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恭齋 尹斗緖 회화의 사실성 연구 : 실학사상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095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life and picture of Gongjae Yun, Du-Seo (1668~1715), a painter in late Chosun dynasty. Yun, Du-Seo's works showed an aura of complication living at the turning point of the age. His works showing the aura of reali...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life and picture of Gongjae Yun, Du-Seo (1668~1715), a painter in late Chosun dynasty. Yun, Du-Seo's works showed an aura of complication living at the turning point of the age. His works showing the aura of realism were selected, and based on them, the situation of the age and the disposition of the thought were examined.
      Painting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 and environment like every other pieces of artistic work. Though a work is assessed as having the most distinct personality, the age in which the painter who produced the work lived and the environment he growed in are sure to be inseparably related.
      An aesthetical form on a canvas is what the ideological content and personality of the painter himself is visualized. The thought and personality of a paint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ental phenomena of the age at last and the nature of region is also connected to the life of the painter. The tendency of complication and especially the realistic pattern of the paintings by Yun, Du-Seo suggests its relevance with the environment of the age or his own scholarship.
      Gongjae Yun, Du-Seo (1668-1715) was active at the turning point from the middle(about 1550-1700) to the late period of Chosun(about 1700-1850). Gongjae was the eldest grandson of the main family of the clan of Haenam Yun and a great-grandson of Gosan Yun, Seon-Do (1587-1671). Disillusioned after falsely charged at a political incident in his young days, Gongjae pushed on solely with scholarship. Gongjae underwent misfortunes all the days of his life, went down into his country town Haenam after his fortune waned when he was 46 years old, and passed away at the age of 48 unable to overcome the ceaseless sorrows.
      Gongjae associated artistically with Lee, Ha-Gon, a member of Western party, being free of the ideology of the party and discussed frequently science and arts with Sim, Deuk-Gyeong․Lee, Man-Bu․Lee,Jam․Lee, Seo and Lee, Ik, members of the Southern party.
      Gongjae was a well-informed man in multiple fields like astronomy, geography, music, Paeguan novel, book on strategy, factory and craftsmanship as well as Sung Confucianism and the theory on etiquette. Especially his scholarship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alism that was reflected on his works. Therefore he emphasized the realities of life based on the objective and realistic perception of materials. He left works over various genres like portrait, genre painting, landscape, animal painting, greens and fruit painting and horse painting.
      The best of Gongjae's portraits is the self-portrait. His portrait shows almost perfect harmony between ellipsis, simple composition, dynamism and stability and realizes the ideal world of the whole body that oriental painting aims at. Especially the realistic and detailed representation of the face revels his world of inner mind and personality well.
      Gongjae led the way of genre painting in late Chosun dynasty. For example, the portraits like ‘Seonchado’ or ‘Seokgongdo’ represent the aspects of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reflecting the painter's various scholastic interests and affection towards them. The appearance of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on Gongjae's genre paintings suggests the change towards a new society. Gongjae is assessed as a pioneer in speaking for and creating the images of new age and new person through his paintings.
      Gongjae's genre painting is realistic taking themes from production or cultivation in the life of common people.
      The realistic feature of Gongjae's works is also apparent on the horse painting or the greens and fruit painting as well as the genre painting. The realistic feature on the greens and fruit painting suggests that Gongjae employed the miniature-like refinement and shading. The horse painting also shows Gongjae's ability to observe the object and express it realistically.
      Gongjae's creativity is also revealed through his landscape. He opened a new stage of landscape introducing the Namjong landscape style, a new style. In the work 'Spring in the Hills', it is notable that he worked not in the idealistic, but in the realistic technique representing the peasant cultivating at a real hillside in Chosun.
      The realistic aspects of Gongjae's works of painting are also shown through episodes of his life. The modernity contained in the realism firms Gongjae's standing as a pioneer.
      The creative endeavor savored in Gongjae's paintings and especially the realistic style of painting that contains the realism is the matrix of the realistic tendency from the genre painting to the paintings in late Chosun dynasty. The reality of life appearing as the theme of the genre painting was connected to Jo, Yeong-Seok․Kim, Hong-Do and Sin, Yun-Bok and seemed to open the revival of the late Chosun painting at la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록) 본 논문은 조선후기 화가 공재 윤두서(1668-1715년)의 생애와 회화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윤두서는 시대적 전환기에 살면서 복합적인 요소를 띤 작품 성향을 보이는데, 그 중에서 사실...

      (초록)
      본 논문은 조선후기 화가 공재 윤두서(1668-1715년)의 생애와 회화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윤두서는 시대적 전환기에 살면서 복합적인 요소를 띤 작품 성향을 보이는데, 그 중에서 사실적 경향을 보이는 작품들만을 선별하여 그 작품들을 근거로 시대적 상황과 사상적 경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회화작품이란 다른 모든 예술작품과 마찬가지로 시대적, 환경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가장 뚜렷한 개성을 지녔다고 평가되어지는 작품이라 할지라도 그 작품을 창조한 화가자신이 살고 간 시대와 그가 성장한 환경과는 불가분의 관계를 갖게 마련이다.
      화면위에 나타난 어떤 미적형태란 바로 화가자신의 사상적 내용과 개성이 가미된 기법으로 시각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화가의 사상이나 개성적 기법이란 결국 그 시대의 정신 현상에 직결되어있고 지역성 역시 화가의 생애에 연결되어 지는 것이다. 윤두서 또한 그의 회화에서 보여주는 복합적 경향과 사실적 화풍은 자신이 살았던 시대적 환경의 조류 내지는 자신의 학문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공재 윤두서(恭齋 尹斗緖1668-1715)는 조선시대 회화사의 양식적 분류상으로 조선중기(약1550-1700년)와 후기(약1700-1850년)가 교체되던 전환기에 활동하였던 화가이다. 공재는 해남윤씨 가문의 종손으로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 1587-1671)의 증손자이다. 공재는 젊어서 정치적 사건으로 무고(誣告)를 당하자 세상에 환멸을 느끼고 이후부터는 오로지 학문에 매진하게 되었다. 공재는 일생동안 불행이 계속되었으며, 46세 되던 해에 가세가 기울어 해남으로 낙향하게 되고, 이후 계속된 슬픔을 이겨내지 못하고 마침내 48세의 젊은 나이로 숨을 거두고 말았다.
      공재는 당색에 구애받지 않고 서인인 이하곤 등과 예술로서 교류를 가졌으며, 남인인 심득경, 이만부, 이잠, 이서, 이익등과는 자주 어울려 학문과 예술을 담론하였다.
      공재의 학문은 성리학과 예론은 물론 천문, 지리, 의약, 음악, 패관소설, 병서, 공장, 기교 등 다방면에 걸쳐 박학하게 되었다. 공재의 학문은 특히 실학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자신의 작품에도 반영되어 소재에 대한 객관적이고 실재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실생을 강조하게 되었다. 공재는 인물화, 풍속화, 산수화, 영모화, 채과도, 말그림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으며 다양한 장르에 걸쳐 다양한 소재의 그림을 그렸다.
      공재의 인물화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자화상을 들 수 있다. 그의 자화상은 생략법과 구도상의 단순성, 운동감이 주는 역동성과 안정성 등이 완벽에 가까운 조화를 이루면서, 동양 회화가 지향하는 기운생동의 이상적인 전신의 세계를 구현하고 있다. 특히 얼굴의 사실적이고 세밀한 표현은 그의 내면적 정신세계와 함께 자신의 개성이 잘 표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공재는 조선후기 풍속화의 선구를 이루었다. ‘선차도’나 ‘석공도’ 등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공재의 풍속화가 창조하게 된 데에는 그의 다양한 학문적 관심과 하층민에 대한 애정으로 하여금 그들의 삶의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공재의 풍속화에 하층민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할 수 있게 된 것은 새로운 사회로의 변화를 암시하며, 공재가 그 새로운 시대, 새로운 인간의 모습을 자신의 그림을 통해 대변하고 창조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선구자적인 면모를 평가할 수 있다.
      공재의 풍속화는 실학적인 면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서민들의 삶 속에 나타나는 생산이나 경작에 관한 내용들을 주제로 하고 있다.
      공재 작품의 사실적인 면모는 풍속화 외에도 말그림이나 채과도에서도 여실히 볼 수 있다. 채과도에서 보여 지는 사실성은 현대 회화 중 정물화적인 세밀함과 명암법등이 사용되었으며 말그림에서도 대상을 관찰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공재의 역량을 잘 느낄 수 있다.
      공재의 창조성은 산수화에서도 발휘되었다. 새로운 화풍인 남종산수화풍을 도입하여 산수화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특히 ‘산골의 봄’이라는 작품에서는 관념적인 산수화가 아니라 실제 조선의 산골에서 경작하는 농부를 사실적 화풍으로 표현한 것이 주목할 만 하다.
      공재의 회화작품에서 보이는 실학적 면모는 그의 삶 속에 나타나는 많은 일화를 통해서 쉽게 옅볼 수 있으며 실학사상이 담고 있는 근대성은 그의 선구자적 입지를 더욱 견고하게 만든다.
      공재의 회화작품에 보이는 창조적 노력과 특히 실학적 사상이 담긴 사실적 화풍은 풍속화를 시작으로 하여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적 경향의 모태가 되며 풍속화의 주제로 등장하는 삶의 리얼리티는, 이후 조영석, 김홍도, 신윤복으로 이어지면서 넓게는 조선후기 회화의 부흥기를 열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본 론 6
      • 1. 조선시대 전반기 화풍 6
      • 2. 18세기 전․후의 시대적 상황 11
      • 1) 내재적 기반 11
      • Ⅰ. 서 론 1
      • Ⅱ. 본 론 6
      • 1. 조선시대 전반기 화풍 6
      • 2. 18세기 전․후의 시대적 상황 11
      • 1) 내재적 기반 11
      • 2) 외래적 요인 15
      • 3) 실학 발생의 의의 18
      • 3. 윤두서의 생애 25
      • 1) 생애 25
      • 2) 교우관계 31
      • 4. 윤두서 회화의 사실성 34
      • 1) 윤두서의 실학정신 34
      • 2) 사실적 화풍 분석 36
      • 가. 윤두서의 사실주의적 회화관 36
      • 나. 회화에 나타난 사실적 요소 40
      • Ⅲ. 결 론 57
      • 參考文獻 61
      • 尹斗緖 年譜 64
      • 圖 版 65
      • 영문초록 69
      • 국문초록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