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화엄사상으로 본 사자빈신사(獅子頻迅寺)와 덕주사(德周寺) = The Relationship between Sajabinsinsa Temple (獅子頻迅寺) and Deokjusa Temple (德周寺) with Regards to Huayan Th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44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사자빈신사(獅子頻迅寺)와 덕주사(德周寺)의 연관성을 살피고자 한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덕주사가 사료(史料) 등에 기반해 법상종(法相宗) 사찰로 존재했다고 이해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자빈신사(獅子頻迅寺)와 덕주사(德周寺)의 연관성을 살피고자 한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덕주사가 사료(史料) 등에 기반해 법상종(法相宗) 사찰로 존재했다고 이해되었다. 그러나 다소 신빙성이 떨어지는 덕주사 창건 설화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사자빈신사의 경우 자료 부족으로 사찰의 성격 등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사자빈신사와 덕주사의 사상적 기반을 새롭게 살펴보고, 두 사찰 간의 관련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는 크게 2가지 점에 의거해 논의를 진행한다. 첫째, 두 사찰명이 화엄사상에 기반했을 것이라는 점. 둘째, 두 사찰에 조성된 불상이 각각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이라는 점이다.
      먼저 사자빈신사지는 󰡔화엄경󰡕의 주석서인 󰡔징관소󰡕(澄觀疏)의 설명에 의거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자빈신사 창건에 화엄교학이 반영되었고, ‘빈신(頻迅)’이라는 독특한 용어로 발전했다고 판단된다. 덕주사 역시 화엄교학의 보현행(普賢行)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자빈신사와 같이 화엄에 기반한 사찰로 볼 여지가 있다. 화엄 주석서에서 ‘덕주’라는 표현이 빈번하게 보이고, 설명 또한 구체적이기 때문이다.
      사자빈신사지 사사자석탑의 경우 탑에 존상이 모셔져 있는데, 탑의 구조를 변화하여 상(像)을 안치했다는 점, 탑기(塔記)가 기단부 외면에 새겨져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사리가 아닌 법신 비로자나불을 모셨을 것이라 보았다. 덕주사 마애불은 아미타구품인을 취하고 있으며, 사찰명 또한 보현행에 입각한다는 점에서 볼 때 아미타불로 간주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유가업(瑜伽業) 사찰에서도 아미타상이 모셔졌다는 점이 확인되므로, 미륵불로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사자빈신사지부터 상덕주사, 상덕주사에서 하덕주사까지의 거리가 서로 비슷하다는 점, 화엄사상을 바탕으로 명명되었다는 점, 인접한 사찰임에도 불구하고 덕주사만의 기록이 후대에 남아있다는 점 등을 근거로 하나의 사찰이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추정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Sajabinsinsa Temple (獅子頻迅寺) and Deokjusa Temple (德周寺) is examined. First of all,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ajabinsinsa Temple name coincides with explanations given in Chengguan's Commentary ...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Sajabinsinsa Temple (獅子頻迅寺) and Deokjusa Temple (德周寺) is examined. First of all,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ajabinsinsa Temple name coincides with explanations given in Chengguan's Commentary on the Avataṃsaka-sūtra (澄觀疏).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the Huayan doctrine is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Sajabinsinsa Temple, at which time the unique term 'Binsin’ (頻迅) comes to rise. Since Deokjusa Temple may also have originated from the practice of Samantabhadra (普賢行),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eokjusa Temple, like Sajabinsinsa Temple, is also connected to the Huayan School.
      Regarding the pagoda supported by four lions (四獅子石塔) at the Sajabinsinsa Temple site, it has been found that a sacred image (尊像) is enshrined within. It has been found that the image is enshrined in the changed pagoda structure, and that the memorial-stele biography (塔記) is carv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of pagoda. Thus it is concluded in this thesis that Vairocana Buddha as Dharmakāya (法身), not śarīra (舍利), is enshrined in the pagoda. Furthermore, the image of a buddha inscribed on the face of a cliff at Deokjusa Temple is in the form of the nine grades mudra of Amitābha (阿彌陀九品印). The name of this temple coincides with the practice of Samantabhadra, and is considered to be a temple of Amitābha Buddha. Moreover, it is confirmed that the Amitābha image was enshrined in the Yuga-eob (瑜伽業) temple of the Goryeo period.
      Lastly, the approximate distances between Sajabinsinsa Temple site, and the upper and lower sites of Deokjusa Temple, are similar. They were also named on the basis of Huayan thought. In addition, even though it is an adjacent temple only the records of Deokjusa Temple remain. With this in mind, one can presume the possibility that all three sites were a single temp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홍섭, "한국의 석조미술" ⽂藝 1995

      2 문명대, "한국의 불교조각 : 삼매와 평담미" 예경 2003

      3 정영호, "한국석탑의 특수양식 고찰(하) : 고려와 조선시대 석탑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4 : 1970

      4 "한국사데이터베이스"

      5 박광연, "한국 불교와 ‘종파’:고려초 業이 ‘종파’인가" 한국중세사학회 (44) : 145-177, 2016

      6 남동신, "특집:고려 중기 왕실과 화엄종 − 왕실 출신 화엄종 5 국사(國師)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79) : 29-62, 2011

      7 제천시,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제천시 2017

      8 이병욱, "의천의 균여화엄사상 비판의 정당성 검토" 한국사상사학회 (33) : 77-107, 2009

      9 李垠澈, "사자석탑(獅⼦⽯塔)의 기원(起源)과 건립배경(建⽴背景)" 청람사학회 3 : 2000

      10 국립문화재연구소, "북한문화재해설집 I : ⽯造物 編" 국립문화재연구소 1997

      1 진홍섭, "한국의 석조미술" ⽂藝 1995

      2 문명대, "한국의 불교조각 : 삼매와 평담미" 예경 2003

      3 정영호, "한국석탑의 특수양식 고찰(하) : 고려와 조선시대 석탑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4 : 1970

      4 "한국사데이터베이스"

      5 박광연, "한국 불교와 ‘종파’:고려초 業이 ‘종파’인가" 한국중세사학회 (44) : 145-177, 2016

      6 남동신, "특집:고려 중기 왕실과 화엄종 − 왕실 출신 화엄종 5 국사(國師)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79) : 29-62, 2011

      7 제천시,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제천시 2017

      8 이병욱, "의천의 균여화엄사상 비판의 정당성 검토" 한국사상사학회 (33) : 77-107, 2009

      9 李垠澈, "사자석탑(獅⼦⽯塔)의 기원(起源)과 건립배경(建⽴背景)" 청람사학회 3 : 2000

      10 국립문화재연구소, "북한문화재해설집 I : ⽯造物 編" 국립문화재연구소 1997

      11 전신재, "김부대왕전설의 형성과 변모" 아시아강원민속학회 19 : 2005

      12 김천학, "균여 화엄사상 연구 : 根機論을 중심으로" 해조음 2002

      13 정병삼, "균여 法界圖圓通記의 화엄사상" 淑明⼥⼦⼤學校 7 : 1997

      14 정성권,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의 조성 배경" 국립문화재연구소 53 (53): 224-243, 2020

      15 박광연, "고려후기 僧政의 변화와 불교 宗團" 한국중세사학회 (53) : 261-288, 2018

      16 김아네스, "고려시대 북방민족과의 전쟁사론" 남도문화연구소 (26) : 169-203, 2014

      17 최성은, "고려 현종대 석탑부조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0) : 209-246, 2008

      18 남동신, "고려 전기 금석문과 法相宗" 한국불교연구원 (30) : 153-189, 2009

      19 "경주신문"

      20 후지와라 타카토, "거란 불교사 연구" 씨아이알 2020

      21 홍대한, "高麗式 石塔樣式의 完成과 地方社會 統合-顯宗代 銘文石塔의 건립목적과 新樣式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45) : 103-137, 2016

      22 박광연, "高麗前期 佛敎 敎團의 전개 양상 -‘業’과 ‘宗’의 용례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34) : 211-242, 2012

      23 최성은, "高麗中期 法相宗 사원의 불교조각" 국립중앙박물관 (94) : 14-59, 2018

      24 문화재청, "韓國의 寺址: 현황조사보고서下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14

      25 한용수, "韓中避諱小考" 한중인문학회 (28) : 333-356, 2009

      26 최연식, "釋迦塔 발견 墨書紙片의 내용을 통해 본 高麗時代 佛國寺의 현황과 운영" 불교문화연구원 (61) : 239-266, 2012

      27 박은영, "遼代 鮮演의"華嚴經談⽞決擇記"의 연구와 역주" 동국대학교대학원 2017

      28 "證智⾸座觀奧墓誌銘"

      29 基, "說無垢稱經疏"

      30 권탄준, "華嚴經에 나타난 三昧思想 -「入法界品」의 獅子頻伸三昧를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40) : 1-32, 2005

      31 法藏, "華嚴經探⽞記"

      32 신용철, "華嚴寺 四獅子石塔의 造營과 象徵-塔으로 구현된 光明의 法身" 한국미술사학회 (250) : 83-119, 2006

      33 慧苑, "續華嚴略疏刊定記"

      34 김경혜, "獅⼦嚬迅寺址 ⽯塔 僧伽像 考察: 두건지장보살상의 도상적 관련성에 주목하여" 고려대학교대학원 2010

      35 괴산군, "槐⼭ 覺淵寺 ⽯造毗盧遮那佛坐像 : 精密實測 調査 報告書" 괴산군 2019

      36 法藏, "梵網經菩薩戒本疏"

      37 "新增東國輿地勝覽"

      38 佛陀跋陀羅, "摩訶僧祇律"

      39 장준식, "德周寺와 周邊 佛蹟, 德周寺 磨崖佛과 德周⼭城 地表調査 報告書" 忠州⼯業專⾨⼤學校博物 1992

      40 "德周寺禁⼝"

      41 忠州⼯業專⾨⼤學博物館, "德周寺 磨崖佛과 德周⼭城 地表調査 報告書" 忠州⼯業專⾨⼤學校博物 1992

      42 "庚⾠銘銅印篋"

      43 "師⼦頻迅寺址⽯塔"

      44 基, "妙法蓮華經⽞贊"

      45 智顗, "妙法蓮華經⽂句"

      46 충청대학교박물관, "堤川 德周寺 極樂殿址 發掘調査 報告書" 충청대학 박물관 2006

      47 최연식, "均如 華嚴思想 硏究 : 敎判論을 中心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48 慶南考古學硏究所, "咸安地域 調査" 慶南考古學硏究所 2005

      49 "五洲衍⽂⾧箋散稿"

      50 기쿠다케 준이치, "⾼麗時代의 佛畵" 시공사 1996

      51 김영재, "⾼麗佛畵에 나타난 華嚴思想의 圖像的 變容" 한국불교학회 26 : 2008

      52 한종구, "⽉岳⼭ 周邊의 傳說, 德周寺 磨崖佛과 德周⼭城 地表調査 報告書" 忠州⼯業專⾨⼤學校博物 1992

      53 "⽇省錄"

      54 澄觀, "⼤華嚴經略策"

      55 "⼤東地志"

      56 基, "⼤乘法苑義林章"

      57 鮮演, "⼤⽅廣佛華嚴經談⽞決擇"

      58 澄觀, "⼤⽅廣佛華嚴經疏"

      59 智儼, "⼤⽅廣佛華嚴經搜⽞分⿑通智⽅軌"

      60 實叉難陀, "⼤⽅廣佛華嚴經"

      61 佛馱跋陀羅, "⼤⽅廣佛華嚴經"

      62 均如, "⼗句章圓通記"

      63 Young-ae Lim, "The Rock-carved Standing Buddha Statue at the Memorial Temple(願堂), Deokjusa Temple in Jecheon"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Korean History 33 : 483-518,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74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