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漢詩에 나타난 敎坊歌舞 연구 = A Study on Kyobang Dance and Music in the korean poem of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5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drought of Gyobang music and dance, which was expressed in Hanxi during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Goryeo Dynasty, Gyobang was established due to the need for official ceremonies and connections between the royal court a...

      This study is based on the drought of Gyobang music and dance, which was expressed in Hanxi during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Goryeo Dynasty, Gyobang was established due to the need for official ceremonies and connections between the royal court and the local area. The Goryeo Dynasty was frequently associated with national ceremonies such as Yeondeunghoe, Palgwanhoe, and Narye, as well as private events of the Four Godfathers. In this connection, the dance and song played by the gisaengs along with the music performance is “Kyobang music and dance.” The main audience of Gyobangamu was those of the aristocracy of the king and Goryeo. The great writers naturally wrote, shared, and recorded poems based on the gyobang dance provided in the incense burner. Unlike the Joseon Dynast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ense of the performance because the Uigwe and recordings recorded by the Goryeo Dynasty have not been passed down. However, the "Hansi" data is highly valuable in that it is a medium that records and conveys the performance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Writers who created a poem based on the choreography of the Goryeo Dynasty include Choi Ja, Lee Soo, Lee Gyu-Bo, Lee Saek, Min Sa-Pyeong, and Jeong Eul-Bo. None of the Goryeo Dynasty's one-time studies focused on the choreography of Kyobang. The Chinese poems of the four great writers depict the details of Gyobang dance, Gyobangak, and the costumes and props of drough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site of the incense expressed in the po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yobang music and d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려시대 漢詩에 나타난 敎坊의 歌舞를 연구한 것이다. 고려시대 敎坊은 궁중과 지방의 공식적인 의례와 연향의 필요에 의해 설치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연등회, 팔관회, 儺禮와 ...

      이 연구는 고려시대 漢詩에 나타난 敎坊의 歌舞를 연구한 것이다. 고려시대 敎坊은 궁중과 지방의 공식적인 의례와 연향의 필요에 의해 설치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연등회, 팔관회, 儺禮와 같은 국가적 의례는 물론 사대부가의 개인 행사에도 연향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이 연향에서 기녀들이 음악과 함께 연희하는 춤과 노래가 ‘敎坊歌舞’이다.
      교방가무의 주 관객층은 고려의 왕과 귀족계층이었다. 사대부 문인들은 연향에서 제공되는 교방가무를 보고 자연스럽게 시를 짓고 공유하며 기록하였다. 조선시대와 달리 고려시대는 연향을 기록한 의궤나 기록화가 전승되지 않아 공연의 현장감을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공연 현장에서 기록한 ‘漢詩’ 자료는 고려시대 공연문화를 전달한 매체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고려시대 교방가무를 소재로 한시를 창작한 작가는 崔滋, 李需, 李奎報, 李穡, 閔思平, 鄭乙輔 등이 있다. 사대부 문인들의 한시 작품 속에는 교방춤, 교방악, 가무의 복식과 소품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는 한시 속에 표현된 연향의 내용을 통해 교방가무의 특징을 조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호승, "한국 줄타기의 역사와 연행 양상"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387-426, 2007

      2 임청화, "처용무(處容舞)의 변형(變形)과 전승(傳承) -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 대한무용학회 (40) : 97-112, 2004

      3 사진실, "전통연희의 전승과 성장" 태학사 2017

      4 한정수, "여말선초 국왕 잔치의 문제와 宴享의 성립" 조선시대사학회 (62) : 5-34, 2012

      5 이혜구,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6 사진실, "봉래산 솟았으니 해와 달이 한가롭네" 태학사 2017

      7 남종진, "당(唐) 교방(敎坊)의 성립과 변천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점" 한국동양예술학회 (36) : 55-79, 2017

      8 김창현, "고려시대 음악기관에 관한 제도사적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4 : 74-, 2001

      9 이경복, "고려시대 기녀연구"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5

      10 임영선, "고려시대 교방(敎坊)에 대한 재고찰" 국립국악원 (39) : 389-412, 2019

      1 이호승, "한국 줄타기의 역사와 연행 양상"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387-426, 2007

      2 임청화, "처용무(處容舞)의 변형(變形)과 전승(傳承) -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 대한무용학회 (40) : 97-112, 2004

      3 사진실, "전통연희의 전승과 성장" 태학사 2017

      4 한정수, "여말선초 국왕 잔치의 문제와 宴享의 성립" 조선시대사학회 (62) : 5-34, 2012

      5 이혜구,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6 사진실, "봉래산 솟았으니 해와 달이 한가롭네" 태학사 2017

      7 남종진, "당(唐) 교방(敎坊)의 성립과 변천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점" 한국동양예술학회 (36) : 55-79, 2017

      8 김창현, "고려시대 음악기관에 관한 제도사적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4 : 74-, 2001

      9 이경복, "고려시대 기녀연구"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5

      10 임영선, "고려시대 교방(敎坊)에 대한 재고찰" 국립국악원 (39) : 389-412, 2019

      11 정은경, "고려시대 敎坊歌舞戱"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4) : 2003

      12 윤아영, "고려시대 儺戱 담당자에 관한 再考" 온지학회 (21) : 311-336, 2009

      13 여운필, "高麗時代의 漢詩와 國文詩歌" 한국한시학회 (16) : 5-36, 2008

      14 "高麗史"

      15 하정승, "艶情詩의 면모와 미적 특질 -고려시대의 시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37) : 81-116, 2008

      16 李穀, "稼亭集"

      17 李齊賢, "益齋集"

      18 李穡, "牧隱集"

      19 徐居正, "東文選"

      20 "東國李相國集"

      21 徐兢, "宣和奉使高麗圖經"

      22 閔思平, "及菴詩集"

      23 鄭道傳, "三峯集"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