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역사교육 = 한국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65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에 관해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연계성의 측면에서 『동아시아사』교과서와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

      이 글은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에 관해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연계성의 측면에서 『동아시아사』교과서와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사』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사를 이해하기 위한 간접적인 ‘배경’에 머무르고 있어 한국근현대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 않다. 동아시아라는 공간 범주도 한중일 삼국 곧, 동북아를 동아시아로 기술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한국 중심적인 지역관념을 드러내고 있다. 보통의 한국 사람 대부분이 동북아 중심적인 동아시아관을 가지고 있음을 반영한 기술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그런데 『동아시아사』교과서에서는 베트남까지를 동아시아의 공간 범주로 제시하고 있다. 동북아 중심적인 역사관을 드러내고 있는 『한국사』교과서 가운데 베트남까지를 포괄하며 지역의 역사를 파악하려고 노력한 경우는 사실상 한 종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2012학년도부터 『한국사』와 『동아시아사』교과서 사이의 통일성과 연계성도 떨어지고 공간 범주 자체도 불일치한 상태에서 역사교육을 실시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더구나 『동아시아사』교과서 자체도 동아시아의 공간 범주를 文化圈論으로 접근한 결과, 오늘날 진행되고 있는 학문적인 논의와 국제정치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도 못하다.
      동아시아의 역사에 관한 한국사 교육의 문제점은 각 대단원의 내용을 학교 현장의 역사교사가 보완하는 방향에서 우선 해소해야 한다. 보다 근본적인 대책은 제국과 식민, 냉전과 분단을 설명할 수 있는 ‘지역으로서 동아시아’관을 정립하고, 동아시아의 공간 범주에 대해 통일성을 갖추어 학년간 내지는 교과간 연계성 있는 역사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다시 만들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how the Korean History textbook covers the history of East Asia, and examines its relationship with the History of East Asia textbook in terms of how the two are linked.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the hi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how the Korean History textbook covers the history of East Asia, and examines its relationship with the History of East Asia textbook in terms of how the two are linked.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the history of East Asia is presented only as a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and is not explained in dose connection wit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of Korea. fast Asia as a geographical category is often used only to describe the thre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namely Korea, China and Japan, and does not include Vietnam, which is mentioned in the History of East Asia textbook. The Korean History textbook reveals a very Korea-biased regional perspective, lacking correlation with the History of East Asiatextbook and with the geographical category itself inconsistently applied. Also, since the History of East Asia textbook itself approaches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erms of cultural area theory, academic discussions and international realities are not properly reflected. The cause of this situation lies in making textbook selections ‘without methodical preparations and hastily putting together aneducational program based on political consider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동아시아의 공간 범주와 한국사 교육
      • 3. 『한국사』 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역사교육
      • 4. 맺음말 - 관계사와 지역사가 내재된 한국근현대사 서술과 역사교육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동아시아의 공간 범주와 한국사 교육
      • 3. 『한국사』 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역사교육
      • 4. 맺음말 - 관계사와 지역사가 내재된 한국근현대사 서술과 역사교육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주백, "歷史敎科書對話通じた東アジア型歷史構想" 國立歷史民俗博物館 編 2011

      2 황인원, "확대 지향의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아세안(ASEAN)의 인식과 대응" 동아연구소 54 (54): 49-80, 2008

      3 신주백, "한국현대사에서 청산리전투에 관한 기억의 流動 ― 회고록·전기와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학회 (57) : 93-122, 2011

      4 신주백, "한국의 동아시아사 인식" 제4회 세계역사NGO대회 -동아시아 미래 100년의 역사를 다시 쓴다 2011

      5 신주백, "한국병합 100년과 동아시아형 미래 만들기" 8 : 2010

      6 신주백, "통합적 지역사 쓰기의 첫 시도 -‘함께 읽은 동아시아 근현대사’" 95 : 2011

      7 최원식, "탈냉전시대와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 21 (21): 1993

      8 신주백, "일본의 역사왜곡과 한국사회의 대응(1965~2000)" 17 : 2001

      9 홍석률, "유신체제의 형성. In 유신과 반유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10 동북아역사재단, "부록-동아시아사 교육과정 해설서」,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1 신주백, "歷史敎科書對話通じた東アジア型歷史構想" 國立歷史民俗博物館 編 2011

      2 황인원, "확대 지향의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아세안(ASEAN)의 인식과 대응" 동아연구소 54 (54): 49-80, 2008

      3 신주백, "한국현대사에서 청산리전투에 관한 기억의 流動 ― 회고록·전기와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학회 (57) : 93-122, 2011

      4 신주백, "한국의 동아시아사 인식" 제4회 세계역사NGO대회 -동아시아 미래 100년의 역사를 다시 쓴다 2011

      5 신주백, "한국병합 100년과 동아시아형 미래 만들기" 8 : 2010

      6 신주백, "통합적 지역사 쓰기의 첫 시도 -‘함께 읽은 동아시아 근현대사’" 95 : 2011

      7 최원식, "탈냉전시대와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 21 (21): 1993

      8 신주백, "일본의 역사왜곡과 한국사회의 대응(1965~2000)" 17 : 2001

      9 홍석률, "유신체제의 형성. In 유신과 반유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10 동북아역사재단, "부록-동아시아사 교육과정 해설서」,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

      11 김성곤, "문화대혁명에 대한 한국학계의 연구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6 (6): 1997

      12 신주백,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1945)" 아세아문화사 1999

      13 신주백, "동아시아에서의 식민주의와 영토문제" 한국근현대사학회 (55) : 295-311, 2010

      14 박사명, "동아시아 식민질서와 동남아시아: 서구중심적 제국공조체제" 한국동남아학회 20 (20): 71-111, 2010

      15 쑨거, "동아시아 시각의 인식론적 의의. In 동아시아, 인식지평과 실천공간" 아연출판부 2010

      16 우에하라 카즈요시, "동아시아 근현대사" 옛오늘 2000

      17 신주백, "동북아 정세의 특징과 간도영유권문제 해결의 접근법 탐색" 동아시아일본학회 21 : 63-83, 2007

      18 신윤환, "동남아의 지역주의와 “동아시아 공동체”: 그 역사에 대한 재해석" 동아연구소 56 (56): 107-137, 2009

      19 성황용, "근대동양외교사" 명지사 1993

      20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7] 사회과 교육과정"

      21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사회(역사)"

      22 山室信一, "複合戰爭と總力戰の斷層 : 日本にとっての第一次世界大戰" 人文書院 2011

      23 和田春樹, "岩波講座東アジア近現代通史 第4卷 社會主義とナショナリズム" 岩波書店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