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약용과 증국번의 가족문학 비교연구 : 가족사와 서간문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mily literature between Jeong Yak-yong and Zeng Guofan : focused on the family poem and letter wri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9798

      • 저자
      • 발행사항

        성남 : 嘉泉大學校,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嘉泉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古典文學專攻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810.905 판사항(6)

      • DDC

        895.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ii, 195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문복희
        권말부록 수록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과 중국은 지리상 가깝고 또한 같은 유교 문화권에 속하며, 전통적으로 가족 중심의 문화가 이어져 왔다. 본 논문은 바로 이런 점에서 출발하여 한국 정약용과 중국 증국번의 가족문학...

      한국과 중국은 지리상 가깝고 또한 같은 유교 문화권에 속하며, 전통적으로 가족 중심의 문화가 이어져 왔다. 본 논문은 바로 이런 점에서 출발하여 한국 정약용과 중국 증국번의 가족문학을 비교 연구하였다.
      정약용(1762-1836)과 증국번(1811-1872)은 18-19세기에 활동한 학자이며, 많은 작품을 창작하여 한·중 양국의 문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간의 정약용과 증국번의 문학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따로 이룬 연구가 많지만 비교 연구, 특히 가족문학에 대한 비교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고는 한·중 가족문학 비교 연구의 일환으로 정약용과 증국번의 생애 및 시대배경, 가족시, 서간문을 비교 분석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먼저 정약용과 증국번의 생애와 시대배경을 살펴보았다. 정약용은 명문가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렸을 때부터 훌륭한 가정교육을 받아 나중에 학문 형성에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이승훈을 통해 천주교에 마음을 기울이며 서학에 깊이 관여했다. 그리고 초기에 정조의 신임을 받아 순탄한 벼슬길로 나가다가 순조 이후 신유사옥 사건으로 긴 유배생활을 하였다. 그 후에 학문에 전념하여 실학을 집대성했다.
      증국번은 농가 출신인데 독서를 중시하는 가풍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좋은 가정교육을 받아 나중에 출세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정약용과 달리 증국번의 관직 생활은 초기에 순탄하지 않았고 28세에 늦게 관직을 얻고 벼슬살이를 시작하였다. 그는 당시의 학자들과 교제하며 성리학, 실학을 연구하고 학문의 참뜻을 깨닫게 되었다. 이에 의해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이상(理想)이 형성되었다. 그 후에 청나라의 중책을 맡고 태평천국을 진압하고 양무운동을 주창하였다.
      가족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 내용과 주제를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정약용과 증국번의 가족시에는 모두 가족사랑, 고향 생각, 나라 걱정의 내용이 담겨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약용과 증국번은 모두 가족과 멀리 떨어졌지만 그 원인이 달라서 시에서 표현하는 점도 다르다. 정약용은 유배로 인해 피동적으로 가족과 이별해서 그의 가족시에는 이별의 한이 흔히 보인다. 또한 자신의 유배로 인해 가족은 폐족이 되어 그는 실의감, 좌절감, 우울감 그리고 가족에 대한 죄책감 등의 정서를 자주 드러낸다. 증국번은 나라의 중책을 맡고 일생동안 관직 생활을 해서 그의 가족시에는 가족이나 고향에 대한 그리움, 가장으로서의 책임감, 동생과 자식들에 대한 근심과 기대 등의 정서를 주로 나타낸다.
      둘째, 표현수법을 비교하면 시체에서 정약용과 증국번은 모두 한시의 각체를 겸비하면서 오·칠언 고시를 선호하여 많이 창작하였다. 이는 청나라 후기와 조선후기의 실학운동, 문학에서 실용주의적 사상의 영향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외에 증국번은 연작시를 많이 창작하였다.
      셋째, 문학관과 내면의식을 보면 두 사람은 모두 중국 『시경』의 시정신을 계승하고 두보의 현실주의 시문학관을 본받으며 사실주의 문학관을 가졌다. 정약용은 민족 정체성의 차원에서 ‘조선시'를 창작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는 서학의 영향을 받아 인간존중과 평등사상을 가지고 있다.
      증국번은 서양문화의 영향도 받고 민주적 사상을 가지고 있지만 청나라의 유가 전통사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삼강오륜의 도를 지켰고 여성을 평등하게 인식하지 못했다.
      서간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간문에 나타난 인생관을 보면 정약용과 증국번은 모두 학문과 개인 수양을 중시하며 자녀들이 학문을 하는 목적은 벼슬을 하는 것이 아니고 사리에 밝은 군자가 되는 것이다. 차이점으로는 정약용은 성리학의 정(静)적인 수양을 비판하며 동(動)적인 실천적 수양을 강조하였다. 그는 자기를 희생하여 사회에 봉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자기 수양이 이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증국번은 마음 수양과 몸 관리, 정과 동적인 수양을 모두 강조하였다. 또한 늘 부족함을 구하고 자기 성찰을 하여 스스로 보전한 다음에 국가를 다스릴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그는 유달리 양생을 중시하였다.
      두 사람은 모두 효제를 중시하며 서(恕)와 효제(孝悌)를 통해 인(仁)을 이루는 것을 추구하고 근검하게 살림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차이점은 정약용은 도덕과 경제를 결합하며 서로의 영향관계를 강조하였다. 증국번은 효와 충의 관계를 논술하며 가문과 자기 보전을 해야 그 다음에 국가를 지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처세에서 정약용과 증국번은 모두 아들들이 시비(是非)와 이해(利害)를 똑똑히 가리며 양심과 성의를 가지고 올바른 행동거지를 강조하였다. 또한 친구를 사귈 때 잘 선택하고 신중해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차이점은 정약용은 인간의 존엄성과 자주지권(自主之權)을 언급하며 인간존중과 평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증국번은 부족함을 추구하고 욕심을 막고 자연스러움을 따르는 처세법(處世法)을 주장하였다.
      또한 서간문에 나타난 교육관을 보면 두 사람은 모두 경세치용의 사상을 가지고 가정교육을 중시하였다. 자녀 교육에 있어서 물질적 부유보다 정신적 부유를 강조하였다. 또한 자녀들에게 독서만 독려할 뿐만 아니라 근검한 생활과 농사에 직접 종사하는 실천교육도 강조하였다. 차이점은 정약용의 실천교육에서 경제교육과 좌절교육도 병행하였다. 증국번은 실천교육에서 양생교육도 중시하였다. 그는 건강관리를 하는 데 여러 가지 방법을 아들들에게 알려줬다. 특히 서법은 중국의 전통 문화이고 서법을 통해 심성 수양을 할 수 있다. 증국번도 서법을 중시하여 서간문에서 아들들에게 서법방법을 가르치며 심신도야를 실현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두 사람은 모두 과학기술교육을 중시하였다. 정약용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과학기술 교육의 강조를 통해 국민 개개인의 풍요로운 삶을 염원하였으며 부국의 꿈을 이룰 수 있도록 헌신하였다. 증국번은 과거를 직접 비판하지 않았지만 그는 과거의 폐단을 인식하고 현대 진보적인 과학기술을 수용하며 자식들에게 서양문화를 적극적으로 공부시켰다. 그리고 양무운동을 주창하며 부국강병을 실현하기 위해 헌신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국문초록】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 3. 연구사 검토 4
      • Ⅱ. 작가의 생애와 시대배경 11
      • 1. 작가의 생애 11
      • 1) 정약용의 생애와 유배생활 11
      • 2) 증국번의 생애와 관직생활 16
      • 2. 시대 배경 19
      • 1) 사회사적 배경 19
      • 가. 조선후기의 시대 배경 19
      •   나. 청나라 후기의 시대 배경 32
      • 2) 문학사적 배경 39
      • 가. 조선후기 문학사적 배경 39
      • 나. 청나라 후기 문학사적 배경 42
      • Ⅲ. 가족시 비교 45
      • 1. 정약용 가족시의 양상 46
      • 1) 회향시 46
      • 2) 사친시 50
      • 3) 형제우애시 53
      • 4) 자녀사랑시 58
      • 5) 부부사랑시 65
      • 2. 증국번 가족시의 양상 73
      • 1) 객지의 삶과 향수 73
      • 2) 자식으로서의 효 79
      • 3) 장형으로서의 당부와 기대 82
      • 가. 동생에 대한 그리움 83
      • 나. 동생에 대한 기대 88
      • 다. 동생에 대한 권계와 교훈 92
      • 라. 동생에 대한 애도 95
      • 4) 아버지로서의 교훈 96 
      •  3. 정약용과 증국번의 가족시 비교 100
      • 1) 작품 주제 100
      • 2) 표현 수법 101
      • 가. 시체의 사용 102
      • 나. 전고의 구사와 소재의 활용 105
      • 다. 시어 구사 방식 114
      • 라. 서정방식 115
      • 마. 시의 품격 119
      • 3) 작가의 문학관과 내면의식 120
      • Ⅳ. 서간문 비교 125
      • 1. 정약용의 서간문 126
      • 1) 아들에게 보낸 서간문의 내용과 유형 126
      • 2) 서간문에 나타난 정서와 사상 129
      • 가. 수신(修身) 129
      • (1) 입지(立志) 130
      • (2) 신독(慎獨) 131
      • (3) 성신(誠信)과 성의(誠意) 132
      • (4) 정의(正義)와 양심(良心) 134
      • (5) 구인(求仁) 135
      •  나. 제가(齊家) 137
      • (1) 화순(和順) 137
      • (2) 독서(讀書)와 학문(學問) 138
      • (3) 근검(勤儉) 141
      • 2. 증국번의 서간문 142
      • 1) 아들에게 보낸 서간문의 내용과 유형 142
      • 2) 서간문에 나타난 정서와 사상 147
      • 가. 수신(修身) 147
      • (1) 뜻을 세우기[立志] 147
      • (2) 경과 서를 지키기[主敬寬恕] 148
      • (3) 언행을 근신하기[謹言慎行] 150
      • (4) 꾸준함을 가지기[有恒] 151
      • (5) 부족함을 구하기[求闕] 152
      • (6) 양생을 중시하기[重養身] 154
      • 나. 제가(齊家) 156
      • (1) 가족의 화목(和睦) 156
      • (2) 독서(讀書)와 학문(學問) 159
      • (3) 자연(自然)의 순리(順理) 160
      • (4) 부지런함(勤)과 검소함(儉) 162
      • 3. 정약용과 증국번의 서간문 비교 164
      • 1) 인생관 165
      • 2) 교육관 168
      • Ⅴ. 결론 174
      • □참고문헌 180
      • □ABSTRACT 190
      • 표 목 차
      • <표 3-1> 정약용 가족시의 전고 용례 106
      • <표 3-2> 정약용 가족시의 소재와 정서표현 107
      • <표 3-3> 증국번 가족시의 전고 용례 111
      • <표 3-4> 증국번 가족시의 소재와 정서표현 113
      • <표 3-5> 정약용이 아들에게 보낸 서간문의 내용과 유형 127
      • <표 3-6> 증국번이 아들에게 보낸 서간문의 내용과 유형 14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신일철, "「한국사론」", 『韓國近現代史論文選集』, 서울: 韓國人文科學院, 2000

      2 송재소, "『다산시선』", 창작과비평사, 1981

      3 김지용, "「茶山文學論」", 『국어국문학』33, 국어국문학회, 1966

      4 정약용, "『舆猶堂全書』", 경인문화사, 1989

      5 최재남, "『고시조연구』", 태학사, 1997

      6 강만길, "『한국근대사』", 창작과비평사, 1984

      7 송재소, "『다산시 연구』", 창작과비평사, 1986

      8 구자균, "『朝鮮平民文學史』", 민학사, 1974

      9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 소명출판, 2014

      10 김상홍, "「 茶山의 蘇東坡論」", 『南冥學硏究』, 2004

      1 신일철, "「한국사론」", 『韓國近現代史論文選集』, 서울: 韓國人文科學院, 2000

      2 송재소, "『다산시선』", 창작과비평사, 1981

      3 김지용, "「茶山文學論」", 『국어국문학』33, 국어국문학회, 1966

      4 정약용, "『舆猶堂全書』", 경인문화사, 1989

      5 최재남, "『고시조연구』", 태학사, 1997

      6 강만길, "『한국근대사』", 창작과비평사, 1984

      7 송재소, "『다산시 연구』", 창작과비평사, 1986

      8 구자균, "『朝鮮平民文學史』", 민학사, 1974

      9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 소명출판, 2014

      10 김상홍, "「 茶山의 蘇東坡論」", 『南冥學硏究』, 2004

      11 정석종, "『丁茶山과 그 時代』", 민음사, 1990

      12 김상홍, 박이정, "『한국 한시의 향기』", 1999

      13 이성무, "「朝鮮初期兩班研究」", 일조각, 1980

      14 장승희, "『茶山倫理思想研究』", 경인문화사, 2005

      15 김영일, "「丁若鏞의 上帝思想」", 경인문화사, 2003

      16 한문희, "(역), 『아버지의 편지』", 함께읽는책, 2004

      17 任桂淳, "「曾國藩과 그의 思想」",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69

      18 조동일, "『제4판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2014

      19 김용흠, "「朝鲜后期政治史研究」", 혜안, 2006

      20 김용섭, "『朝鮮後期農業史研究』", 일조가, 1982

      21 박혜숙, "「서사한시와 현실주의」", 『민족문학사연구』 2-1, 민족문학사연구 소, 1992

      22 양순필, "「조선조 유배문학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2

      23 김상홍, "『다산 정약용문학연구』",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5

      24 최석우, "「茶山西學에 관한 논의」", 『다산정약용의서학사상』, 다섯수레, 1993

      25 박호종, "「정약용의 가족시 연구」",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6 김용흠, "「조선후기 정치와 실학」",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null

      27 정 민, "『다산선생 지식 경영법』", 김영사, 2006

      28 한정호, "「한국 근대 가족시 연구」",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9 천병식, "『朝鮮後期委巷詩社硏究』", 국학자료원, 1991

      30 정석종, "『朝鮮後期社會變動硏究』", 일조가, 1983

      31 이남희, "「과거제도, 그 빛과 그늘」", 『오늘의 동양사상』18, 예문동양사상 연구원, 2008

      32 박무영, "「다산학연구의 최근동향」",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08

      33 증국번, "허권수 (역),『증국번가서』", 도서출판 술이, 2005

      34 金姬成, "「曾國藩의 古文理論 硏究」",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35 김상홍, "「다산 정약용의 문학연구」", 『漢文学論集』4, 1986

      36 송재소, "「다산의 사언시에 대하여」", 『다산학』제 6 호, 2005

      37 박무영, "『정약용의 시와 사유방식』", 태학사, 2003

      38 이혜순, "『한국 고전 여성작가 연구』", 태학사, 1999

      39 강만길, "<한국사10: 중세사회의 해체(2)>", 한길사, 1994

      40 최병정, "「茶山丁若鏞의 抒情詩硏究」",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41 정양구사회, "『한국리얼리즘漢詩의 이해』", 새문사, 1998

      42 金興圭, "「朝鮮後期 詩經論과 詩意識」",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1

      43 이정행, "「다산 정약용의 인성교육론」",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44 송영희, "「조선후기 가족제도의 변화」",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5 李丙疇, 金泰俊, "「茶山 流配時節의 詩와 두시」", 二友出 版社, 『두시硏究論叢』, 1982

      46 하갑룡, "「茶山의 修養論에 관한 研究」", 『大同哲學』18, 2002

      47 김옥희, "「다산 정약용의 서학 신봉론」", 『茶山丁若鏞의 西學思想硏究』, 순교의 맥, 1991

      48 박노준, "『조선 후기 시가의 현실인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8

      49 홍이섭, "「丁若鏞의 政治經濟思想 硏究」",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59

      50 김재섭, "「茶山 丁若鏞의 敎育思想硏究」", 『한국교육사학』21, 1999

      51 이용형, "「茶山 丁若鏞의 敎育思想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1999

      52 이승훈, "『문학으로 읽는 문화상징사전』", 푸른사상, 2009

      53 원동연, 유혜숙, 유동준, "『시조 삶의 언어, 치유의 노래』", 김영사, 2006

      54 정옥자, "「朝鮮 後期의 文風과 委巷文學」", 한국사론 4, 1978

      55 卓賢淑, "「茶山 丁若鏞의 流配書簡 研究」", 湖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7

      56 정석종, "「丁若鏞과 正祖 純租年間的政局」", 『高柄翊先生 回甲紀念史學論 業』, 1984

      57 안대회, "「한국 한시에서의 현실주의 논의」", 『민족문학사연구』2-1, 민족 문학사연구소, 1992

      58 김 영, "『朝鮮後期 漢文學의 社會的 意味』", 집문당, 1993

      59 장국종, "등 공저, 『조선단대사 21(리조사7)』",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1

      60 박준영, "「다산 교육관의 현대 교육적 의의」", 교육사상 연구, 제16집, 2005

      61 이영남, "「丁若鏞與顧炎武的社會詩比較研究」", 东疆学刊, 2009

      62 노인숙, "「曾國藩의 經世思想과 그 禮學價値」", 동양철학연구 제76집, 동양 철학연구회, 2013

      63 임재윤, "「茶山 丁若鏞의 敎育改革思想 硏究」",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1999

      64 이민지, "「다산 편지의 문학교육적 가치연구」", 『연민학지』제 20 호, 2013

      65 우위롱, "「두보와 정약용의 사회시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7

      66 지영숙, "「정약용의 가정교육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1987

      67 이경구, "『조선후기 사상사의 미래를 위하여』", 푸른역사, 2014

      68 하현강, "『한국인의 의식구조와 외세의 작용』", 일조각, 1984

      69 전경남, "「茶山의 詩觀과 社會詩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 석 사학위논문, 1986

      70 이진숙, "「다산 정약용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8

      71 홍성욱, "「이조 시대의 세도정치와 홍경래의 난」", 『새가정』11(9), 새가정 사, 1964

      72 최윤오, "「朝鮮後期 土地所有權의 發達과 地主制」",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1

      73 윤인현, "「한국 詩歌論에서의 詩經詩이론의 영향」", 『韓國漢文學研究』44, 2002

      74 김봉남, "「茶山 詩에 함축된 內面意識의 변모양상」", 『한국한문학연구』38, 2007

      75 김상홍, "「茶山詩攷 -人倫詩와 社會詩를 중심으로-」", 『論文集』, 단국대 학교, 1981

      76 최경환, "「시조유형론 -서정적 주체의 내면화 방식-」", 『語文學論叢』 27 권, 국민대학교 어학연구소, 2008

      77 김용태, "「茶山學團 시문학의 실학적 성격에 대하여」", 한국실학연구 14, 한국실학학회, 2007

      78 이명희, "「다산 실학사상의 철학적 치유가능성 모색」", 경성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4

      79 문복희, "「만락헌 장석인의 한시에 나타난 선비정신」", 중앙어문학회, 2017

      80 이영남, "「정다산과 청대학자 고염무의 문학과 비교」", 『개신어문연구』25, 개신어문학회, 2007

      81 曺恩貞, "「茶山의 著述과 그에 관한 硏究文獻 分析考」", 전남대학교 문헌정 보학 석사학위논문, 1999

      82 김주완, "「시의 정신치료적 기능에 대한 철학적 정초」", 『철학연구』100집, 大韓哲學會, 2006

      83 이영남, "「다산과 청대문인 왕사정의 자연시 비교연구」", 『청람어문교육』, 2009

      84 노인숙, "「淸末 傳統家訓의 硏究 -以曾國藩家訓為中心-」", 동아인문학 12집, 동아인문학회, 2007

      85 송미헌, "「茶山 丁若鏞의 古詩에 나타난 主題思想 硏究」", 고려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86 김경신, "「다산 정약용의 편지글에 나타난 효 사상 연구」", 성산효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87 유병래, "「세대갈등과 문화생활 -시민성 구현과 관련하여」", 『철학⋅사상 ⋅문화』19, 2015

      88 윤경수, "「茶山의 社會詩 연구 - 敍事的 寫實性을 중심으로-」", 『한국사 상과 문화』62,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89 진재교, "「실학파와 한시 -현실주의적 성과와 민족 문학적 성취-」", 『문 학과 사회집단』, 한국고전문학회, 1995

      90 진재교, "「다산과 문학 - 인간 다산과 다산의 인간학을 중심으로-」", 『한 국한문학연구』50, 2012

      91 권기돈, "「조선시대 성리학적 사회질서 욕망의 억압에 관한 연구」", 동아대 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5

      92 연은순, "「살아있는 현실 , 시로 쓴 역사 -다산의 사회시에 대하여-」", 『한 국문예비평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권, 1997

      93 박무영, "「정약용의 시문학의 연구: 사유방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94 조치성, "「조선후기 한문 장편소설과 중국 아녀영웅소설 비교 연구」", 가천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95 진성수, "「다산(茶山)의 인성교육 연구 -「가계(家誡)」를 중심으로-」", 『퇴계 학논집』, 영남퇴계학연구원, 통권 20호, 2017

      96 조원래, "「實學者의 官吏登用法改革論硏究: 科擧制改革論을 中心으로」", 『백산학보』23, 백산학회, 1977

      97 김상목, "「茶山丁若鏞의 子女敎育觀-두 아들에게 보낸 家誡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8 손혜정, "「다산 시에 나타난 가족애 연구: 내면의식 표출양상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9 홍일식, "「조선후기 서사문학에 (敍事文學) 나타나는 신분관의 변모 양상」", null

      100 문수홍, "「朝鮮後期 身分制 動搖의 一考察: 納粟策, 空名帖 發給을 中心으 로」", 『논문집』1, 동국대경주대학, 1982

      101 임형택, "「湖南의 학문전통과 漢文學:丁若鏞의 康津流配時의 교육활동과 그 성과」", 『한국한문학연구』 21, 한국한문학회, 1998

      102 김민우, "「정약용의 가정교육에 관한 연구: 두 아들에게 보낸 서간문을 중 심으로」", 경인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3 이순형, "「정약용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두 아들에게 보낸 서간문의 분석 을 중심으로」", 『교육학 연구』, 1997

      104 김상홍, "「茶山의 子息敎育 世界 -유배지(流配地)에서 보낸 서간(書簡)과 가 계(家誡)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8

      105 김인규, "「조선후기 신분제 개혁론의 새로운 지평: 身分主義에서 職分主義 로의 패러다임의 전환」", 『동양고전연구』30, 동양고전학회,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