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자화상 연구 : -윤두서·강세황의 자화상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Chosun Dynasty Self-Portraits -Focused on Yun Du Seo and Kang Se Hwang's Self-Portrai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93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noble man and kings' portraits during Chosun dynasty were drawn for the reflection, political and educational purpose, and they pursued the independent whole body painting based on the detailed truth. Portraits during Chosun dynasty were drawn ba...

      Many noble man and kings' portraits during Chosun dynasty were drawn for the reflection, political and educational purpose, and they pursued the independent whole body painting based on the detailed truth. Portraits during Chosun dynasty were drawn based on the life and death, and they tried to show high level art such as the internal expression. Thus portraits during Chosun dynasty may be said to be the art of whole body painting which is the mutual complement of the real painting and the desired painting.
      Portraits clearly show the intention of demonstrating internal expression as well as the truth exploration. Its artistic value is high so it does the roll of the sybol of the portaraits during Chosun dynasty. Yun Du Seo's <Ja hwa sang> is known as the masterpiece of the whole body drawing and Kans Se hwang has also left some portrait pieces with magnificent touch.
      In late Chosun dynastry the escape from Juja theory, which had caused the social malady because of the academic discussion and formalism, was evident and they were moving their attention to practical science based on the bibliographical study. The world view and the collapse of Myung dynasty in China, many literary artists in Chosun were influenced with proctical science and they began drawing the portraits including self-portraits with the practice of new technique such as shadow technique. The use of new technique is evident in the self-portraits of Yun Du Seo and Kang Se Hwang. They both used the technique of shadow and cubic effect.
      Yun du Seo and Kang Se Hwang, as noble artists, tried to demonstrate the internal sexual expression and the true appearance of themselve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reality. Thus its formation became the essential concept as whole body concept, and to express the God they used the concept of formation. During the process they used the new technique from Western world such as shading, and they were able to draw valuable paintings which demonstrated the whold body concept. This characteristic is evident in the self-portraits of Kim Si Seub and Lee Gwang Jwa, which may not be said to be self-portraits.
      To artists it is the destined work to realize themselves and recognize the art world based on the subjective and independent value of their work. In psychology their purpose is the realization of themselves so artistic creation may also be regarded as the recognition of themselves.
      Thus these two self-portraits should be apprecia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ir meaning of themselves and the spirit of whole body painting of Yun Du Seo and Kang Se Hwang's paint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초상화는 감계적(鑑戒的), 정치적(政治的), 교화(敎化)를 목적으로 수많은 어진과 사대부들의 초상이 제작되었는데 극세정밀(極細精密)한 사실성을 기본으로 하여 독보적인 전신사...

      조선시대 초상화는 감계적(鑑戒的), 정치적(政治的), 교화(敎化)를 목적으로 수많은 어진과 사대부들의 초상이 제작되었는데 극세정밀(極細精密)한 사실성을 기본으로 하여 독보적인 전신사조(傳神寫照)를 추구하였다. 이렇듯 조선시대 초상화는 면밀한 사생을 바탕으로 제작되어왔으며 기법 면에서 뿐 아니라 대상인물의 내면표출이라는 높은 예술적 경지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초상화는 사실(寫實)과 사의(寫意)가 상호보완된 진정한 의미의 전신사조의 예술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듯 철저한 사실탐구 뿐 아니라 대상의 내면까지 화면 속의 인물에 나타내려했던 사고방식은 자화상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 주목된다. 더욱이 예술성 또한 높아서 조선시대 초상화의 대표적이고 상징적인 역할을 다 해주고 있다. 윤두서의 <자화상>은 우리나라 초상화 중에서도 전신화법(傳神畵法)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으며 강세황 역시 격조높은 필치로 여러폭의 자화상을 남기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조선후기사회는 공리공론과 형식주의로 인하여 사회의 온갖 병폐를 초래했던 주자학의 관념성에서 해방하여 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문 및 실사구시(實事求是)의 고증학(考證學)을 바탕으로 하는 실학사상(實學思想)이 발전되었을 때이다. 실학의 대두로 인한 사실적 세계관과 명(明)의 몰락으로 인한 ‘조선중화사상(朝鮮中華思想)’이 배경이 된 상황에서 실학사상과 합류하여 문인화가들이 자화상을 비롯한 초상화를 많이 그리게 되면서, 음영법과 같은 새로운 기법의 시도가 자유롭게 행하여 졌다. 이는 윤두서와 강세황의 자화상에 나타난 양식면에서의 기법적인 공통점으로서 두 작품 모두 섬세 미묘한 명암처리 즉, 음영에 의한 입체감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기법상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사대부 화가로써 윤두서와 강세황은 내적 성정(性情)표현과 자아의 진실된 모습, 그리고 나아가 현실과의 관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초상화에서 ‘전신(傳神)’의 개념과 같이 ‘형사(形似)’도 꼭 갖추어야 할 기본이 되었는데 ‘신(神)’을 드러내기 위해서 철저히 형상을 차고 들어갔으며 그 과정에서 현실성에 근접한 새로운 기법, 즉, 명암법과 같은 서양화법을 수용하여 가장 중요한 ‘전신’을 최대한으로 나타낸 뛰어난 작품을 남기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이 둘의 자화상 외에도 비록 자화상이라고 속단하기는 어려우나 김시습의 자화상과 이광좌의 자화상에서도 나타난다.
      작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를 자아개념을 지각하고 실현하는 것이라 할때, 자기 자신에 대하여 확고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가치관을 형성한 토대 위에 주관적이며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인지하는 것은 곧 모든 작가의 숙명적인 과제라 할 수 있다. 심리학에서도 자아의 최고 목표를 자아실현으로 두고 있듯이 예술적인 창조야말로 최고의 자기 실현인 셈이다.
      따라서 자화상을 통해 강한 자의식을 표출하였던 조선시대의 두 화가 윤두서와 강세황의 자화상 속에 표현된 자아의 의미와 전신사조의 정신을 보다 깊이 이해해보는 것에 의미를 두고 이 두 자화상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조선시대 초상화의 특성 = 4
      • Ⅲ. 조선시대 자화상 = 11
      • 1. 시대적 배경 = 14
      • 2. 사상적 배경 = 16
      • Ⅰ. 서론 = 1
      • Ⅱ. 조선시대 초상화의 특성 = 4
      • Ⅲ. 조선시대 자화상 = 11
      • 1. 시대적 배경 = 14
      • 2. 사상적 배경 = 16
      • 3. 조선시대 자화상의 특징 = 18
      • 1) 사대부출신 선비화가 = 18
      • 2) 자아의식(自我意識) = 21
      • 3) 전신화법(傳神畵法) = 27
      • 4) 사실성(事實性) = 30
      • Ⅳ. 작품연구 = 35
      • 1. 윤두서의 자화상 = 35
      • 1) 윤두서의 생애 및 예술관 = 35
      • 2) 작품분석 = 38
      • 2. 강세황의 자화상 = 43
      • 1) 강세황의 생애 및 예술관 = 43
      • 2) 작품분석 = 46
      • 3. 기타의 자화상 = 50
      • Ⅴ. 결론 = 55
      • 참고문헌 = 57
      • (Abstract) = 59
      • 도판목록 = 61
      • 圖版 =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