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被强制動員 韓人 생사불명자에 대한 한일 양국의 전후처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81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39년에서 1945년 사이에 구 일본제국의 전쟁에 동원당한 한인들 중에는 아직도 생사불명의 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피동원 한인 생사불명자들의 현황을 ...

      1939년에서 1945년 사이에 구 일본제국의 전쟁에 동원당한 한인들 중에는 아직도 생사불명의 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피동원 한인 생사불명자들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희생자의 전체 규모와 동원 현지에서의 한인희생자 사후처리 상황 등을 개관해보았다. 구 일본군은 ‘매장 규칙’이 있었지만, 전선이 동남아시아 및 남태평양 지역까지 확대되고 전황이 불리해진 상황 하에서 시체를 방치하거나 유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군속의 경우는 육?해군의 작전 지역에서 전투에 휩쓸리거나 작업 중에 무차별 공격을 받아 희생된 사례를 다수 볼 수 있다. 1945년 전반에 일본의 도시지역에 지속적으로 가해진 미군기에 의한 폭격으로 인해 군수공장 등에 동원된 한인들도 사망자가 다수 발생했다. 일본 내 각지의 탄광과 토목공사장에서 사망한 인원수는 약 일만 명 정도라고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상의 사례처럼 강제동원 중에 사망한 한인들의 사후 처리는 어떻게 되었는지 명확하지 않다. 일본 내 동원 현지부근의 절이나 공동묘지 등에 한인들의 유해가 방치되어 있는 현실을 통해, 그들에 대한 사후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1965년에 한?일 양국이 외교관계 수립을 하는 과정에서 한국정부는 한국인 사망자 및 생사불명자를 파악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하지 않았다. 일본정부는 일본인 미귀환자 문제에 대해서는 성의를 다하고 있었지만, 자신들의 전쟁에 강제로 동원했던 한인들에 대한 사후책임은 한국정부에게 전가해버렸다. 또한 한국정부는 자국민이 입은 피해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국내에 존재하는 관련 자료에 대해 기초적인 조사 및 분석 등을 전혀 행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the postwar process of dealing with Korean victims who were forced to work for the Japanese military forces or Japanese companies during the Pacific War and whose have been still missing. I tried to clarify the number o...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the postwar process of dealing with Korean victims who were forced to work for the Japanese military forces or Japanese companies during the Pacific War and whose have been still missing.
      I tried to clarify the number of victims amongst the mobilized Koreans but could not determine it because of the lack of reliable documents. Even the number of victims who were attached to the military is not accurate even if there are more documents about them than others.
      Though the Japanese military had the regulations on burial of the dead, in many cases, they neglected the treatment of the Korean victims, especially in the areas where intense battles were fought. The Japanese navy and army forced unarmed, mobilized civilians to work in the battle fields and in result, many of them were killed or wounded. Besides, indiscriminate bombings against major cities of Japan by the American air force in 1945 took a lot of Korean lives. Moreover, we speculate that about 10,000 Koreans died in the mines and the construction fields all over Japan during the war. However, the bodies have been left in the temples and public cemeteries with less care.
      When Korea and Japan negotiated for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 of the two countries in 1965, Korean officials also neglected Korean victims. While the Japanese government raised compensation for Japanese victims and started to search for the missing people, they shifted the responsibility for the Korean victims to the Korean government.
      The Korean authorities received the related documents from Japan from 1971 to 1993 but have not analysed them thoroughly. Now,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start analysing all the documents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Korean victi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문제의 소재
      • 2. 피동원 한인 사망자에 대한 일본의 사후처리
      • 3. 피동원 한인 생사불명자 문제에 대한 한·일 정부의 대응
      • 4. 유족의 현실과 향후의 전망
      • 【국문초록】
      • 1. 문제의 소재
      • 2. 피동원 한인 사망자에 대한 일본의 사후처리
      • 3. 피동원 한인 생사불명자 문제에 대한 한·일 정부의 대응
      • 4. 유족의 현실과 향후의 전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