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라쓰(唐津) 카가미 신사(鏡神社) 소재 고려 수월관음도의 유래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일본 큐슈의 가라쓰(唐津) 시의 카가미(鏡) 신사에는 세로 419.4센티 가로 254.2센티의 비단에 그려진, 현존하는 고려 시 대 불화(佛畵) 중 최대의 것이 전해지고 있다. 이 그림은 수월관음...

      현재 일본 큐슈의 가라쓰(唐津) 시의 카가미(鏡) 신사에는 세로 419.4센티 가로 254.2센티의 비단에 그려진, 현존하는 고려 시 대 불화(佛畵) 중 최대의 것이 전해지고 있다. 이 그림은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또는 양류 관음상(楊柳觀音像)라고 한다.
      이 수월관음도가 제작되게 된 배경과 일본에 전해지게 된 경위, 그리고 그 시기를 고찰하기 위해 『고려사』와 『측량일기』의 기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 그림은 충선왕과 원나라의 황제 태정제의 원찰이었던 흥천사에 있었던 것으로,1357년 9월에 왜구가 이 흥천사에 들어와 충선왕 부처의 초상화와 수월관음도를 가져간 것이다. 충선왕은 여몽연합군의 일본 침공을 명령한 원의 세조황제 쿠빌라이의 외손자였으며 또 고려 충렬왕의 아들이었다. 카가미 신사의 수월관음도는 고려와 원나라, 그리고 일본의 세 나라를,그리고 <원구(元寇)>와 <왜구>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자와 같은 존재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e shrine of kagami, in the city of Karatsu, kyushyu, there is a big Buddhist painting(水月觀音圖), which size is 4l9.4cm(the length), 254.2cm(the width), is called suwall-kwaneom-to". This thesis is for the inquiry of the background of produ...

      At the shrine of kagami, in the city of Karatsu, kyushyu, there is a big Buddhist painting(水月觀音圖), which size is 4l9.4cm(the length), 254.2cm(the width), is called suwall-kwaneom-to". This thesis is for the inquiry of the background of production, the time and process to come to Japan.
      This suwall-kwaneom-to" was originally the buddhist temple of hungcheon-sa"s possession, which was located seaside, near the Kaesung city, North Korea. And in this temple, there were also the portraits of the emperor of Yuan dynasty, Taiding( 132 3-28), a couple of Chungsun wang(=the kl. At September of the year 1357, the Waegu(japanese pirates) had plundered it. Chungsun wang was a grandson of the Emperor of Khubillai(世祖), who had ordered to invade Japan.
      This suwall-kwaneom-to" was a medium to link the three countries(Koyo, Yuan dynasty, Japan), and the Mongol invasion to Japan and Waegu.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수월관음도의 원주(願主) 숙비(淑妃) 김씨
      • 3. 숙비 김씨와 순비 허씨
      • 4. 숙비 김씨와 흥천사
      • 국문초록
      • 1. 서론
      • 2. 수월관음도의 원주(願主) 숙비(淑妃) 김씨
      • 3. 숙비 김씨와 순비 허씨
      • 4. 숙비 김씨와 흥천사
      • 5. 카가미 수월관음도와 흥천사
      • 6. 결론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기, "원의 간섭과 충선왕의 이국(離國), In 신편 고려시대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2 이혜옥, "여성의 경제관념, 부의 추구, 가정관리, In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각" 혜안 2007

      3 이영, "쓰시마 쯔쯔(豆酘) 다구쓰다마 신사(多久頭魂神社) 소재 고려 청동제 飯子와 왜구" 한국중세사학회 (25) : 409-440, 2008

      4 이영, "쓰시마 쯔쯔(豆酘) 다구쓰다마 신사(多久頭魂神社) 소재 고려 청동제 飯子와 왜구" 한국중세사학회 (25) : 409-440, 2008

      5 "고전국역총서, 익재집1" 민족문화추진회 1979

      6 민현구, "고려후기 권문세족의 성립" 6 : 1974

      7 유홍렬, "고려의 원에 대한 공녀(貢女)" 18 : 1957

      8 박용운, "고려시대사 下"

      9 "고려사절요"

      10 이은희, "고려사경서체에 대한 고찰" (6) : 1981

      1 김상기, "원의 간섭과 충선왕의 이국(離國), In 신편 고려시대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2 이혜옥, "여성의 경제관념, 부의 추구, 가정관리, In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각" 혜안 2007

      3 이영, "쓰시마 쯔쯔(豆酘) 다구쓰다마 신사(多久頭魂神社) 소재 고려 청동제 飯子와 왜구" 한국중세사학회 (25) : 409-440, 2008

      4 이영, "쓰시마 쯔쯔(豆酘) 다구쓰다마 신사(多久頭魂神社) 소재 고려 청동제 飯子와 왜구" 한국중세사학회 (25) : 409-440, 2008

      5 "고전국역총서, 익재집1" 민족문화추진회 1979

      6 민현구, "고려후기 권문세족의 성립" 6 : 1974

      7 유홍렬, "고려의 원에 대한 공녀(貢女)" 18 : 1957

      8 박용운, "고려시대사 下"

      9 "고려사절요"

      10 이은희, "고려사경서체에 대한 고찰" (6) : 1981

      11 "고려사"

      12 문명대, "고려불화의 양식변천에 대한 고찰" 한국미술사학회 1989

      13 문명대, "고려관경변상도의 연구" 동국대학교 박물관 (6) : 1981

      14 정용숙, "고려 후기의 異姓后妃, In 고려시대의 후비" 민음사 1992

      15 유마리, "고려 아미타불화의 연구-좌상을 중심으로-" 동국대박물관 (6) : 1981

      16 이영, "고려 말 왜구의 실상, In 잊혀진 전쟁, 왜구-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에피스테메 2007

      17 쿠스노이 다카시, "高麗朝鮮佛敎美術傳來考」(高麗・朝鮮の仏教美術展)" 山口県立美術館 1996

      18 菊竹淳一, "高麗時代觀音畵像の硏究」(『東アジアの考古と歴史』上), In 岡崎敬先生退官記念論集" 同朋舍出版 1987

      19 林進, "高麗時代の水月観音図について" (102) : 1977

      20 하야시 스스무, "高麗時代の水月観音図について" (102) : 1978

      21 二宮啓任, "高麗の八關會について" 9 : 1956

      22 奥村周司, "高麗における八関会的秩序と国際環境" 16 : 1976

      23 平田寬, "鏡神社所蔵楊柳觀音畵像(奈良国立文化財研究所年報)"

      24 權憙耕, "至元六年銘紺紙金字妙法蓮華經について" (113) : 1977

      25 菊竹淳一, "朝鮮の仏像, In 対馬の美術" 西日本文化協會 1978

      26 村山正明,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 講談社現代新書 184-, 1996

      27 対馬郷土研究会, "<長崎県立対馬歴史民俗資料館開館二十周年記念>シンポジウム「対馬と韓国との文化交流史" (34) : 1998

      28 이영, "14세기의 동아시아 국제 정세와 왜구 ―공민왕 15년(1366)의禁倭使節의 파견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26) : 95-14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