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Space of Complex Cultural Spac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01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과 쇠퇴로 인해 도시의 곳곳에서 본연의 기능을 상실한 건축물와 폐산업시설 등 흉물처럼 남아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과 쇠퇴로 인해 도시의 곳곳에서 본연의 기능을 상실한 건축물와 폐산업시설 등 흉물처럼 남아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이 중요한 사업으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중 지역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는 문화 중심의 도시재생 사업으로 한정하였고, 방문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며 교류의 중심이 되는 복합문화공간의 공공공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간특성과 공간구성을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앞으로 추진될 문화 중심의 복합문화공간 조성 시 공공공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문화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공간의 공공공간 특성요소와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앞서 도출된 공공공간 특성요소 항목은 평가의 항목으로 선정하고, 공간구성 요소는 사례조사에 활용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한 사례는 최근 5년 이내로 한정하였으며,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취합된 내용을 분석모형으로 구체화하였다. (결과) 도시재생과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공간특성은 복합성, 체험성, 접근성, 장소성, 역사성, 심미성, 쾌적성이 도출되었으며, 공간구성 요소는 체험공간, 휴식공간, 상업공간 및 창작·교육공간으로 조사되었다. 각 사례에 대한 연구결과 공간구성요소는 전체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었으며, 공공공간의 특성요소에 대한 전문가 조사결과 복합성과 역사성이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공간에 대한 장소성과 심미성이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체험성과 쾌적성, 접근성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조성 시 공공공간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공간특성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문화적 관점에서 복합성을 고려한 공공공간 구성이 필요하며 둘째, 재생의 공간이라는 시대적 역사성을 공간에 담아야 하고 셋째, 미학적 요소를 살려 공간의 심미성을 중점으로 공간을 구성해야 하며 넷째, 지역문화 활성화와 문화적 거점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재생공간의 정체성과 문화적 장소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문화 수준향상을 위한 문화중심의 도시재생 공간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복합문화공간 구축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윤선 ; 안진근 ; 김주연,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브랜드 분석을 통한 공공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301-310, 2021

      2 이상균 ; 이금진,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 방향 연구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대상지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87-98, 2019

      3 박수린 ; 이정교,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3 (13): 155-164, 2018

      4 이지미,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장소 만들기에 요구되는 공간 활용 요소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도시재생뉴딜사업 일반근린형 활성화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325-340, 2021

      5 김종수 ; 이관률, "문화재생 사업의 정책담론 구조와 특징" 한국지적정보학회 21 (21): 235-247, 2019

      6 최지연,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사례 비교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39-54, 2021

      7 이다경 ; 윤재은, "메세나 도시재생의 공간 플랫폼화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245-256, 2019

      8 채승현 ; 김주연 ; 임선희, "도심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189-200, 2020

      9 송민진 ; 김연정, "뉴트로(New-tro) 디자인을 통한 도시재생 사례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361-374, 2020

      10 정영환 ; 유진형, "국내외 도시재생 전략의 분석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167-176, 2012

      1 신윤선 ; 안진근 ; 김주연,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브랜드 분석을 통한 공공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301-310, 2021

      2 이상균 ; 이금진,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 방향 연구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대상지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87-98, 2019

      3 박수린 ; 이정교,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3 (13): 155-164, 2018

      4 이지미,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장소 만들기에 요구되는 공간 활용 요소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도시재생뉴딜사업 일반근린형 활성화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325-340, 2021

      5 김종수 ; 이관률, "문화재생 사업의 정책담론 구조와 특징" 한국지적정보학회 21 (21): 235-247, 2019

      6 최지연,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사례 비교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39-54, 2021

      7 이다경 ; 윤재은, "메세나 도시재생의 공간 플랫폼화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245-256, 2019

      8 채승현 ; 김주연 ; 임선희, "도심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189-200, 2020

      9 송민진 ; 김연정, "뉴트로(New-tro) 디자인을 통한 도시재생 사례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361-374, 2020

      10 정영환 ; 유진형, "국내외 도시재생 전략의 분석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167-176, 2012

      11 Lee, Haedeun, "The Role of Arts and Cultural Complexes i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 Case Study of Haenghwatang"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20

      12 Lee, Doohee, "Study on necessity of performing art space in Nodeul Island and its effects" Ha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2

      13 Yang, Jaeseob, "Seoul’s Policy Issues and Direction for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The Seoul Institute 2013

      14 Shin, Hyunwoo, "Regeneration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into multicultural spaces and vitalization: A case study on Oil Tank Culture Park in Seoul"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20

      15 Kim, Boyeon, "Case Analysis of Hanam-si Cultural Urban Regeneration"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20

      16 양수현 ; 이정교, "BTL(Below The Line)마케팅에 기반한 기업 복합문화공간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27-40, 2021

      17 Kim, Wonyoung,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urban cultural complex space through an analysis of cultural consumption propensity"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Graduate School 2004

      18 Seok, Jeongeun,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and cultural revitalization effect through regeneration of idle space"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21

      19 An, Hyeonjin, "A Sustainable Creative Placemaking for Cultural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Contextual Approach of Urban Space: Focusing on a Case of ‘Mullae Art Village’in Seoul"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21

      20 Kim, Jeeyoung, "A Study on the Spatial Platform of Urban Regeneration in Mecenat" 8 (8): 75-83, 2012

      21 Jung, Yonghun, "A Study on the Complex Cultural Space Design trough the Application of Relationship Marketing"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7

      22 Cho, Eunjung,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Corporation Culture Complex Applying Urban Regeneration"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23 Han, Hyeri, "A Case-study on Complex Cultural Spaces of Companies from a Space Marketing Perspective" Yonsei University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