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牒’의 淵源과 變遷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rigins and Transition Process of 'Chub(牒)' Docu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1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torically, Chinese characters with names that imply the meaning of 'documents' have been steadily created and developed. And Chinese characters, which mean documents, usually began as monosyllables, but over time, they were combined with other mono...

      Historically, Chinese characters with names that imply the meaning of 'documents' have been steadily created and developed. And Chinese characters, which mean documents, usually began as monosyllables, but over time, they were combined with other monosyllables that had similar meanings. As a result, many derivatives related to documents have emerged. The word ‘Chup(牒)’ that will be covered in this study also started with a single syllable and gave rise to many derivatives such as ‘GongChup(公牒)’, ‘MunChup(文牒)’, "PyeongChup(平牒)’, ‘ChupAn(牒案)’, ‘YiChup(移牒)’, ‘GoChup(故牒)’, ‘BoChup(譜牒)’ and so on. And ‘Chup(牒)’ has a very long history in the Chinese dynasty and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uments used in almost all dynasties, and was used historically in Korea from ancient times to the late Joseon Dynasty. In Korea, the term ‘Chup(牒)’ has already been discover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In addition, the ‘Chup(牒)’ were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in the Goryeo Dynasty, they became an important type of document. In particular, Goryeo was a medieval dynasty that maintained its relationship with Song(宋), Ryo(遼), Geum(金), Yuan(元), and Ming(明) dynasties in China.
      And for relations with these Chinese dynasties, Goryeo was not only used as a diplomatic document to resolve pending diplomatic iss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a ‘Chup(牒)’ document, but also as a domestic government office. In this way, ‘Chup(牒)’ was used as a document in a narrow sense, and it also served as a broad document such as books and certificates. Although it has been used in various areas, existing studies focused on specific areas, so there is a limit to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Chup(牒)’.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mote a comprehensiv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documents by analyzing the origin and use of ‘Chup(牒)’, and further analyzed how it introduced from China was used in Korea's previous dynas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한국고전종합DB"

      3 윤병태, "한국고문서정리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4 "조선왕조실록"

      5 金東旭, "이조 고문서의 분류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68

      6 김병준, "월성 해자 2호 목간 다시 읽기-중국 출토 고대 행정 문서 자료와의 비교-" 한국목간학회 (20) : 155-185, 2018

      7 박준호, "예禮의 패턴 : 조선시대 문서행정의 역사" 소와당 2009

      8 박성호, "변화와 정착:麗末鮮初의 朝謝文書" 민속원 2011

      9 심영환, "변화와 정착 : 麗末鮮初의 朝謝文書" 민속원 2011

      10 권은주, "발‧일 ‘國書’ 분쟁과 ‘中臺省牒’" 대구사학회 130 : 65-102, 2018

      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한국고전종합DB"

      3 윤병태, "한국고문서정리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4 "조선왕조실록"

      5 金東旭, "이조 고문서의 분류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68

      6 김병준, "월성 해자 2호 목간 다시 읽기-중국 출토 고대 행정 문서 자료와의 비교-" 한국목간학회 (20) : 155-185, 2018

      7 박준호, "예禮의 패턴 : 조선시대 문서행정의 역사" 소와당 2009

      8 박성호, "변화와 정착:麗末鮮初의 朝謝文書" 민속원 2011

      9 심영환, "변화와 정착 : 麗末鮮初의 朝謝文書" 민속원 2011

      10 권은주, "발‧일 ‘國書’ 분쟁과 ‘中臺省牒’" 대구사학회 130 : 65-102, 2018

      11 유협, "문심조룡" 신생 2013

      12 김보광, "고려전기 <禮賓省牒>의 書式 복원과 외교상 의미" 국학연구원 (197) : 27-54, 2021

      13 沈永煥, "고려시대 중서문하 교첩" 소와당 2010

      14 魏收, "魏書" 中華書局 2003

      15 鄭東勳, "高麗時代 外交文書 硏究" 서울대학교 2016

      16 "高麗史節要"

      17 "高麗史"

      18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19 박재우,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下)"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20 노명호,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上, 下)"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21 오준석, "里耶秦簡을 통해 본 秦代 文書行政方式과 그 특징" 중국고중세사학회 (21) : 105-152, 2009

      22 王冰, "論遼代的文書檔案工作" 2009

      23 許慎,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8

      24 趙彥龍, "西夏公文寫作研究" 寧夏人民出版社 2012

      25 "補閑集"

      26 陳偉, "裏耶秦簡牘校釋" 武漢大學出版社 2012

      27 劉昫, "舊唐書" 中華書局 1975

      28 昆剛, "續修四庫全書 第794冊" 上海古籍出版社 2013

      29 박준호, "經國大典 체제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28 : 111-128, 2006

      30 班固, "漢書" 1962

      31 朱金甫, "清代典章制度辭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11

      32 朴竣鎬, "洪武禮制와 朝鮮 初期 公文書 制度" 한국고문서학회 22 : 141-168, 2003

      33 梁淸海, "歷代公文文種大全" 巴蜀書社 2011

      34 "桂苑筆耕集"

      35 "東文選"

      36 "東人之文四六"

      37 "東人之文五七"

      38 심재권, "朝鮮과 明의 실무적 외교문서 ‘咨文’ 분석" 한국고문서학회 42 : 31-58, 2013

      39 박성종, "朝謝의 사용 의미와 文書式" 한국고문서학회 42 : 1-30, 2013

      40 "月沙集"

      41 申時行, "明會典 卷76" 中華書局 1989

      42 紀昀, "文淵閣四庫全書 第862冊" 台灣商務印書館 1986

      43 徐師曾, "文体明辨⋅公移" 人民大學出版社 1982

      44 史遊, "急就篇" 嶽麓書社 1989

      45 胡元德, "從『福惠全書』看清代衙門來往文書" 2013

      46 初仕賓, "居延漢代遺址的發掘和新出土的簡冊文物" 1978

      47 陶晉生, "宋遼金史論叢" 中央研究院 2013

      48 冒志祥, "宋朝的對外交往格局 : 論宋朝外交文書形態" 廣陵書社 2012

      49 李林甫, "唐六典" 中華書局 1992

      50 盧向前, "唐代政治經濟史綜論" 商務印書館 2012

      51 中村裕一, "唐代制勅硏究" 汲古書院 1991

      52 中村裕一, "唐代公文書硏究" 汲古書院 1996

      53 鄭求福, "古文書 硏究의 現況과 問題點" 한국학중앙연구원 46 : 1992

      54 田清, "古代官府文書牒文之功用及體式研究" 2020

      55 宋亞婷, "古代官府平行文書‘牒’之功用及體式研究" 2021

      56 胡元德, "古代公文文體流變述論" 南京師範大學 2006

      57 胡元德, "古代公文文體流變" 廣陵書社 2012

      58 杜守一, "古代 “文書”一詞詞義源流考" 遼寧大學 2018

      59 閻鳳梧, "全遼金文(上,中,下)" 山西古籍出版社 2002

      60 陳高華, "元典章(一)" 中華書局⋅天津古籍出版社 2011

      61 楊一凡, "中國珍稀法律典籍續編⋅慶元條法事類 第一冊" 黑龍江人民出版社 2002

      62 謝朝拭, "中國古代公文書之流衍及範例" 文史哲中出版社 1986

      63 丁海斌, "中國古代主要單音節文檔名詞研究" 2016

      64 沈永煥, "中國 唐宋 勅牒 樣式의 變化"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4 : 2008

      65 딩 샤오 창 ; 심재권, "中國 古代公文書 發展過程과 硏究現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4) : 35-54, 2009

      66 "三國史記"

      67 송기중, "『高麗史』에 수록된 두 편의 蒙古軍 牒文" 진단학회 (118) : 31-94, 2013

      68 丁海斌, "‘文書’ ‘公文’ ‘文件’ ‘檔案’四詞生成、演變之文化形態研究" 2016

      69 전경목, "16세기 한국고문서 연구" 아카넷 2004

      70 朴盛鍾, "15세기 牒呈의 분석" 한국고문서학회 22 : 169-192, 2003

      71 남권희, "15 ? 16세기 慶尙道 地域의 刑獄關聯文書와 牒呈文書" 한국서지학회 23 : 235-, 2002

      72 정동훈, "1140년 외교문서로 본 고려-금 의사소통의 구조" 국학연구원 (182) : 165-195,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1 1.535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