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末·日帝期의 實業敎育 政策硏究 = (A) Study on vocational education policy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imperi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3244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말 개화기의 실업교육 태동기부터 일제 식민지 기간까지 우리나라 실업교육의 위상과 전개과정 그리고 교육정책을 제도사적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서 근대 실업교육의 성격을 ...

      이 연구는 한말 개화기의 실업교육 태동기부터 일제 식민지 기간까지 우리나라 실업교육의 위상과 전개과정 그리고 교육정책을 제도사적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서 근대 실업교육의 성격을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구한말 관보,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각급 학교 연혁지, 언론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화기 이전의 유학교육은 주로 성리학적 교양인과 봉건제적 관료양성에 기여하여 왔으나 실업교육의 부진으로 산업발전에는 이바지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개화기 선각자들은 서양의 교육사상과 실학사상을 수용하고, 이들 사상에 기초한 신교육을 통하여 부국강병과 국가발전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였다.
      둘째, 개화기의 실업교육 역사는 갑오개혁 이후 1899년에 상공학교관제가 공포되고 상공학교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었으며 다시 1904년에 농상공학교로 개편되어 자주적인 실업교육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한국을 강점한 일제는 을사조약체결 이후 통감부를 설치(1905년)하고 교육에 대한 간섭과 강요로 1906년에 제1차 학교령 및 실업교육령을 공포하여 우리나라의 교육을 양적, 질적으로 발전시켰으나 그들은 실업학교를 식민지 산업체제 구축의 하급 기술인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으로 전락시켰다.
      셋째, 일제가 공포한 조선교육령의 주요이념은 동화정책 수행의 일환으로서 충량한 국민을 육성하고 “시세와 민도”에 맞는 교육을 실시한다는 기치를 내세웠으나 이는 기본적으로 이민족 동화를 강제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며 인문교육보다 실업교육에 치중하였던 결과로 그 정책의 실체를 드러내게 되었다.
      넷째, 일제가 실업교육 중 농업교육에만 역점을 둔 이유는 일본 본토에서 부족한 식량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일제말기 일본어를 철저히 교육시키려 한 것은 일본정신, 일본문화, 일본생활 양식을 주입시켜 민족의식, 민족정신 소멸시키고 대륙침략과 태평양 전쟁수행을 위한 항구적인 인적, 물적 보급기지로서 역할을 한반도가 감당하도록 하기 위한 이념통제 장치였다.
      요컨데 우리나라의 한말 근대적인 실업학교 성립은 선각자들의 개화사상과 실학사상에서 자주적으로 출발하였다. 그리고 정부에서도 갑오개혁을 중심으로 신학제를 도입하고 교육에 대한 여러 관제 공포로 제도를 개혁하면서 발전을 추진하였지만 한국을 강점한 일제는 1904년 제1차 한일협약의 체결로 교육에 대한 간섭을 하기 시작하고, 그 후 통감부를 설치하면서 사실상 우리나라의 주권은 일제의 손에 넘어가고 만 것이다. 일제는 식민지 통치기간 중 교육에 대한 제국주의적 왜곡으로 자주성은 상실되고 민족말살정책과 동화정책으로 일관하였다. 아직도 이러한 식민지 유산을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실증적인 자료와 고증을 거쳐 정리하는 작업과 본 연구에서 제한점을 보완하고 해방 이후의 실업교육 정책과 연속적인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modern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in Korea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vocational education, its development process, educational policies in terms of institutional history from the beginning stage of v...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modern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in Korea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vocational education, its development process, educational policies in terms of institutional history from the beginning stage of vocational educatio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f the late Chosun Dynasty to the Japanese Imperialism period.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the official gazette of the late Chosun Dynasty, statistical yearbook of Government-general department, historical records of schools at various levels and press reports.
      The following w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Confucian education prior to the Enlightenment Period mainly consisted of training a cultured person in metaphysics and bureaucrats in feudalism but failed to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due to the lack of vocational education. Therefore, forerunner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accepted the Western idea on education and practical science, and tried to realize a wealthy country and a powerful army and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new education system was based on these ideologies.
      Second, the history of vocational educatio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began when the commercial-industrial school system was declared in 1899 and commercial-industrial schools were established after the Kabo Reform of 1894. In 1904 the schools were reorganized into a agricultural-commercial-industrial type school and the basis of independent vocational education was established. However, Japan which occupied Korea established the Residency-general after signing the Ulsa Treaty in 1905. They became involved in Korean education and made Korea declare the first school regulations and vocational education regulations in 1906. This promoted vocational education in terms of its quantity and quality but lowered the status of vocational schools to that of institutes aiming at fostering blue collar workers in order to build an industrial system in the colony.
      Third, the main ideas of the first Chosun school regulations declared by Japan were to bring up loyal and honest people as a means of carrying out the assimilation policy and advocated the realization of education suitable to the times and the living standards of the people. But it was and educational program basically aimed at forcing the assimilation of a different race and the actual purposes of th policy appeared to focus on vocational education rather than humanity education under the name of the education suitable to "the times and the living standards of the people."
      Fourth, it seemed that the reason why Japan focused only on agricultural education among others was to secure foods that Japan needed.
      Fifth, the reason why the Japanese intended to teach the Japanese language thoroughly was to get rid of the Korean national consciousness and racial spirit by infusing the spirit, culture and life style of Japan. It was an ideological control device in order to make Korea play an equal role as a permanent human and material supply base to carry out continental invasions and Pacific war.
      To summarize, the formation of modern vocational schools by the institutions of the late Chosun Dynasty began independently from the ideas of enlightenment and practical science by the forerunners. Even though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new school regulations in the Kabo Reform of 1894 and promoted educational development by reforming systems with the declaration of various official regulations, Japan interfered in Korean education after reaching the first Korea-Japan Agreement in 1904. After reaching the second Korea-Japan Agreement, Japan established the Governor-general and placed vice-ministers in every department, which mean that Korean sovereignty was finally handed over to Japan. During the Korean independence was lost. They ran through the racial erasure and assimila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to readjust the issues for proper understanding through positive materials, research and further study. The continued connection to the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after Korea was liberated on August 16, 1945.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B. 연구의 문제 = 2
      • C. 연구의 방법 = 3
      • <국문초록>
      • I.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B. 연구의 문제 = 2
      • C. 연구의 방법 = 3
      • D. 연구의 제한점 = 3
      • II. 구한말 실업교육의 정립 = 4
      • A. 구한말 근대학제의 등장과 쟁점 = 4
      • B. 실업 교육의 체제와 과제 = 9
      • C. 실업 교육과정의 내용과 운영 = 16
      • III. 일제의 실업교육 재편과 의의 = 22
      • A. 통감부의 교육정책과 실업교육의 재조정 = 22
      • B. 총독부 실업교육 목표와 과제 = 26
      • C. 실업학교 체제 정비의 의의 = 29
      • IV. 1920년대의 실업교육 정책 기조 = 38
      • A. 조선 교육령하의 실업교육론 = 38
      • B. 실업학교의 정비 = 41
      • C. 실업 교육과정의 체제와 운영 = 45
      • V. 1930년대 이후 실업교육의 조정 = 53
      • A. 30년대 학교 교육의 변질과 실업교육의 위상 = 53
      • B. 실업교육의 확충과 목적 = 54
      • C. 실업교육의 내용과 방법론 = 56
      • VI. 요약 및 결론 = 63
      • A. 요약 = 63
      • B. 결론 = 65
      • ※ 참고문헌 = 68
      • ※ 영문초록 =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