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신사 서예자료를 통해 본 한・일 서예문화 교류 연구- 16~17세기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Interchange of calligraphy culture Between Joseon and Japan through Tongsinsa calligraphy relics : Centering on the 16-17th C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7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6~17세기 통신사행을 통해 이루어진 서예문화 교류의 구체적 내용과 유존되고 있는 관련 유물들의 예술성을 확인하였으며 통신사행에 있어 서예문화 교류가 갖는 여러 의의를 고...

      본 연구는 16~17세기 통신사행을 통해 이루어진 서예문화 교류의 구체적 내용과 유존되고 있는 관련 유물들의 예술성을 확인하였으며 통신사행에 있어 서예문화 교류가 갖는 여러 의의를 고찰하였다.
      일본 내란 등의 이유로 100여 년간 통신사 파견이 중단되었으나 1590년 사행이 재개되었고, 이후 1596년, 1607년, 1617년, 1624년, 1636년, 1655년, 1682년에 사행이 전개되었다. 1607년과 1617년, 1624년의 사행은 피로인 쇄환이라는 주목적과 임란 직후라는 시대적 상황 등에 의해 확인되는 서예문화 교류 관련 기록과 유물의 수가 적다. 그러나 1636년 사행 이후로는 그 수와 범위가 점차 증대되고 확대되었다.
      기본적으로 일반 서민부터 승려, 도주, 쇼군, 천황까지 많은 계층의 일본인들이 사행원들에게 시문서화를 요청하였고, 사행원들은 당시 주요 예물이었던 문방사우를 선물하였다. 한편 사행 횟수가 누적될수록 어필 편액과 범종 등을 선물하거나 문자학 관련 토론을 진행하는 등 교류가 점차 다양하게 전개되었는데, 그 원인이 조선의 내외적 정세 및 대일인식의 변화와 유관하다 보았다.
      교류의 결정체인 유물은 현재까지도 유존되고 있으며 그 종류는 어필을 포함한 묵서, 현판 편액, 회화 등이다. 예술적 가치가 있으며 당시 조선의 서예흐름과 일본인들의 심미취향을 반영한다. 현재는 단순한 유물적 가치를 넘어 문화교류사 연구의 사료이자 상호 긍정적 관계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연결고리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통신사행에서의 서예문화 교류와 결과물로서의 유물은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국사편찬위원회, "해외사료총서・31 일본 소재 통신사 자료 Ⅰ"

      2 정태수, "한・중・일 삼국서예사"

      3 손승철, "한일 교류와 상극의 역사" 경인문화사 2010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2013

      5 구지현, "통신사를 통한 상호 이해의 방식, 필담과 창화" 부산문화재단 (겨울) : 2015

      6 문화재청, "통신사기록 조사, 번역 및 목록화 연구" 문화재청 1-2, 2014

      7 장순순, "조선후기 통신사행의 제술관에 대한 일고찰" 전북사학회 13 : 1990

      8 홍선표, "조선후기 통신사 수행화원의 파견과 역할" 한국미술사학회 205 : 1995

      9 나고야 대한민국총영사관, "조선전적 특별전 : 한국어 도록: 한일국교정상화50주년 기념"

      10 韓文鍾, "조선전기 일본의 大藏經求請과 한일간의 文化交流" 한일관계사학회 (17) : 5-58, 2002

      1 국사편찬위원회, "해외사료총서・31 일본 소재 통신사 자료 Ⅰ"

      2 정태수, "한・중・일 삼국서예사"

      3 손승철, "한일 교류와 상극의 역사" 경인문화사 2010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2013

      5 구지현, "통신사를 통한 상호 이해의 방식, 필담과 창화" 부산문화재단 (겨울) : 2015

      6 문화재청, "통신사기록 조사, 번역 및 목록화 연구" 문화재청 1-2, 2014

      7 장순순, "조선후기 통신사행의 제술관에 대한 일고찰" 전북사학회 13 : 1990

      8 홍선표, "조선후기 통신사 수행화원의 파견과 역할" 한국미술사학회 205 : 1995

      9 나고야 대한민국총영사관, "조선전적 특별전 : 한국어 도록: 한일국교정상화50주년 기념"

      10 韓文鍾, "조선전기 일본의 大藏經求請과 한일간의 文化交流" 한일관계사학회 (17) : 5-58, 2002

      11 민덕기, "조선시대 일본의 대외 교섭" 경인문화사 2010

      12 이원식, "조선 통신사" 민음사 1991

      13 홍선표, "조선 초기 한일 회화교류 연구의 학문사적, 학설사적 과제" 일본학연구소 37 : 1-23, 2013

      14 정태희, "일본서예사" 원광대학교출판국 1996

      15 민족문화추진회, "신편 국역 사행록 해행총재" 한국학술정보 1-16, 2008

      16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 "세이켄지 소장 조선통신사 유물도록"

      17 한정희, "동양미술사 하" 미진사 2007

      18 윤유숙,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3, 1607년・1624년 조선통신사 기록" 동북아역사재단 2020

      19 도현철, "고려말 사대부의 일본 인식과 문화 교류" 한국사상사학회 (32) : 191-221, 2009

      20 교토국제중고등학교, "간사이에 남겨진 조선통신사 발자취"

      21 片山真理子, "金義信の墨跡「妙喜庵」をめぐって-附<影印>『拾遺扁額要覧』 -" 縁地連朝鮮通信使関係地域史研究会 (創刊) : 2015

      22 "癸未東槎日記"

      23 "海槎錄"

      24 손승철, "松雲大師(四暝堂) 對日使行의 외교사적 의미" 한일관계사학회 (21) : 37-73, 2004

      25 黃㦿, "東槎錄"

      26 金世濂, "東槎錄"

      27 高麗美術館, "朝鮮通信使と京都 : 「誠信の交わり」への道ー松雲大師と雨森芳洲ー"

      28 下中邦彦, "書道全集 8" 平凡社 1967

      29 飯島春敬, "書道 1~3" 東京書籍 1986

      30 名児耶明, "日本書道史年表" 二玄社 1990

      31 李景稷, "扶桑錄"

      32 南龍翼, "扶桑錄"

      33 송진충, "寫字官 雪峰 金義信의 生涯와 書風"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4 : 7-32, 2017

      34 "宣祖實錄"

      35 "孝宗實錄"

      36 "增正交隣志"

      37 "光海君日記"

      38 "仁祖實錄"

      39 구지현, "17세기 필담창화의 성립과 일본인의 조선인식" 인문학연구원 (44) : 5-28, 2009

      40 구지현, "17세기 通信使 筆談에 나타난 한일간 서적 교류의 모습" 한국한문학회 (47) : 527-551, 2011

      41 구지현, "17世紀 通信使 筆談唱和集의 出現과 初期 形態" 동양한문학회 30 (30): 123-155, 2010

      42 하우봉, "17~19세기 한일 문화교류의 흐름과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98) : 269-298, 2017

      43 장순순, "16세기 후반 조일관계와 대일사행의 파견" 한일관계사학회 (68) : 187-216, 2020

      44 윤유숙, "16세기 후반 일본의 對外政策과 對外認識" 한국문화사학회 (23) : 57-80, 2005

      45 하우봉, "(국역)증정교린지" 민족문화추진회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