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일본의 단군 후대 창안설과 만선사학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이마니시 류, 이나바 이와키치를 중심으로- = Modern Japan's Dangun Later Creation Theory and Manchurian Coseon History -Focusing on Shiratori and Imanishi, Inab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19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hiratori, Imanishi, and Inaba were the most discussed among the Dangun theories of many Japanese in the modern period. First, Shiratori, the founder of Manchurian Coseon history, argued that the Dangun myth was the creation of Buddhist monks in futur...

      Shiratori, Imanishi, and Inaba were the most discussed among the Dangun theories of many Japanese in the modern period. First, Shiratori, the founder of Manchurian Coseon history, argued that the Dangun myth was the creation of Buddhist monks in future generations. They also argued that the Dangun myth was originally a fictional tale based on Buddhist folklore, or that it was an fake story made by the people of Koguryeo.
      There is no historical basis for the claim that it was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Changsu or an fake story of Dangunmyth. In addition, it is pointed out that Shiratori's argument became the basis for the Dangun criticism and Dangun denial theory in colonial Coseon. Imanishi argued that the Dangun myth was a Buddhist myth created during the Koryeo Dynasty and had no relation to the present Korean people. However, Imanishi's historiography to drive out Dangun, who was elevated as a historical and national subject of Coseon, is clearly within the boundaries of Manchurian Coseon history and colonial history.
      Shiratori and Imanishi limited the founding date of the Dangun myth to Koguryeo and Koryeo. Afterwards, it not only caused misreading about the Dangun myth, but also aroused a backlash from Choi, nam-sun, the only Dangun theorist of colonial Koreans. As a way to block Coseon's independence, Inaba held the Dangun denial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y of Manchurian-Coseon. He also mentioned the fake of the Dangun myth for fear of spreading the Dangun myth among Koreans.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Manchuria Coseon, he argued for the indivisibility of Manchuria Coseon.
      The core of Manchurian Coseon history that Inaba claim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It is emphasized that Choi, nam-sun's counterattack against Shiratori and Imanishi's Dangun theory was unique to colonial Koreans at the time. In the end, Shiratori, Imanishi, and Inaba argued for the creation of the Dangun myth in koguryeo and koryeo, respectively. However, this is in line with Manchurian Coseon history, along with the theory of monk manipulation in the Dangun myth in 󰡔Samguk Yusa󰡕. Therefore, it must be said that there was no historical valid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시기에 들어와 다수 일본인의 단군론 중에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인물은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이마니시 류 그리고 이나바 이와키치였다. 먼저 시라토리는 만선사의 창시자로 단군신화에 ...

      근대시기에 들어와 다수 일본인의 단군론 중에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인물은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이마니시 류 그리고 이나바 이와키치였다. 먼저 시라토리는 만선사의 창시자로 단군신화에 대해 후세 불교도의 창작이라는 승도망탄설을 주장하며 단군신화는 본래 불교설화에 근거한 가공의 선담이라거나 고구려인들의 손에 의해 만들어진 가작담이라 주장했다. 단군신화에 대한 선담과 가작담 또는 장수왕 때 성립하였다는 주장은 그 역사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시라토리의 이런 주장은 이후 식민지 조선의 단군비판이나 단군부정론의 기초가 되었음이 지적된다. 이마니시는 단군신화에 대해 고려시대에 창안된 불설(佛說)로 현재의 한민족과는 관계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조선의 역사적 그리고 민족적 주체로서 고양된 단군을 쫒아내려는 이마니시의 역사학은 분명히 만선사와 식민주의 역사학의 테두리 안에 있음이 지적된다. 시라토리와 이마니시가 단군신화의 성립연대를 고구려와 고려로 한정지으면서 이후 단군신화에 대한 오독을 일으킴은 물론 식민지 조선인의 유일한 단군론자인 최남선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이나바 이와키치는 조선독립을 저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만선사의 입장에서 단군부정론을 펼치고 조선인들 사이에 단군신화가 퍼지는 것을 우려해 단군신화의 가공성을 언급하는 한편 만선사의 입장에서 만선불가분론을 주장하였다. 이나바가 주장하는 만선사의 핵심은 두 가지로 분리할 수 있다. 하나는 만주사로 중국과 맞선 위대한 역사라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조선사로 패배자의 역사라는 것이다. 곧 단군의 역사성을 부정하고 고려후기 창작물로 본 것이지만 이런 견해는 만선사 곧 식민주의 역사학 입장에서 일뿐이다.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이마니시 류의 단군론에 대한 최남선의 반격은 당시 식민지 조선인으로서는 유일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시라토리와 이마니시, 이나바는 단군신화에 대해 고구려와 고려시대로 각각 창안설을 주장했지만 이는 󰡔삼국유사󰡕 단군신화의 승도망탄설과 함께 만선사에 경도된 것으로 그 역사적 타당성은 없었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만선사의 입장에서 고조선과 고구려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의 시각에서 고조선과 고구려사를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화, "일제시기 단군을 둘러싼 한일간의 공방" 한국사학사학회 (22) : 141-176, 2010

      2 채미하, "일제강점기 한국 고대 건국신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 -‘滿鮮史’와 日鮮同祖論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55) : 377-404, 2019

      3 정준영,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조선사, 혹은 식민지 고대사에서 종속성 발견하기" 한국사회사학회 (115) : 163-196, 2017

      4 瀧澤規起, "이나바 이와키치稲葉岩吉와 만선사滿鮮史" 19 : 2003

      5 윤병모, "위만조선의 대한전(對漢戰)과 왕검성" 유라시아문화학회 6 : 183-212, 2022

      6 김종준, "식민주의 역사학, 극복의 대상 인가, 성찰의 대상인가? - 윤해동 (2018), 『제국 일본의 역사학과 ‘조선’: 식민주의역사학과 제국 2』, 소명출판" 동북아역사재단 (61) : 469-479, 2018

      7 윤해동, "식민주의 역사학 연구 시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5) : 379-424, 2015

      8 장우순, "시라토리 구라키치의 ‘만선’과 ‘동양’" 한일관계사학회 (70) : 287-318, 2020

      9 조원진,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의 고조선 기원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0) : 321-358, 2022

      10 윤성찬, "단군신화의 제석과 불교의 제석천의 연관성 연구" 고조선단군학회 34 (34): 73-91, 2016

      1 이영화, "일제시기 단군을 둘러싼 한일간의 공방" 한국사학사학회 (22) : 141-176, 2010

      2 채미하, "일제강점기 한국 고대 건국신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 -‘滿鮮史’와 日鮮同祖論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55) : 377-404, 2019

      3 정준영,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조선사, 혹은 식민지 고대사에서 종속성 발견하기" 한국사회사학회 (115) : 163-196, 2017

      4 瀧澤規起, "이나바 이와키치稲葉岩吉와 만선사滿鮮史" 19 : 2003

      5 윤병모, "위만조선의 대한전(對漢戰)과 왕검성" 유라시아문화학회 6 : 183-212, 2022

      6 김종준, "식민주의 역사학, 극복의 대상 인가, 성찰의 대상인가? - 윤해동 (2018), 『제국 일본의 역사학과 ‘조선’: 식민주의역사학과 제국 2』, 소명출판" 동북아역사재단 (61) : 469-479, 2018

      7 윤해동, "식민주의 역사학 연구 시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5) : 379-424, 2015

      8 장우순, "시라토리 구라키치의 ‘만선’과 ‘동양’" 한일관계사학회 (70) : 287-318, 2020

      9 조원진,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의 고조선 기원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0) : 321-358, 2022

      10 윤성찬, "단군신화의 제석과 불교의 제석천의 연관성 연구" 고조선단군학회 34 (34): 73-91, 2016

      11 신종원, "단군신화에 보이는 곰[熊]의 實體" 한국사연구회 (118) : 1-34, 2002

      12 신종원, "단군신화에 보이는 樹木信仰" 한국사학사학회 (8) : 5-22, 2003

      13 심희찬, "근대역사학과 식민주의 역사학의 거리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구축한 조선의 歷史像-" 한국사학사학회 (28) : 277-320, 2013

      14 서영대, "근대 한국의 단군 인식과 민족주의" 동북아역사재단 (20) : 7-52, 2008

      15 사쿠라자와 아이, "근대 일본에서의 단군론의 성립" 인문학연구원 (31) : 85-101, 2016

      16 윤병모, "고조선의 패수와 왕검성" 국학연구원 32 : 139-166, 2022

      17 김성환, "고조선 건국신화의 계승과 고조선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47) : 11-56, 2015

      18 김성환, "고구려 건국신화에서 보이는 고조선 인식의 검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3) : 59-97, 2013

      19 정인성, "고고학으로 본 위만조선 왕검성" 한국고고학회 (106) : 104-137, 2018

      20 김남중, "險瀆과 고조선의 관계" 고려사학회 (61) : 77-108, 2015

      21 井上直樹, "稻葉君山の檀君神話認識 -否定的評價と肯定的解釋の背後-" 한일관계사학회 (74) : 43-74, 2021

      22 이근우, "白鳥庫吉의 일본신화와 단군신화 이해에 대하여"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0) : 207-256, 2022

      23 박찬흥, "白鳥庫吉와‘滿鮮史學’의 성립" 동북아역사재단 (26) : 65-93, 2009

      24 박대재, "檀君紀元과 「古記」" 고려사학회 (61) : 7-46, 2015

      25 北山祥子, "日本人の檀君硏究" 한일관계사학회 (74) : 75-136, 2021

      26 이영화, "崔南善 壇君論의 전개와 그 변화 - 檀君에서 壇君으로, 壇君에서 檀君으로 -" 한국사학사학회 (5) : 5-39, 2002

      27 윤승준, "六堂崔南善의 ‘壇君論’ 硏究" 37 : 2009

      28 이근우, "今西龍의 단군신화 연구와 神話素" 한일관계사학회 (74) : 3-42, 2021

      29 袴田光康, "『삼국유사』 에 있어서의 환인과 제석-일본의 천신신앙을 보는 관점을 중심으로-" 14 : 2010

      30 이준성, "『만주역사지리』의 한사군 연구와 ‘만선사’의 성격" 인문학연구원 (54) : 25-54, 2014

      31 박찬흥, "‘만선사’에서의 고대 만주 역사에 대한 인식" 한국고대사학회 (76) : 127-165, 2014

      32 박대재, "<三國遺事> 古朝鮮條 인용 <魏書>論" 112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