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세기 송도 기록에 나타난 개성 이미지의 형성 -고려의 수도에서 조선의 경기로- = Formation of Gaeseong Images in 17th Century Songdo Records - From the capital of Korea to the province of Chos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71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고려 500년의 수도였던 개성이 ‘수도 개성’에서 조선 건국 이후 경기 지역의 하나인 ‘지방 개성’으로의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특히 그 시기로 임란 이...

      본고는 고려 500년의 수도였던 개성이 ‘수도 개성’에서 조선 건국 이후 경기 지역의 하나인 ‘지방 개성’으로의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특히 그 시기로 임란 이후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에 집중하였다. 조선 개국 이래 개성은 전 왕조의 수도, 곧 ‘구도(舊都)’의 이미지 속에서 새 왕조의 수도인 한양과 경쟁관계를 형성하는 한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양가적인 이미지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임란과 병란을 거치면서 조선이 새롭게 재편되는 시기였던 17세기 들어와 개성은 이제 고려의 그림자를 벗어나 조선의 한 지역으로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갔다.
      본고에서는 17세기에 편찬된 개성에 대한 기록물을 바탕으로, 그 안의 역사적 사실들이 삭제되고 추가되며 변개되는 모습을 추적하여, 시대와 계층에 따른 개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과정에서 형성된 후대의 개성 이미지와 전파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창비왕설’ 비판과 ‘두문동 72현’에 대한 현창, 정몽주 순절 선죽교 기록의 확충, ‘송도삼절’과 ‘황진이’ 설화의 형성과 정착 등의 기록들에 주목하여, 17세기 들어와 개성의 이미지가 ‘충절’과 ‘풍류’ 공간으로 다시 형성되고 있음을 밝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rocess of finding a new identity of Gaesong from the capital of Korea to the province of Choson. In particular, the period focused on the late 16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Since the founding of the ...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rocess of finding a new identity of Gaesong from the capital of Korea to the province of Choson. In particular, the period focused on the late 16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Since the founding of the Choson Dynasty, Gaesong has established a double-sided image in the image of the capital of the former dynasty while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Hanyang, the capital of the new dynasty. However, in the 17th century after the war(Imjin War), Gaeseong was not any more the capital of Korea, but created an image of Choson as a local place. Based on the records of Gaesong in the 17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of Gaesong's image according to times and classes. Since the 17th century, it was revealed that Gaesong's image was re-formed into a space of Loyalty and Pleas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원, "회고시조 감상의 지평 -송도 배경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문학회 (33) : 27-46, 2011

      2 장시광, "황진이 관련 자료" 3 : 387-417, 1997

      3 민병수,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1992

      4 홍순석, "포은 이적(異蹟)의 서사와 전승-순절(殉節)과 혈교읍비(血橋泣碑)를 중심으로" 포은학회 17 : 177-209, 2016

      5 이식, "택당집"

      6 이덕무, "청장관전서"

      7 조선광문회, "중경지" 1914

      8 이강옥, "죽창한화와 송도기기의 비교연구" 한국어문학회 (74) : 301-327, 2001

      9 노경희, "조선후기 개성유수(開城留守)의 기록에 나타난 송도와 한양 문인의 역사 인식" 서울학연구소 (63) : 149-179, 2016

      10 임준철, "조선중기 송도문인 시에 나타난 심미경향의 특질-현실인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12 : 143-168, 1998

      1 김창원, "회고시조 감상의 지평 -송도 배경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문학회 (33) : 27-46, 2011

      2 장시광, "황진이 관련 자료" 3 : 387-417, 1997

      3 민병수,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1992

      4 홍순석, "포은 이적(異蹟)의 서사와 전승-순절(殉節)과 혈교읍비(血橋泣碑)를 중심으로" 포은학회 17 : 177-209, 2016

      5 이식, "택당집"

      6 이덕무, "청장관전서"

      7 조선광문회, "중경지" 1914

      8 이강옥, "죽창한화와 송도기기의 비교연구" 한국어문학회 (74) : 301-327, 2001

      9 노경희, "조선후기 개성유수(開城留守)의 기록에 나타난 송도와 한양 문인의 역사 인식" 서울학연구소 (63) : 149-179, 2016

      10 임준철, "조선중기 송도문인 시에 나타난 심미경향의 특질-현실인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12 : 143-168, 1998

      11 이존희, "조선시대의 한양과 경기" 혜안 2001

      12 이태진, "조선시대 사찬읍지" 한국인문과학원 1989

      13 홍순석, "조선시대 문인들의 선죽교에 대한 인식과 시적 형상" 포은학회 20 : 151-187, 2017

      14 장지연, "조선시기 고려 法宮에 대한 지식의 변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9) : 1-32, 2011

      15 김호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포은학회 6 : 63-98, 2010

      16 정출헌, "조선 전기 사대부 문인의 松都에 대한 기억과 그 변주" 동양한문학회 41 (41): 299-329, 2015

      17 이종묵, "조선 전기 문인의 송도 유람과 그 문학세계" 한국한시학회 7 : 225-306, 2007

      18 장지연, "조선 전기 개성과 한성의 관계 (1) - 점으로 보기" 서울학연구소 (63) : 117-148, 2016

      19 김육, "잠곡유고"

      20 김보정, "인조~현종대 정몽주 인식" 포은학회 24 : 243-278, 2019

      21 신항수, "이익과 안정복의 고려 말 역사 서술에 대한 논의와 『동사강목』" 진단학회 (117) : 99-118, 2013

      22 김승룡, "송도의 기억과 문학적 상상의 지향 - 『崧陽耆舊詩集』에 대한 小考" 동양한문학회 40 (40): 5-41, 2015

      23 심경호, "송도를 노래한 한시의 역사적 변천" (8) : 95-122, 2006

      24 김보정, "선조·광해군대 정몽주 인식 - 윤두수의 『成仁錄』과 오운의 『동사찬요』를 중심으로 -"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1) : 363-395, 2016

      25 신흠, "상촌집"

      26 안정복, "동사강목"

      27 이덕형, "대동야승, 송도기이"

      28 신흠, "대동야승, 상촌잡록"

      29 정출헌, "남효온의 송도유람과 「松京錄」의 울울한 여정" 한국한문학회 (58) : 211-244, 2015

      30 김승룡, "기획논문: 金澤榮의 松都 복원 작업의 의미 -방법으로서의 디아스포라- /논평:정환국" 한국고전문학회 (29) : 105-138, 2006

      31 원유한, "개경학의 성립 및 실학과 연계" 역사와 실학 21 : 2001

      32 "개경지" 개성지편찬소 1934

      33 김광년, "象村 申欽의 筆記 散文 一考" 동양학연구원 (56) : 219-237, 2014

      34 원천석, "耘谷詩史"

      35 會林育英財團, "松京誌" 陶文社 1988

      36 황재문, "杜門洞 72현 일화 연구 - 전승의 경과와 수용의 양상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25) : 149-182, 2012

      37 이중환, "擇里志" 조선광문회 1912

      38 "17세기 이후 편찬된 「송도읍지」"

      39 김문식, "1740년 국왕 영조의 개성 행차" 조선시대사학회 (52) : 125-15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