess, and jade plates. They are expressed as symbols of Korean SunDo indicating that a myth of MaGo suggested SunDoKiHwak(仙道氣學) applied to a formation of NiuHeLiang-goddess temple.
      In the late period of the HongShan culture, statues of the god were emerged. In particular, a jade statue unearthed from the ruins at the 16th ruins of the NiuHeLiang included the indicators of High-Middle-Low Danjeons, concentrated energy fields, of a human body. The integration of a god and a human, a component of the Sun-do culture, was found in the remains of the statues of god and goddes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ontent and the succession of the godhood of the two cultur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highest godhood found in the ruins of HongShan culture, the oracle bone scripts, and the literature.
      Many scholars have perceived the supreme godhood of Shang dynasty as a grand emperor(上帝) and the godhood of the highest ritual as a shaman(巫). However, this researcher noted that the grand emperor Je and + in oracle bone script were symbols of an idea of three orders and five elements in Korean SunDo. After scrutinizing the contents of + in oracle bone script, the researcher pointed out the errors of the theory accepted by many scholars and suggested a new viewpoint that it was not the grand emperor but the supreme godhood +, being the object of the supreme ritual.
      The characteristic of the supreme godhoodof Shang dynasty was appeared as a combination of East, West, South, and North or four crosses, 四+, and all of them became a godhood of the supreme ritual 禘,, as is in oracle bone script.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gns of the four was not the merely directions, but four elements constituting a material system in the myth of Mago. The expression ‘九+’ appeared, which symbolized the 9th dimension of Qi(氣). It showed that the idea of three orders and five elements was still maintained. The supreme god + had the power to control natural gods such as wind, land, yellow river, and mountain and to eliminate the disasters arising in the human world.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letter + in the oracle bone script was used as an indication of the supreme god as well as an object representing the supreme godhood.
      When examining + in the oracle bone script,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struct of the shaman(巫) were reviewed. Shamans(巫) assisting the kings, telling he fortunes, and celebrating the ritual took Moo-Ham(巫咸) in the mid period of Shang dynasty as a progenitor. They became a large group specialized and stratified in the late Shang dynasty.
      帝 in the oracle bone script meaning the supreme ritual was the symbol of the nine dimensions of Qi expressing an essence and a phenomenon in Korean SunDo. It was an original form of a ritual Che( 禘) in a Zhou dynasty.
      In the oracle bone script, + meaning the supreme godhood and 帝 as the ritual to the supreme godhood inherited the idea of the three orders and five elements of Korean Sun-do, the idea of HongShan culture, in terms of the shapes of characteristics and meaning.

      Key words: HongShan culture, SunDo ritual, crisscross letter, Myth of Mago, culture of pre-Shang dynasty, oracle bone script, the emperor, shamanism, Baedalkook, idea of three orders and five ele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 Ⅰ. 서론 1
      • 1. 연구 현황 1
      • 2. 연구 목적과 범위 9
      • 국문초록 ⅰ
      • Ⅰ. 서론 1
      • 1. 연구 현황 1
      • 2. 연구 목적과 범위 9
      • Ⅱ. 홍산문화의 ‘仙道제천’과 십자문 11
      • 1. 홍산문화 우하량 여신묘에 나타난 선도제천문화 11
      • 2. 홍산문화 십자문에 나타난 마고삼신사상 20
      • Ⅲ. 은대 갑골문 ‘+’에 대한 한국선도적 해석 26
      • 1. 중국학계의 ‘+=巫’설과 문제점 26
      • 2. 한국선도적 해석: ‘=마고삼신’ 37
      • Ⅳ. 결론 54
      • 참고문헌 58
      • ABSTRACT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