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시 지정문화재 안내판 현황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58529

      • 저자
      • 발행사항

        서산 : 한서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문화재보존학과 2015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00.15 판사항(6)

      • DDC

        353.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v, 57장 : 천연색삽화, 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위광철
        권말부록: 유형문화재 34호-도선사 마애불입상 및 문화재안내판 등
        참고문헌: 장 53-5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문화재 연구는 미술사적 가치 또는 고고학적 중요도에 따라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역사적, 학문적 가치를 부여하는 지정문화재에 대한 등록절차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

      우리나라의 문화재 연구는 미술사적 가치 또는 고고학적 중요도에 따라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역사적, 학문적 가치를 부여하는 지정문화재에 대한 등록절차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정문화재에 대한 문화재안내판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지정문화재에 대한 문화재 안내판은 문화재의 일부가 아닌 주변 시설물로 여겼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문화재의 일부분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없었기 때문에 단순 시설물로 여겨져 연구 대상이 될 수 없었다.
      문화재청은 2000년, 2008∼2009년에 문화재 안내판 개발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국가지정문화재는 가이드라인에 맞춰서 문화재 안내판이 설치되거나 변경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시도지정문화재의 문화재 안내판은 문화재청의 가이드라인을 중시하기보다 시·도·지자체의 특색에 맞춰서 제작되기 때문에 재질 및 형태가 다양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서울시 지정문화재 개별안내판의 재질 및 형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방법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특별시 14개 자치구에 분포하고 있는 시도지정문화재 중에서 옥외에 노출되어있는 석조문화재를 중심으로 문화재 안내판의 설치 유·무, 문화재 안내판의 재질 및 형태를 조사하였으며 재질에 따른 손상 원인 및 관리의 필요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문화재 안내판의 조사결과 51건의 문화재 중에서 41건의 문화재는 관람할 수 있었으며 10건의 문화재는 관람이 불가능하여 안내판의 설치 여·부를 알 수 없었다. 관람이 가능한 41건의 문화재 가운데 30건은 문화재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11건은 문화재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문화재 안내판이 설치된 30건의 문화재 중에서 강북구의 ‘도선사 마애불입상’의 경우 2개의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총 31개의 문화재 안내판을 조사하였다.
      문화재 안내판의 재질 조사결과 유리안내판의 비율이 80%로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형태 조사결과 세로장방형의 비율이 87%로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었다. 문화재 안내판의 재질과 형태에 따른 종합적인 조사결과 유리-세로장방형 안내판의 비율이 80%로 가장 많이 나타난 이유는 서울시에서 2008년 안내판 현상공모전를 통해 선정한 안내판으로 교체했기 때문이다.
      서울시 시도지정문화재 안내판, 국가지정문화재 안내판, 인천시 시도지정문화재 안내판 비교 결과 3가지 문화재안내판 모두 문화재 안내판 가이드라인 보다는 시· 도·지자체에서 마련하고 있는 시스템에 따라서 문화재 안내판을 제작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었다.
      문화재 안내판의 손상형태는 재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유리 재질은 구조적 결함에 의해 파손되며 대기오염이 수분과 반응하여 유리의 표면이 불투명하게 변질되고 굴절률에 의한 빛 반사로 인해 안내문안의 가독성이 떨어졌다.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의 경우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의한 결로가 발생하며 산성비 및 대기오염물에 의해 표면 부식이 발생되었다. 목제의 경우 유기질 재질로서 미생물·균·충에 의해 부후되면서 목제의 강도가 떨어지고 나뭇결을 따라서 갈라짐 현상이 발생되었다.
      조사 결과 문화재 안내판은 야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화재 안내판의 손상을 방지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재질의 사용을 지양하고 문화재 안내판 가이드라인에서 언급되는 자연친화적 소재를 사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재 안내판 가이드라인처럼 한 가지 특정 재질을 사용할 수 없듯이 재질의 손상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여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므로 문화재 안내판이 더욱 개선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cultural heritage studies in Korea have bee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art-historical value and archaeological importance. In addition,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registration procedures for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to add hi...

      Many cultural heritage studies in Korea have bee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art-historical value and archaeological importance. In addition,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registration procedures for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to add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to cultural properties. However, it is a fact that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signage for them.
      In particular, because signage for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regarded not as part of cultural properties but as part of surrounding facilities, no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Moreover, they have not been studied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as a simple facility due to the lack of conceptual change in signage.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provided signage guidelines and developing signage for cultural properties in 2000, 2008, and 2009, and signage for nation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install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However, signage for municip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were produc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provinces, and local government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guidelines provid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Therefore,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a wide variety of their shapes and materials and negligent maintenance.
      This study selected individual signage for municip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Seoul installed outside as a target and conducted a field survey as a research method. With a focus on stone cultural heritage exposed outside among municip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distributed to 14 districts in Seou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stalled signage for cultural properties, and their materials and shape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manage signage for cultural properties installed outsid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enter 41 out of 51 cultural properties, and it was not know whether signage were installed or not because it was not possible to enter the remaining 10 cultural properties. Signage were installed in 30 out of the 41 cultural properties and not installed to the remaining 11 cultural properties. Among the 30 cultural properties with signage, 2 signage were installed in ‘Doseonsa Stone Standing Buddha’ in Gangbuk-gu.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a total of 31 signage.
      Materials of the signage for cultural properties were examined. As a result, glass-signage accounted for 80%.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shape of the signage for cultural properties, vertical rectangles accounted for 87%. Based on the comprehensive results according to the materials and shapes, glass-vertical rectangles accounted for 80%. Glass-vertical rectangle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because the signage were selected from the signage Prize Competition held by Seoul City in 2008.
      In this study, municip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y signage, nation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y signage of Seoul City, and municip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y signage of Incheon City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l the three types of signage for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s established by the cities, provinces and local governments rather than the cultural property signage guidelines, and this is why various kinds of signage for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installed.
      The damage state of signage for cultural properties varied depending on their materials. Damage to glass-signage resulted from structural defects, and the surface of glass became opaque by being by air pollution and moisture. Besides, the signage were less legible due to light reflex caused by refractive index. Condensation occurred in signage made of metals like stainless due to the change i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surface was corroded by acid rain and air pollutants. In terms of wooden information boards, which consist of organic material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might be decomposed by microorganisms and insects, the surface might be discolored, and wood strength could decline.
      Based on the above results, damage occurred with time because they were installed outside. As a method to prevent and manage such damage, it is recommended to use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mentioned in the guidelines for signage for cultural properties without using convenient materials. As described in the guidelines for signage for cultural properties, it is not possible to use one specific material.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cause of material damage clearly and then to use materials selec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대상 2
      • Ⅱ. 이론적 배경 7
      • 1. 선행연구 사례 7
      • Ⅰ.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대상 2
      • Ⅱ. 이론적 배경 7
      • 1. 선행연구 사례 7
      • 2. 문화재 안내판 가이드라인 8
      • Ⅲ. 문화재 안내판 재료 11
      • 1. 유리(Glass) 11
      • 2.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13
      • 3. 목재(Wood) 16
      • 4. 플라스틱(Plastic) 19
      • Ⅳ. 조사결과 및 고찰 21
      • 1. 서울시 지정문화재 안내판 21
      • 2. 문화재 안내판 비교 28
      • 3. 문화재 안내판의 재질별 손상원인 31
      • 4. 문화재 안내판의 관리 38
      • Ⅴ. 결 론 40
      • 부 록 42
      • 참고문헌 53
      • ABSTRACT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