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04년 問慰行에 대한 對馬藩의 權現堂 供物 지급 요청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5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1704년에 쓰시마번이 권현당(權現堂)에 대한 공물(供物)을 조선으로부터 지급받고자 한 사실을 검토하였다. 권현당이란 쓰시마번 내에 건립된 도쇼구, 즉 에도막부의 초대 쇼군 ...

      본고에서는 1704년에 쓰시마번이 권현당(權現堂)에 대한 공물(供物)을 조선으로부터 지급받고자 한 사실을 검토하였다. 권현당이란 쓰시마번 내에 건립된 도쇼구, 즉 에도막부의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사당을 가리킨다. 17세기 후반에도 쓰시마번은 도쇼다이곤겐에 대한 조선으로부터의 공양자금 제공을 명분으로 하는 외교・무역선인 권현당송사의 신설을 조선 측에 요청하였다. 쓰시마번은 줄곧 조선과의 관계 속에서 권현당을 활용해 번의 이익을 도모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고에서 주목한 1704년의 교섭도 그 연장선상에 해당한다.
      권현당 공물 지급 요청이 재개된 계기는 1701년에 있었던 권현당의 소실이었다. 당시 은거 중이었던 전 번주 소 요시자네는 권현당이 과거 막부에 청원하여 건립한 것이기 때문에 서둘러 재건해야 한다고 독려하였다. 이후 쓰시마번은 권현당의 소실과 그 재건 계획을 막부에도 보고하였다. 하지만 로주 아베 마사타케는 권현당 건립은 쓰시마번의 소관으로, 막부와는 관련이 없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는 요시자네가 주장한 권현당 재건의 당위성과는 모순되는 답변이었다. 더욱이 그 무렵은 쓰시마번의 재정난이 시작된 시기이기도 하였기 때문에 결국 권현당의 재건은 중지되었다.
      그 후 사망한 요시자네의 조문을 위해 조선으로부터 도해한 문위행을 상대로 쓰시마번은 권현당 공물 지급 요청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쓰시마번의 움직임은 조선무역의 쇠퇴 등으로 인한 재정난을 타개하고자 한 시도 중 하나였다. 그러나 문위행의 귀국 후 이어진 교섭에서 권현당 공물 문제가 공식석상에 등장하는 일은 없었다. 그 이유는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사안이었기에 아명도서의 신설과 공작미 지급의 연한 연장과 같은 다른 요청사항에 비해 우선순위에서 밀렸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권현당 공물 문제는 도리어 주된 교섭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어 유보되었다.
      권현당 공물 요청은 막부와 합의하지 않은 채 쓰시마번이 독자적으로 벌인 작업이었다. 그 목적은 막부나 도쇼다이곤겐에 대한 숭경이라기보다도 오히려 번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였다. 나아가 이러한 계획을 위해 막부와 도쇼다이곤겐이라는 존재마저 철저히 활용하였다는 사실은 조일관계 속에서 쓰시마번이 지니고 있던 독자적인 입장을 확인하게끔 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unfolding of events when, in 1704, Tsushima Domain planned to request of Joseon the initiation of the Gongendō tribute. The Gongendō was the Tōshōgū, viz., the shrine of the first shogun of the Tokugawa Shogunate (Tōsh�...

      This article examines the unfolding of events when, in 1704, Tsushima Domain planned to request of Joseon the initiation of the Gongendō tribute. The Gongendō was the Tōshōgū, viz., the shrine of the first shogun of the Tokugawa Shogunate (Tōshō Daigongen, Tokugawa Ieyasu) established in Tsushima Domain. Even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sushima Domain requested of Joseon the founding of a diplomacy-trade ship for the Gongendō, that is, the Gongendō annual ship. This ship was to raise funds used for procuring the offerings devoted to the Tōshō Daigongen. Hence, even before the eighteenth century, Tsushima Domain was already using the Gongendō to their advantage when engaging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Joseon.
      In 1701, the Gongendō was destroyed by fire. Consequently, this prompted Tsushima to resume with the request for tribute. The former daimyō of the domain Sō Yoshizane, who at the time was retired, because the Gongendō had been established on a request to the Shogunate, encouraged that it should be restored as soon as possible. Thereafter, Tsushima Domain planned the restoration of the Gongendō and also reported this to the Shogunate. However, the Rōjū Abe Masatake replied that the restoration of the Gongendō had nothing to do with the Shogunate and that it was completely up to Tsushima Domain. This directly contradicted the legitimacy of the restoration that Yoshizane asserted. Furthermore, at that time Tsushima was starting to suffer from a budgetary crisis. As a result, the restoration project was aborted.
      After this, Tsushima asked the Munwihaeng who crossed the sea to mourn the deceased Yoshizane to mediate the affairs regarding the Gongendō tribute. This was one of the measures to resolve the budgetary crisis caused by the decrease in trade with Joseon. However, in the talks that took place after the Munwihaeng returned to Joseon, there were no official requests for the Gongendō tribute. This was because that compared to other matter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Doseo (the bronze seal for the proprietor of the diplomatic right with Joseon) for the Tsushima heir and the extension for the provisions of official trade rice, the Gongendō tribute was of minor importance. Moreover, fearful that it could jeopardize the negotiation per se, Tsushima postponed proposing the Gongendō tribute as an agenda item in the talks that ensued.
      To summarize, the request for the Gongendō tribute was an autonomous action of Tsushima that was not under the influence of the Shogunate. The request was triggered by the concern to yield economic profits for the domain rather than by the motivation to venerate the Shogunate or the Tōshō Daigongen. Furthermore, Tsushima skillfully used the very existence of the Shogunate and the Tōshō Daigongen to accomplish its goals. This verifies the independence of Tsushima as a major participant in Joseon-Japan rel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權現堂供物지급 요청의 배경
      • 3. 問慰行과의 교섭 양상
      • 4. 對馬藩의 진의와 朝鮮에서의 교섭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權現堂供物지급 요청의 배경
      • 3. 問慰行과의 교섭 양상
      • 4. 對馬藩의 진의와 朝鮮에서의 교섭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유숙, "조선후기 문위행(問慰行)의 사행 활동 실태" 한일관계사학회 (58) : 255-291, 2017

      2 김경란, "조선후기 동래부의 공작미(公作米) 운영실태와 그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72) : 103-129, 2009

      3 洪性德, "조선후기 對日외교사절 問慰行의 渡航人員분석" 11 : 1999

      4 유채연, "조선후기 ‘問慰行’ 명칭과 성립과정에 대한 재고" 한일관계사학회 (52) : 183-219, 2015

      5 정성일, "조선과 일본의 銀 유통 교섭(1697~1711)" 한일관계사학회 (42) : 503-544, 2012

      6 허지은, "근세 막번체제 속의 쓰시마번" 일본사학회 (43) : 121-158, 2016

      7 米谷均, "雨森芳洲の對朝鮮外交-「誠信之交」の理念と實態-" (148) : 1993

      8 森山恒雄, "長崎縣史" 吉川弘文館 1973

      9 "邊例集要"

      10 大場生與, "近世日朝關係における譯官使" 慶應義塾大學大學院 1994

      1 윤유숙, "조선후기 문위행(問慰行)의 사행 활동 실태" 한일관계사학회 (58) : 255-291, 2017

      2 김경란, "조선후기 동래부의 공작미(公作米) 운영실태와 그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72) : 103-129, 2009

      3 洪性德, "조선후기 對日외교사절 問慰行의 渡航人員분석" 11 : 1999

      4 유채연, "조선후기 ‘問慰行’ 명칭과 성립과정에 대한 재고" 한일관계사학회 (52) : 183-219, 2015

      5 정성일, "조선과 일본의 銀 유통 교섭(1697~1711)" 한일관계사학회 (42) : 503-544, 2012

      6 허지은, "근세 막번체제 속의 쓰시마번" 일본사학회 (43) : 121-158, 2016

      7 米谷均, "雨森芳洲の對朝鮮外交-「誠信之交」の理念と實態-" (148) : 1993

      8 森山恒雄, "長崎縣史" 吉川弘文館 1973

      9 "邊例集要"

      10 大場生與, "近世日朝關係における譯官使" 慶應義塾大學大學院 1994

      11 田代和生, "近世日朝通交貿易史の硏究" 創文社 1981

      12 尹裕淑, "近世日朝通交と倭館" 岩田書院 2011

      13 倉地克直, "近世の民衆と支配思想" 柏書房 1996

      14 "譯官韓僉知吳正江申談候御內用問答之帳面"

      15 中野光浩, "諸國東照宮の史的硏究" 名著刊行會 2008

      16 "裁判佐治宇右衛門江相渡候御內用覺書幷書狀贈答"

      17 "表書札方每日記"

      18 김태훈, "肅宗代對日政策의 전개와 그 성과" 47 : 2002

      19 平山東山, "津島紀事 上" 東京堂出版 1972

      20 "江戶藩邸每日記"

      21 "權現堂御改建記錄"

      22 "朝鮮王朝實錄"

      23 鄭成一, "朝鮮後期對日貿易" 신서원 2000

      24 洪性德, "朝鮮後期「問慰行」에 대하여" 全北大學校 大學院 1989

      25 中村榮孝, "日鮮關係史の硏究 下" 吉川弘文館 1969

      26 長正統, "日朝關係における記錄の時代" 50 (50): 1968

      27 山澤學, "日光東照宮の成立" 思文閣出版 2009

      28 "接待倭人事例"

      29 曾根原理, "德川家康神格化への道-中世天台思想の展開-" 吉川弘文館 1996

      30 "御用記錄全"

      31 古川祐貴, "對馬宗家と朝鮮御用老中" (831) : 2017

      32 "寶永元甲申年譯官記錄"

      33 高藤晴俊, "家康公と全國の東照宮" 東京美術 1992

      34 "存寄書"

      35 野村玄, "天下人の神格化と天皇" 思文閣出版 2015

      36 池內敏, "名古屋大學文學部硏究論集" 史學62 2016

      37 李晐鎭, "十七世紀後半の日朝關係と對馬藩-權現堂送使の新設交涉を中心に-" 100 (100): 2017

      38 이상규, "仁祖代 전반 問慰行 연구" 한일관계사학회 (35) : 123-164, 2010

      39 雨森芳洲, "交隣提醒" 平凡社 2014

      40 정성일, "1860년대 對日貿易과 公木∙公作米" 한일관계사학회 (54) : 121-154, 2016

      41 金東哲, "17・18世紀對日公貿易에서의 公作米문제" 10 : 1993

      42 이상규, "17세기 중반 問慰行을 통해 본 대일외교의 내용과 성격 - 1640․1651년 문위행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75) : 303-338, 2015

      43 장순순, "17세기 조일관계와 ‘鬱陵島 爭界’" 부산경남사학회 (84) : 37-71,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