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句麗 建物址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92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ancient building site reveals much about the substructure of the building that used to exist there, such as its foundation.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social culture of the period in which it was built, including aspects of its residential cultu...

      An ancient building site reveals much about the substructure of the building that used to exist there, such as its foundation.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social culture of the period in which it was built, including aspects of its residential culture, ritual ceremonies, and architectural skills.

      Up until now ancient building sites have not been central subjects of research among specialists in Goguryeo archaeology, and much of the research on the architecture of the Goguryeo Period (circa 37 BC – 668 AD) has been based on written materials and mural paintings on the walls of ancient tombs. Since the early 2000s, various excavation survey reports on Goguryeo sites now in present-day Chinese territory have been published and Goguryeo sites in South Korea have been surveyed. Thus, materials about sites dating back to the Goguryeo Period have been accumulated, but they have yet to form the subject of comprehensive research. This paper aims to conduct a comprehensive study on such sites based on the materials accumulated to date.

      Goguryeo building sites have been found in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 and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targets 253 dwelling sites in areas of 30 remains where excavation surveys have been carried out and of which drawings have been made.

      In this study, Goguryeo building site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everyday life spaces, basic facilities, and size based on the site surveys,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he mural paintings in ancient tombs. They are chiefly divided into subterranean building sites and surface building sit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everyday living spaces. Surface building sites are subdivided as follows based on their foundation, i.e. those with natural stone foundations, those with continuous footing, those with layered stone foundations, those with pillar sockets, and those with no footing.

      As for their construction date and lifespan, subterranean building sites, building sites with no footing, and building sites with layered stone foundations appear to have been used from around 1st century until the fall of the Goguryeo Dynasty, whereas sites with continuous footing are thought to have emerged in the early 4th century and existed until after the 6th century. Due to a lack of accurate chronological data, this study could only confirm the period of use of buildings with natural stone foundations or those with pillar sockets.

      With regard to the buildings’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social hierarchy, we based our assumptions on their size and whether roof-end tiles were unearthed at a given site or not. The sites with layered stone foundations are larger than other sites and many roof-end tiles have been found at them. Thus, they appear to have belonged to people with high social status. As for sites with continuous footing, those where roof-end tiles have been unearthed are larger than those without roof-end tiles. Some sites with continuous footing dating back to the early 5th century have yielded no roof-end tiles. This phenomenon applies to all sites with continuous footing dating back to the mid-5th century and thereafter. It appears that such buildings came to be used only as guard posts from the 6th century onward. Thus, it appears that the sites with continuous footing first appeared in the mid-4th century and the buildings are thought to have belonged to persons of the highest status in the social hierarchy of that time. However, the situation changed and they came to belong to people of a middle-ranking position in the social hierarchy by the 6th century. Concerning sites with natural stone foundations and those with pillar sockets, we could not confirm the details, such as their construction period or the social position of their occupants’ in the social hierarchy, due to their limited numb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건물지는 건물이 폐기된 이후 남은 잔존 구조물이다. 건물지 연구를 통해서 건물의 하부구조나 기초시설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당시 주거문화나 예제, 건축 기술 등과 같...

      건물지는 건물이 폐기된 이후 남은 잔존 구조물이다. 건물지 연구를 통해서 건물의 하부구조나 기초시설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당시 주거문화나 예제, 건축 기술 등과 같은 사회문화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고구려 건축에 대한 연구는 문헌과 고분벽화 자료를 토대로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고구려 건물지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고구려 고고학의 중심 연구 대상에서 벗어나 있었다. 2000년대 이후 중국에서 고구려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보고서가 발간되고, 남한지역에서 고구려 유적이 확인‧조사되면서 고구려 건물지 자료가 축적되었으나 이를 종합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그동안 축적된 고구려 건축과 건물지에 대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고구려 건물지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고구려 건물지는 중국 동북지역, 북한지역, 남한지역에서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이 지역의 건물지 유적 가운데 발굴 조사가 진행되고 도면이 제시된 건물지에 한정하여 총 30개 유적 253개 유구를 대상으로 삼았다.
      유적의 조사 현황, 문헌, 고분벽화 자료를 토대로 고구려 건물지를 생활면의 위치, 기초시설, 규모 등의 속성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형식 분류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 건물지는 생활면의 위치에 따라 지하식 건물지와 지상식 건물지 크게 두 형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지상식 건물지는 기초시설에 따라 자연암반기초 건물지, 줄기초 건물지, 적심석기초 건물지, 굴립주 건물지, 무기초 건물지로 세분할 수 있었다.
      형식 분류에 따른 고구려 건물지의 연대를 살펴보면 대체로 긴 존속기간을 보이는데, 지하식 건물지와 무기초 건물지, 적심석기초 건물지는 기원 전후부터 고구려 멸망 때까지 사용되었다. 줄기초 건물지는 4세기 전반 무렵에 출현하여 6세기 이후에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정확한 편년 자료가 부족하여 자연암반기초 건물지, 굴립주 건물지의 일부 존속기간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고구려 건물지의 위계는 각 형식별로 건물지의 규모와 와당의 출토 여부 등을 고려하여 상정하였다. 분석 결과 적심석기초 건물지는 다른 형식의 건물지보다 규모가 크고, 와당의 출토 빈도도 높아 최상위 및 상위 건물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줄기초 건물지 중 와당이 출토되는 건물지는 규모가 비교적 크지만, 와당이 출토되지 않는 건물지는 비교적 작은 규모였다. 또한 5세기 초에 와당이 출토되지 않는 줄기초 건물지가 확인되고, 5세기 중반을 기점으로 그 이후에는 줄기초 건물지에서 와당이 출토되지 않으며, 6세기 이후에는 보루에서만 사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줄기초 건물지는 4세기 중반 출현하였고 당시에는 최상위 위계의 건물에 사용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5세기에는 상위 건물지와 중위 건물지에서 사용되고, 6세기 이후에는 중위 위계의 건물지에만 사용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자연암반기초 건물지와 굴립주 건물지는 그 개체수가 적어 정확한 사용시기와 위계는 확정할 수 없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ⅵ
      • Ⅰ. 머리말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목 차】
      • 【국문초록】 ⅵ
      • Ⅰ. 머리말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사 2
      • 3. 연구대상 및 방법 4
      • Ⅱ. 고구려 건물지 유적의 조사 현황 6
      • 1. 중국 동북지역 건물지 유적 6
      • 2. 북한지역 건물지 유적 18
      • 3. 남한지역 건물지 유적 26
      • Ⅲ. 벽화와 문헌을 통해본 고구려 건물 43
      • 1. 고구려 건물의 종류 43
      • 2. 고구려 건물의 구조 50
      • Ⅳ. 고구려 건물지의 형식 분류와 편년 60
      • 1. 고구려 건물지의 속성 60
      • 2. 고구려 건물지의 형식 64
      • 3. 고구려 건물지의 연대 80
      • Ⅴ. 고구려 건물지의 형식에 따른 위계 91
      • 1. 고구려 건물의 위계 91
      • 2. 고구려 건물지의 위계 분석 92
      • 3. 고구려 건물지의 축조방식과 위계의 관계 98
      • 4. 고구려 건물의 특징 103
      • Ⅵ. 맺음말 107
      • 부록 111
      • 참고문헌 123
      • Abstract 13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